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423B1 -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423B1
KR100917423B1 KR1020090011729A KR20090011729A KR100917423B1 KR 100917423 B1 KR100917423 B1 KR 100917423B1 KR 1020090011729 A KR1020090011729 A KR 1020090011729A KR 20090011729 A KR20090011729 A KR 20090011729A KR 100917423 B1 KR100917423 B1 KR 10091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re
attached
plate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에스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4Reinforcing means f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케이싱과 빔에 의해 고온가스와 저온가스가 유동하는 코어를 안치하는데 있어 케이싱, 빔 및 코어 사이에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서 고온가스에 의한 코어의 열변형을 보정할 수 있어 균열,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어에 고온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에 보호커버를 구성함으로서 고온가스에 의한 마모,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11729
열교환기, 전열판, 페어, 코어

Description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high temperature gas}
본 발명은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케이싱과 빔에 의해 고온가스와 저온가스가 유동하는 코어를 안치하는데 있어 케이싱, 빔 및 코어 사이에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서 고온가스에 의한 코어의 열변형을 보정할 수 있어 균열,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어에 고온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에 보호커버를 구성함으로서 고온가스에 의한 마모,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가스용 열교환기는 장착되는 열교환 방식에 따라 판형 열교환기, 디스크형 열교환기 등이 있는 바, 판형 열교환기는 평판형의 전열판을 복수로 배열하여 고온유체와 저온유체가 전열판에 의해 분리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에 의해 고온유체에서 저온유체 로 열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 예로 폐기물 완전 열소를 하기 위해서는 약 800℃ 이상 고온의 열이 필요 한데 이때 연소 후 버려지는 고온의 폐가스와 저온의 공기를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를 통하여 서로 열교환하여 이때 승온 된 공기를 연소실로 투입함으로 회수되어진 열량만큼의 열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에서는 복수의 전열판 사이 사이에 형성된 고온유체의 유동통로와 저온유체의 유동통로가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바, 고온유체의 열이 저온유체 측으로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열판이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전열판의 팽창 또는 수축의 반복이 이루어지면 열교환기의 피로도가 축적되어 결국 내구성의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으로서 기존에는 전열판과 전열판 사이에 가스켓을 삽지하거나 전열판 자체를 물결형상으로 성형하여 팽창 및 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하는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정기적으로 가스켓을 교체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전열판 사이마다 가스켓을 삽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는 성형의 특성상 0.8mm이하의 얇은 전열판에 물결형상이 도입되므로 성형의 곤란성이 있고, 고온.고압에 취약하며 사후 청소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양자 공히 고온유체가 유입되는 전열판 간의 접합부, 전열판 가스켓 간의 접합부가 고온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접합부 사이로 누설이 발생하여 고온유체와 저온유체가 혼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열판의 팽창 및 수축을 보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 없이 전열판 만으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고온유체에 의한 누설, 마모가 없이 내구성이 우수한 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한 쌍의 전열판이 부착되어 내부에 제 1유동로가 형성되는 페어가 조립되어 페어와 페어 사이에 제 2유동로가 형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있어 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전열판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스프링과; 상기 코어스프링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한 쌍의 케이싱과;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의 사이에 부착되는 지지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스프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일 예는 바 형상으로 동일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가 구성되는 코어스프링을 제시하며, 이 경우 상기 코어스프링의 플랜지 사이에는 판형의 제 1보온재가 삽입됨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른 예는 타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가 구성된 코어스프링을 제시하며 이 경우에도 플랜지와 전열판 또는 플랜지와 케이싱 사이에는 제 1보온재가 삽입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스프링에 더하여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빔의 내주연과 상기 코어의 외주연 사이에 부착되는 테두리 스프링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 스프링은 바 형상으로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플랜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테두리 