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935B1 - 모션 센싱 리모콘 - Google Patents

모션 센싱 리모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935B1
KR100918935B1 KR1020080099218A KR20080099218A KR100918935B1 KR 100918935 B1 KR100918935 B1 KR 100918935B1 KR 1020080099218 A KR1020080099218 A KR 1020080099218A KR 20080099218 A KR20080099218 A KR 20080099218A KR 100918935 B1 KR100918935 B1 KR 100918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mod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노정자
김문희
진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9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모션 센싱 리모콘이 제공된다. 모션 센싱 리모콘은 입력 모드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기본 모드와 모션 센싱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상기 기본 모드와 모션 센싱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한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및 상기 동작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상기 버튼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션 센싱 리모콘{MOTION SENSING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모션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모드에 따라 리모콘의 특정 버튼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및 VCR 등을 포함한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리모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리모콘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모콘은 채널 변경, 음성 크기 변경 및 번호 입력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T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와 시청자 사이에 쌍방향(interactive)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들에서 리모콘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들의 다양한 기능을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하여는 리모콘에 더욱 많은 버튼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리모콘의 사용이 갈수록 복잡하고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콘에 모션 센싱 기능뿐만 아니라 기존의 리모콘 기능도 포함될 경우에는 리모콘의 버튼 수는 더욱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모션 센싱 리모콘에 모션 센싱 기능 및 기존의 리모콘 기능이 모두 포함될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여전히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션 센싱 리모콘의 경우에는, 제어 신호가 리모콘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리모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리모콘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 1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27661호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선행 기술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채널 및 음량을 변경하는 리모콘으로서, 음량 또는 채널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리모콘을 움직일 경우에 음량 또는 채널이 조절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2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86136호에는 “리모콘 및 그 동작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 2 선행 기술은,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움직임에 맞는 신호를 검출하는 리모콘으로서, 리모콘의 다양한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통해 TV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제 1 선행 기술 및 제 2 선행 기술은 리모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오히려 리모콘의 버튼 수를 증가시켜 리모콘의 사용을 더욱 복잡하게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어 신호가 리모콘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리모콘을 사용하는 자가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리모콘의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특정 버튼의 기능들을 특정 버튼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리모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입력 모드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기본 모드와 모션 센싱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상기 기본 모드와 모션 센싱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한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및 상기 동작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상기 버튼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른 상기 버튼의 기능을 상기 버튼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입력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리모콘의 입력 모드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 상기 입력 모드 별로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입력 버튼 및 상기 입력 버튼의 뒷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버튼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활성화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모션 센싱 리모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특정 버튼이 기본 모드 및 모션 센싱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리모콘의 버튼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특정 버튼의 기능들이 특정 버튼에 선택적으로 구별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리모콘의 입력 모드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콘의 사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 상태에서의 리모콘 버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서의 리모콘 버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에 따른 리모콘 버튼의 기능 표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의 동작 방법의 세부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롤링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0: 버튼 입력부 215: 모드 전환부
220: 동작 감지부 230: 입력 모드 표시부
240: 제어부 250: 송수신부
260: 진동 발생부 270: 충전부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모콘의 기본 모드란 리모콘의 입력 모드 중의 하나로서,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특정 버튼에 표시된 숫자, 문자 등을 외부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모션 센싱 모드란 리모콘의 입력 모드 중의 하나로서, 모션 센싱 기능을 이용하여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모드를 말한다.
하지만, 리모콘의 입력 모드는 상기 기본 모드 및 모션 센싱 모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버튼 입력 기능(클릭을 통한 입력 기능)과 모션 센싱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은 버튼 입력부(210), 모드 전환부(215), 동작 감지부(220), 입력 모드 표시부(230), 제어부(240), 송수신부(250), 진동 발생부(260) 및 충전부(270)를 포함한다.
버튼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리모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버튼 입력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240)로 제공한다. 버튼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을 클릭하거나 버튼을 일정 시간 계속하여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생성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215)는 사용자의 입력 모드의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리모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리모콘의 입력 모드는 기본 모드 및 모션 센싱 모드로 구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버튼 입력 기능(클릭을 통한 입력 기능)과 모션 센싱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드 전환 요청은, 예를 들어, 토글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를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220)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감지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240)로 제공한다.
