KR100919720B1 -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20B1
KR100919720B1 KR1020070085640A KR20070085640A KR100919720B1 KR 100919720 B1 KR100919720 B1 KR 100919720B1 KR 1020070085640 A KR1020070085640 A KR 1020070085640A KR 20070085640 A KR20070085640 A KR 20070085640A KR 100919720 B1 KR100919720 B1 KR 10091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ounting
mount
mai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969A (ko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이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07008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발명은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110)와,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단순하고 저렴한 구조로 주 모니터의 지지 받침대 이외에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 없이도 추가로 모니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니터, 컴퓨터, 멀티 디스플레이, 연결

Description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Muti-Monitor Attacthment Appartus}
본 발명은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110)와,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서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와 비디오 카드의 성능 향상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주 모니터 이외에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추가로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 화면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추가로 사용하는 모니터 역시 모니터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필요로 하기에 책상 위 등에 추가 모니터를 설치하는 공간이 추가로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는 LC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모니터의 경우, 실제 모니터의 두께는 1~2 ㎝이내로 점점 얇아지는 데 비하여 이렇게 얇은 모니터를 지지하는 받침대의 크기는 아직도 큰 채로 남아있어, 이 받침대가 차지하는 책상 위의 공간이 작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추가로 사용되는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의 경우 모니터의 하중을 받침대에 의해서만 지지하기 때문에, 받침대는 어느 정도 이상의 무게를 가지거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물리적으로 그 형상이나 무게를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 제작 단가가 비쌀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110)와,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를 제공하여,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단순하고도 저렴한 구조로 주 모니터의 지지 받침대 이외에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 없이도 추가로 모니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는,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110);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연결 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대(110)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부(12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 모니터(1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 모니터(2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장착 각도를 변경시킬 있도록 하는 경첩부(1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상기 경첩부(122)의 경첩 회전축은 상기 연결부(120)의 후면부의 평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경첩부(122)를 통해 후면으로 180도로 완전히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상기 경첩부(122)의 경첩 회전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일측 말단에 나사산(125)이 형성된 샤프트(124); 상기 샤프트(124)의 다른쪽 말단 외부에 결합된 잠금 노브(123); 상기 샤프트(124)의 상기 나사산(125)에 결합되며, 상기 경첩부(122)에 분리된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에 고정된 너트(12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노브(123)의 상면에는 동전 등을 끼워 넣어 상기 잠김 노브(123)를 더욱 단단히 잠글 수 있도록 반원형의 일부의 형상을 지니는 고정용 홈(1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대(110)는 상기 주 모니터(10)의 상면과 상기 장착 모니터(2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대(110)들이 각각 상기 연결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주 모니터(10)의 상부에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단순하고도 저렴한 구조로, 주 모니터의 지지 받침대 이외에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 없이도 추가로 모니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모니터 받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대(110)와, 상기 장착대(1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장착대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착대(1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 모니터(10)의 윗 쪽에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주 모니터(10)의 상면과 상기 장착 모니터(20)의 하면에 각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일(111)은 후술할 연결부(120)에 설치된 레일 홈(12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주 모니터(10)에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장착 모니터(20)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장착대(111)의 레일(111)과 후술할 연결부(120)의 레일 홈(121) 사이의 결합이 미끄러지거나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장착대(110)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부(12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 모니터(1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 모니터(2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결부(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에 각각 부착되 상기 장착대(110)의 상기 레일(111)에 상기 레일 홈(121)을 결합하여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중앙에 형성되어 도 2a에서 "A"로 표시된 위치와 같이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장착 각도를 변경시킬 있도록 하는 경첩부(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의 상기 경첩부(122)의 경첩 회전축은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후면부의 평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경첩부(122)를 통해 도 2a에서 "B"로 표시된 위치와 같이 후면으로 180도로 완전히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첩부(122)는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장착 각도를 변경시킨 후 변경된 각도로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120)의 상기 경첩부(122)의 경첩 회전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일측 말단에 나사산(125)이 형성된 샤프트(124)와, 상기 샤프트(124)의 다른 쪽 말단 외부에 결합된 잠금 노브(123)와, 상기 샤프트(124)의 상기 나사산(125)에 결합되며, 상기 경첩부(122)에 분리된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에 고정된 너트(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잠금 노브(123)의 상면에는 동전 등을 끼워 넣어 상기 잠김 노브(123)를 더욱 단단히 잠글 수 있도록 반원형의 일부의 형상을 지니는 고정용 홈(127)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먼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에 각각 장착대(110)를 장착시킨다. 상기 장착대(110)를 상기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에 각각 장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나사 등 체결구를 이용한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상기 장착대(11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대(110)의 레일(111)에 상기 연결부(120)의 레일 홈(121)을 슬라이드 식으로 각각 결합하여 상기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를 서로 결합한다. 한편, 상기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결합 각도를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첩부(122)를 이용하여 상기 주 모니터(10)와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 사이의 장착 각도를 변경시킨 후 변경된 각도로 상기 주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금 노브(123)를 돌려서 잠금 노브(123)에 연결된 샤프트(124)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125)이 너트(126)를 당기며 결합되어 상기 경첩부(122)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잠금 노브(123)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 홈(127)에 드라이버 등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간편하게 동전 등을 끼워 넣어 상기 잠김 노브(123)를 더욱 단단히 잠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대(110)는 상기 주 모니터(10)의 상면과 상기 장착 모니터(2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대(110)들이 각각 상기 연결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주 모니터(10)의 상부에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최대 3개까지의 장착 모니터(20)를 추가로 주 모니터(10)에 별도의 받침대 없이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작동의 경우, 일반적으로 장착 모니터(20)는 주 모니터(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주로 사용되며, 주 모니터(10)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노트북 컴퓨터 본체에 의해 지지되므로, 도 3에서와 같이 어느 일 측면에만 장착 모니터(2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정면도,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상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장착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의 다중 장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주 모니터 20: 장착 모니터
100: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110: 장착대 111: 레일
112: 스토퍼(Stopper)
120: 연결부 121: 레일홈
122: 경첩부 123: 잠금 노브
124: 샤프트 125: 나사산
126: 너트
127: 고정용 홈

