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665B1 -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665B1
KR100913665B1 KR1020080011416A KR20080011416A KR100913665B1 KR 100913665 B1 KR100913665 B1 KR 100913665B1 KR 1020080011416 A KR1020080011416 A KR 1020080011416A KR 20080011416 A KR20080011416 A KR 20080011416A KR 100913665 B1 KR100913665 B1 KR 10091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air
plate
convex
ai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487A (ko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102008001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6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05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환경친화적이고 값싸며, 열전 및 열효율이 좋고 제작이 간단한 찬 공기→뜨거운 공기 교환 및 솔라셀 발전 장치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판 상에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볼록렌즈부(12)가 종횡으로 배열되게 하나의 판으로 성형한 볼록가열판본체(11)와, 이 볼록가열판본체(11)가 상부에 배치되고 각기 밀폐된 적당한 내 공간에서 초점(c)을 이루어 집중하게 한 위치로 덮여져 있고 그 하부에 상기 초점(c)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전하는 솔라셀판(3)과, 찬공기유입관(22)과 열기배출관(23)이 각기 일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되고 일정한 공기가열 내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가열솔라셀본체(21)로 이뤄져 있는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성형물로 집광집전하는 볼록 렌즈 공기가열판에 의한 값싸고 제작이 간단한 공기가열판 장치와 함께 동시에 솔라셀에 의한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어 공기열과 함께 전력이 필요한 것들 등 다양한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열에너지, 태양 광, 집열판, 열교환기, 전기

Description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Convex lens heater and electrical generator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참고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볼록렌즈가열판
11. 볼록가열판본체
12. 볼록렌즈부
2. 공기가열 솔라셀장치
21. 공기가열 솔라셀본체
22. 찬공기유입관
23. 열기유출관
3. 솔라셀판
31. 솔라셀본체
32. 출력단
a. 찬공기
b. 열기 c. 볼록렌즈 초점선
본 발명은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친환경적이고 값싸며, 열효율이 좋고 제작이 간단하게 될 수 있는 찬공기→열공기이 가능하고 동시에 솔라셀 발전장치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열 역학에 의한 열교환장치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례로, 이러한 교환장치는 화석 연료인 석유나, 석탄을 열에너지원으로 하거나, 물의 낙차를 이용한 수력 발전, 풍력, 조수 간만차이를 이용한 조력발전, 화력발전,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등 전기를 이용한 것들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그리고, 대다수가 상기 화석 연료를 이용한 기기나 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진전되어 있고, 화석 연료는 지구에서 제한된 것이므로 몇 십년 후면 고갈된다고 보고 있고, 개도국 등이 산업 경제의 발전을 위해 다량의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석에너지의 사용 빈도가 높아만 가고 있으며,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지역은 경제적 부담을 감당해야 하고, 연료 소비로 인한 환경 파괴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각 국은 화석 연료 대신 환경 친화적인 대체 에너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나, 비교적 값싸고 제작이 간단하며 환경 친화적인 만족할 만한 에너지 발생 기기나 열 교환 장치들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2007년 12.27.자로 본 발명인에 의해 선원으로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138039 호 '오목반사경 공기가열판 및 이를 이용한 공기가열 장치'와 동 특허출원 10-2008-0006821 호 '볼록렌즈 공기가열판 및 이를 이용한 공기가열장치'가 출원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 크기의 판 상에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오목반사경부를 갖는 공기가열판을 이루고 있고 이를 이용한 오목반사경 공기가열 장치를 성취하고 있다.