모션 센서란 리모콘의 움직임, 충격, 기울기 등을 인식하는 모든 센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220)는, 예를 들어, 리모콘을 움직이는 가속도, 리모콘의 기울기 또는 리모콘을 회전 시킨 각도 등을 감지하여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부(220)는, 예를 들어, 리모콘의 롤링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롤링 동작이란, 도 7과 같이 리모콘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말하며, 동작 감지부(220)는 리모콘을 회전시킨 정도를 반영하여 상기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모드 표시부(230)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리모콘 버튼의 역할을 상기 버튼 별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모드 표시부(230)는 모드 전환부(215)의 입력 모드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전환된 입력 모드에 대응한 리모콘 버튼의 기능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입력 모드 표시부(230)는, 예를 들어, 리모콘 버튼의 뒷면에 배치된 서로 다른 색상의 LED의 전원을 리모콘의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함으로써,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각 버튼의 역할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 버튼은 흑색의 불투명의 재질로 구현하고, 버튼의 역할을 표시하는 숫자/문자를 투명 재질로 구현하면, 상기 LED의 빛이 상기 투명 재질을 통과함으로써, LED의 색상에 의해 입력 모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드 표시부(230)는, 예를 들어, 버튼이 OLE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OLED에 각 버튼의 역할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력 모드에 따른 버튼의 역할을 각 버튼 별로 구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LED 및 OLED의 전원은 소정 시간 경과할 경우에 자동으로 꺼질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리모콘의 임의의 버튼을 누를 경우에 상기 LED 및 OLED의 전원이 다시 켜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라 구별되는 각각의 버튼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리모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제어부(240)는 버튼 입력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버튼 입력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신호란 TV 등의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말한다.
제어부(240)는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라 버튼 입력 신호만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버튼 입력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라 특정 버튼이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일한 버튼 입력 신호에 대하여 상기 입력 모드 별로 각각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이 기본 모드 상태일 경우에, 제어부(240)는 버튼의 기본 모드 상의 역할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버튼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바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모콘이 모션 센싱 모드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부(240)는 버튼의 모션 센싱 모드 상의 역할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서 동작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포인팅 제어 신호란, TV 등의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커서를 제어하는 신호로서, 리모콘이 마우스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리모콘의 각 버튼은 입력 모드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리모콘의 버튼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모션 센싱 기능을 통하여 버튼의 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리모콘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송수신부(250)는 상기 제어 신호를 TV 등의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완료 신호란,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제어 신호 및 입력 완료 신호는, 예를 들어, 기본 모드에서는 IR(Infrared) 신호를 이용하고, 모션 센싱 모드에서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60)는 송수신부(250)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콘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발생부(260)는 제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6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싱 모드에서 볼륨 버튼을 누른 채로 리모콘을 롤링할 경우에, 리모콘을 회전시킨 정도에 따라서 강도가 다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발생부는, 예를 들어, 모션 센싱 모드에서 채널 버튼을 누른 채로 리모콘을 롤링할 경우에 마치 아날로그 버튼을 회전시키는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회전 각도 간격으로 진동을 발생 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외부 장치에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다양한 진동을 통하여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리모콘의 사용감이 향상되게 된다.
충전부(270)는 리모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270)는, 예를 들어, 휴대폰 충전기와 같은 규격화된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에 따른 리모콘 버튼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드 상태에서의 리모콘 버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은 모드 전환 버튼(30) 및 복수 개의 일반 버튼(40)을 포함한다. 모드 전환 버튼(30)은 리모콘의 입력 모드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이며, 일반 버튼(40)은 각각의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말한다. 일반 버튼(40)은 입력 모드 별로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버튼(40)의 뒷면에는 하나 이상의 LED가 배치되고,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LED가 활성화됨으로써 현재의 입력 모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리모콘이 기본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리모콘의 각 버튼에는 각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본 모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가 외부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의 기본 모드 상태에서, 리모콘의 각 버튼에는 리모콘의 기능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에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서의 리모콘 버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이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리모콘의 각 버튼에는 모션 센싱을 위한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리모콘의 모션 센싱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리모콘을 움직일 경우에 해당 버튼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의 볼륨 버튼(41)을 누른 채로 리모콘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외부 장치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리모콘의 볼륨 버튼(41)을 누른 채로 리모콘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외부 장치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모션 센싱 모드에서 리모콘의 버튼 중에는 버튼 입력 신호만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서 메뉴 버튼(42)을 누를 경우에 서비스 메뉴를 TV 등의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모션 센싱 모드 상태에서 포인팅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외부 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콘을 움직임으로써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필드에 커서를 이동 시킨후, 확인 버튼(44)을 클릭하여 상기 특정 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에 따른 리모콘 버튼의 기능 표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드에 따른 리모콘 버튼의 기능 표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버튼은 불투명 재질로 구현되고 기능 표시 부분만 투명하게 처리하면, 버튼의 뒷면의 LED의 활성화에 의해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이 모션 센싱 모드 상태일 경우에는 버튼 상에서 모션 센싱 모드에서의 기능이 표시된 부분에 배치된 LED의 전원이 켜짐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버튼의 모션 센싱 모드에서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본 모드에서는 버튼 상의 기본 모드에서의 기능이 표시된 부분에 배치된 LED의 전원이 켜짐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버튼의 기본 모드에서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싱 모드일 경우에는 버튼의 '볼륨' 부분에 LED의 전원이 켜질 수 있으며, 기본 모드일 경우에는 버튼의 '7' 부분에 LED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버튼이 모션 센싱 모드에서는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 모드에서는 숫자 7의 입력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본 모드에서는 모든 버튼에 적색 LED를 활성화시키고, 모션 센싱 모드에서는 모든 버튼에 푸른색 LED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현재 입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리모콘의 동작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600은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버튼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을 클릭하거나 버튼을 일정 시간 계속하여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602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움직일 경우에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동작 감지 신호는 리모콘을 움직이는 가속도, 리모콘의 기울기 또는 리모콘을 회전 시킨 각도 등을 모션 센서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604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기본 모드에서는 버튼의 기본 모드 상에서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버튼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모션 센싱 모드에서는 버튼의 모션 센싱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버튼 입력 신호 및 동작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센싱 모드에서 동작 감지 신호만을 이용하여 포인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는 TV 등의 외부 장치로 송신된다.