스프링의 플랜지에는 스톱바가 더 구성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는, 사각판상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절곡부와, 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 2절곡부가 형성되는 전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열판을 한 쌍으로 하여 각각 대향하는 제 1절곡부를 부착하여 내부에 제 1유동로가 형성되는 페어를 형성하며, 상기 페어를 조립하되 각각 대향하는 제 2절곡부를 부착하여 페어와 페어 사이에 상기 제 1유동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유동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판에는 복수의 스터드핀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판에는 복수의 스터드바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에는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1절곡부 또는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2절곡부의 끝단에 보호커버가 각각 더 구성됨이 타당하다.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커버 간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단이 제시되며 상기 보호커버 간에 상기 지지단이 부착됨에 있어 지지단의 일측만이 상기 보호커버에 부착됨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에서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빔의 내주연에는 판형의 제 2보온재와 상기 제 2보온재를 감싸는 보온재커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고온유체에 의한 코어의 팽창 및 수축을 보정하여 균열, 피로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전열판의 접합부에 보호커버를 구성함에 의해 고온유체의 누설을 완전히 차단하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보온재를 구성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별도의 구성없이 전열판만으로 코어를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전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페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코어스프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어에 보호커버가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부착"이라함은 공지기술로서 용접부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부착방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열판(100)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페어(200)가 복수개 부착되어 구성되는 코어(300)와 한 쌍의 케이싱(500) 그리고 케이싱(500) 사이에서 부착되는 복수의 지지빔(600)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코어(300)와 상기 케이싱(500) 사이에서 부착되는 코어스프링(400) 및 테두리 스프링(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500)은 도 1a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300)의 양 측면으로 고온유체(HF)와 저온유체(LF)가 유동하지 않는 코어(300) 양 외측의 전열판(100)에 이하에서 설명할 코어스프링(400)을 매개로 부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케이싱(500)의 테두리에는 절곡하여 형성된 돌출테두리(510)가 구성되는 바, 이러한 돌출테두리(510)는 케이싱(500)의 좌굴 등을 방지하는 구성에 해당한 다.
상기 지지빔(600)은 한 쌍의 케이싱(500) 사이에서 부착되는 구조로 케이싱(500)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코어(300) 등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지지빔(6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1 및 도 2에서는 평판을 절곡하여 중공이 형성되는 바형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빔(600)을 사각판상의 케이싱(500)의 4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도록 4개의 지지빔(600)을 제시한다.
상기 코어(3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열판(100)이 부착된 페어(200)가 복수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하게 전열판(100)을 구성하여 고온유체(HF)와 저온유체(LF)가 코어(300) 내부에서 분리된 유동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예를 제시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열판(100)은 사각판상으로 양측에 절곡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절곡부(110)와 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 2절곡부(120)가 형성되는 바, 평판부(130)에서 상기 제 1절곡부(110) 및 상기 제 2절곡부(120)를 절곡하여 구성함에 있어 각각 경사면(140, 150)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140, 150)의 구성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열판(10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코팅층을 구성하여 부식,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바, 상기 코팅층은 공지기술로서 법랑코팅, 유리코팅 등의 부식방지를 위한 다양한 코팅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한 쌍의 전열판(100)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페어(200)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의 전열판(100)에 구성된 각각의 대향하는 제 1절곡부(110)를 부착하여 페어(200)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어(200)에는 상기 제 1절곡부(110)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의해 제 1절곡부(1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1유동로(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유동로(210)에 