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812B1 -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812B1
KR100912812B1 KR1020070087727A KR20070087727A KR100912812B1 KR 100912812 B1 KR100912812 B1 KR 100912812B1 KR 1020070087727 A KR1020070087727 A KR 1020070087727A KR 20070087727 A KR20070087727 A KR 20070087727A KR 100912812 B1 KR100912812 B1 KR 10091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anagement device
mobility management
address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986A (ko
Inventor
양우진
김태일
정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4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 방법은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게 주소를 할당하는 주소관리부; 상기 이동단말이 상이한 서브넷(Sub-net)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이동성관리부; 및 상기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여주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핸드오버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고, 기존 인프라 구조를 최소로 변경하여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of mobile terminal in distribu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Pv6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P 기반의 인프라 구조를 최소로 변경하여 IPv6 네트웍에서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분산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61-01, 과제명:IPv6기반의 QoS 서비스 및 단말 이동성 지원 라우터 기술개발].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무선랜이 보급되었으며, 휴대 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단순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라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지만 끊김 없는 서비스의 제공이나 이동성 제공을 위해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특히 VoIP나 사용자 생산 컨텐츠(UCC)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품질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존 유무선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ll-IP 기반 네트워크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All-IP 기반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Mobile IPv6(MIPv6)가 등장하였다.
MIPv6는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 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IETF의 표준화에 의해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서브넷 사이에서의 빠른 핸드오버를 위해 Fast Handover와 Hierarchical MIPv6가 제시 되었으며 어느 정도의 속도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최근에는 링크 계층(L2)과의 최적화를 통해 더욱 빠른 핸드오버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MIPv6는 아직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만큼 충분한 핸드오버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MIPv6의 문제점은 망 적용의 문제이다. MIPv6를 제공하는 라우터가 적재적소에 필요하며 모든 이동 단말에도 별도의 MIPv6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것은 모든 단말의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며, 단말이 복잡한 연산으로 인해 상당한 수준의 부담을 지게 된다. 특히 이동 단말이 소형화 저전력화, 단순화 되는 경우 이 문제는 더 큰 부담이 된다.
단말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측에서 이동성에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 하는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NetLMM)방안이 표준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MIPv6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Mobile IPv6(MIPv6)가 이동 단말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구조이므로, 이동성 제공을 위해 주소 재할당, 위치 등록 등을 고속으로 수행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는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게 주소를 할당하는 주소관리부; 상기 이동단말이 상이한 서브넷(Sub-net)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이동성관리부; 및 상기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여주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의 이동성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지역을 관 할하는 제2이동성 관리장치, 그리고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이동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의 현재 주소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은 기존 인프라 구조를 최소로 변경하여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망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구조를 개선하였고, 이동성 관리에 필요한 주소 재할당, 위치 등록 등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사항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이동 단말에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사이에서 주소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주소 연결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의한 분산 방식의 이 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성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한다. 주소관리부(110)는 자신에게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단말의 요청을 받으면 그 요청의 적합성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게 주소를 할당한다. 이동성관리부(120)는 상기 이동단말이 다른 서브넷(Sub-net)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여주는 인터페이스기능을 제공한다.
위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주소관리부(110)는 주소풀(111)과 주소할당부(113)로 구성된다. 주소풀은 관리장치(100)로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주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다가 주소할당부(113)의 요청에 따라 그 중 하나의 주소를 제공한다.
이동성관리부(120)내의 데이터베이스(123)는 등록된 이동단말이 다른 이동성 관리 장치에 의하여 관리를 받는 경우, 즉 다른 이동성 관리 장치의 관할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그 장치와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3)가 저장하고 있는 상기 연결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이동 단말의 정확한 이동 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목적지 변경부(125)는 상기 등록된 이동단말이 다른 서브넷으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이동단말의 현 위치에 맞도록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3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패킷처리부(131)는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수신하거나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관리부(133)는 상향 인터페이스부(135)와 하향인터페이스부(135)의 상태를 관리한다.