또, 본 출원인에 의한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의 오목반사경 공기가열장치는 위에 설치된 판이 단지 투명판 덮개로 광을 투과하도록 되어 있어 열 효율 면에서 보다 증강된 공기가열 장치를 제작하는데 미흡하여 본체내의 내공기를 가열 할 때 볼록렌즈와 오목반사경에 의한 상승된 공기 가열 장치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 들은 찬공기를 열공기로 변환 시키는 데는 제각기 장단점이 있을 수 있으나 공기열 발생과 동시에 전기를 일으키는 발전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및 환경친화적이고 값싸며, 열효율이 좋고 제작이 간단하게 될 수 있는 찬공기→열공기 교환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태양광에 의한 솔라셀 발전도 가능한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일정 크기의 판 상에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볼록렌즈부가 종횡으로 배열되게 하나의 판으로 성형한 볼록가열판과, 이 볼록가열판은 밀폐된 적당한 내 공간에서 각기 초점을 이루어 집중하도록 한 위치로 상부에 덮여져 있고 그 하부에는 상기 초점거리를 벗어난 위치로 설치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전하는 솔라셀판과, 외측에 찬공기유입관과 열기배출관이 각기 일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되고 일정한 공기가열 내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가열솔라셀본체로 이뤄져 있는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므로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2)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은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 단면도를 각기 나타내었다.
상기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2)의 볼록가열판(1)은 도1 및 도2와 같이 일정 크기의 정방형판 상에 종횡으로 다수의 볼록렌즈부(12)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것이 하나의 판으로 성형한 볼록가열판본체(11)로 이뤄져 있다.
상기 볼록가열판(1)을 이용한 공기가열 솔라셀장치(2)는 상기 볼록가열판본체(11)가 상부에 배치되고 각기 밀폐된 적당한 내 공간에서 초점(c)을 이루어 집중하도록 하게 한 위치로 덮여져 있다.
또, 그 하부에는 상기 초점(c)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서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전하는 솔라셀판(3)이 배치되어 있고, 이는 다수의 솔라셀이 집적되어 있는 솔라셀판본체(31)를 이루고 있으며, 이 솔라셀판본체(31)에는 외부로 전기를 출력하는 출력단(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찬공기유입관(22)과 열기배출관(23)이 정방형의 공기가열 솔라셀본체(21)에서 직선 또는 각형 등 일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되고 일정한 공기가열 내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열 솔라셀본체(21)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공기가열솔라셀장치(2)로 정방형으로 이뤄져 있으나, 이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1 및 도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볼록가열판(1)은 동일 초점으로 빛을 모으는 다수의 볼록렌즈부(12)가 판상인 볼록가열판본체(11)에 종횡으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어 각 볼록렌즈부(12)는 일정한 초점(c)에서 빛을 모아 열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볼록렌즈로 광을 투과하여 일정한 초점에서 모으면 가연재질의 종이 등에 불이 붙게 되는 이치와 같은 광학적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가열판(1)을 이용한 공기가열 솔라셀장치(2)는 볼록가열판(1)의 볼록렌즈부(12)가 각기 적당한 내공간에서 초점(c)을 이루도록 설치되 있어 태양광은 도2와 같이 볼록가열판(1)의 볼록렌즈부(12)를 경유하고 각 볼록렌즈부(12)의 초점(c)에서 빛이 모이면 공기가열 솔라셀본체(21)의 내공간 일정 부위에서 제각기 가열 현상이 일어나 내공간 공기를 가열한다.
이때,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2)에는 찬공기유입관(22)을 통해 찬공기(a)가 유입되면 볼록가열판(1)의 볼록렌즈부(12)로 가열되어 열기유출관(23)으로 열기(b)가 배출된다.
상기 찬공기(a)가 가열된 열기(b)는 온,난방 또는 열에너지로 구동되는 기기나 장치의 열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록가열판(1)의 볼록렌즈부(12) 초점을 벗어난 하부에 배치된 솔라셀판(3)은 솔라셀본체(31)에 다수의 솔라셀이 집적되어 있어 이들이 유효한 빛을 많이 흡수할 수 있고, 각기 본래의 평균 발전량을 웃도는 현상으로 집광되어 투명 유리창을 이용한 것 보다는 많은 광 에너지를 얻게 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많은 전기를 발전할 수 있다.
