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60B1 -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60B1
KR100919060B1 KR1020090002969A KR20090002969A KR100919060B1 KR 100919060 B1 KR100919060 B1 KR 100919060B1 KR 1020090002969 A KR1020090002969 A KR 1020090002969A KR 20090002969 A KR20090002969 A KR 20090002969A KR 100919060 B1 KR100919060 B1 KR 10091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piece
learning
puzzle piec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코웰
Priority to KR102009000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이 학습 시 퍼즐 게임을 통해 변별력이나 손의 협응력 이외에도 집중력의 향상과 더불어 시청각적 놀이 및 운동적 놀이를 함께 충족시켜주는 학습수단을 통해 성장기 아동의 정신적 및 육체적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 중 본 장치에 부딪히거나 넘어져도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제한해 주는 아동학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학습대상체(111)가 표시된 퍼즐조각(110)들 및 그 퍼즐조각(110)들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102)들이 형성된 퍼즐보드(100)와; 상기 퍼즐보드(100)가 고정되는 매트(200)와; 상기 매트(200)에 내재되는 것으로, 상기 매트(200)에 고정된 퍼즐보드(100)의 인입용 홈(102)에 퍼즐조각(110)을 맞춰 누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해당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410)와;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부터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4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20)를 갖는 컨트롤박스(400)로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02969
유아, 아동, 학습, 시청각적 놀이, 육체적 놀이, 퍼즐, 안전사고

Description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Mat for child learning using a puzzle}
본 발명은 아동이 학습 시 퍼즐 게임을 통해 변별력이나 손의 협응력 이외에도 집중력의 향상과 더불어 시청각적 놀이 및 운동적 놀이를 함께 충족시켜주는 학습수단을 통해 성장기 아동의 정신적 및 육체적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 중 본 장치에 부딪히거나 넘어져도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제한해 주는 아동학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핵가족화에 따른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하여, 유아 또는 저학년 아동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아 또는 저학년 아동(이하, '아동'이라 통칭함)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아동의 집중력이 낮아 쉽게 흥미를 잃기 때문에 아동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켜줄 수 있는 시청각적 놀이 및 성장기 아동의 활동성을 보장시켜주는 운동적 놀이를 함께 충족시켜주는 학습수단을 제공해야만 아동의 교육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놀이를 충족시켜주는 아동을 위한 다양한 학습기기들이 개발/보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학습을 위한 영상을 출력하고, 아동이 출력되는 영상의 스크린을 터치하면, 해당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과 같은 스크린에 학습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영상, 예를 들어, 한글 자/모음, 영문, 그림 등을 출력하고, 아동이 해당 영상을 터치하면, 해당 영상에 상응하는 발음, 그림 설명, 그림 이름 등을 출력하여, 아동이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아동용 학습기기는 영상 및 음성 등의 출력을 통해 시청각적 놀이는 충족시켜주나 아동의 활동성을 보장시켜주는 운동적 놀이는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아동용 학습기기는 플라스틱과 같이 고형화된 기기이기 때문에 주의력 및 인지력 등이 낮은 아동이 학습 중 해당 학습기기에 부딪히거나 해당 학습기기로 넘어질 시 보다 큰 안전사고가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이 학습 시 퍼즐 게임을 통해 변별력이나 손의 협응력 이외에도 집중력의 향상과 더불어 시청각적 놀이 및 운동적 놀이를 함께 충족시켜주는 학습수단을 통해 성장기 아동의 정신적 및 육체적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 중 본 장치에 부딪히거나 넘어져도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제한해 주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는, 학습대상체가 표시된 퍼즐조각들 및 그 퍼즐조각들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들이 형성된 퍼즐보드와; 상기 퍼즐보드가 고정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에 내재되는 것으로, 상기 매트에 고정된 퍼즐보드의 인입용 홈에 퍼즐조각을 맞춰 누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해당 퍼즐조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과;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와;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관한 학습내 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진 상기 퍼즐보드의 전면에는 바탕도안이 인쇄된다.