의해 고온유체(HF) 또는 저온유체(LF)가 유동될 수 있는 바, 도면에서는 상기 제 1유동로(210)를 통해 고온유체(HF)가 유동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한편 각각의 전열판(100)에는 평판부(130)의 일면에 스터드핀(160)이 복수개 부착되는 바, 도 4b 및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핀(160)의 구성에 의해 고온유체(HF)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열변형 등에 의해 상기 제 1유동로(210) 및 이하에서 설명할 제 2유동로(310)의 유격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전열판(100)에는 평판부(130)의 일면에 스터드바(170)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 부착되는 바, 상기 스터드바(170)의 구성에 의해 고온유체(HF)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열변형 등에 의해 상기 제 1유동로(210) 및 이하에서 설명할 제 2유동로(310)의 유격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페어(200)에는 이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열판(100)에 각각의 제 2절곡부(120) 및 경사면(150)에 의해 도 4a의 도면상에서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를 커버하기 위해 엣지커버(220)를 각각 부착한다. 이러한 엣지커버(220)에 의해 제 1유동로(210)의 입구 및 출구에서 유체가 누설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페어(200)가 복수 개 부착되어 상기 코어(30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코어(300)는 각각의 페어(200)를 구성하는 전열판(100)의 제 2절곡부(120)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제 2절곡부(120)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의해 제 2절곡부(12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2유동로(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유동로(310)에 의해 고온유체(HF) 또는 저온유체(LF)가 유동될 수 있는 바, 도면에서는 상기 제 2유동로(310)를 통해 저온유체(LF)가 유동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기 제 1유동로(210)와 상기 제 2유동로(310)는 직교하는 형상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코어(300) 상에서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저온유체(LF)가 유동하게 되는 것이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온유체(HF)가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코어(300)를 형성하는 전열판(100)을 사이에 두고 고온유체(HF)와 저온유체(LF)가 분리되어 유동하게 함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열교환에 의해 열이 회수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300)에 있어 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전열판(100)의 외측면 즉 각각의 케이싱(500)에 대향하는 전열판(100)의 평판부(130)에 하나 이상의 코어스프링(400)이 구성된다.
상기 코어스프링(400)은 케이싱(500)과 코어(300) 외측면을 구성하는 전열판(100) 사이에 부착되어 고온유체(HF)와 저온유체(LF)의 유동에 의해 코어(300)가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코어스프링(400)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일 예는 도 2 및 도 6a에 서 보는 바와 같이 바 형상의 탄성판(420a)과 상기 탄성판(420a)의 양단에서 동일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410a)가 구성되는 코어스프링(400a)이 제시되는데,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420a)은 상기 플랜지(410a)와 직각을 이룰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코어(300)의 큰 열변형을 잡아 줄 필요가 있을 경우 탄성판(420a)에 경사구배(점선으로 도시된 부분)를 주어 탄성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 상에서 상, 하방향으로 탄성판(420a)을 배치하고 양 단의 플랜지(410a)를 케이싱(500)과 코어(300) 외측면을 구성하는 전열판(100)에 각각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코어스프링(400a)의 플랜지(410a) 사이에는 판형의 제 1보온재(430)가 삽입될 수 있는 바, 이렇게 복수의 코어스프링(400a) 간에 제 1보온재(430)를 장착함으로써 코어(300)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른 예의 코어스프링(400b)은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탄성판(420b)과 상기 탄성판(420b)의 양단에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410b)가 구성되는 바, 상기 탄성판(420b)의 경우도 상기 플랜지(410b)와 직각을 이룰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코어(300)의 큰 열변형을 잡아 줄 필요가 있을 경우 탄성판(420b)에 경사구배(점선으로 도시된 부분)를 주어 탄성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플랜지(410b)와 전열판(100) 또는 플랜지(410b)와 케이싱(500) 사이에는 제 1보온재(43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스프링(400)에 더하 여 상기 케이싱(500)과 상기 지지빔(600)의 내주연과 상기 코어(300)의 외주연 사이에 부착되는 테두리 스프링(700)이 더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 스프링(700)의 경우도 코어(300)의 열변형을 보정해 주는 기능을 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테두리 스프링(700)은 바 형상으로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동일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710)가 구성되는 바, 각각의 플랜지(710)가 케이싱(500)의 내주연, 지지빔(600)의 내주연 및 코어(300)의 외주연으로 고온유체(HF)가 유입되는 제 1유동로(210)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테두리 스프링(7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4면에 구성되는 바, 