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760B1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760B1
KR100917760B1 KR1020080071198A KR20080071198A KR100917760B1 KR 100917760 B1 KR100917760 B1 KR 100917760B1 KR 1020080071198 A KR1020080071198 A KR 1020080071198A KR 20080071198 A KR20080071198 A KR 20080071198A KR 100917760 B1 KR100917760 B1 KR 10091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266A (ko
Inventor
가즈히사 오부찌
히데또 후루까와
가즈오 가와바따
요시하루 다지마
요시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Abstract

핸드 오버 시의 프로세스를 효율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 전송 기능이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다른 제1 통신국으로 이행되었을 때, 다른 제1 통신국에서는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아직 제2 통신국에 전송하지 않았던 정보가 전송되었을 때 이것을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하고,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제2 통신국에 전송된 정보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경유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순서를 나타내는 소정의 번호를 붙이도록 하였다.
Figure R1020080071198
통신국, 핸드 오버, 기지국, 단말기, 기지국 상위 장치, 구별 정보, 송신 시리얼 번호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의 업계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개발된 고속 패킷 전송 기술의 하나인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에서는, 핸드 오버 시의 정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지국 상위 장치(RNC: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하 마찬가지임)에서의 정보의 버퍼링 및 해당 기지국 상위 장치에서 부여하는 시리얼 번호(이하 간단히 SN이라고 칭함)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 도면과 함께 그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HSDPA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의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유저 단말기(이하 간단히 단말기라고 칭함)(10)에 전송하는 기능이, 기지국(소위 BT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이하 마찬가지임)(30-1)으로부터 기지국(30-2)에 대하여, 소위 핸드 오버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핸드 오버란, 단말기(10)에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을, 단말기(10)로서의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국의 이동에 수반하여, 해당 단말기(10)에 정보를 전송하는 데에 가장 알맞은 위치에 있는 기지국에 순차적으로 이양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스텝 S1)한 정보의 소정의 단위 정보량마다 상기 SN으로서 SN-20~을 부여하여(스텝 S2), 기지국(30-1)에 송신하고 있다(스텝 S3). 이 때,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이들 정보를 내부에 버퍼링하고 있다.
기지국(30-1)에서는 이 SN을 의식하지 않고 수신 정보를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4)하고 있다. 여기서 핸드 오버가 실시되면, 결과적으로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그 시점으로부터 송신하는 정보 SN-32~를, 상기 기지국(30-1)과는 다른 기지국(30-2)에 송신(스텝 S5)한다.
이 때 기지국(30-1)에서는, 기지국 상위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SN-20~27까지를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5)하자마자 상기 핸드 오버에 의해 무선 회선이 절단된 것으로 한다. 그 경우 미송신한 정보 SN-28~31을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파기(스텝 S5)한다.
기지국(30-2)은 기지국 상위 장치(50)로부터 수신한 정보 SN-32~의 단말기(10)에의 송신을 개시(스텝 S7)한다. 단말기(10)는 그 때, 정보 SN-28~31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 시에 기지국(30-1)으로부터 단말기(10)로 보낼 수 없어 파기된 정보이다. 단말기(10)에서는 정보에 붙여진 SN 을 참조함으로써, 이 수신 정보의 결손을 인식한다.
그 결과 단말기(10)는 기지국(30-2)을 통해서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대하여, 결여되어 있는 수신 정보의 재송 요구를 행한다(스텝 S8).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이를 받아, 해당하는 정보 SN-28~31을 기지국(30-2)에 송신(스텝 S9)한다. 기지국(30-2)은 수신한 정보 SN-28~31을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10)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10)는 결여되었던 정보가 보완되어,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한 정보를 버퍼링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10)로부터 재송 요구가 있었던 경우, 해당 버퍼링되어 있던 정보를 송신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SN의 부여를 행하지 않고, 송신 시리얼 번호(이하 간단히 TSN이라고 칭함)를 부여하고, TSN에 의해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도 2에서, 기지국(30-1)은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여 TSN12∼14를 할당하고(스텝 S12), 단말기(10)를 향해 이 중 정보 TSN-12∼13을 송신한다(스텝 S13).
여기서 핸드 오버가 발생하면, 외부 통신국은 그 이후 송신하는 정보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송신한다(스텝 S14). 기지국(30-1)에서는 핸드 오버에 의해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없게 된 정보 TSN-14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 에 전송한다(스텝 S15).
기지국(30-2)에서는 기지국(30-1)으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전송(스텝 S15)을 기다리고, 그 동안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단말기(10)에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해 둔다.
그리고 해당 정보 TSN-14가 기지국(30-1)으로부터 수신되자마자 이것을 단말기(10)를 향해 송신한다(스텝 S16). 기지국(30-2)은 그 때, 핸드 오버 후에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링해 둔 정보에 대하여 TSN-15∼를 할당하고, 단말기(10)를 향해 송신한다(스텝 S7).
도 2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린다. 그리고 이것을 수신한 후에 단말기(10)에 송신함과 함께, 핸드 오버 후에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 결과 단말기(10)에서는, 핸드 오버에 의한 수신 정보의 결손이 발생하지 않아, 소정의 순서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11-33120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9-186704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3GPP TS25. 321
[비특허 문헌 2] 3GPP TS25. 322
도 1의 종래예의 경우, 단말기(10)에서 SN을 참조함으로써 수신 정보의 결손 을 인식하고, 결손 정보에 대한 재송 요구를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행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함으로써, 정보의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이 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단말기(10)로부터의 재송 요구에 대비하여 송신된 정보를 버퍼링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송신된 정보의 버퍼링을 위한 기억 용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생긴다.