상기 퍼즐보드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용시트를 포함하고, 그 포함되는 교체용시트에는 맞춰진 퍼즐조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학습대상체가 표시된다.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대응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갖는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는, 상기 퍼즐보드에 맞춰진 퍼즐조각들을 제거시 형성되는 퍼즐조각 인입용 홈들 중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에 인입되는 인입블록이 저부에 돌출되는 입체퍼즐조각과; 상기 컨트롤박스의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대응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더불어 상기 입체퍼즐조각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포함 저장되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은 상기 입체퍼즐조각의 인입블록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적어도 2개의 해당 퍼즐조각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들이 취합된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부는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매트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각 매트는 사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의 측면이 커넥터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는, 학습대상체가 표시된 퍼즐조각들 및 그 퍼즐조각들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들이 형성된 퍼즐보드와; 상기 퍼즐보드가 고정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퍼즐보드에 맞춰진 퍼즐조각을 터치하면, 그 터치된 해당 퍼즐조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펜 및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과;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와; 상기 터치펜 또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터치펜 또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펜은 도체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은 터치센서부이거나 또는 상기 터치펜은 스캐너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은, 상기 퍼즐조각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의 전면에 각 퍼즐조각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별 좌표코드가 인쇄된 필름이다.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진 상기 퍼즐보드의 전면에는 바탕도안이 인쇄된다.
상기 퍼즐보드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용시트를 포함하고, 그 포함되는 교체용시트에는 맞춰진 퍼즐조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학습대상체가 표시된다.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대응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갖는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는, 상기 퍼즐보드에 맞춰진 퍼즐조각들을 제거시 형성되는 퍼즐조각 인입용 홈들 중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에 인입되는 인입블록이 저부에 돌출되고, 상부에는 상기 터치펜을 통해 터치하면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입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이 구비된 입체퍼즐조각과; 상기 컨트롤박스의 데이터 저장부에는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대응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더불어 상기 입체퍼즐조각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포함 저장되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은 상기 입체퍼즐조각의 인입블록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적어도 2개의 해당 퍼즐조각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들이 취합된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부는 상기 입체퍼즐조각의 입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매트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각 매트는 사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의 측면이 커넥터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아동이 퍼즐을 통한 학습 시 변별력이나 손의 협응력 이외에도 집중력의 향상과 더불어 시청각적 놀이 및 운동적 놀이를 함께 충족시켜주는 학습수단을 통해 성장기 아동의 정신적 및 육체적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아동이 학습 중에 본 장치에 부딪히거나 넘어져도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한도로 제한해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각 실시예에 따라 중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함과 아울러 각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이 동일한 경우 후 실시예의 도면 및 작용관계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퍼즐보드 및 매트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를 이루는 각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입체퍼즐조각이 부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부가되는 커넥터의 각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교체용시트가 부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는 크게 퍼즐보드(100), 매트(200),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 및 컨트롤박스(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퍼즐보드(100)는 학습대상체(111)가 표시된 퍼즐조각(110)들이 내입되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102)들이 가로열 및 세로열로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퍼즐조각(110)들은 육면형상과 일정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제공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개의 퍼즐조각(110)들을 불규칙한 형성으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퍼즐조각(110)의 하부에는 압력전달용 돌출턱(112)을 구비하여 가압 시 후술될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에 가압력이 집중되게 제공한다. 또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 가압력의 전달효율을 높이면서도, 아동 부딪히거나 넘어질 경우에도 안전사고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퍼즐조각(110) 및 퍼즐보드(100)의 재질은 탄성이 높은 고무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퍼즐조각(110)의 상부에 표시되는 학습대상체(111)는 아동의 연령에 따라 학습하는 내용(예를 들어, 숫자, 문자, 도형, 동·식물 형상 및 인공구조물 등의 형상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퍼즐조각(110)이 맞춰진 퍼즐보드(100)의 전면에는 바탕도안(101)을 인쇄하여 아동이 퍼즐보드(100) 상에서 용이하게 퍼즐조각(110)들을 맞출 수 있도록 제공한다.
