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64B1 -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64B1
KR101418364B1 KR1020120145430A KR20120145430A KR101418364B1 KR 101418364 B1 KR101418364 B1 KR 101418364B1 KR 1020120145430 A KR1020120145430 A KR 1020120145430A KR 20120145430 A KR20120145430 A KR 20120145430A KR 101418364 B1 KR101418364 B1 KR 10141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roviding server
servic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893A (ko
Inventor
엄경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95Internet protocol multimedia private identity [IMPI];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public identity [IMP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단말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탐색모듈과; 상기 탐색 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하는 세션정보수신 모듈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METHOD AND TERMINAL FOR DATA SERVICE}
본 명세서는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단말이 사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연결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이엠에스(IMS : IP Multimedia Subsystem)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으로서, 초기 All-IP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망에서 다른 이동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하여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이동시스템 뿐만 아니라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지원하는 기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IMS의 기술 확대에 힘입어, 이동단말을 위한 다양한 IMS기반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N-스크린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하나 이상의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를 여러 단말에서 동시에 또는 여러 단말간에 연결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통신 사업자는 상기의 IMS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IMS 등에 기반한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서버로의 접속 시 지정된 인증방식을 통해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동단말의 경우,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등에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N-스크린 서비스에 사용되는 PC나 스마트TV는 ID/PW 방식에 기반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이동단말에 비해 보안상 취약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단말간 서비스 연결을 위하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기술이 요청된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4753 (2012.01.1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다른 단말이 사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연결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더 안전한 타 단말의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다수 단말 간의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안성이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탐색모듈과; 상기 탐색 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하는 세션정보수신 모듈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감지된 상기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정보수신 모듈은,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동일한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장치에 같은 수준의 보안성을 갖는 가입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끊김없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200)이 접속하여 사용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장치(100)는 상기 타 단말(200)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상기 타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 단말(200)이 접속해 있던 해당 데이터 서버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상기 타 단말(200)이 사용하고 있던 데이터 서비스를 이어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아이엠에스(IMS: IP Multimedia Subsystem)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oLTE(Voice over LTE),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영상통화 등의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다.
RCS는 음성통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던 기존의 단순한 통신 서비스를 다양한 네트워크와 단말기에서 더욱 풍요로운(Rich)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단계 진화된 차세대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음성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동영상이나 사진을 공유하거나(Rich Call), 상대방의 단말기 온/오프 여부 또는 사진 등 실시간 상태 정보가 본인의 휴대전화 주소록에 표시되고(Rich Address book), 주소록에서 바로 1:1 또는 그룹간의 실시간 채팅과 파일 전송(Rich Messaging)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또한 RCS는 기술 표준화를 통해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 없이 통신 사업자간 혹은 유무선 간에도 연동이 가능하고,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본인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단말기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예시한 IMS 서비스의 경우, IMS-AKA(Authentication Key Agreement)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IMS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말(예컨대, 상기 타 단말(200))은 탑재된 스마트카드(예컨대,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와 인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IMS 서비스 접속을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타 단말(200)은 ISIM을 탑재한 이동단말(예컨대, 스마트폰)로서 소정의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IMS 서비스를 사용 중이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데이터 서비스는 둘 이상의 단말에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서비스는 스마트폰과 PC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클라이언트(스마트폰 및 PC)는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스마트폰과 PC 각각의 환경에 맞는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즉, 스마트폰은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ISIM 을 사용하고, PC는 ISIM과 같이 H/W 적인 보안 수단이 아닌 통상의 메신저 클라이언트와 같은 ID/Password 방식의 인증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ID/Password 방식의 인증은 상대적으로 보안 수준이 낮아서 개인정보유출/도용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면서 기존 서비스 단말을 대체하여 (또는 동시에) 다른 단말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이하에서 기술한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여 보면, 본 명세서의 단말장치(100)는 IMS 등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RCS, VoLTE 등)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200)가 상기 단말장치(100)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100)는 타 단말장치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서 정의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커버리지 내로 진입한 타 단말장치(20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의 존재를 인식하고, 상호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타 단말장치(200)는 사용 중이던 데이터 서비스를 단말장치(100)로 연결하여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팝업 창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중이던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서 제공받을 지 또는 양 단말장치(100, 200) 모두에서 제공받을 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연결을 선택하는 경우 또는 자동으로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200)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address)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domai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타 단말장치(200)가 상기 단말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100)에 위와 같은 서비스 연결 대상 단말을 하나 이상 등록하여두고, 커버리지 내에 진입한 단말로부터는 소정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를 수신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서비스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예; 로그인 등)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단말장치(100) 또는 양 단말장치(100, 200)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인 경우, 타 단말에서 마지막으로 송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 이후의 메시지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전체 메시지 송수신 내용을 전달받아 그 이후부터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타 단말을 통해 동영상 스트리밍 재생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면, 서비스 단말 변경 후 시점부터 해? 동영상의 스트리밍 재생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타 단말장치(200)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인스턴트 메시징)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좀 더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서비스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도 1의 (b)와 같이 타 단말장치(200)가 커버리지(단말장치(100)의 탐색 가능 범위)를 벗어나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100)는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타 단말장치(200)의 입장에서도 단말장치(100)의 존재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전 데이터 서비스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의 연결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가 사용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연결하여(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타 단말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접속해 있던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타 단말장치가 사용하고 있던 데이터 서비스를 이어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아이엠에스(IMS: IP Multimedia Subsystem)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VoLTE(Voice over LTE), RCS(Rich Communication Suite), 영상통화 등의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단말장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S210).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서 정의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탐색 결과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는 경우(S220),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타 단말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30).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address)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domai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에 위와 같은 서비스 연결 대상 단말을 하나 이상 등록하여두고, 커버리지 내에 진입한 단말로부터는 소정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등)를 수신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서비스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S240),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S250).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단말장치 또는 양 단말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타 단말장치가 커버리지(상기 단말장치의 탐색 가능 범위)를 벗어나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필요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의 연결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탐색 모듈(101), 세션정보수신 모듈(102), 데이터통신 모듈(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탐색 모듈(101)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100)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탐색 모듈(101)은 타 단말장치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서 정의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커버리지 내로 진입한 타 단말장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의 존재를 인식하고, 상호 연결을 설정한다.
상기 세션정보수신 모듈(102)은 상기 탐색 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션정보수신 모듈(102)은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200)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address)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domai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션정보수신 모듈(102)은,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 모듈(103)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 모듈(103)은 기 감지된 상기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4), 인터페이스 모듈(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상기 단말장치(100)가 제공받는 데이터 서비스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5)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단말장치
101 : 탐색 모듈
102 : 세션정보수신 모듈
103 : 데이터통신 모듈