단계 S606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리모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진동은 외부 장치로 송신된 제어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단계 S608은 리모콘의 입력 모드가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단 결과, 리모콘의 입력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는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라 버튼의 표시가 전환된다(S610). 입력 모드에 따른 각 버튼 기능은 LED 또는 OLED를 이용하여 각 버튼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모드 전환이 가능한 모션 센싱 리모콘에 있어서,
    입력 모드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버튼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본 모드와 버튼 입력 신호 및 리모콘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싱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상기 기본 모드와 모션 센싱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한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입력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및 상기 동작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의 입력 모드에 따른 상기 버튼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 모드의 종류에 따른 상기 버튼의 기능을 상기 버튼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입력 모드 표시부
    를 포함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 완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리모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리모콘의 움직이는 가속도, 리모콘이 기울어진 정도 또는 리모콘이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 표시부는 상기 버튼 내의 하나 이상의 LED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상기 버튼의 기능을 표시하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전원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자동으로 꺼지고, 리모콘의 버튼을 누를 경우에 최근에 사용한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모드로 다시 켜지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 전환 요청은 사용자가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8. 모드 전환이 가능한 모션 센싱 리모콘에 있어서,
    버튼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본 모드와 버튼 입력 신호 및 리모콘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싱 모드의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
    상기 입력 모드 별로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입력 버튼 및
    상기 입력 버튼의 뒷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버튼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활성화되는 LED
    를 포함하는 모션 센싱 리모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상기 입력 모드 별로 미리 설정된 색상을 활성화하는 것인 모션 센싱 리모콘.
KR1020080099218A 2008-10-09 2008-10-09 모션 센싱 리모콘 KR10091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18A KR100918935B1 (ko) 2008-10-09 2008-10-09 모션 센싱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18A KR100918935B1 (ko) 2008-10-09 2008-10-09 모션 센싱 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935B1 true KR100918935B1 (ko) 2009-09-28

Family

ID=4135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218A KR100918935B1 (ko) 2008-10-09 2008-10-09 모션 센싱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86B1 (ko) * 2012-04-26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92Y1 (ko) * 2003-01-14 2003-05-14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자동차 원격시동경보기용 리모콘의 송수신상태 표시장치
KR20070028794A (ko) * 2005-09-07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92Y1 (ko) * 2003-01-14 2003-05-14 주식회사 마이텍코리아 자동차 원격시동경보기용 리모콘의 송수신상태 표시장치
KR20070028794A (ko) * 2005-09-07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컨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86B1 (ko) * 2012-04-26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7454C (zh) 遥控器和控制菜单的方法
US10007424B2 (en) Mobile client device, oper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 system
US9880734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11770576B2 (en) Gr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JP4093088B2 (ja) リモコン送信機
CN102750811A (zh) 一种防止误操作的遥控部件、智能系统及方法
KR20040058930A (ko) 포인터 이동 모드 전환 지시 버튼을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
JP397585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918935B1 (ko) 모션 센싱 리모콘
US2011007471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JP4214874B2 (ja) 電子機器
US20090237368A1 (en) User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by using the user input apparatus
JP2012064074A (ja) 入力装置
US20180091756A1 (en) Remote controller, drawing method and drawing system
TW201427401A (zh) 電視機、遙控裝置及菜單顯示方法
KR101598915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0793631B1 (ko) Tv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tv제어 방법
KR20090074637A (ko) 트랙볼이 장착된 리모컨을 이용한 tv 제어방법
KR101809045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70477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50122859A (ko) 무선 마우스를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제어방법
JPH05308684A (ja) リモコン送信機
KR20100041377A (ko)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상태 표시 방법
KR20140081266A (ko) 원격제어장치와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