퍼즐조각(110) 및 퍼즐보드(100)의 전면에 인쇄된 바탕도안(101)은, 도 1에서처럼, 아동이 선호하고, 식별이 용이하도록 원색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도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매트(200)는 퍼즐보드(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 지퍼 및 후크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매트(200)도 기본적으로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 벽에 걸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200)의 가장자리 부근에 벽에 걸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고정수단에는 벽면과 함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벨크로 테이프, 지퍼, 걸이용 구멍 및 못, 후크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매트(200)의 내부에는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와 함께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이 내재된다. 이처럼, 내재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은 매트(200)에 고정된 퍼즐보드(100)의 인입용 홈(102)에 퍼즐조각(110)을 맞춰 누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해당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는 러버돔 타입이나 멤브레인 타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 러버돔 타입이 적용된 경우 그 적층구성은 탄성고무(301), 접촉스위치(302) 및 접점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303)으로 이루어져, 아동이 어느 하나의 퍼즐조각(110)을 퍼즐보드(100)의 퍼즐조각 인입형 홈(102)에 맞출 시 가압력에 의해 해당 퍼즐조각(110)에 대응되는 탄성고무(301)가 눌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그 눌러지는 탄성고무(301)의 하부에 적층된 접촉스위치(302)가 회로기판(303)의 접점회로에 접점됨으로써,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생성되고, 그 생성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박스(400)로 송신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그리고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 멤브레인 타입이 적용된 경우 그 적층구성은 상부회로막(310)과, 접점구멍(321)이 형성된 절연막(320)과, 하부회로막(330)으로 이루어지되, 그 절연막(320)의 접점구멍(321)에 대응하는 상부회로막(310) 및 하부회로막(330)에는 접점단자(311,331)가 돌출되어 제공됨으로써, 아동에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해당 구획에 대응되는 접점단자(311,331)만 접점되고, 그 접점에 의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생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박스(400)로 송신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이때, 상부회로막(310)의 하면에는 탄성돌기(312)가 접점단자(311)보다 높이가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의 생성과 관련된 정밀도를 기일층 향상시켜준다.
또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의 송신은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회로적으로 연결된 유무선 데이터 송신부(340)를 통해 전송되고, 송신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는 후술되는 컨트롤박스(400)의 유무선 데이터 수신 부(440)로 수신된다.
이때,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무선으로 전송될 경우 유무선 데이터 송신부(340) 및 유무선 데이터 수신부(440)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고주파환 신호인 무선(RF)신호 변환하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면, 그 무선신호화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복조하여 제공하는 FM 트랜스미터 모듈, 적외선 통신이 수행되는 IR module, 블루투스 모듈 또는 IEEE802.11b 모듈 등의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유선으로 전송될 경우 유무선 데이터 송신부(340) 및 유무선 데이터 수신부(440)는 유선데이터 전송장치인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400)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로부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표시된 학습대상체(111)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아동이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제어시켜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컨트롤박스(400)의 전체적인 구성은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410)와,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부터 송신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데이터 수신부(440)와, 유무선 데이터 수신부(440)를 통해 수신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표시된 학습대상체(111)에 대응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부(430)와, 상기 유무선 데이터 수신부(440)를 통해 입력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430)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정보출력부(4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보출력부(410)는 학습대상체(111)의 학습내용을 아동이 소리로 인지할 수 있도록 스피커(411)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시청각적 놀이의 극대화를 위해 소리와 더불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정보로 출력될 수 있도록 액정, 모니터 또는 빔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부(412)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411)나 디스플레이부(412)의 경우 컨트롤박스(400)에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제공되는 등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430)는 기본적으로 내장되는 내장메모리(431)와 더불어 외부로부터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위해 외장메모리(433)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박스(400)에는 외장메모리(433)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인 외장메모리 인터페이스부(432)가 함께 탑재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외장메모리(433)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스틱과 