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268B1 - 필터 겸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겸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268B1
KR100916268B1 KR1020070132422A KR20070132422A KR100916268B1 KR 100916268 B1 KR100916268 B1 KR 100916268B1 KR 1020070132422 A KR1020070132422 A KR 1020070132422A KR 20070132422 A KR20070132422 A KR 20070132422A KR 100916268 B1 KR100916268 B1 KR 10091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filter
case
pharmaceutical agent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893A (ko
Inventor
권성조
Original Assignee
한립지엘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립지엘공업(주) filed Critical 한립지엘공업(주)
Priority to KR102007013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2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 F26B17/0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having a sieve, e.g. classifying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겸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처리조에서 액체를 함유한 의약제제를 필터링시키고, 별도의 교반용 블레이트를 회전시켜 필터링의 수율을 높이도록 하며, 처리조의 외부 자켓에 증기를 토출하여 필터링된 화공약품 및 의약제제를 동체 회전시키면서 진공/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의약제제 공정을 완료하도록 한 필터 겸용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단일의 처리조를 통해 교반, 여과 필터링,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구성하는 설비비용이 저렴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의약제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게 의약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의약제제의 이동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132422
의약제제, 화학약품, 건조장치, 필터.

Description

필터 겸용 건조장치{FILTER AND DRY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 겸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단일의 처리조에서 액체를 함유한 의약제제를 필터링시키고, 별도의 교반용 블레이트를 회전시켜 필터링의 수율을 높이도록 하며, 이후 교반동력의 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처리조의 외부 자켓에 증기를 토출하여 필터링된 의약제제를 동체 회전시키면서 진공/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의약제제 공정을 완료하도록 한 필터 겸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초정밀 화학약품이나 의약제제는 다수의 처리조를 거치면서 여과, 세정, 건조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바, 통상 액체가 함유된 의약제제는 별도의 여과조에서 여과 처리를 수행한 이후에 건조처리를 수행하는 처리조에서 동체 회전시키면서 진공/건조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처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별개의 처리조를 통해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처리조들로 의약제제를 이동시키는 데에는 별도의 에너지가 소모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처리조를 통해 각 공정을 처리하게 되므로 처리조간의 이동시간이 더 소요되므 로 신속한 의약제제의 완성품을 얻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일의 처리조에서 액체를 함유한 의약제제를 필터링시키고, 별도의 교반용 블레이트를 회전시켜 필터링의 수율을 높이도록 하며, 처리조의 외부 자켓에 증기를 토출하여 필터링된 화공약품 및 의약제제를 동체 회전시키면서 진공/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의약제제 공정을 완료하도록 한 필터 겸용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일측면 결정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받아 필터링 및 교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해, 그 상단 결정부에 배출부(20)와 맨홀(2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양측 외주연 중심에는 각각 고정부(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져 있고, 그 하단 내부에는 여과부(D) 및 교반부(E)가 설치된 처리조(B)와;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내부에 다수의 볼베어링이 내설되어진 고정부(6)와; 상기 고정부(6)와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통해 연결되어져 외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시키기 위한 의약제제 공급부(10)와;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처리조(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C)와; 상기 처리조(B)의 내부 하 단에 구비되어, 의약제제에 포함된 액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부(D)와; 상기 처리조(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D)에 의해 여과되는 의약제제의 필터링 수율을 높이며, 의약제제가 잘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반부(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조(B)는 그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로부터 일측 고정부(6)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된 진공 파이프(26)와, 그 진공파이프(26)의 일단에 설치된 필터(24)와, 그 진공파이프(26)의 타단에 설치되어 외부로 처리조(B) 내부의 기화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배출부(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C)는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에 결합된 종동 피니언기어(8)와, 그 종동 피니언기어(8)와 체결되는 구동 피니언기어(12)와,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12)와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부(D)는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단 소정부에 배수구(48)와 배수밸브(50)가 구비되며, 내부에 액체 체류실(46)이 구비된 배출부케이스(40)와; 상기 배출부 케이스(40)와 처리조 케이스(16)의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와, 액체 체류실(46)을 차폐하고, 그 상부의 의약제제로 부터 액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다수의 모세공(36a)이 형성된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와 배출부케이스(40)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44)와; 상기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 스(16) 및, 상기 여과필터(36)와 배출부케이스(4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패킹(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부(E)는 상기 여과부(D)의 상단에 위치되어 의약제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34)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34)의 중앙에 결합된 블레이드 샤프트(32)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용 구동모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조(B)는 그 처리조 케이스(16)의 외부에 둘러싸여 그 내부로 기화 증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증기자켓(18)과; 