또한 도 2의 종래예의 경우,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송신 정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 TSN-14의 전송을 받을 때까지, 핸드 오버 후에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TSN-15∼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정보의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이 경우,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리는 동안에 단말기(10)에의 정보의 송신이 끊어진다. 그 결과 그 동안 해당하는 통신 채널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통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이 도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핸드 오버 시에 발생하는 정보의 지연을 최소한으로 하고,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 확보할 기억 용량을 최소한으로 하고, 또한 통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제2 통신국이 상기 소정의 정보 를 수신할 때의 전송 기능이 하나의 제1 통신국의 기능이 다른 제1 통신국으로 이양되었을 때,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송을 받아, 이것을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와,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정보의 전송의 기능이 기지국으로서의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다른 제1 통신국으로 이행되었을 때, 즉 핸드 오버 시, 핸드 오버처의 다른 제1 통신국에는, 핸드 오버원의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아직 제2 통신국에 전송하고 있지 않았던 정보가 전송된다. 그리고 이 미송신 정보가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핸드 오버원의 하나의 제1 통신국에서 제2 통신국에 송신되지 않았던 정보는 파기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핸드 오버처의 다른 제1 통신국을 경유하여 제2 통신국에 송신된다. 그 결과 제2 통신국에서는 수신 정보의 결손이 생기지 않고, 또한 재송 요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보의 지연이 최소한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의 전송의 기능의 이양, 즉 핸드 오버처의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된 정보와, 핸드 오버원의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다른 제1 통신국을 경유하여 제2 통신국에 전송된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원의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핸드 오버처의 다른 제1 통신국을 경유하여 제2 통신국에 송신되는 정보와, 직접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거치지 않고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제2 통신국에 송신되는 정보가 제2 통신국에서 수신될 때, 정보의 수신의 순서가 전후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여 둠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신한 제2 통신국에서 이 소정의 구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의 파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송 요구가 불필요해져, 재송 제어에 의한 정보의 지연이 방지된다.
또한 재송 요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위국에서 재송 요구에 대비하여 송신된 정보를 버퍼링하기 위한 기억 용량의 확보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구별 정보의 기능에 의해, 핸드 오버처의 다른 제1 통신국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리고, 이것을 수신한 후에 지금까지 버퍼링하고 있던 정보와 더불어 순서를 정렬한 후에 송신을 행한다고 하는 프로세스를 행할 필요가 없어, 핸드 오버 후에 수신되는 정보를 바로 송신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기지국(30-1)으로부터 기지국(30-2)에 핸드 오버할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기지국(30-1)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통신국(100)으로부터 수신(스텝 S21)한 정보에 TSN으로서 TSN12∼를 부여(스텝 S22)하여,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23)하고 있다.
여기서 핸드 오버가 실시되면, 외부 통신국(100)은 기지국(30-1)에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고, 기지국(30-2)을 향한 전송을 개시(스텝 S24)한다.
기지국(30-1)은, 단말기(10)에의 미송신 정보 TSN-14를 기지국(30-2)에 전송(스텝 S25)한다. 기지국(30-2)에서는 기지국(30-1)으로부터 전송(스텝 S25)된 정보를, 기지국(30-1)이 부여한 TSN 그대로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26)한다.
기지국(30-2)에서는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수신한 정보(스텝 S24)에는 새로운 TSN으로서 TSN-33∼을 부여하여 단말기(10)에 송신(스텝 S27)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기지국(30-1)이 부여한 TSN과 기지국(30-2)이 부여한 TSN을 따로따로 순서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 결과 양자가 혼재하여도 정확한 순서로 복원할 수 있다(스텝 S28).
이하 도 4 내지 도 13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의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상술한 종래의 일례(도 1) 및 종래의 다른 예(도 2)와 대비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도 4는 상기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의 경우의 동작 타임 차트의 예를 도시한다.
시각 T1까지는,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수신된 정보는 기지국(30-1)의 전송을 거쳐 단말기(10)에 송신된다.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소위 RLC(무선 링크 컨트롤)의 기능에 의해, 수신 정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SN을 할당한 후에 기지국(30-1)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30-1)에서는 소위 MAC-hs(매체 액세스 컨트롤 하이 스피드, 이하 마찬가지임)의 기능에 의해, 단말기(10)와의 사이의 통신 채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고, 각 패킷마다 TSN을 할당하여,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단말기(10)에서는 상기 마찬가지의 MAC-hs의 기능 및 RLC의 기능에 의해 수신 정보에 붙여진 TSN 및 SN의 연속성을 확인한 후에, 이것을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시각 T1에서 핸드 오버(HO)가 발생한 것으로 하면, 이 예에서는 기지국(30-1)에서는 수신 정보 중 미송신 정보를 파기한다. 그리고 핸드 오버(T2) 후에는 기지국 상위 장치(5O)는 기지국(30-2)에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30-2)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MAC-hs의 기능에 의해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고, 각 패킷마다 TSN을 할당하여, 단말기(10)에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10)의 RLC 기능에 의해, SN의 연속성 결여로부터 수신 정보의 결손이 인식되고,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대하여 재송 요구가 행해진다. 그리고 단말기(10)에서는 RLC 기능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는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해당 정보가 재송될 때까지, 호스트 컴퓨터에의 정보의 송신을 중단한다. 그 동안 기지국(30-1)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단말기(10) 내에 버퍼링 해 둔다.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의 재송 요구를 받아, 버퍼링하고 있던 해당 정보를, 시각 T3 내지 T4 동안에 기지국(30-2)에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기지국(30-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SN을 인식하지 않고, 수신순에 따라, 상기 MAC-hs 기능에 의해 패킷의 설정을 행하고, TSN을 할당하여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단말기(10)에서는 RLC 기능에 의해, 정보에 붙여진 SN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재송 요구에 관련되는 정보가 수신된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해당 정보가 충족된 시각T1에서, 지금까지 버퍼링하고 있던 수신 정보와 더불어, SN에 따라 수신 정보의 연속성이 얻어지도록 정보의 순서를 정렬한 후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의 경우, 단말기(10)에서는 결손 정보에 대한 재송 요구를 행하고, 해당 정보가 충족되고서야 비로소 그 동안의 수신 정보와 더불어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따라서 그 동안, 즉 시각 T1 내지 T4 동안,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은 중단된다.