더불어 CF(Compact Flash), MMC(Multi Media Card), SD(Secure Digital), XD(xD-Picture Card), SM(Smart Media) 등의 다양한 외장메모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432)도 다양한 종류의 외장메모리 중 선택된 외장메 모리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와 더불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같은 교육컨텐츠의 제공은 네트워크 기반하의 학습서버(도시하지 않음)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학습서버와 연결된 PC(Personal Computer)와 컨트롤박스(400)의 외장메모리 인터페이스부(432) 간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교육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아동학습용 매트에서는 학습 시 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자(부모 또는 교사 등)가 지속적으로 아동을 주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아동이 학습을 하지 않거나 또는 학습장을 이탈할 경우 이를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보출력부(410)를 통해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저장부(430)에는 사전에 경보신호가 저장된 상태이며, 그 저장된 경보신호는 부저음 및 음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서는 해당 아동의 연령에 맞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의 업데이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퍼즐조각(110)이 맞춰진 퍼즐보드(100)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용시트(120)를 포함하고, 그 포함되는 교체용시트(120)에는 맞춰진 퍼즐조각(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학습대상체(121)들이 배열되어 표시되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데이터저장부(430)에도 교체용시트(120)에 표시되는 학습대상체(121)들에 관한 학습정보인 교체용시트별 학습정보가 추가로 저장되며, 제어부(420)는 교체용시 트(120)가 구비된 경우 데이터저장부(430)에 저장된 교체용시트별 학습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일예로, 퍼즐블록 학습모드, 교체용시트 학습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구분별 학습 선택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부(420)가 선별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여기서, 교체용시트별 학습정보는 내장메모리(431) 또는 외장메모리(433) 등 선택에 따라 저장되어 제공된다. 또한, 퍼즐보드(100)와 교체용시트(120) 간의 탈부착수단은 앞에서도 언급한 벨크로 테이프, 지퍼, 걸이용 구멍 및 못, 후크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학습용 매트에는 아동이 학습대상의 인지를 평면이 아닌 해당 학습대상의 원형 그대로 즉, 입체로 인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입체퍼즐조각(130a,130b)을 제공한다.
즉, 제공되는 입체퍼즐조각(130a,130b)에는 퍼즐보드(100)에 맞춰진 퍼즐조각(110)들을 제거시 형성되는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들 중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에 인입되는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이 저부에 돌출되고, 사전에 정해진 퍼즐조각자리인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에 맞춰질 수 있도록 해당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바탕도안(101)이 상부에 동일하게 인쇄되어 제공된다.
이와 더불어, 컨트롤박스(400)의 데이터 저장부(430)에는 입체퍼즐조각(130a,130b)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구 분되어 저장된다.
이를 토대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은 입체퍼즐조각(130a,130b)의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11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들이 취합된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는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430)에서 상기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여기서도, 퍼즐블록 학습모드, 교체용시트 학습모드와 더불어 입체퍼즐블록 학습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구분별 학습 선택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입체퍼즐블록 학습모드에 따라 제어부(420)가 사전에 정해진 행과 열을 갖는 좌표접점신호만 입력될 경우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만 선별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예를 들면, 베개의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a)의 경우 상부에 인쇄된 바탕도안(101a)은 퍼즐보드(100)에 맞춰지는 퍼즐조각(110) 중 3행2열, 4행2열 및 5행2열에 맞춰지는 퍼즐조각(110)의 바탕도안(101)과 동일한 바탕도안이 인쇄되어 있어, 아동은 인쇄된 베개의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a)의 바탕도안(101a)과 동일한 도안을 갖는 퍼즐조각(110)의 바탕도안(101)에 베개의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a)을 3행2열 및 5행2열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a,102b)에 맞춰 끼우면, 베개의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a)의 하부에 구비된 2개 의 인입블록(131a,132a)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을 누른다.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은 압력이 가해진 2개의 인입블록(131a,132a)에 대응되는 2개인 3행2열 및 5행2열의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취합하여,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박스(400)로 전송한다.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는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3행2열 및 5행2열의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데이터 저장부(430)와 매칭함으로써, 3행2열 및 5행2열의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컨트롤박스(400)는 3행2열 및 5행2열의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아닌 3행1열의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가 전송될 경우에는 학습정보가 출력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화 된 상태이다.