상향인터페이스부(135)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상위 노드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1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140)를 제공하여 양자간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하향인터페이스부(137)는 L2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위 노드를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15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예를 들면, 상향 인터페이스는 IPv6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고, 하향 인터페이스는 L2 스위치에 연결 되어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향 또는 하향 인터페이스가 2개 이상일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인터페이스 하나에 분배기로 연결된 구조나, 하향 인터페이스에 L2 스위치가 연결되어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과 논리적으로 동일하고 할 수 있다. 또한 하향 인터페이스 외부 연결(150)은 L2 스위치로 이루어진 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210)이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장치(1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장치(100)는 이동 단말(210)의 등록 요청 즉 주소 요청(220)에 따라 주소 풀(111)로부터 적절한 주소를 선택하여 주소 할당 부(113)를 통해 이동 단말(210)에게 주소를 부여(230)한다.
도 3은 이동 단말(210)이 제1 이동성 관리장치(100)에 등록한 이후, 이동하여 제2 이동성 관리장치(300)의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황에서, 제2 이동성 관리 장치(300)가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에게 이동 단말의 위치가 바뀌어 해당 단말의 관리자가 자신 즉 제2 이동성 관리 장치(300)라는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이동성 관리 장치(300)는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에게 주소연결정보를 등록(320)알려주고, 그에 따라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가 처리한 결과, 즉 이동 단말에 대한 연결 정보를 올바르게 등록하였다는 내용의 등록 확인 정보를 수신(330)한다.
예컨데, MIP 망 및 MIPv6 망에 적용한다면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은 Home Agent(HA)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제2 이동성 관리 장치(300)는 Foreign Agent(FA)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연결 정보 등록(320)은 Binding Update(BU), 등록 처리 결과(330)는 Binding Acknowledge(BACK)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동 단말(460)이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에 등록한 이후, 제2 이동성 관리 장치(400)로 이동하여 그 이동성 관리 장치(400)의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황에서, 이동 단말(470)에게 전달해야 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온 경우(420), 최초에 이동단말이 등록된 제1 관리장치(100)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이동 단말(470)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부재번호 460의 이동단말과 부재번호 470의 이동단말은 동일한 이동단말이다. 가장먼저 이동단말은 제1 이동성 관리 장치(100)에 등록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주소를 할당 받게 된다(S510).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420)는 최초에 등록된 주소로 배달되므로 제1 관리장치(100)로 전달되며, 이 때 제1 관리장치(100)의 주소 목적지 변경부(125)는 주소 연결정보 데이터베이스(123)에 따라 처리된다. 이를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관리장치는 이동 단말의 이동 정보를 저장하고 그 이동단말이 이동한 지역을 관할하는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이동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단말의 이동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이동성을 추적한다. 이동 단말이 제1 관리장치(100)의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460)라면 데이터베이스는 단말(460)의 주소가 처음 등록된 그대로라고 알려주며, 전송되는 데이터(420)는 이동 단말의 원래 주소로 전송(430)된다. 만약 이동 단말이 제2 관리장치(400)의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470)라면 제1 관리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는 단말(470)의 주소가 제2 관리장치(400)를 통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어, 전송되는 데이터(420)는 이동 단말의 변경된 주소로 전송(450)되어 제2 이동성 관리 장치(400)로 전달된다(이상 S520 내지 S530). 제2이동성 관리 장치(400)는, 전송되어 온 데이터(440)가 제2 이동성 관리 장치(400)의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470)의 주소가 변경되어 전달되어 왔음을 알게 되며, 주소 목적지 변경부(125)를 통해 이동 단말의 원래 주소로 변환하여 하향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S540).