도면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된 바 형상 즉 4각 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각 분리된 형상으로 4면에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더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상 하부에는 코어(300) 등의 자중에 의해 테두리 스프링(700)의 형상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플랜지(710) 사이에 스톱바(72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300)에는 고온유체(HF)가 유입되는 입구 측의 전열판(100) 즉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1절곡부(110) 또는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2절곡부(120)의 끝단에 보호커버(800)가 각각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등에서는 페어(200) 간에 부착된 제 2절곡부(120)의 끝단에 보호커버(800)가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보호커버(800)의 구성에 의해 고온유체(HF)에 의해 노출되는 경우 부착된 제 2절곡부(120)의 사이로 누설이 발생하여 고온유체(HF)와 저온유체(LF)가 혼합될 수 있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유체(HF)에 의해 제 2절곡부(120)의 끝단이 마모 등 열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8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절곡부(120)를 감싸는 "v"자 형상의 덮개부(810)와 덮개부(810)의 양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측판부(820)로 구성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측판부(820)가 제 1유동로(210)와 연하도록 구성하여 고온유체(HF)의 역유입으로 인한 부착된 제 2절곡부(120)에서 누설, 마모 등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800)를 부착된 제 2절곡부(120)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도 7a 및 도 7b에서는 지지단(830)을 제시한다. 상기 지지단(830)은 제 1유동로(210)를 형성하는 전열판(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보호커버(800)와 부착되는 구성으로 특히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단(830)의 일측만이 상기 보호커버(8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지지단(830)마다 보호커버(800)와 1개의 부착점(831)을 구성하여 상기 부착점(831)이 구성된 타 측의 보호커버(800)는 타 지지단(830)과 부착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보호커버(800) 및 지지단(830)이 고온유체(HF)에 노출됨에 의해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에 보호커버(800) 간에 위치하는 지지단(830)에 있어 보호커버(800)의 일측만을 지지단(830)과 부착시킴으로서 열변형에 의한 신축량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c 및 도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800)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지지프레임(840)이 제시되는 바, 상기 지지프레임(840)은 일측에 복수의 돌출단(841)을 구성하여 각각의 돌출단(841)이 제 1유동 로(210)로 삽입되어 전열판(100)의 평판부(130) 및 보호커버(800)에 부착됨으로써 각각의 보호커버(8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800)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는 보호커버(800)에는 도면상 하단 방향으로 절곡테두리(842)를 구성하여 절곡테두리(842)의 도면상 내주연에서 테두리 스프링(700)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싱(500)과 상기 지지빔(600)의 내주연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의 제 2보온재(900)가 구성되며 이러한 제 2보온재(900)를 감싸는 구성으로 보온재커버(910)가 더 구성된다. 상기 보온재커버(910)는 "ㄱ"자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싱(500)과 상기 지지빔(600)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 2보온재(900)를 구성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며, 도면상 상단, 하단에 구성되는 보온재커버(910)는 보호커버(800)와 접하는 면에 복수의 삽입홈(911)을 구성하여 보온재커버(910)가 제 2보온재(900)를 고정하고 이와 더불어 보온커버(8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온재(900) 및 보온재커버(91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바, 도 2 등에서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전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페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단면도, 평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단면도 평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코어스프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어에 보호커버가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열판 200 : 페어
300 : 코어 400 : 코어스프링
500 : 케이싱 600 : 지지빔
700 : 테두리 스프링 800 : 보호커버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한 쌍의 전열판이 부착되어 내부에 제 1유동로가 형성되는 페어가 조립되어 페어와 페어 사이에 제 2유동로가 형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있어 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전열판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스프링과;