상기 증기자켓(18)과 연통되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증기자켓(18)의 소정부에 연통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파이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부(E)는 상기 여과부(D)가 구성된 처리조(B)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그 교반부(E)의 블레이드 샤프트(32)가 처리조(B)의 내부를 가로 질러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는 단일의 처리조를 통해 교반, 여과 필터링, 회전,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구성하는 설비비용이 저렴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의약제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게 의약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의약제제의 이동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의 여과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는 단일의 처리조에서 액체를 함유한 의약제제를 필터링시키고, 별도의 교반용 블레이트를 회전시켜 필터링의 수율을 높이도록 하며, 처리조의 외부 자켓에 증기를 토출하여 필터링된 의약제제를 진공/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의약제제 공정을 완료하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는 그 일측면 결정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받아 필터링 및 교반, 진공/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조(B)가 구비되는 바, 그 처리조(B)는 그 상단 소정부에 공정이 완료된 후, 완성된 의약제제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2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배출부(20)의 상단에 클램프로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맨홀(22)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처리조(B)의 양축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축상에 로터리 조인트(F)가 각각 축설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B)는 그 양측 외주연 중심에는 각각 고정부(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져 있고, 그 하단 내부에는 여과부(D) 및 교반부(E)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에는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미도시)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내부에 다수의 볼베어링(미도시)이 내설되어진 고정부(6)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고정부(6)는 하단에 결합된 다리부(4)에 의해 일정높이로 지지되게 되므로, 그 고정부(6)가 처리조(B)의 양측단을 고정하게 되므로 처리조(B)가 회전 가능한 높이에 고정되게 된다.
또, 상기 고정부(6)와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통해 연결되어져 외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시키기 위한 의약제제 공급부(10)가 구비되는 바, 그 의약제제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의약제제는 상기 고정부(6) 내부에 구성된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처리조(B)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에는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처리조(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C)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처리조(B)의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의약제제에 포함된 액체나 수분을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부(D)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에는 상기 처리조(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D)에 의해 여과되는 의약제제의 필터링 수율을 높이며, 의약제제가 잘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교반부(E)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처리조(B)는 그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로부터 일측 고정부(6)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된 진공 파이프(26)와; 그 진공파이프(26)의 일단에 설치된 필터(24)와; 그 진공파이프(26)의 타단에 설치되어 외부로 처리조(B)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 배출부(28)가 더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진공 배출부(28)는 별도의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져 상기 처리조(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진공파이프(26)는 외부의 상기 진공 배출부(28)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진공파이프(26)는 상기 처리조(B)의 내부로 유입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B)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진공파이프(26)의 종단부에는 필터(24)가 부착되어져 있는 바, 상기 처리조(B)를 외부로 배출할 때 의약제제가 상기 진공파이프(26)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상기 필터(24)가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파이프(26)의 하단에는 상기 처리조(B)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25)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C)는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에 결합된 종동 피니언기어(8)와, 그 종동 피니언기어(8)와 체결되는 구동 피니언기어(12)와,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12)와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4)로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4)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키게 되면, 그 구동모터(14)의 축에 축설된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12)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그 구동 피니언기어(12)와 체결된 상기 종동 피니언기어(8)가 회전되게 되며, 상기 종동 피니언기어(8)와 연결된 상기 처리조(B)가 회전되게 된다.
한편,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여과부(D)는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단 소정부에 배수구(48)와 배수밸브(50)가 구비되며, 내부에 액체 체류실(46)이 구비된 배출부케이스(40)와; 상기 배출부 케이스(40)와 처리조 케이스(16)의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와, 액체 체류실(46)을 차폐하고, 그 상부의 의약제제로부터 액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다수의 모세공(36a)이 형성된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와 배출부 케이스(40)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44)와; 상기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스(16) 및, 상기 여과필터(36)와 배출부케이스(4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패킹(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약제제 공급부(10)를 통해 상기 처리조(B)로 유입된 의약제제는 그 내부에 수분과 액체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액체는 자중과 밀도에 의해 상기 모세공(36a)이 형성된 여과필터(36)에 위치되면서 액체가 그 모세공(36a)을 통과하여 상기 액체체류실(46)로 낙하되게 된다.