이처럼, 출력되는 베개의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a)과 관련된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는 베개를 베는 요령에 관한 학습정보와 더불어 아동의 취침을 유도하여 주는 취침용 음악도 함께 출력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b)도 퍼즐보드(100)에 맞춰지는 퍼즐조각(110) 중 2행8열, 2행9열 및 2행10열에 맞춰지는 퍼즐조각(110)의 바탕도안(101)과 동일한 바탕도안이 인쇄되어 있고, 자동차 입체형상을 갖는 입체퍼즐조각(130b)을 퍼즐보드(100)의 2행8열, 2행9열 및 2행10열에 맞춰 끼워야만 해당 자동차와 관련된 학습정보만이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여기서도,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는 내장메모리(431) 또는 외장메모리(433) 등 선택에 따라 저장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학습 시 아동의 연령에 맞는 운동적 놀이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퍼즐보드(100)가 고정된 매트(200)를 여러 개로 구비하고, 그 구비되는 여러 개의 매트(200)를 사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200)의 측면이 커넥터(210)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커넥터(210)의 세부적인 구성은 여러 적용예가 있는데, 그 중 한 적용예로, 각 매트(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매트(200)의 가장자리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암 연결잭(211)과, 케이블(213)의 양단에 각각 수 연결잭(212)이 연결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각 매트(200)를 연결하는 커넥터(300) 구성의 다른 적용예는, 각 매트(200) 간의 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각 매트(200)의 마주보는 양측면을 단턱구조를 갖도록 제작하되, 그 제작되는 단턱구조는 서로 적층되는 단턱구조를 갖도록 제작하고, 그 단턱구조의 마주보는 층에 암수의 잭(214,215)을 설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넥터(210)의 구성으로 제공되는 암수의 잭(211,212,214,215)은 암수의 핀 즉, 접합부(216)와 금속단자(217)로 대체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10)를 이용하여 기존의 매트(200)에 새로운 매트(200)를 추가하여 연결할 경우, 기존의 매트(200)와 추가되는 매트(200)에 각각 구비되는 퍼즐 조각에 인쇄된 학습대상체에 관한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외장메모리(323)를 통해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추가된 매트(200)에서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도 기존의 매트에서 제공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와 구분하여 재설정함으로써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가 이를 인지하여 추가된 매트(200)에서 생성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커넥터(210)의 연결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각 매트(200)의 고정을 위해 각 매트(200)의 사방의 측면에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또는, 각 매트(200)의 사방의 측면에 단추 및 고정고리를 부착제공하거나 또는, 각 매트(200)의 사방의 측면에 암수의 지퍼를 부착제공하거나 또는, 각 매트(200)의 사방의 측면에 요철을 돌출형성하여 부착제공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제공하는 등 다양한 고정수단의 제공을 통해 각 매트(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를 통한 학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퍼즐보드(100)가 고정된 여러 장의 매트(200)가 구비된 경우 이를 커넥터(400)를 통해 연결하여 벽면이나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컨트롤박스(400)를 조작하여 학습을 실행한다.
