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127B1 -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 Google Patents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127B1
KR100915127B1 KR1020080058094A KR20080058094A KR100915127B1 KR 100915127 B1 KR100915127 B1 KR 100915127B1 KR 1020080058094 A KR1020080058094 A KR 1020080058094A KR 20080058094 A KR20080058094 A KR 20080058094A KR 100915127 B1 KR100915127 B1 KR 10091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point
screen
displayed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현
이종원
신동욱
이보영
박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08005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과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스크롤을 조작하는 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고, 그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한 후,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몸체가 회전한 각도를 계산하여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몸체를 기울이는 동작으로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스크롤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점을 통해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스크롤될지 짐작할 수 있고, 상기 점을 터치하고 드래그 하는 동작으로도 화면의 스크롤을 조작할 수 있어 기존 방식보다 훨씬 편리하고 직관적인 화면스크롤 조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담은 매체{Media containing program to control screen scrolling with movement angle and screen tou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터치스크린과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스크롤을 조작하는 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울였을 때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방법이나 이러한 기능이 구비된 이통통신단말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단순히 단말기 몸체를 기울이는 방법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스크롤되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사용자는 화면이 직접 스크롤되는 것을 확인해 가면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빠르기로 스크롤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최근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활용하여 화면을 스크롤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기울기를 통하여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기능의 UI와 통일성 확보되지 않아서 혼동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통해서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때 화면이 스크롤되는 방향과 속도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서 화면 스크롤을 조작하는 UI를 통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표시된 내용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기억하는 기능;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몸체가 회전한 각도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해서 달성된다.
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표시된 내용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기억하는 기능;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해제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점을 상기 기준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는 기능;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스크린 및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표시된 내용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기억하는 기능;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몸체가 회전한 각도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해제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점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각도에 대응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더 구비함으로써 통합된 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몸체를 기울이는 동작으로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스크롤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점을 통해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스크롤될지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을 터치하고 드래그 하는 동작으로도 화면의 스크롤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존 방식보다 훨씬 편리하고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한 초기화면의 예
도2는 단말기 몸체의 윗부분을 아래로 기울인 경우 동작하는 화면을 표시한 예
도3, 도4는 각각 아래쪽 및 왼쪽으로 기울였을 때 화면에 표시된 점 및 스크롤되는 방향을 표시한 예
도5, 도6, 도7, 도8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화면의 예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한 초기화면의 예이다. 바탕의 전체화면에는 컨텐츠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고, 가운데 붉은 색으로 현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점(101)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점은 현재의 스크롤 상태뿐만 아니라 단말기 몸체의 기울기 또는 터치를 통해서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도2는 단말기 몸체의 윗부분을 아래로 기울인 경우 동작하는 화면을 표시한 예이다. 도1에서 보았던 빨간색 점은 기울기에 따라서 화면의 윗부분으로 이동해 있고(201), 이동한 방향으로 그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화면이 스크롤된다(202). 도3, 도4는 각각 아래쪽 및 왼쪽으로 기울였을 때 화면에 표시된 점 및 스크롤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단말기 몸체의 기울기는 수평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처음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점한 시점에 단말기가 취하고 있는 기울기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단말기 몸체를 기울였을 때 화면의 점과 화면이 스크롤되는 움직임은 화면에 표시된 점을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터치한 후 드래그할 때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도5, 도6, 도7, 도8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화면의 예이다. 여기에서 터치 후 드래그할 때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점의 모양을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의 예시에서는 손의 그림이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손을 떼면 화면에 표시된 점은 터치를 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터치스크린 및 중력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표시된 내용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기억하는 기능;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몸체가 회전한 각도를 계산하는 기능;
    상기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또는 그림이 포함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
    상기 표시된 내용 위에 일정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기억하는 기능;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점이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점이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 빠르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해제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점을 상기 기준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는 기능;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일정한 크기의 점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와 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점을 이동시키는 기능;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해제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점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각도에 대응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80058094A 2008-06-20 2008-06-20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KR10091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94A KR100915127B1 (ko) 2008-06-20 2008-06-20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094A KR100915127B1 (ko) 2008-06-20 2008-06-20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127B1 true KR100915127B1 (ko) 2009-09-03

Family

ID=4135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094A KR100915127B1 (ko) 2008-06-20 2008-06-20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8846A (zh) * 2015-05-14 2016-0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方向的方法及其移动终端
KR101680059B1 (ko) 2012-05-02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880A (ko) * 2004-10-05 2004-11-17 장중혁 휴대 정보 기기의 모션 센싱을 이용한 대화면 gui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JP2006113859A (ja) * 2004-10-15 2006-04-27 Ne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20060044229A (ko) * 2004-11-11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68590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휴대용 디지털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880A (ko) * 2004-10-05 2004-11-17 장중혁 휴대 정보 기기의 모션 센싱을 이용한 대화면 gui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JP2006113859A (ja) * 2004-10-15 2006-04-27 Ne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20060044229A (ko) * 2004-11-11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68590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휴대용 디지털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59B1 (ko) 2012-05-02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278846A (zh) * 2015-05-14 2016-0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方向的方法及其移动终端
CN105278846B (zh) * 2015-05-14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方向的方法及其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523B1 (ko)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JP611290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面スクロール方法及びその装置
JP5066055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42517B2 (en) Input gestures using device movement
US2011022784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touch pad and a display screen, and the electronic device
KR20100130671A (ko)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영역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WO2014030455A1 (ja) 画像の表示方向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59781A5 (ko)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JP2012053876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コンテンツ表示携帯端末及びその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20080066416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JP2019045637A (ja) 表示制御装置、ポインタ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5127B1 (ko) 터치 및 기울기를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프로그램을 담은 매체
JP2013054401A (ja) 携帯型電子機器、携帯型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11163422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sitioning a selection and selecting text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US11397524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inting and editing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WO2018090372A1 (zh) 电子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JP6119291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69419A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JP6945608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2600221B1 (en) Input gestures using device movement
WO20150960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rolling a content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tilt angle
TWI619046B (zh) 電子裝置的顯示介面控制系統及其控制方法
KR101458283B1 (ko) 디바이스의 기울임을 이용한 페이지 내 이동 및 페이지 전환 방법과 그 시스템
WO201818601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