Claims (7)

  1. 주 모니터 (10)의 일 측면 및 장착 모니터(20)의 일 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편에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110);
    상기 장착대(110)에 형성된 상기 레일(11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하는 레일 홈(121)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10)와 상기 장착 모니터(2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대(110)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부(12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 모니터(1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 모니터(20)에는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장착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대(11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85640A 2007-08-24 2007-08-24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KR10091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40A KR100919720B1 (ko) 2007-08-24 2007-08-24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40A KR100919720B1 (ko) 2007-08-24 2007-08-24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969A KR20090020969A (ko) 2009-02-27
KR100919720B1 true KR100919720B1 (ko) 2009-10-06

Family

ID=4068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640A KR100919720B1 (ko) 2007-08-24 2007-08-24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7342B2 (en) 2016-07-07 2018-10-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pillar shape, a plurality of attached monitors, and a central driv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85B1 (ko) * 2014-01-08 2014-04-15 주식회사 엘디케이 접철과 전후 화면제공이 가능한 병렬형 다중모니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665Y1 (ko) * 2000-05-23 2000-11-01 김근배 다화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JP2002165157A (ja) 2000-11-27 2002-06-07 Zenji Tsuchikawa 液晶テレビ
KR20050047627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665Y1 (ko) * 2000-05-23 2000-11-01 김근배 다화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JP2002165157A (ja) 2000-11-27 2002-06-07 Zenji Tsuchikawa 液晶テレビ
KR20050047627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KR100596225B1 (ko) * 2003-11-18 2006-07-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7342B2 (en) 2016-07-07 2018-10-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pillar shape, a plurality of attached monitors, and a central driv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969A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195A (en) Computer system having thin-profile display with removable connector assembly
EP3327330B1 (en) Adjustable mounting plate assembly
EP1619438B1 (en) Wall mounting structure for a flat panel display
EP1640849B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stand
US20040017652A1 (en) Pedestal computer docking station
US20100315774A1 (en) Wireless Card Adapters
EP1973447A1 (en) Shelf for display apparatus
US8387937B2 (en) Stand
US20110011990A1 (en) Display support seat
JP2010522590A (ja) 人間工学的モニタ支持装置
US10844999B2 (en) Display mounting apparatus
US9250650B2 (en) Foot support assembly for cantilevered touch screen
US6676098B2 (en) Plane display with a foldable support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US6962312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KR100919720B1 (ko)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KR100919721B1 (ko) 노트북 컴퓨터용 멀티 모니터 부착장치
CN102053664A (zh) 电脑主机及其机箱
US20120318943A1 (en) Hanging module
US80185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10012001A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display
TWM628907U (zh) 螢幕旋轉結構
US8009413B2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JP200026758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アームスタンド
US20120043866A1 (en) Adjustabl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