솔라셀들에 의해 집전된 전기는 솔라셀본체(31)에 구비된 +,-의 출력단(32)을 통하여 집전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집전되고 발전된 전력량에 따라 축전 장치가 구비된 전기/전자기기를 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성형물로 볼록렌즈에 의한 볼록가열판을 만들 수 있어 값싸고 제작이 간단하며 환경친화적인 공기가열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전기집전 및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이 환경 친화적이어서 화석에너지 고갈로 에너지난이 심화되는 원인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 비용 면에서 커다란 부담이 되는 문제점등을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전기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것을 이용한 다양한 기기의 출현을 예고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정 크기의 판 상에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볼록렌즈부(12)가 종횡으로 배열되게 볼록가열판본체(11)로 성형한 볼록가열판(1)과, 이 볼록가열판(1)이 각기 밀폐된 적당한 내 공간에서 볼록렌즈부(12)의 초점(c)을 이루어 집중하도록 한 위치로 덮여져 있고 그 하부에 상기 초점(c)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발전하는 솔라셀판(3)과, 찬공기유입관(22)과 열기배출관(23)이 각기 일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되고 일정한 공기가열 내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가열 솔라셀본체(21)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KR1020080011416A 2008-02-04 2008-02-04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KR10091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16A KR100913665B1 (ko) 2008-02-04 2008-02-04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16A KR100913665B1 (ko) 2008-02-04 2008-02-04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87A KR20090085487A (ko) 2009-08-07
KR100913665B1 true KR100913665B1 (ko) 2009-08-24

Family

ID=4120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416A KR100913665B1 (ko) 2008-02-04 2008-02-04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74Y1 (ko) * 2010-10-22 2011-05-27 임명규 태양 광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648A (en) * 1979-12-03 1981-07-02 Yoshimoto Ukita Solar heat collector
KR870002411Y1 (ko) * 1982-11-15 1987-07-16 모리게이 태양 에너지 축적장치
KR19980061013U (ko) * 1997-03-18 1998-11-05 신석균 보강렌즈를 갖인 히타용 렌즈판
KR200404279Y1 (ko) 2005-09-28 2005-12-21 신석균 솔라셀 공기가열 렌즈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648A (en) * 1979-12-03 1981-07-02 Yoshimoto Ukita Solar heat collector
KR870002411Y1 (ko) * 1982-11-15 1987-07-16 모리게이 태양 에너지 축적장치
KR19980061013U (ko) * 1997-03-18 1998-11-05 신석균 보강렌즈를 갖인 히타용 렌즈판
KR200404279Y1 (ko) 2005-09-28 2005-12-21 신석균 솔라셀 공기가열 렌즈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87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4589T3 (es) Aparato y sistema de utilización de energía solar integrada
Atiz et al. Assessment of electricity and hydrogen production performance of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s
KR20080020047A (ko) 태양열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용 입체모듈 및 이를이용한 복합발전방법
Mojumder et al. Study of hybrid photovoltaic thermal (PV/T) solar system with modification of thin metallic sheet in the air channel
JP2010166010A (ja) 集光閉空間三次元太陽電池
US7168252B1 (en) Solar heated generator
KR20100011442A (ko) 물볼록렌즈를 이용한 태양광보일러
KR20100101325A (ko) 태양열을 이용한 열교환기 및 난방장치
KR100913665B1 (ko) 공기가열 솔라셀 장치
KR20090132661A (ko) 태양광보일러
Al-Chaaban et al. Comparative study on photovoltaic and thermal solar energy concentrators
CN103807907A (zh) 利用太阳能的发电及供暖系统
KR10087558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열전대차 발전장치
CN203482116U (zh) 一种聚光半导体温差发电装置
KR101293420B1 (ko) 태양열 발전시스템
CN102842631B (zh) 太阳能聚光电热联供模组
KR20100013487A (ko) 액체렌즈 판
KR101019352B1 (ko) 투광성 집열조 및 보조 집광렌즈가 구비된 집광형 태양열 및 태양광 복합발전 장치
KR100913664B1 (ko) 볼록렌즈 공기가열판 및 이를 이용한 공기가열장치
KR101205462B1 (ko) 양면 태양 전지를 이용한 빛 가이딩 방식의 집광형 모듈
KR20100006610U (ko) 솔라셀 렌즈덮개
CN203933530U (zh) 高倍多次聚光热电联产光伏组件
CN202736958U (zh) 太阳能聚光电热联供模组
CN201766530U (zh) 聚焦式水冷散热太阳能发电装置
TWM397437U (en) Composite electric power genera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photoelectric and thermoelectric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