Claims (10)

  1. 단말장치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탐색모듈;
    상기 탐색 모듈에 의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하는 세션정보수신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모듈에 의해 감지된 상기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정보수신 모듈은,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단말장치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타 단말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타 단말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미리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에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타 단말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탑재된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IMPI(IP Multimedia Private Identity) 및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20145430A 2012-12-13 2012-12-13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KR10141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30A KR101418364B1 (ko) 2012-12-13 2012-12-13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30A KR101418364B1 (ko) 2012-12-13 2012-12-13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93A KR20140076893A (ko) 2014-06-23
KR101418364B1 true KR101418364B1 (ko) 2014-07-10

Family

ID=5112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430A KR101418364B1 (ko) 2012-12-13 2012-12-13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519B1 (ko) * 2020-02-13 2021-12-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33B1 (ko) 2006-08-18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공유하는방법
KR20090002658A (ko) * 2007-07-02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무선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KR20090007849A (ko) * 2007-07-16 2009-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64887A1 (en) 2009-03-03 2012-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server and session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33B1 (ko) 2006-08-18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공유하는방법
KR20090002658A (ko) * 2007-07-02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무선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KR20090007849A (ko) * 2007-07-16 2009-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64887A1 (en) 2009-03-03 2012-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server and sess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93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502B2 (en) User logi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US10063547B2 (en) Authorization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771624B1 (en) Data store for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N104349288B (zh)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US11025621B2 (en) Enhancing privacy of network connections
US10542433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9648577B1 (en) ADSS enabled global roaming system
US9198223B2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720043B1 (ko) 무선랜 환경에서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10261B2 (en) Radius policy multiple authenticator support
CN105635084A (zh) 终端认证装置及方法
US20160191523A1 (en) Service authority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US20150207774A1 (en) Method and System of APP for Obtaining MAC Address of Terminal
US20150244664A1 (en) Enterprise messaging platform
US9220117B2 (en) IMS cross carrier supportability
CN105392137A (zh) 家庭wifi防盗用的方法、无线路由器及终端设备
US9743439B2 (en)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CN101426261B (zh) 多媒体子系统业务处理的方法、p-cscf、i-cscf和多媒体子系统
US10904253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full-featured browser access during captive portal authentication routines
CN112217910B (zh) 视频服务访问方法、装置、网络设备和存储介质
KR101418364B1 (ko)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단말
US201300900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318077B1 (en) Circumventing wireless device spatial tracking based on wireless device identifiers
US8755799B1 (en) Provisioning and using wildcarded private identity to register devices for wireless services
WO20200492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ser equipment status for serving call state contro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