일정시간 의약제제에 포함된 액체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상기 배수밸브(50)를 개방시켜 상기 배수구(48)를 통해 액체체류실(46)로 낙하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교반부(E)는 상기 여과부(D)의 상단에 위치되어 의약제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34)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34)의 중앙에 결합된 블레이드 샤프트(32)와; 상기 블레이드 샤프트(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용 구동모터(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반부(E)는 의약제제의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반응 동작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여과부(D)를 통한 액체 필터링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의약제제를 섞도록 한다.
즉, 상기 여과부(D)를 통해 액체 여과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구동모터(30)를 구동시켜 상기 교반 블레이드(34)가 상기 여과필터(36)의 상부에서 회전되게 한다.
한편, 상기 처리조(B)에는 그 처리조 케이스(16)의 외부에 둘러싸여 그 내부로 증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증기자켓(18)과; 상기 증기자켓(18)과 연통되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 공급파이프(미도시) 및, 상기 증기자켓(18)의 결정부에 연통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파이프(미도시)가 더 포함되어져 있다.
상기 처리조(B)에 구비된 여과부(D)와 교반부(E)를 통해 의약제제의 액체 여과와 교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처리조(B)의 내부에 잔존하는 의약제제를 분말상태로 건조시키는 바,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외부에 둘러싸여 그 내부로 증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증기자켓(18)과 연통된 증기 공급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증기가 공급되면 그 증기는 상기 증가자켓(18)의 내부인 증기수용부(19)로 유입되어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에 잔존하는 의약제제가 분말상태로 건조되게 된다.
의약제제의 건조시 상기 회전부(C)를 회전시킴으로써 의약제제의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의약제제가 골고루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케이스(40)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밸브(50) 및 배수구(48)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클램프(44)를 통해 상기 배출부 케이스(4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액체 체류실(46)에 필터링되어 체류하는 수분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의 다른 교반부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3은 도 1, 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2)와 동일한 기능은 가지나, 일부 구성의 위치를 달리하여 각 공정의 원활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른 처리조 케이스(116)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처리조 케이스(116)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 배출부 케이스(140)가 호형태로 커버링되어져 있으며, 그 배출부 케이스(140)는 처리조 케이스(116)에 대해 클램프(44)로 고정된 형식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와 배출부 케이스(140)의 사이에는 여과 필터(36)와 패킹(42)이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는 그 상단에 교반부가 마련되어져 있는 바,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의 상단 소정부에 교반용 구동모터(130)가 장착되어져 있고, 그 교반용 구동모터(130)의 축에 블레이드 샤프트(13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블레이드 샤프트(132)는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여과필터(36)의 상부까지 형성되어져 있고, 그 블 레이드 샤프트(132)의 끝단에 교반 블레이드(134)가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 여과필터(36)의 하부에는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필터(36)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37)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여과필터(36)의 하부에는 수분 체류실(46)이 구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의 양축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축상에 로터리 조인트(F)가 각각 축설되어져 있으며, 상기 처리조 케이스(116)의 내부에는 처리조 케이스(116)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5)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 케이스(140)는 그 하단 중앙에 배수구(148)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배수밸브(150)로 그 배수구(148)를 개폐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필터 겸용 건조장치는 상기 배출부 케이스(140)에 블레이드 샤프트(132)가 장착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장치를 구성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배수구(148)를 배출부 케이스(140)의 중앙 하단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수가 매우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의 여과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겸용 건조장치의 다른 교반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처리조, C:회전부,
D:여과부, E:교반부,
6:고정부, 8:종동피니언기어,
10:의약제제 공급부, 12:구동피니언기어,
14:구동모터, 16:처리조케이스,
18:증기자켓, 20:배출부,
32:블레이드 샤프트, 34:교반 블레이드,
36:여과필터.