도 5는 상기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의 경우의 동작 타임 차트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도 4의 예와 달리,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는 직접 기지국(30-1)에 수신된다. 그 결과 수신 정보에는 상기 SN은 붙여져 있지 않다.
기지국(30-1)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MAC-hs 기능에 의해 패킷의 설정을 행하고, TSN을 할당하여 단말기(10)에 송신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시각 T1에서 핸드 오버가 발생하면, 핸드 오버 동안, 즉 시각 T1 내지 T3 동안에 기지국(30-1)이 수신한 정보는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없다. 이 예의 경우, 이것을 파기하지 않고,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전송한다.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시각 T2) 후에 수신한 정보를 단말기(10)에 송신하지 않고 버퍼링하고,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린다. 또한 기지국(30-2)에서는 MAC-hs 기능에 의해, 기지국(30-1)으로부터 TSN 정보의 통지를 받아, TSN의 넘버링~TSN-14를 이어받는다. 그리고 이후, 이어받은 넘버링에 따라 계속해서 수신 정보에 TSN을 할당한다(TSN-15~).
그리고 시각 T13 내지 T14 동안에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TSN-14)의 전송을 받으면, 기지국(30-2)에서는 MAC-hs 기능에 의해 수신 정보에 붙여진 TSN을 참조함으로써, 정보의 연속성(TSN-14~)에 따라 정보를 재배열한 후, 단말기(10)에 송신한다(시각 T14).
단말기(10)에서는 MAC-hs 기능에 의해 수신 정보에 붙여진 TSN을 참조함으로써 정보의 연속성을 확인하고,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에 따르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 TSN-14의 전송이 있을 때까지, 그 동안에 수신한 정보 TSN-15~TSN-17을 버퍼링할 필요가 있어, 기억 용량의 확보가 필요로 된다.
또한 이 기지국(30-2)에서는 이와 같이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 TSN-14의 전송을 기다리는 동안(시각 T2 내지 T14), 단말기(10)에 대한 정보 송신을 중단한다. 따라서 그 동안, 해당하는 통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이 도모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3에 대응)에 의한 통신 방식의 경우의 동작 타임 차트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5과 함께 상술한 종래의 다른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의 예와 다른 것은, 핸드 오버(T1 내지 T2) 후,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 TSN-14의 전송이 있는 동안에 수신된 정보를 버퍼링하지 않고, 그대로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 때 기지국(30-2)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단말기(10)로부터, 지금까지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단말기(10)가 수신한 정보에 붙여진 TSN과 중복될 우려가 없는 번호의 통지를 받는다.
도 6의 예의 경우, 단말기(10)가 마지막으로 수신한 정보는 TSN-13이다. 따라서 단말기(10)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이 갖는 미송신 정보의 TSN은, TSN-14 이후인 것이 예측된다. 따라서 단말기(10)는, 그들 번호와 중복될 우려가 없는 번호로서, 예를 들면 TSN-0을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통지한다. 이것을 받은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T2) 후에 수신한 정보에 TSN-0을 초기값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TSN을 할당하고, 버퍼링하지 않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리고 시각 T13에서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 TSN-14가 수신되면, 기지국(30-2)은, TSN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단말기(10)에 송신한다(T13~T14).
단말기(10)는 그 MAC-hs 기능(11-1)에 의해 핸드 오버 전의 수신 정보의 TSN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시각 T2에, 지금까지의 수신 정보의 TSN(~TSN-13)과의 사이에 연속성을 갖지 않는 TSN(TSN-0~)을 갖는 정보가 수신된다. 이것을 검출하면, 해당 MAC-hs 기능(11-1)은, 별개의 MAC-hs 기능(11-2)을 기동한다. 이 새로운 MAC-hs 기능(11-2)은, 해당 지금까지와는 연속성을 갖지 않는 TSN(TSN-0~)을 관리한다.
그 후, 시각 T13~T14에서,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 경유로 미송신 정보 TSN-14가 송신되면, 단말기(10)의 MAC-hs 기능(11-1)에서는 이것을 받아, 지금까지 자기가 관리하고 있던 TSN(~TSN-13)과의 사이의 연속성을 검출한다. 단말기(10)에서는 이에 기초하여 정보의 연속성을 얻는다.
즉, 당초부터 TSN을 관리하고 있던 MAC-hs 기능(11-1)에 의한 정보의 연속성의 검출에 관련되는 정보 TSN-14와, 핸드 오버 후에 기동된 MAC-hs 기능(11-2)에 의한 정보의 연속성에 관련되는 정보 TSN-0~TSN-2에 대하여, 전자의 정보 TSN-14는 당초 관리되고 있던 정보에 연속하는 정보로서 취급하고, 후자의 새롭게 관리된 TSN-0~TSN-2는, 이것에 계속되는 정보로서 취급한다. 그 결과 단말기(10)에서는, 일련의 정보로서, TSN-14, TSN-0~TSN2의 순서로 수신 정보를 재배열한 후, 호스트 컴퓨터 에 송신한다.
