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113B1 -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113B1
KR100918113B1 KR1020070071020A KR20070071020A KR100918113B1 KR 100918113 B1 KR100918113 B1 KR 100918113B1 KR 1020070071020 A KR1020070071020 A KR 1020070071020A KR 20070071020 A KR20070071020 A KR 20070071020A KR 100918113 B1 KR100918113 B1 KR 10091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ed
receiver
list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49A (ko
Inventor
배수영
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113B1/ko
Priority to US12/153,895 priority patent/US20090022123A1/en
Publication of KR2009000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제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Contents)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컨텐츠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인 공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된 공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만든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함께 관리한다. 이어, 컨텐츠 제공기는 자신이 위치한 서비스 공간 내 컨텐츠 수신기 중 공유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으면, 해당 컨텐츠 수신기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한다. 그러면, 컨텐츠 수신기는 제공 받은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시하며, 제시된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받아 실행시킨다.
이를 통하여, 컨텐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서비스 공간 내 위치한 컨텐츠 제공기의 다양한 컨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CONTENTS), 공유, 단말기, 유무선 네트워크, 소규모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내의 컨텐츠(Contents)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22-02, 과제명: 임베디드 SW 기반 Smar Town 솔루션 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컨텐츠라 함은 문자나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 등을 유무선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여 처리 및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다. 즉, 일상 생활 속에서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각종 사진이나 동영상, 영화 및 음악 파일 등이 바로 그 대표적 예이다.
그런데, 한 예로서 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만든 컨텐츠(예를 들어, 자사 및 제품 홍보, 판매를 위한 동영상 등)를 다수의 소비자에게 홍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웹 서버에서부터 인터넷 접속 처리에 필 요한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제반 기술 및 각종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즉, 어느 누구나 쉽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제공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아 인터넷 상에서 게시해 주는 중개 서비스용 웹사이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컨텐츠 제공자와 수신자(소비자) 모두가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해야만 하는 단점 외에 여러 가지 소비적인 측면들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수수료를 비롯한 여러 가지 소비적인 측면들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자신의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법이다. 즉,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가 컨텐츠 수신자 단말기에 접속 권한을 주면, 컨텐츠 수신자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에 접속한 후,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 내 저장소(일종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직접 검색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수신자 단말기로 이동 저장시킨다. 이후, 컨텐츠 수신자 단말기는 이동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시켜 수신자로 하여금 해당 컨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한 컨텐츠 공유 방법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컨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가 수동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내용을 다수의 수신자가 볼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일일이 설정해야 하며, 컨텐츠 수신자 역시 정확한 네트워크 주소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자 단말기 내 저장소 전체를 일일이 탐색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02-0028421호 [발명의 명칭 : 인터넷 기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대형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나 사용자가 사전 저장해 둔 컨텐츠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같은 서비스 공간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컨텐츠(Contents)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수신기와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인 공유 컨텐츠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컨텐츠 수신기 중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수신기로 상기 생성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수신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기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인 공유 컨텐 츠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부;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 상기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컨텐츠 수신기 중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컨텐츠 수신기 탐색부; 및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수신기로 상기 생성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시하며, 상기 제시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제공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컨텐츠 제공기 탐색부;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 받아 재생시키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기와 컨텐츠 수신기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기는, 상기 컨텐츠 제공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컨텐츠 수신기의 요청 사항을 파악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시하며, 상기 컨텐츠 수신기는, 상기 제시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목록화하여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시한 후, 상기 제시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제공 받아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같은 서비스 공간 내 위치한 컨텐츠 제공기의 다양한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수신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 제공기의 컨텐츠를 자유롭게 검색 및 실시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 역시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소정의 수수료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컨텐츠 제공기라 명명하고,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 받아 실행시키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컨텐 츠 수신기라 명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알아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기(110)와 컨텐츠 수신기(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기(110) 및 컨텐츠 수신기(120)는 하나의 접근점(Access Point, 200)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이루는 유무선 네트워크(300) 내에 위치하며, 접근점(200)을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를 컨텐츠 제공기 및 컨텐츠 수신기로 각각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기가 컨텐츠 수신기로 될 수도 있으며, 컨텐츠 수신기 역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기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기(110) 및 컨텐츠 수신기(12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부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노트북, 모바일(Mobile) 및 PC 등에 이르기까지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지원하는 각종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데, 관리시 각각의 컨텐츠를 같은 서비스 지역 내 컨텐츠 수신기(120)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유 컨텐츠'라 함) 및 컨텐츠 수신기(120)와 공유할 수 없는 컨텐츠(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공유 컨텐츠'라 함)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기(110)는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만든, 일명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함께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 컨텐츠 리스트는 공유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저장 위치, 이름, 종류(오디오/비디오/이미지), 크기, 형태(mp3, avi, mp4, jpg, gif, png, …) 및 섬 네일(Thumb nail. 작은 크기로 해당 컨텐츠의 대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기본 정보를 토대로 공유 컨텐츠를 저장 위치별로 재구성한 트리(Tree) 또는 공유 컨텐츠를 종류별로 체계화한 내용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컨텐츠 제공기(110)는 자신이 위치한 유무선 네트워크(300) 내에 새로 진입하거나 또는 이미 위치한 컨텐츠 수신기 중 공유 컨텐츠를 제공해야 하거나 요청한 컨텐츠 수신기(120)가 있는지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토대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해당 컨텐츠 수신기(120)로 제공한다.