Claims (7)

  1. 일측면 결정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받아 필터링 및 교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해, 상단 소정부에 배출부(20)와 맨홀(2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양측 외주연 중심에는 각각 고정부(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져 있고, 하단 내부에는 여과부(D) 및 교반부(E)가 설치된 처리조(B)와;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내부에 다수의 볼베어링이 내설되어진 고정부(6)와;
    상기 고정부(6)와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통해 연결되어져 외부로부터 의약제제를 공급시키기 위한 의약제제 공급부(10)와;
    상기 처리조(B)의 양측 중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처리조(B)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C)와;
    상기 처리조(B)의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의약제제에 포함된 액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부(D)와;
    상기 처리조(B)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부(D)에 의해 여과되는 의약제제의 필터링 수율을 높이며, 의약제제가 잘 필터링되도록 하는 교반부(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D)는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 소정부에 배수구(48)와 배수밸브(50)가 구비되며, 내부에 액체 체류실(46)이 구비된 배출부케이스(40)와; 상기 배출부 케이스(40)와 처리조 케이스(16)의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의 내부와, 액체 체류실(46)을 차폐하고, 상부의 의약제제로부터 액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다수의 모세공(36a)이 형성된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스(16)와 배출부케이스(40)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44)와; 상기 여과필터(36)와 상기 처리조 케이스(16) 및, 상기 여과필터(36)와 배출부케이스(4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패킹(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겸용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32422A 2007-12-17 2007-12-17 필터 겸용 건조장치 KR10091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22A KR100916268B1 (ko) 2007-12-17 2007-12-17 필터 겸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22A KR100916268B1 (ko) 2007-12-17 2007-12-17 필터 겸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93A KR20080005893A (ko) 2008-01-15
KR100916268B1 true KR100916268B1 (ko) 2009-09-17

Family

ID=3921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422A KR100916268B1 (ko) 2007-12-17 2007-12-17 필터 겸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6B1 (ko) * 2011-11-02 2013-09-10 주식회사 한강엔지니어링 세척이 용이한 여과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64B1 (ko) * 2008-02-22 2008-05-26 박진신 유골 제습 장치
CA2978389A1 (en) * 2016-09-08 2018-03-08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mi-autonomous control of an industrial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320A (ja) * 1995-05-17 1999-05-18 マリンクロッド・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ナッシュ型フィルタ/乾燥機における強制対流乾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320A (ja) * 1995-05-17 1999-05-18 マリンクロッド・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ナッシュ型フィルタ/乾燥機における強制対流乾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6B1 (ko) * 2011-11-02 2013-09-10 주식회사 한강엔지니어링 세척이 용이한 여과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93A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997B1 (ko) 화학약품용 필터드라이어
JP3347963B2 (ja) 真空回転乾燥機
KR100916268B1 (ko) 필터 겸용 건조장치
ES2809373T3 (es) Un reactor que comprende una boquilla para limpiar fluido y un método
JPH09117654A (ja) 攪拌槽の洗浄装置
EP3062758B1 (en) Tablet sampler assembly
CN112371069B (zh) 一种连续式反应、结晶、过滤、洗涤、干燥系统
EP1604747B1 (en) A washing apparatus and a valve device comprising said apparatus
CN207655143U (zh) 一种用于农药生产的反应装置
KR20080014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8479959A (zh) 一种真空研磨烘干机
KR101038357B1 (ko) 필터드라이어의 교반날개를 이용한 정상배출 및 잔량배출 방법
RU229326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акуумной сушки
JP4705213B2 (ja) 排出装置
CN109225685A (zh) 洁净型卧式刮刀卸料离心机
CN211120280U (zh) 一种双锥回转真空多功能干燥器
CN220737489U (zh) 一种高效反应釜
JPH10156209A (ja) 加圧蒸煮減圧脱水乾燥破砕処理装置
JP2002195747A (ja) ろ過・乾燥装置
KR970006219Y1 (ko) 농약 분체, 입체 혼합기의 건조장치
JPH0720560B2 (ja) 遠心分離機
KR100217322B1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캣치컵 세정장치
CN105617965A (zh) 一种生物材料搅拌装置
KR100947750B1 (ko) 화학약품용 필터드라이어의 밸브장치
SU16855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ойки сосу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