이 방식에 따르면, 핸드 오버에 좌우되지 않는 절대적인 번호로서의 SN을 붙 이지 않고, 핸드 오버 후의 정보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핸드 오버 전의 TSN과 겹치지 않는 TSN을 새롭게 할당하도록 하여, 핸드 오버 전후의 정보를 명확하게 구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을 경유함으로써 타이밍이 지연되어 단말기(10)에 수신된 미송신 정보는, 기지국(30-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기지국(30-2)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와 확실하게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O)에서는, 확실하게 정보의 연속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30-1, 30-2)에서는, 재송 제어용의 TSN을 할당하여 버퍼링 하고, 단말기(10)와의 사이에서 이 TSN을 사용한 재송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단말기(10)에서는 TSN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사이에서 재송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방식에서, 상기 정보의 구별을 위해서, 기지국(30-1)과 기지국(30-2)에서 붙이는 TSN이 서로 다른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정의 정보를 TSN에 붙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방식에서는 핸드 오버 후,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 TSN-14가 전송될 때까지 수신되는 정보를 버퍼링하지 않고, 새로운(독자의) TSN을 할당한 후에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따라서 그 동안(T2~T14)도,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단말기(10)에의 정보의 송신은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동안의 통신 리소스가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에서 핸드 오버 전후의 수신 정보간의 연속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에 의해 붙여진 TSN의 최후의 값(TSN-14)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의해 최초로 붙여진 TSN의 값(TSN-0)이, 단말기(10)에 통지되는 구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단말기(10)에서는, 최종 TSN 번호와 선두 TSN 번호를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핸드 오버의 발생을 통지하는 정보와 함께, 현재 기지국(30-1)과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TSN 번호를 기지국(30-2)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받은 기지국(30-2)은, 이것과 겹치지 않도록, 예를 들면 기지국(30-1)에서 사용하고 있는 TSN 번호에 20을 가산한 TSN 번호부터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단말기(10)는 핸드 오버의 발생을 통지하는 정보와 함께, 현재 기지국(30-1)과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TSN 번호부터 충분히 떨어진 값을 갖는 TSN 번호(예를 들면 20을 가산한 값)를 기지국(30-2)에 통지하고, 기지국(30-2)은 이것을 TSN의 초기값으로서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30-2)은 단말기(10)에 대하여, TSN의 초기값을 통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기지국(30-1)에서의 미송신 정보란, 기지국(30-1)이 단말기(10)에 대하여 이미 송신했지만 단말기(10)로부터의 수신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보, 즉 기지국(30-1)으로부터 일단 송신되었지만, 단말기(10)에서 완전한 상태로 수신되지 않았던 정보에 대해서 미송신 정보로 취급함으로써, 그와 같은 정보도 포함시켜 기지국(30-1)이 기지 국(30-2)에 전송하도록 한다. 그 결과, 단말기(10)에서는 정보의 연속성을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때, 기지국(30-1)은 기지국(30-2)에 대하여, 전송하는 정보가 순수한 미송신 정보인지, 혹은 송신되었지만 단말기(10)로부터의 수신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인지의 구별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기지국(30-2)에서는, 순수한 미송신 정보이면 기지국(30-2)과 단말기(10) 사이의 통신 품질에 따른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여 TSN 번호를 재할당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한편 수신 확인되어 있지 않은 정보이면, 그대로의 패킷 사이즈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순수한 미송신 정보인 경우와 달리, 일단 송신된 정보는, 이것을 받은 단말기(10)에서 그 패킷 사이즈가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그와 같은 경우, 재송할 때에 패킷 사이즈를 변경하면, 단말기(10)측에서는 이미 인식한 패킷 사이즈와 다른 패킷을 수신하게 되어, 정보의 동일성의 인식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지국(30-2)은 기지국(30-1)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정보는, 기지국(30-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신한 것에 비하여, 우선 순위를 높여 단말기(1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의 내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4와 함께 설명한 종래의 일례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사용한다. 단 종래의 일례와 달리,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재송 요구에 대비한 송신된 정보의 버퍼링은 불필요하고, 또한 그 때문에 기억 용량의 확보가 불필요하다.
해당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식에서는, 이와 같이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사용하고, 거기서 송신 정보에 대하여 SN이 할당된다. 이 SN은 일련의 정보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고, 핸드 오버가 발생한 결과 그 전후에서 정보의 송신 순서가 전후한 경우라도, 최종적으로 단말기(10)의 RLC 기능(12)에 의해 수신 정보에 붙여진 이 SN이 참조됨으로써, 수신 정보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도 4의 종래의 일례와 다른 것은, 핸드 오버 시(T1~T2), 기지국(30-1)에서는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없게 된 미송신 정보 SN-28~SN-31을 파기하지 않고,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미송신 정보는 기지국(30-2)에 의해 단말기(10)에 송신되기 때문에, 단말기(10)에서는 재송 요구를 행하지 않고 모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에서는, 핸드 오버 T1~T2 동안에 수신 정보의 연속성이 손상된 경우(~SN-27, SN-32~)라도, 그것에 의해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대하여 재송 요구는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지국(30-1)으로부터 기지국(30-2)을 경유하여 그 결손 정보 SN-28~SN-31이 송신될(T13~T14)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그 동안, 도 4의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30-2)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SN-32~SN-37을 버퍼링하는 것으로 하고, 호스트 컴퓨터에의 송신을 중단한다.
그리고 결손 정보 SN-28∼SN-31이 송신되면(T14), 기지국(30-2)에서는 이들 을 단말기(10)에 송신함과 함께, 계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링하고 있던 수신 정보 SN-32~SN-37을 단말기(10)에 송신한다. 그 결과, 호스트 컴퓨터에서 수신 정보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에서, SN을 할당하는 기능을 독립된 기지국 상위 장치(50')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어떠한 기지국에 해당 기능을 갖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최초로 SN을 할당한 기지국에서는, 통신이 절단될 때까지 SN 번호를 계속해서 할당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의의 기지국에서 트래픽량이 적은 경우 혹은 제로인 경우, SN 번호를 할당하는 기능을 해당 기지국에 이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과 함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기지국(30-1, 30-2)에서는, 재송 제어용의 TSN을 할당하여 버퍼링하고, 단말기(10)와의 사이에서 이 TSN을 사용한 재송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단말기(10)에서도 TSN을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재송 제어를 행함과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이, SN을 사용한 순서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핸드 오버가 발생하면 기지국(30-1)은 미송신 정보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전송한다.