그러면, 컨텐츠 수신기(120)는 제공 받은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토대로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또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 내에서 실행 가능하거나 또는 불가능한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한 결과에 따라 컨텐츠 수신기(120)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받아 실행시킴으로써, 컨텐츠 수신기(120)와 컨텐츠 제공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기는 자신이 위치한 유무선 네트워크 내에 새로 진입하거나, 또는 이미 위치한 컨텐츠 수신기의 요청 사항을 파악하여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며, 컨텐츠 수신기는 제공 받은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토대로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기로 요청한 후, 해당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실행시킨다.
이로 인해, 컨텐츠 수신자는 자신의 단말기와 같은 서비스 지역 내 위치한 컨텐츠 제공기의 다양한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실시간으로 검색 및 이용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 역시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소정의 수수료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다.
그러면, 위에 기술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컨텐츠 제공기(110)는 컨텐츠 관리부(111), 컨텐츠 분류부(112), 공유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113), 컨텐츠 수신기 탐색부(114), 컨텐 츠 가공부(115),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 및 컨텐츠 저장소(Contents Database, 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텐츠 수신기(120)는 컨텐츠 제공기 탐색부(121),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122), 컨텐츠 필터링부(123), 서비스 제공부(124) 및 컨텐츠 저장소(125)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기(110)의 컨텐츠 관리부(111)는 신규, 추가, 갱신 및 삭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소(117)에 주기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데,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컨텐츠로서 사진에서부터 동영상 및 음악 파일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유무선 네트워크(300)는 사무실 및 가정 등과 같은 소규모 네트워크이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좀 더 넓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분류부(112)는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공유 컨텐츠 및 비공유 컨텐츠로 각각 분류한다. 참고로,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된 컨텐츠는 대부분이 공유 컨텐츠로 분류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비공유 컨텐츠로 분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위치한 디렉토리 또는 컨텐츠에 대해 접근할 수 없는 경우(읽기, 쓰기 금지 등의 접근 권한이 없는 경우 및 관리자나 개별 사용자 등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정된 디렉토리 및 파일 등)일 때는 비공유 컨텐츠로 분류된다.
공유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113)는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리스트 형 태로 만든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 및 관리한다.
컨텐츠 수신기 탐색부(114)는 컨텐츠 제공기(110)가 위치한 유무선 네트워크(300) 내에 새로 진입했거나 또는 이미 위치한 여러 컨텐츠 수신기(120) 중 공유 컨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 또는 공유 컨텐츠를 제공 받길 원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를 탐색한다.
컨텐츠 가공부(115)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하는 공유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 내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를 토대로 컨텐츠 수신기(120)의 규격 사항에 따라 해당 공유 컨텐츠의 크기 조정, 감색 및 압축 등과 같은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는 컨텐츠 수신기(120)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며, 제공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 사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120)로 실시간 제공한다.
그리고,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는 컨텐츠 수신기(120)로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별 소정의 제공료 및 수수료를 정산 및 처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유 컨텐츠 제공에 따른 소정의 수수료 정산 및 처리를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무료로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소(117)는 신규, 추가 및 갱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컨텐츠 수신기(120)의 컨텐츠 제공기 탐색부(121)는 컨텐츠 수신기(120)가 새로 진입했거나 또는 이미 위치하고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300) 내의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기(110) 중 컨텐츠 수신기(120)로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컨텐츠 제공기(110)가 있는지를 탐색하며, 탐색한 결과에 따라 컨텐츠 제공기(110)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122)는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컨텐츠 수신기(120)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때 수신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체계적으로 목록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필터링부(123)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소(125)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필터링(Filtering) 작업을 수행하며, 그 수행 결과에 따라 공유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에서 정상 가동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연이어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공유 컨텐츠를 가공한다.
서비스 제공부(124)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시키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아 재생시키며, 재생된 공유 컨텐츠별 사용료 및 수수료를 정산 및 처리한다.
컨텐츠 저장소(125)는 신규, 추가 및 갱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저장된다.