학습의 실행에 의해, 아동이 퍼즐조각(110a)에 인쇄된 바탕도안(101a)을 숙지한 후 해당 퍼즐조각(110a)이 인입될 퍼즐보드(100)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을 찾은 후 찾은 해당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에 퍼즐조각(110a)을 맞춰 누르면, 매트(200) 내에 적층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에서 해당 퍼즐조각(110a)의 위치인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박스(4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컨트롤박스(400)는 전송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제어부(420)로 입력하고, 제어부(420)는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학습대상체(111)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20)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정보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성장기의 아동들에게 퍼즐 학습을 통한 변별력이나 손의 협응력 이외에도 집중력의 향상과 더불어 시청각적 놀이 및 운동적 놀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정신적 및 육체적 학습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 제 2 실시시예 -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아동학습용 매트의 구성 및 작동관계의 설명 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목적은 제 1 실시예의 목적과 동일하다.
단,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 일부분에 차이가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구성 중 퍼즐보드(100), 매트(200) 및 컨트롤박스(400)의 경우 제 1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하며 다만,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의 기능 즉, 알고리즘에만 차이가 있다.
이에, 제 1 실시예에서 구비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의 기능은 아동이 밟거나 누름 등의 가압에 의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반면, 제 2 실시예에서는 그 구성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과 더불어 터치펜(500)이 추가가 되며, 이로 인한 기능 또한 정전용량방식 및 스캔방식으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먼저, 정전용량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펜(500)은 도체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은 터치센서부로서, 터치펜(500)을 터치센서부에 접촉할 경우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터치센서부는 일정전압/전류치를 검출함으로써, 접촉된 해당 퍼즐의 위치인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스캔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펜(500)은 스캐너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은 상기 퍼즐조각(110)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110)의 전면에 각 퍼즐조각(11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별 좌표코드(611)가 인쇄된 필름(610)이다.
여기서, 필름(610)은 퍼즐조각(110) 전면의 최상부에 부착되어 있어, 터치펜(500)이 해당 학습대상체(102)가 위치하는 구획에 접촉하여 스캔을 함으로써 그 접촉된 해당 퍼즐조각(110)의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스캐너인 터치펜(500)은 그 생성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컨트롤박스(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매트(200)의 내부에 압력감지센서가 탑재된 압력감지부(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적층하고, 그 추가로 적층되어 제공되는 압력감지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압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경보출력 요청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압력감지부로부터 경보출력 요청신호가 생성된 경우 이를 인지하고,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퍼즐보드 및 매트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를 이루는 각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입체퍼즐조각이 부가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부가되는 커넥터의 각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에 교체용시트가 부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퍼즐보드 101,101a,101b : 바탕도안
102,102a,102b,102c,102d,102e : 퍼즐조각 인입용 홈
110,110a : 퍼즐조각` 111,111a,121 : 학습대상체
112 : 압력전달용 돌출턱 120 : 교체용시트
130 : 입체퍼즐조각 131a,132a,131b,132b,133b : 인입블록
200 : 매트 210 : 커넥터
211,212 : 연결잭 213 : 케이블
300,600 :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
301 : 탄성고무 302 : 접촉스위치
303 : 회로기판 310 : 상부회로막
311,331 : 접점단자 312 : 탄성돌기
320 : 절연막 321 : 접점구멍
330 : 하부회로막 400 : 컨트롤박스
410 : 정보출력부 411 : 스피커
412 : 디스플레이부 420 : 제어부
430 : 데이터저장부 431 : 내장메모리
432 : 외장메모리 인터페이스부 433 : 외장메모리
500 : 터치펜 610 : 필름
611 : 위치별 좌표코드

Claims (14)

  1. 학습대상체(111)가 표시된 퍼즐조각(110)들 및 그 퍼즐조각(110)들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102)들이 형성된 퍼즐보드(100)와;
    상기 퍼즐보드(100)가 고정되는 매트(200)와;