핸드 오버의 발생에 수반하여, 단말기(10)는 TSN을 리세트(T2) 하고, SN은 그대로 계속시킨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지국(30-1)의 미송신 정보란, 기지국(30-1)이 단말기(10)에 송신했지만 단말기(10)로부터 수신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보, 즉 기지국(30-1)으로부터 일단 송신되었지만, 단말기(10)에서 완전한 상태로 수신되지 않았던 정보에 대해서도 미송신 정보로 취급함으로써, 그와 같은 정보도 포함시켜 기지국(30-1)은 기지국(30-2)에 전송하도록 하고, 기지국(30-2)을 경유하여 이것을 받는 단말기(10)에서는, 정보의 연속성을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때, 기지국(30-1)은 기지국(30-2)에 대하여, 전송하는 정보가 순수한 미송신 정보인지, 송신되었지만 단말기(10)에서 수신 확인되어 있지 않은 정보인지의 구별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기지국(30-2)에서는, 순수한 미송신 정보이면 기지국(30-2)과 단말기(10) 사이의 통신 품질에 따른 최적의 패킷 사이즈로 하고 TSN 번호를 재할당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수신 확인되지 않은 정보이면, 그대로의 패킷 사이즈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30-2)에서는, 기지국(30-1)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는 우선 순위를 높여 단말기(1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과 함께, 상기 각 종래예 및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4와 함께 상술한 종래의 일례에 의한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경우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의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PDU(패킷 데이터 유닛)(51), SN 부여부(52) 및 버퍼(53)를 갖는다.
PDU(51)는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를 소정의 정보 단위로 분할한다. SN 부여부(53)는 이와 같이 분할된 정보 단위마다 SN을 할당한다. 버퍼(53)는 재송 요구에 대비하여, 송신된 정보를 버퍼링한다.
이 기지국 상위 장치(50)로부터 정보를 받는 기지국(30-1, 30-2)은, TSN 부여부(31), 버퍼(32), 변조부(33) 및 파기부(34)를 갖는다.
TSN 부여부(31)는 단말기(10)와의 사이의 통신 채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결정하고, 그 사이즈분의 정보를 모아 TSN을 할당한다. 버퍼(32)는 단말기(10)와의 재송 제어용으로 송신 정보를 버퍼링한다. 변조부(33)는 단말기(10)에 대하여 무선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송신 정보로 변조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파기부(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 시에 단말기(10)에 대하여 보낼 수 없게 된 정보를 파기한다.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정보의 송신을 받는 단말기(10)(즉 휴대 전화기 등)는, 복조부(9),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 및 SN (재송) 순서 제어부(12)를 갖는다.
복조부(9)는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정보를 얻고, 버퍼 기능을 갖는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는, 기지국(30-1, 30-2)과의 사이에서 TSN에 의한 재송 제어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버퍼 기능을 갖는 SN (재송) 순서 제어부(12)는, 기지국(30-1, 30-2)과의 사이에서 SN에 의한 재송 제어를 행한다.
도 9는, 도 5과 함께 상술한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경우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생략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의 통신국(100)으로부터 정보를 받는 기지국(30-1, 30-2)은, TSN 부여부(31), 버퍼(32), 변조부(33) 및 TSN 순서 제어부(36)를 갖는다.
TSN 부여부(31)는 단말기(10)와의 사이의 통신 채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결정하고, 그 사이즈분의 정보를 모아 TSN을 할당한다. 버퍼(32)는 단말기(10)와의 재송 제어용으로 송신 정보를 버퍼링한다. 변조부(33)는 단말기(10)에 대한 무선 송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송신 정보로 변조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TSN 순서 제어부(36)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으로부터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리고, 이것을를 수신하면 버퍼링하고 있던 정보와 더불어 정보의 재배열을 행한다.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정보의 송신을 받는 단말기(10)는, 복조부(9) 및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를 갖는다.
복조부(9)는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정보를 얻고, 버퍼 기능을 갖는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는, 기지국(30-1, 30-2)과의 사이에서 TSN에 의한 재송 제어를 행한다.
도 10은, 도 6과 함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경우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경우도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 상위 장치(50)를 생략하고 있 다.
도 9에 도시하는 경우와 다른 부분은, 각 기지국(30-1, 30-2)에는 TSN 순서 제어부(36)가 불필요한 점이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정보의 송신을 받는 단말기(10)는, 도 9의 경우와 달리, 2개의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1, 11-2)를 갖는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2개의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1, 11-2)를 갖는 것은, 도 6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에서는 2계통의 TSN 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이들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1, 11-2)는, 도 6과 함께 상술한 MAC-hs 기능(11-1, 11-2)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이들 TSN (재송) 순서 제어부(11-1, 11-2)로부터 얻어진 2계통의 정보를 결합하는 결합부(13)를 갖는다. 이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도 6의 예의 경우 참조 부호 30-1)에 의해 TSN이 할당된 수신 정보와,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도 6의 예의 경우 참조 부호 30-2)에 의해 TSN이 할당된 수신 정보를 결합하고, 그 사이에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1은, 도 7과 함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본적으로는 도 8과 함께 상술한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도 8의 경우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 상위 장치(50')에는 버퍼(53)가 불필요하다. 단말기(10)로부터의 재송 요구에 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30-1, 30-2)에서, 핸드 오버 시, 단말기(10)에 보낼 수 없었던 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 경유로 단말기(10)에 전송하기 때문이다.