다음, 위에 기술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컨텐츠 제공기(110)의 컨텐츠 관리부(111)는 신규 및 추가, 갱신 또는 삭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소(117)에 주기적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S301). 이어, 컨텐츠 분류부(112)는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된 컨텐츠를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공유 및 비공유 컨텐츠로 각각 분류(S302)하는데, 참고로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된 컨텐츠는 대부분이 공유 컨텐츠로 분류된다.
공유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113)는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만든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저장소(117)에 저장 및 관리(S303)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 컨텐츠 리스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유 컨텐츠의 URL과 저장 위치, 이름, 종류(오디오/비디오/이미지), 크기, 형태(mp3, avi, mp4, jpg, gif, png, …), 섬 네일(공유 콘텐츠가 비디오/이미지일 경우)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기본 정보를 토대로 저장 위치별 컨텐츠를 재 구성한 트리 또는 컨텐츠 종류별로 체계화한 내용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컨텐츠 수신기(120)의 컨텐츠 제공기 탐색부(121)는 컨텐츠 수신기(120)와 동일한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컨텐츠 제공기(110) 중 컨텐츠 수신자가 원하는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컨텐츠 제공기(110)가 있는지를 탐색하며, 그 탐색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제공기(110)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04).
그러면, 컨텐츠 제공기(110)의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는 컨텐츠 수신기(12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사전 생성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컨텐츠 수신기(120)로 제공한다(S306). 참고로, 컨텐츠 수신기(120)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표시 예가 첨부된 도 4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제공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는 공유 컨텐츠의 종류별(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아이콘에서부터 파일 종류, 이름 및 생성 날짜 등과 같은 기본 정보와, 공유 컨텐츠를 형태별 또는 위치별로 체계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제시한다.
이후, 컨텐츠 수신기(120)의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122)는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제공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체계적으로 목록화하여 컨텐츠 수신기(110)의 모니터(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한다(S307). 이에 대한 표시 예가 첨부된 도 5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체계적으로 목록화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수신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컨텐츠 수신자가 요청한 이미지 컨텐츠에 관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예를 들어, 이미지 이름과 크기, URL 및 섬네일 정보 등)가 수신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122)는 수신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체계적으로 목록화하여 제시하는데, 섬네일 형태로 변경하여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수신자는 자신이 접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 중 소정의 공유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러면, 컨텐츠 제공기(110)의 컨텐츠 가공부(115)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한다(S308). 확인 결과,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없으면 컨텐츠 가공부(115)는 컨텐츠 수신기(120)의 규격 사항을 토대로 선택된 공유 컨텐츠의 크기 변경이나 감색, 변환 및 압축 등과 같은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S309).
반면, 확인 결과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가 컨텐츠 수신기(120)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으면, 공유 컨텐츠 제공부(116)는 해당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110)로 실시간 제공한다(S310).
이에 따라, 컨텐츠 수신기(120)의 컨텐츠 필터링부(123)는 제공 받고자 하는 공유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소(125)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필터링 작업을 수행한 후, 그 수행 결과를 토대로 해당 공유 컨텐츠의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S311). 즉, 컨텐츠 제공기(110)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필터링부(123) 역시 제공 받고자 하는 공유 컨텐츠에 대해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서비스 제공부(124)는 정상 가동 여부가 확인된 공유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시키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아 재생시킨다(S312). 이에 대한 표시 예가 첨부된 도 6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제공되는 공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수신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컨텐츠 수신기(120)의 서비스 제공부(124)는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이미지)를 컨텐츠 제공기(11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컨텐츠 수신기(12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 수신자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와 같은 서비스 지역 내 위치한 컨텐츠 제공기의 다양한 컨텐츠를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쉽게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제공자 역시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활용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소정의 수수료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제공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형태 변경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수신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제공되는 공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수신기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컨텐츠 제공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수신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인 공유 컨텐츠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컨텐츠 수신기 중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수신기로 상기 생성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수신기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한 공유 컨텐츠의 크기 조정, 감색, 변환 및 압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3.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수신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기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인 공유 컨텐츠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부;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
    상기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컨텐츠 수신기 중 상기 분류된 공유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수신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컨텐츠 수신기 탐색부; 및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수신기로 상기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제시하며, 상기 제시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유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기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기는,
    상기 컨텐츠 수신기가 선택한 공유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수신기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한 공유 컨텐츠의 크기 조정, 감색, 변환 및 압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컨텐츠 가공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기.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공유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저장 위치, 이름, 종류, 크기, 형태 및 섬 네일(Thumb nai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유 컨텐츠를 저장 위치별로 재 구성한 트리 또는 상기 공유 컨텐츠를 종류별로 체계화한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기.
  6.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제공기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기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컨텐츠 제공기 탐색부;
    상기 탐색한 결과에 따라, 해당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수신기에 제시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접한 컨텐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 받아 재생시키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기는,
    상기 컨텐츠 수신자가 선택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수신기 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컨텐츠 필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기.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츠 리스트는,
    상기 공유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저장 위치, 이름, 종류, 크기, 형태 및 섬 네일(Thumb nai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상기 기본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유 컨텐츠를 저장 위치별로 재 구성한 트리 또는 상기 공유 컨텐츠를 종류별로 체계화한 내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신기.