    상기 코어스프링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한 쌍의 케이싱과;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의 사이에 부착되는 지지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지지빔의 내주연과 상기 코어의 외주연 사이에 부착되는 테두리 스프링이 더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 스프링은 바 형상으로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플랜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스프링의 플랜지에는 스톱바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사각판상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절곡부와, 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 2절곡부가 형성되는 전열판과; 상기 전열판을 한쌍으로 하여 각각 대향하는 제 1절곡부를 부착하여 내부에 제 1유동로가 형성되는 페어와; 상기 페어를 조립하되 각각 대향하는 제 2절곡부를 부착하여 페어와 페어 사이에 상기 제 1유동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유동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코어에는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1절곡부 또는 각각 부착된 한 쌍의 제 2절곡부의 끝단에 보호커버가 각각 더 구성되며, 상기 보호커버 간에는 각각 지지단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간에 상기 지지단이 부착됨에 있어 지지단의 일측만이 상기 보호커버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11729A 2008-04-04 2009-02-13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KR100917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478 2008-04-04
KR20080031478 2008-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423B1 true KR100917423B1 (ko) 2009-09-14

Family

ID=4135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729A KR100917423B1 (ko) 2008-04-04 2009-02-13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54B1 (ko) * 2013-01-15 2014-09-15 (주)한국이에스테크 조립형 판형 열교환기
KR101544148B1 (ko) * 2014-04-24 2015-08-13 (주)한국이에스테크 법랑층이 형성된 조립형 판형 열교환기
KR20170000932U (ko) 2015-09-03 2017-03-13 (주)히릭스태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의 코어구조
KR20170143038A (ko) * 2016-06-17 2017-12-29 반도이앤티(주) 슬러리가 포함된 유체용 판형 열교환기
KR20190004556A (ko) 2017-07-04 2019-01-14 박덕열 산노점 방지 기능을 갖는 판형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044B1 (ko) * 1991-02-20 1993-06-12 김경철 평판형 열교환기
KR200403611Y1 (ko) * 2005-07-16 2005-12-12 이진철 한지를 이용한 판형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044B1 (ko) * 1991-02-20 1993-06-12 김경철 평판형 열교환기
KR200403611Y1 (ko) * 2005-07-16 2005-12-12 이진철 한지를 이용한 판형 열교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54B1 (ko) * 2013-01-15 2014-09-15 (주)한국이에스테크 조립형 판형 열교환기
KR101544148B1 (ko) * 2014-04-24 2015-08-13 (주)한국이에스테크 법랑층이 형성된 조립형 판형 열교환기
KR20170000932U (ko) 2015-09-03 2017-03-13 (주)히릭스태화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의 코어구조
KR20170143038A (ko) * 2016-06-17 2017-12-29 반도이앤티(주) 슬러리가 포함된 유체용 판형 열교환기
KR101868853B1 (ko) * 2016-06-17 2018-07-20 반도이앤티(주) 슬러리가 포함된 유체용 판형 열교환기
KR20190004556A (ko) 2017-07-04 2019-01-14 박덕열 산노점 방지 기능을 갖는 판형 열교환기
KR101965245B1 (ko) 2017-07-04 2019-04-03 박덕열 산노점 방지 기능을 갖는 판형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89B1 (ko) 단부 패널들에 개선된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외부 열교환기 평판들을 구비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KR100917423B1 (ko) 고온가스용 판형 열교환기
US7744096B2 (en) Seal device
US8033323B2 (en) Heat exchanger
KR100600983B1 (ko) 경수로 원자로용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체
AU2010239899B2 (en) Heat exchanger
US8028410B2 (en) Gas turbine regene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71830B1 (ko)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EP2458312B1 (en) Heat exchan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196319A (ja) Egrクーラ用熱交換器のチューブ支持構造
US20110017428A1 (en) Plane type heat exchanger
CN115420134A (zh) 一体式热交换器
JP6840008B2 (ja) 熱交換器、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熱源機
KR100848329B1 (ko)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KR101437054B1 (ko) 조립형 판형 열교환기
CN103097847A (zh) 热交换器
KR101789504B1 (ko) 적층형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1017328B1 (ko) 열교환기용 전열판 및 이 전열판이 설치된 완전용접형 열교환기
KR101109856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성하는 열교환배관
CN111141163B (zh) 焊接式板形热交换器
JP2003314980A (ja) 高温用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KR101985250B1 (ko) 보일러용 스테인리스 열교환기의 측판 구조
RU2701740C1 (ru) Головка цилиндров с признаками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сжатия выпуск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JP4352504B2 (ja) 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CN113167552A (zh) 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