기지국(30-1, 30-2)에서는, 파기부(34)는 불필요하고, 대신에 전송 제어부(38)가 설치된다.
이 전송 제어부(38)는, 핸드 오버 시, 자신이 핸드 오버원(도 7의 예에서는 30-1)이면 단말기(10)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을 인식하고, 단말기(10)에 보낼 수 없어 버퍼(32)가 버퍼링한 미송신 정보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반대로 자신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인 경우에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를 받는 기능을 발휘한다.
다음으로 도 12와 함께, 상기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a)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b)를 대비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상위 장치(50)가 외부 통신 장치(100)로부터 송신 정보를 받으면(스텝 S101), SN을 부여하여(스텝 S102), 기지국(30-1)에 송신한다(스텝 S103).
기지국(30-1)에서는 이것을 받아, 패킷의 설정을 행하고 TSN을 부여하여(스텝 S104),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06). 단말기(10)에서는 수신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107).
그 시점에서, 핸드 오버(HO)가 발생한 것으로 하면, 기지국(30-1)에서는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없었던 미송신 정보를 파기하고(스텝 S108), 기지국 상위 장치(50)에서는 이후, 송신 정보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송신한다(스텝 S108).
기지국(30-2)에서는 이것을 받아 패킷의 설정을 행하고 TSN을 부여하여(스텝 S110),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11). 여기서 단말기(10)에서는 수신 정보의 SN을 참조함으로써 정보의 결손을 인식한다(스텝 S112). 그 결과, 기지국(30-2)을 통해서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행한다(스텝 S112, S114).
이것을 받아 기지국 상위 장치(50)는 해당 정보를 기지국(30-2) 경유로 단말기(10)에 재송한다(스텝 S115, S116, S117).
이것을 받은 단말기(10)에서는, 지금까지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지 않고 버퍼링하고 있던 수신 정보와 더불어, SN에 따라 순서를 정렬하여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118).
이 방식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10)에서 SN의 참조에 의해 수신 정보의 결손을 인식하고, 기지국 상위 장치(50)에 재송 요구를 행하고, 기지국 상위 장치(50)로부터의 재송을 기다리고 지금까지의 수신 정보와 더불어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한다. 이 때문에, 재송에 요하는 시간만큼, 정보 지연이 증가한다.
한편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 후,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에서는 미송신 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전송한다(스텝 S124). 기지 국(30-2)에서는 이것을 그대로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25).
이 실시예의 경우, SN을 부여(스텝 S102)하는 기지국 상위 장치(50')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할당된 SN은, 그 후의 핸드 오버 HO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10)에서의 수신 순서에 상관없이, 단말기(10)에서는 적절하게 수신 정보의 순서를 판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보를 재배열함으로써,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스텝 S126)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도 12의 (a)의 방식과 달리, 결손 정보에 대한 기지국 상위 장치(50')로부터의 재송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는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한 후에 수신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하는 데에 요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3과 함께, 상기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a)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b)를 대비하여 설명한다.
기지국(30-1)이 외부 통신 장치(100)로부터 송신 정보를 받으면(스텝 S101), 패킷의 설정을 행하고 TSN을 부여하여(스텝 S131),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32). 단말기(10)에서는 수신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133).
그 시점에서, 핸드 오버(HO)가 발생한 것으로 하면, 기지국(30-1)에서는 그 결과 단말기(10)에 송신할 수 없게 된 미송신 정보를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 전송한다(스텝 S136).
또한 기지국(30-2)은 외부 통신 장치(100)로부터 송신 정보를 받아, 이것을 송신하지 않고 버퍼링하면서(스텝 S135), 기지국(30-1)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린다. 그리고 이것을 받으면 지금까지 버퍼링하고 있던 수신 정보와 더불어, 순서를 정렬하여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37, S138). 단말기(10)에서는 수신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139).
이 방식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가 전송되어 올 때까지 단말기(10)에의 송신을 중단한다. 따라서 그 동안의 해당하는 통신 리소스가 유효 이용될 수 없다.
또한 기지국(30-2)에서는 그 동안 수신 정보를 버퍼링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억 용량의 확보가 필요로 된다.
이에 대하여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30-2)에서는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30-1)으로부터 미송신 정보가 전송될(스텝 S136) 때까지, 단말기(10)에의 송신을 중단하지 않고 속행한다. 그 동안, 외부 통신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30-1)에서의 TSN과 겹치지 않는 양태로 TSN을 할당하여(스텝 S141),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S142).
그 때, 외부 통신 장치(100)로부터 기지국(30-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기지국(30-2)을 거쳐 단말기(10)에 수신되는(스텝 S135, S142) 수신 정보와, 기지국(30-1 및 30-2)을 경유하여 단말기(10)에 수신되는(스텝 S136, S143) 수신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TSN이 겹치지 않도록 하여 할당되어 있다. 그 결과, 단말기(10)에서의 수신 순서에 상관없이, 단말기(10)에서는 적절하게 양자를 판별할 수 있고, 또한 양자간의 순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10)에서는 그 파악 내용에 따라 정보의 재배열을 행하여,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호스트 컴퓨터(1)에 송신(스텝 S144)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30-1, 30-2)으로부터 단말기(10)에의 통신 리소스가 불사용으로 되는 일이 없어, 유효 이용이 도모됨과 함께, 기지국에서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미송신 정보의 전송을 기다리는 동안 수신 정보를 버퍼링하는 기억 용량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기지국의 소요 설비를 효과적으로 삭감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부기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부기 1)
소정의 정보를 복수의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제2 통신국에 송신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국 중 하나의 통신국을 통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때의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의 기능이 다른 제1 통신국으로 이양되었을 때에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송을 받아, 이것을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와,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통신 방법.
