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822B1 -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822B1
KR100918822B1 KR1020090030601A KR20090030601A KR100918822B1 KR 100918822 B1 KR100918822 B1 KR 100918822B1 KR 1020090030601 A KR1020090030601 A KR 1020090030601A KR 20090030601 A KR20090030601 A KR 20090030601A KR 100918822 B1 KR100918822 B1 KR 10091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xternal memory
stored
phone
various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엠브이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엠브이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엠브이엔오
Priority to KR102009003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를 인터넷상의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를 인증받고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 및 인증하기 위한 VM(Operationg System)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휴대전화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와, 휴대전화가 재생모드시 해당 휴대전화에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 경우 인증키를 초기화하고 외장 메모리에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와,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가 아닌 경우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및 제4단계의 확인결과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지 않고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과 일치하는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종 콘텐츠가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상의 웹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인터넷상의 웹서버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과 통신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웹서버와의 무선통신 가능여부와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콘텐츠를 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성경, 외장 메모리, 전화번호, 모델명.

Description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stored in external memory on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DRM 파일 상태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인증 서버에 등록하고 VM을 다운로드 받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전화 보유자가 휴대전화와 웹서버와의 무선통신의 가능여부와 관계없이 각종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경은 주전 1,500년경부터 주후 100년경까지 약 1,600년 동안 거쳐 여러 사람들에 의해 쓰여진 기독교의 경전이다. 성경은 크게 구약과 신약으로 구분되는데, 구약은 히브리말로 신약은 희랍말로 쓰여졌다. 구약은 옛 약속이란 뜻이며, 신약은 새 약속이란 뜻이다.
이런 성경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읽혀지고 있는 고전이며, 가장 많이 팔려서 읽혀지고 있는 베스트셀러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종류의 성 경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재질로 구성된 성경의 경우 신앙의 초보자들이 특정 본문(구절)을 찾기가 어렵고, 글자 크기가 미리 고정된 크기이기 때문에 하나의 성경으로 어른과 어린이 또는 노인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권의 성경은 하나의 언어 또는 2개의 언어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2개 언어 이상의 성경이 필요한 경우 여러 점에서 불편하다.
위에서와 같이 성경의 재료로서 종이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상의 웹서버에서 무선 혹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디지털 성경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성경을 보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성경을 서비스하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웹서버에서 디지털 책을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성경을 함께 다운로드 받고, 다운받은 성경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성경은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버스나, 전철, 기차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누구를 기다리는 동안에는 디지털 성경을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인터넷상의 웹서버가 휴대전화와 무선통신으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는 방식이 등장하였는데, 이 경우 휴대전화 보유자는 수 만개의 텍스트 파일과 음원 파일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서비스받는 동안 휴대전화와 인터넷상의 웹서버와의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또한 휴대전화 보유자는 인터넷상의 웹서버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소에서만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컨텐츠를 서비스받을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콘텐츠가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상의 웹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인터넷상의 웹서버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과 통신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웹서버와의 무선통신 가능여부와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콘텐츠를 들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은, 휴대전화를 인터넷상의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를 인증받고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 및 인증하기 위한 VM(Operationg System)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휴대전화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상기 휴대전화가 재생모드시 해당 휴대전화에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 경우 인증키를 초기화하고 외장 메모리에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가 아닌 경우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지 않고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과 일치하는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가 DRM 파일인 경우 휴대전화에 장착된 DRM 모듈을 적용시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는 음원을 포함하는 DRM 파일로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중의 하나로 된 저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휴대전화에 외장 메모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히든키 조작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을 위한 프로그램과 암호화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DRM 파일 상태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인증 서버에 등록하고 VM을 다운로드 받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전화 보유자가 휴대전화와 웹서버와의 무선통신의 가능여부와 관계없이 각종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콘텐츠가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상의 웹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는 한편 인터넷상의 웹서버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과 통신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의 시스템에 의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상에 위치한 인증 서버(10)와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가지는 통상의 휴대전화(20) 그리고 휴대전화(20)에 장착가능한 외장 메모리(30)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 서버(10)는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과 같은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휴대전화(20)를 인증해 주는 인터넷상의 서버로서 휴대전화(20)에 외장 메모리(30)의 인증 및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알고리즘 등의 VM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전화(20)는 외장 메모리(30)와의 분리결합이 가능한 휴대전화로서 상기 인증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인증을 받은 후 외장 메모리(30)의 인증과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의 불법재생 및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인증프로그램과 각종 콘텐츠의 재생을 위해 VM을 저장 실행한다.
상기 외장 메모리(30)는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과 같은 음원이 텍스트 파일과 함께 DRM 파일 상태로 저장된 메모리로서 통상의 카세트 테이프, CD 등과 같이 음원을 포함하는 많은 개수의 각종 콘텐츠가 저장된 상태로 유통 판매된다.
상기 인증 서버(10)와 휴대전화(20) 그리고 외장 메모리(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외장 메모리(30)의 인증과 각종 콘텐츠의 재생 등의 과정을 도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초기화 즉, 휴대전화(20)가 인증서버(1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인증서버(10)는 해당 휴대전화(20)가 이전에 해당 인증 서버(10)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인증받은 휴대전화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1)(S12).
다시 말해, 휴대전화(20) 보유자는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인증받아 재생하기 위해, 인터넷상의 인증 서버(10)에 접속하여 해당 휴대전화(20)의 전화번호를 인증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인증은 각종 콘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받지 않고 한번 받는 것으로 모든 인증을 완료한다.
상기 S12 단계에서 해당 휴대전화(20)가 인증서버(10)로부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 인증을 받은 휴대전화인 경우 휴대전화(20)는 인증 서버(10)로부터 외장 메 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재생 및 인증하기 위한 VM(Operationg System)을 다운로드 받아 초기화하게 된다(S14)(S15).
물론, 해당 휴대전화(20)가 인증서버(10)로부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 인증받지 않은 휴대전화인 경우 휴대전화(20) 보유자는 인증 서버(10)로부터 VM을 다운로드받을 수 없다(S13).
이렇게 휴대전화(20)에 인증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VM을 다운로드받은 상태에서, 휴대전화(20)는 휴대전화(20)의 동작모드가 재생모드인 경우, 해당 휴대전화(20)가 외장 메모리(30)를 장착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장착할 수 있는 유형인지를 확인(S16)한 후 해당 휴대전화(20)에 외장 메모리(30)가 장착되었는지를 확인(S17)하여 미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30)를 장착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S18)하고, 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30)가 해당 휴대전화(20)에 처음 사용 즉,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인가를 확인하게 된다(S20).
물론, S18 단계 이후 휴대전화(20)는 외장 메모리(30)가 장착되었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동작을 실시한다(S19).
상기 단계 S20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30)인 경우 휴대전화(20)는 인증키를 초기화하고 외장 메모리(30)에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게 된다(S20).
반면에 단계 S20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30)가 아닌 경우 휴대전화(20)는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게 된다(S22).
상기 단계 S22의 확인결과, 휴대전화(20)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3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휴대전화(20)는 사용자가 불법 즉, 휴대전화(20)와 맞지 않는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재생하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알리는 메시지 등을 출력하게 된다(S23).
여기서, 휴대전화(20)는 휴대전화(20)에 외장 메모리(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설정된 히든키가 조작되는 경우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인증을 위한 프로그램과 암호화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삭제(S24)하게 된다. 즉, 새로운 휴대전화(20)에 기존에 쓰던 외장 메모리(30)를 장착하는 경우 임의로 설정된 히든키를 조작하여 기존에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전화번호나 모델명 등을 삭제하고, 새로운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새롭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휴대전화(20)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3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일치하는 경우 휴대전화(20)는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등의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켜 휴대전화(20) 보유자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휴대전화(20)는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DRM 파일인 경우(S26) 휴대전화(20)에 장착된 DRM 모듈을 적용하여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통상의 음원을 재생시키는 모듈을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시키게 된다(S28).
여기서,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DRM 파일인 경우, 휴대 전화(20) 보유자를 포함하는 그 누구도 외장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을 포함하는 각종 콘텐츠를 다른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없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시스템에 의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증 서버 20 : 휴대전화
30 : 외장 메모리