    상기 매트(200)에 내재되는 것으로, 상기 매트(200)에 고정된 퍼즐보드(100)의 인입용 홈(102)에 퍼즐조각(110)을 맞춰 누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해당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410)와;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대응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430) 및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으로부터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430)에서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정보출력부(4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20)를 갖는 컨트롤박스(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퍼즐보드(100)에 맞춰진 퍼즐조각(110)들을 제거시 형성되는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들 중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에 인입되는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이 저부에 돌출되는 입체퍼즐조각(130a,130b)과;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데이터 저장부(430)에는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대응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더불어 상기 입체퍼즐조각(130a,130b)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포함 저장되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은 상기 입체퍼즐조각(130a,130b)의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적어도 2개의 해당 퍼즐조각(11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들이 취합된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는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430)에서 상기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조각(110)이 맞춰진 상기 퍼즐보드(100)의 전면에는 바탕도안(101) 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보드(100)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용시트(120)를 포함하고, 그 포함되는 교체용시트(120)에는 맞춰진 퍼즐조각(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학습대상체(121)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200)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각 매트(200)는 사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200)의 측면이 커넥터(210)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7. 학습대상체(111)가 표시된 퍼즐조각(110)들 및 그 퍼즐조각(110)들이 맞춰질 수 있도록 인입용 홈(102)들이 형성된 퍼즐보드(100)와;
    상기 퍼즐보드(100)가 고정되는 매트(200)와;
    상기 매트(200)의 퍼즐보드(100)에 맞춰진 퍼즐조각(110)을 터치하면, 그 터치된 해당 퍼즐조각(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펜(500) 및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과;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410)와;
    상기 터치펜(500) 또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대응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430) 및 상기 터치펜(500) 또는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으로부터 생성되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상기 정보출력부(4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20)를 갖는 컨트롤박스(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퍼즐보드(100)에 맞춰진 퍼즐조각(110)들을 제거시 형성되는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들 중 적어도 2개의 퍼즐조각 인입용 홈(102)에 인입되는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이 저부에 돌출되고, 상부에는 상기 터치펜(500)을 통해 터치하면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는 입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이 구비된 입체퍼즐조각(130a,130b)과;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데이터 저장부(430)에는 상기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10)에 인쇄된 학습대상체(111)에 대응되는 퍼즐조각별 학습정보와 더불어 상기 입체퍼즐조각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포함 저장되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300)은 상기 입체퍼즐조각(130a,130b)의 인입블록(131a,132a,131b,132b,133b)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이 가해진 적어도 2개의 해당 퍼즐조각(11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들이 취합된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박스(400)의 제어부(420)는 상기 입체퍼즐조각의 입체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부(430)에서 상기 입체 퍼즐조각별 좌표접점신호에 대응되는 입체 퍼즐조각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500)은 도체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은 터치센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500)은 스캐너이고,
    상기 퍼즐조각별 위치좌표 생성수단(600)은, 상기 퍼즐조각(110)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조각(110)의 전면에 각 퍼즐조각(11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별 좌표코드(611)가 인쇄된 필름(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조각(110)이 맞춰진 상기 퍼즐보드(100)의 전면에는 바탕도안(101)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보드(100)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용시트(120)를 포함하고, 그 포함되는 교체용시트(120)에는 맞춰진 퍼즐조각(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학습대상체(121)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12. 삭제
  13. 삭제