(부기 2)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때의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의 기능이 다른 제1 통신국으로 이양되었을 때,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에서,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한 상기 소정의 정보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번호를 붙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부기 1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3)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독자의 번호를 붙이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과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정의 번호의 값을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에 통지하고,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에서는 통지된 값에 소정의 값을 가산한 값을 초기값으로 하여 번호를 붙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부기 2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4)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독자의 번호를 붙이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과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정의 번호의 값에 소정의 값을 가산한 값을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에 통지하고,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에서는 통지된 값을 초기값으로 하여 번호를 붙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부기 2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5)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에서는, 이미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어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소정의 정보를 아직 제2 통신국에 전송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취급하는 단계를 갖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6)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은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하는 소정의 정보가 미전송의 것인지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것인지의 구별을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에 통지하고,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에서는 미전송의 소정의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제2 통신국과의 사이의 통신 상황에 따른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고,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패킷 사이즈를 바꾸지 않고 전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5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7)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국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처리하기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8)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국에서는, 이미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어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소정의 정보를 아직 제2 통신국에 전송하고 있지 않 은 것으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9)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0)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동작은, 해당 통신국에서의 통신이 절단될 때까지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9에 기재된 통신 방법.
(부기 11)
소정의 정보를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로서,
해당 소정의 통신국에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이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이양되었을 때,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송을 받아, 이것을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송의 기능의 이양 시,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을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재전송하는 소정의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신한 것을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것으로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장치.
(부기 12)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송의 기능이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이양되었을 때, 해당 다른 통신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독자의 번호를 붙이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부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3)
또한 자기가 붙이는 번호의 선두값을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통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는 자기가 붙이는 번호의 최종값을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통지하는 것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2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4)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정의 번호의 값의 통지를 받고, 통지된 값에 소정의 값을 가산한 값을 초기값으로 하여 번호를 붙이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부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5)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정의 번호의 값에 소정의 값을 가산한 값의 통지를 받고, 통지된 값을 초기값으로 하여 번호를 붙이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부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6)
이미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대하여 전송되어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정보를, 아직 전송하고 있지 않은 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부기 1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7)
아직 전송하고 있지 않은 소정의 정보인지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것인지의 구별의 통지를 받아, 전자이면 상기 소정의 통신국과의 사이의 통신 상황에 따른 최적의 패킷 사이즈를 설정하고, 후자이면 패킷 사이즈를 바꾸지 않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18)
상기 소정의 구별 정보를 붙이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번호를 할당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부기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19)
이미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대하여 전송되어 아직 수신 확인의 통지를 받고 있지 않은 정보를, 아직 전송하고 있지 않은 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통신 장치.
(부기 20)
트래픽량이 적거나 혹은 제로인 경우에 상기 소정의 번호를 할당하는 수단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8 또는 19에 기재된 통신 장치.
도 1은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
도 5는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
도 8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통신 방식에서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통신 방식에서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에서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에서의 각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종래의 일례의 통신 방식의 동작 시퀀스(a)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의 동작 시퀀스(b)를 대비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다른 예의 통신 방식의 동작 시퀀스(a)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식의 동작 시퀀스(b)를 대비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트 컴퓨터
10 : 단말 장치
30-1, 30-2 : 기지국(장치)
50, 50' : 기지국 상위 장치
100 : 외부 통신국

Claims (4)

  1. 삭제
  2. 정보를 복수의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제2 통신국에 송신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국 중 하나의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국이 상기 정보를 수신할 때의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의 기능이 다른 제1 통신국에 이양되었을 때에 해당 다른 제1 통신국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정보의 전송을 받아, 전송을 받은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을 통해서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정보와,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으로부터 직접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되는 상기 정보가 상기 제2 통신국에서 정확하게 정렬되기 위한 순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국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제1 통신국이, 직접 상기 제2 통신국에 전송하는 상기 정보에 붙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붙이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제1 통신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신한 상기 정보에 대하여 번호를 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정보를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통신 장치로서,
    해당 소정의 통신국에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이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이양되었을 때,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의 전송을 받아, 전송을 받은 상기 정보를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전송의 기능의 이양 시,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재전송하는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정보가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서 정확하게 정렬되기 위한 순서 정보를, 상기 소정의 통신국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통신국에 전송하는 정보에 붙이는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080071198A 2006-03-27 2008-07-22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0917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6537 2006-03-27