Claims (4)

  1. 휴대전화를 인터넷상의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를 인증받고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 및 인증하기 위한 VM(Operationg System)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휴대전화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상기 휴대전화가 재생모드시 해당 휴대전화에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장착시에는 외장 메모리가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인 경우 인증키를 초기화하고 외장 메모리에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결과 처음 사용하는 외장 메모리가 아닌 경우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지 않고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모델명이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과 일치하는 경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실행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가 DRM 파일인 경우 휴대전화에 장착된 DRM 모듈을 적용시켜 각종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는 음원을 포함하는 DRM 파일로서 성경이나 불경, 찬송가, 음악 중의 하나로 된 저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휴대전화에 외장 메모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히든키 조작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을 위한 프로그램과 암호화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와 휴대전화의 모델명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KR1020090030601A 2009-04-09 2009-04-09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KR10091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601A KR100918822B1 (ko) 2009-04-09 2009-04-09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601A KR100918822B1 (ko) 2009-04-09 2009-04-09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822B1 true KR100918822B1 (ko) 2009-09-25

Family

ID=413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601A KR100918822B1 (ko) 2009-04-09 2009-04-09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8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60A (ko) * 2004-02-17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외부메모리 보안방법
KR100808986B1 (ko) 2006-11-09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파일 실행방법 및 장치
KR20090047917A (ko) * 2007-11-09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메모리 액세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60A (ko) * 2004-02-17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외부메모리 보안방법
KR100808986B1 (ko) 2006-11-09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파일 실행방법 및 장치
KR20090047917A (ko) * 2007-11-09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메모리 액세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008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4060271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プログラム
US11687664B2 (en) Blockchain-based file storage device and file access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2073826B (zh) 利用轻量级数字水印添加组件的数字版权管理的系统和方法
US20020136405A1 (en) Data recording device allowing obtaining of license administration information from license region
WO2000058827A1 (fr) System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JP2002319230A (ja) 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方法、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
CN101304414A (zh) 用于处理信息的系统、装置、方法和程序
WO2001031452A1 (fr) Systeme fournisseur de contenu
JP2002073421A (ja) ライセンス発行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ライセンス発行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20000022006A (ko) 디지털 컨텐트의 암호화/해독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05536951A (ja) デジタル機器においてデジタル文書にセキュリティ保護を施す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513005A (zh) 电子版权许可证储存库
KR20080003714A (ko) 저작권보호 기억매체, 정보기록장치 및 정보기록방법과정보재생장치 및 정보재생방법
CN102082799A (zh) 车载多媒体服务系统访问方法及其系统
JP200435032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CN1670817B (zh) 用于记录和再现音乐内容的电子音乐装置
CN1992036B (zh) 数据传送方法、数据传送源装置以及数据传送目标装置
JP2015064803A (ja) 電子情報利用許諾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8822B1 (ko)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콘텐츠를 휴대전화로 재생하는 방법
TWM604432U (zh) 基於區塊鏈之檔案儲存裝置與檔案存取授權系統
KR20060028240A (ko)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JP2005321639A (ja) 音楽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音楽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音楽コンテンツ再生用プログラム
JP2004046452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S2342537T3 (es) Disco optico, reproductor de disco optico y procedimiento para reproducir un disco optico junto con una autenticacion de contenido descarg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