  9. 삭제
KR1020070071020A 2007-07-16 2007-07-16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20A KR100918113B1 (ko) 2007-07-16 2007-07-16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2/153,895 US20090022123A1 (en) 2007-07-16 2008-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20A KR100918113B1 (ko) 2007-07-16 2007-07-16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49A KR20090007849A (ko) 2009-01-21
KR100918113B1 true KR100918113B1 (ko) 2009-09-22

Family

ID=402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020A KR100918113B1 (ko) 2007-07-16 2007-07-16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22123A1 (ko)
KR (1) KR100918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6624A1 (en) * 2007-06-29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US20090171762A1 (en) * 2008-01-02 2009-07-02 Microsoft Corporation Advertising in an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US10475010B2 (en) * 2008-01-10 2019-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ederated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EP2323084A1 (en) * 2009-10-23 2011-05-18 Alcatel Lucent Artifact management method
WO2011085388A1 (en) * 2010-01-11 2011-07-14 Mobile Messenger Glob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lling purchases from a mobile phone application
US8601021B2 (en) 2010-01-19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perie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US8645466B2 (en) * 2012-05-18 2014-02-04 Dropbo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file and folder information to a user
KR101418364B1 (ko) * 2012-12-13 2014-07-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US20140282886A1 (en) * 2013-03-14 2014-09-18 TollShare, Inc. Content list sharing
KR102243778B1 (ko) * 2013-12-27 2021-04-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US20170242859A1 (en) * 2016-02-24 2017-08-24 David Sazan Digital media content comparator
US11157521B2 (en) * 2016-06-29 2021-10-26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Correlating multiple sources
KR102249917B1 (ko) * 2020-06-11 2021-05-10 (주) 알트소프트 콘텐츠 확보가 가능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220073390A (ko) 2020-11-26 2022-06-03 한미기초기술 주식회사 암반 굴착 장비 및 이 장비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475A (ko) * 2002-02-14 2003-08-2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배포 시스템
KR20050102522A (ko) * 2004-04-22 2005-10-26 (주)넥스트 링크 단말-대-단말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3129A (ko) * 2004-07-05 2006-01-10 지만석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컨텐츠 메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06875B1 (ko) * 2004-12-20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p2p 방식의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45575A1 (en) * 2000-03-09 2001-09-17 Videoshare, Inc. Sharing a streaming video
US20020062310A1 (en) * 2000-09-18 2002-05-23 Smart Peer Llc Peer-to-peer commerce system
US6985746B2 (en) * 2001-04-30 2006-01-10 Ipr Licensing,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obility-based content delivery
US20020188735A1 (en) * 2001-06-06 2002-12-12 Needham Bradford H. Partially replicated, locally searched peer to peer file sharing system
US20040162878A1 (en) * 2002-11-22 2004-08-19 Lewis Michael Pescatello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real-time communications and content sharing among users over a network
KR100754173B1 (ko) * 2005-03-24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18153A1 (en) * 2005-03-28 2006-09-28 Voon George H H Building social networks using shared content data relating to a common interest
US7664124B2 (en) * 2005-05-31 2010-0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sharing con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475A (ko) * 2002-02-14 2003-08-2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배포 시스템
KR20050102522A (ko) * 2004-04-22 2005-10-26 (주)넥스트 링크 단말-대-단말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3129A (ko) * 2004-07-05 2006-01-10 지만석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컨텐츠 메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06875B1 (ko) * 2004-12-20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p2p 방식의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2123A1 (en) 2009-01-22
KR20090007849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113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17751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of a cloud computing service
US10959040B2 (en) Venue and event recommendations for a user of a portable media player device
US10437896B2 (en) Singular, collective, and automated creation of a media guide for online content
US20080028023A1 (en) Sharing commentaries synchronized with video content
US20060015540A1 (en) Content system, content terminal, reference server, content program, and reference program
CN102662919A (zh) 对内容片段设置书签
US20100057884A1 (en) Browser-based download manager
US20130007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a Computing Cloud
CN108781311B (zh) 用于媒体分发和管理平台的视频播放器框架
US20090307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sharing a presentation
JP2012199950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チャネル情報を提供し、提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9544991A (ja) 向上されたavプレーヤ装置、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コンテンツ配信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023737A (zh) 用于从计算机向移动手持设备传送数字内容的方法和装置
CN110149539A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70091197A1 (en) Multimedia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0751522B1 (ko) 동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방법
JP201413559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17348725A (zh) 基于虚拟现实设备处理多媒体数据的方法及装置
KR20120019198A (ko)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