JP2006086537A JP4778342B2 (ja) 2006-03-27 2006-03-27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基地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8024A Division KR100875045B1 (ko) 2006-03-27 2007-03-22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183A Division KR101006605B1 (ko) 2006-03-27 2009-04-22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66A KR20080080266A (ko) 2008-09-03
KR100917760B1 true KR100917760B1 (ko) 2009-09-15

Family

ID=3818041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8024A KR100875045B1 (ko) 2006-03-27 2007-03-22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0080071198A KR100917760B1 (ko) 2006-03-27 2008-07-22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0090035183A KR101006605B1 (ko) 2006-03-27 2009-04-22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0100009126A KR101006610B1 (ko) 2006-03-27 2010-02-01 통신 방법,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0100106858A KR101075731B1 (ko) 2006-03-27 2010-10-29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0110059762A KR101075667B1 (ko) 2006-03-27 2011-06-20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8024A KR100875045B1 (ko) 2006-03-27 2007-03-22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183A KR101006605B1 (ko) 2006-03-27 2009-04-22 통신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0100009126A KR101006610B1 (ko) 2006-03-27 2010-02-01 통신 방법,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0100106858A KR101075731B1 (ko) 2006-03-27 2010-10-29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0110059762A KR101075667B1 (ko) 2006-03-27 2011-06-20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23609A1 (ko)
EP (3) EP1841274B1 (ko)
JP (1) JP4778342B2 (ko)
KR (6) KR100875045B1 (ko)
CN (8) CN101820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792B1 (ko) 2007-04-26 2012-02-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이동국, 통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리오더링 방법
CN114501691A (zh) 2007-09-28 2022-05-13 泛泰有限责任公司 由wtru执行的方法和wtru及由基站执行的方法和基站
KR101568149B1 (ko) 2007-10-25 2015-11-11 시그널 트러스트 포 와이어리스 이노베이션 Cell―fach 상태에서 강화된 mac―e/es 자원을 관리하고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168723A1 (en) * 2007-11-27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88877A2 (en) * 2008-01-02 2009-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ITTO20100536A1 (it) * 2010-06-22 2011-12-23 Univ Macquarie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a struttura accordabile elettronicamente, e struttura accordabile elettronicamente
JP5012994B2 (ja) * 2010-12-28 2012-08-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10206015B2 (en) * 2015-10-30 2019-02-12 Faraday & Future In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ata communication
CN113556690B (zh) * 2020-04-24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02A (ko) * 2001-12-12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방법
WO2005081428A1 (ja) 2004-02-25 2005-09-01 Nec Corporation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WO2005125125A1 (en) 2004-06-16 2005-12-29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processing data unit of radio protocol layer
KR20060084749A (ko) * 2005-01-20 200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를 이용한핸드오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396A (ja) * 1990-05-25 1992-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FI101763B1 (fi) * 1995-12-01 1998-08-14 Nokia Mobile Phones Ltd Siirrettävän tiedon koostumuksen säilyttäminen tukiaseman vaihdon yhteydessä
JP3075260B2 (ja) * 1998-05-20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ファリング制御方法およびバッファリング方式システム
US6801512B1 (en) * 2000-03-23 2004-10-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276207B2 (ja) * 2001-04-26 2009-06-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リンク伝送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EP2068488A3 (en) * 2001-04-26 2011-05-04 NTT DoCoMo, Inc. Data 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data link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base stations, mobile stations, mobile station control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US6725040B2 (en) * 2001-07-09 2004-04-20 Asustek Computer Inc. Lossless SRNS relocation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03069617A (ja) * 2001-08-27 2003-03-07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基地局、エッジルータ、中継ルータ、無線端末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DE60204867T2 (de) * 2002-07-16 2006-05-18 Lucent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ketsortierung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werk
US8254935B2 (en) * 2002-09-24 2012-08-28 Fujitsu Limited Packet transferring/transmi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157870B2 (ja) * 2002-09-24 2008-10-01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送信方法
US8351400B2 (en) * 2004-05-05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head reduction in an enhanced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115038A1 (en) * 2004-05-14 2005-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s for duplicated packets identification during handover
US20060062173A1 (en) * 2004-09-17 2006-03-23 Lucent Technologies,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during soft hand offs in a wireless system
US8228917B2 (en) * 2005-04-26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iphering and re-ordering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58690B2 (ja) * 2006-06-14 2012-01-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時のデータ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02A (ko) * 2001-12-12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방법
WO2005081428A1 (ja) 2004-02-25 2005-09-01 Nec Corporation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WO2005125125A1 (en) 2004-06-16 2005-12-29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processing data unit of radio protocol layer
KR20060084749A (ko) * 2005-01-20 200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를 이용한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1052B (zh) 2015-06-10
EP2720495A1 (en) 2014-04-16
CN101790207A (zh) 2010-07-28
JP2007266775A (ja) 2007-10-11
EP1841274B1 (en) 2014-02-26
CN102781053B (zh) 2017-02-01
EP2723125B1 (en) 2015-05-27
CN102781052A (zh) 2012-11-14
KR20110088476A (ko) 2011-08-03
KR20100028077A (ko) 2010-03-11
CN102781051A (zh) 2012-11-14
KR20080080266A (ko) 2008-09-03
CN102781053A (zh) 2012-11-14
CN101820595A (zh) 2010-09-01
EP1841274A1 (en) 2007-10-03
KR100875045B1 (ko) 2008-12-19
KR20100123666A (ko) 2010-11-24
CN102781054B (zh) 2016-04-20
CN101047894B (zh) 2012-08-08
CN101820595B (zh) 2014-01-29
KR20070096848A (ko) 2007-10-02
EP2723125A1 (en) 2014-04-23
KR101075667B1 (ko) 2011-10-21
KR101006605B1 (ko) 2011-01-07
KR101075731B1 (ko) 2011-10-21
CN101790207B (zh) 2013-05-08
CN102781051B (zh) 2016-04-20
CN102781054A (zh) 2012-11-14
JP4778342B2 (ja) 2011-09-21
CN101820643A (zh) 2010-09-01
CN101047894A (zh) 2007-10-03
EP2720495B1 (en) 2015-05-27
KR20090057179A (ko) 2009-06-04
US20070223609A1 (en) 2007-09-27
KR101006610B1 (ko) 2011-01-07
CN101820643B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667B1 (ko) 통신 방법
EP136170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iggering of a pdcp sequence number synchronization prodecure
AU2005237153C1 (en) Radio Resource Control-Service Data Unit Reception
CN101933364B (zh) 移动通信系统及其切换过程的处理方法
RU2517278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связ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переупорядочивания
US20080019320A1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providing embedded status information in handover control signaling
US20070110101A1 (en) Method of Handling RLC SDUs During RLC Reset and RLC Re-establishment in a UMTS System
US20030210714A1 (en) Method for avoiding loss of pdcp pd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796633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基地局
JP5012994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869361B2 (ja) 通信方法、基地局、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737224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AU2012205172B2 (en) Radio Resource Control-Service Data Unit Re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