  14.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200)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각 매트(200)는 사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매트(200)의 측면이 커넥터(210)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KR1020090002969A 2009-01-14 2009-01-14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KR10091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9A KR100919060B1 (ko) 2009-01-14 2009-01-14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9A KR100919060B1 (ko) 2009-01-14 2009-01-14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060B1 true KR100919060B1 (ko) 2009-09-24

Family

ID=413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69A KR100919060B1 (ko) 2009-01-14 2009-01-14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06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13B1 (ko) 2009-04-22 2012-01-05 (주)첨소리 위치별 좌표코드가 중복표시된 학습물의 제공방법
KR101131902B1 (ko) * 2009-06-19 2012-04-0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게임용 멀티터치 매트
KR101255896B1 (ko) * 2011-03-08 2013-04-17 김진홍 무선 학습 장치
KR101502270B1 (ko) * 2014-02-07 2015-03-18 (주)모션블루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665529A (zh) * 2015-02-13 2015-06-03 南通明德塑胶有限公司 一种益智型智能早教地垫及其识别方法
KR101915905B1 (ko) * 2017-08-10 2019-01-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지각 능력과 절차적 사고 향상을 위한 디지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게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140591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20210125792A (ko) * 2020-04-09 2021-10-19 (주)알앰 스마트 바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51Y1 (ko) 2001-08-04 2001-11-23 정재돈 교육용 발판 장치
KR200258018Y1 (ko) 2001-09-20 2001-12-31 김영남 학습용 자석붙이 타트기구
JP2006326895A (ja) 2005-05-24 2006-12-07 Nova:Kk 絵を押すと声の出る学習カード
KR100878038B1 (ko) * 2008-06-11 2009-01-13 주식회사 씽코웰 아동학습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51Y1 (ko) 2001-08-04 2001-11-23 정재돈 교육용 발판 장치
KR200258018Y1 (ko) 2001-09-20 2001-12-31 김영남 학습용 자석붙이 타트기구
JP2006326895A (ja) 2005-05-24 2006-12-07 Nova:Kk 絵を押すと声の出る学習カード
KR100878038B1 (ko) * 2008-06-11 2009-01-13 주식회사 씽코웰 아동학습용 매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13B1 (ko) 2009-04-22 2012-01-05 (주)첨소리 위치별 좌표코드가 중복표시된 학습물의 제공방법
KR101131902B1 (ko) * 2009-06-19 2012-04-0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게임용 멀티터치 매트
KR101255896B1 (ko) * 2011-03-08 2013-04-17 김진홍 무선 학습 장치
KR101502270B1 (ko) * 2014-02-07 2015-03-18 (주)모션블루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665529A (zh) * 2015-02-13 2015-06-03 南通明德塑胶有限公司 一种益智型智能早教地垫及其识别方法
KR101915905B1 (ko) * 2017-08-10 2019-01-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지각 능력과 절차적 사고 향상을 위한 디지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게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140591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102127093B1 (ko) 2018-06-12 2020-06-25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20210125792A (ko) * 2020-04-09 2021-10-19 (주)알앰 스마트 바닥재
KR102368687B1 (ko) * 2020-04-09 2022-02-28 (주)알앰 스마트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060B1 (ko) 퍼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KR100878038B1 (ko) 아동학습용 매트
KR100896910B1 (ko) 장난감을 이용한 아동학습용 매트
CN1312567C (zh) 输入装置
US9333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nterconnecting blocks as input and output for electronic devices
KR20100138996A (ko) 휴대전화용 크레이들, tv 전화 시스템, 가라오케 시스템,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
KR20080010399A (ko) 조작 가능한 상호작용 장치
CN110622231B (zh) 编程装置及记录介质、编程方法
CN105536266A (zh) 智能积木游戏装置、智能积木游戏的控制方法及系统
CN213958024U (zh) 一种具有多种工作模式的智能笔及应用系统
KR101271421B1 (ko) 퍼즐 자동 인식을 통한 콘텐츠 제공 장치
JP2002203211A (ja) カード読取装置
KR20160105825A (ko) 연속적으로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객체를 인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680B1 (ko) 학습수행이 게임형식으로 안내되는 아동학습용 매트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946464B1 (ko) 체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 및 그 방법
CN103680100A (zh) 智能设备的遥控器的定制方法及智能设备
JP2002513180A (ja) データ入力装置及び方法とそれ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実行方法
KR20110011852A (ko) 터치식 학습매트
KR102000673B1 (ko) 상호작용 가능한 블록 도구
JP201123295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922406B1 (ko) 시각장애인용 학습매트
KR101662569B1 (ko) 유아용 전자 학습기
KR100973679B1 (ko) 학습기능이 개선된 아동학습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CN108427898A (zh) 一种选课装置及选课方法
CN101957928A (zh) 可供识读书签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