예컨데, IPv6 주소 체계를 사용할 경우, 주소 목적지 변경부(125)는 IP 헤더의 주소를 직접 변경하는 방법으로 전송 위치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IP 헤더를 또 다른 IP 헤더로 캡슐화 하여 터널링 방식으로 전달할 수도 있 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를 제시한 것이며, 사용된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으로 의미 및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이동 단말에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사이에서 주소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주소 연결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의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주요부재번호에 대한 설명
100: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110: 이동성 관리 장치 내의 주소 관리부
111: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이동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주소를 저장하는 기능블록
113: 하향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이동 단말에게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장치
120: 이동성 관리 장치 내의 주소 연결 정보 관리 장치
121: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 단말의 주소 연결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123: 이동성 관리를 위한 이동 단말의 주소 연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125: 연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패킷을 처리하는 기능 블록
130: 이동성 관리 장치 내의 트래픽 제어 장치
131: 이동성 관리 장치 내의 패킷 처리 장치
133: 이동성 관리 장치 내의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35: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상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블록
137: 이동성 관리 장치에서 하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블록
140: 이동성 관리 장치 외부로 연결된 상향 인터페이스
150: 이동성 관리 장치 외부로 연결된 하향 인터페이스
210: 이동성 관리를 받기를 원하는 이동 단말
220: 이동성 관리를 받기 위해 이동 단말이 관리장치에게 주소를 요청하는 통신
230: 이동성 관리를 받기 위해 이동 단말이 관리장치로부터 주소를 할당 받는 통신
320: 이동 단말이 타 관리장치로 이동할 때, 주소연결정보를 알리기 위한 통신
330: 이동 단말이 타 관리장치로 이동할 때, 주소연결이 등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통신
410: 이동 단말과 통신하고자 하는 외부 서버 장치
420: 이동 단말과 통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패킷 전송
430: 이동 단말이 주소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하향 인터페이스로 전달
440: 이동 단말이 주소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주소 변환 후 타 관리장치로 전달
450: 이동 단말이 주소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주소 변환 후 하향 인터페이스로 전달

Claims (14)

  1.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게 주소를 할당하는 주소관리부;
    상기 이동단말이 상이한 서브넷(Sub-net)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이동성관리부; 및
    상기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하여주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상위 노드와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를 연결하는 상향인터페이스부; 및
    L2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위 노드를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관리부는
    할당할 수 있는 주소 목록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주소풀; 및
    상기 주소풀내의 주소중의 하나를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는 주소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관리부는
    상기 이동단말이 다른 이동성 관리 장치에 의하여 관리를 받는 경우 그 장치와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연결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베이스관리부; 및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로 향하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변경하는 목적지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수신하거나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패킷 처리를 하는 패킷처리부; 및
    상기 상향 인터페이스부와 하향인터페이스부의 상태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변경부는
    상기 데이터내의 IP 헤더의 주소를 변경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변경부는
    상기 데이터내의 IP 헤더를 캡슐화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8.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추적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지역을 관할하는 제2이동성 관리장치, 그리고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이동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의 현재 주소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당 가능한 주소를 구비하는 단계; 및
    (a2)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구비된 주소중의 하나를 할당하고 상기 이동단말 및 주소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주소를 할당받은 이동단말이 상기 제2이동성 관리 장치에 의한 관리를 받을 경우 그 관리 장치와 상기 이동단말간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추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제2이동성 관리 장치가 관할하는 영역에 들어왔을 때, 상기 제2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로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로 그 정보를 송신하여 이동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이동단말이 제1이동성 관리 장치의 관할 영역에 있으면 최초 할당한 주소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d2) 상기 이동단말이 제2이동성 관리 장치의 관할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제2이동성 관리 장치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단계; 및
    (d3)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2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2)단계는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데이터내의 IP 헤더의 주소를 변경하여 목적지를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
  14.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단말의 등록 요청에 따라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추적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지역을 관할하는 제2이동성 관리장치, 그리고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이동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동단말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1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이동단말의 현재 주소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동단말의 서브넷간 이동을 지원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87727A 2006-11-08 2007-08-30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방법 KR10091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0173 2006-11-08
KR1020060110173 2006-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86A KR20080041986A (ko) 2008-05-14
KR100912812B1 true KR100912812B1 (ko) 2009-08-18

Family

ID=3964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27A KR100912812B1 (ko) 2006-11-08 2007-08-30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3737A1 (en) * 2009-12-17 2011-06-23 Chu Thomas 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mposing a peer-to-peer network and using a decomposed peer-to-peer network
KR101491948B1 (ko) * 2014-01-22 2015-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성 관리 기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759A (ja) 2002-02-06 2003-08-22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ノード、通信媒介ノード、通信媒介プログラム、セッション移動方法及びセッション移動プログラム
KR20050078631A (ko) * 2004-02-02 2005-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ip에 의한동적인 어드레스 할당 방법
KR20060046019A (ko) * 2004-05-17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802.11 망에 최적화된 고속 핸드오버 방법
KR20060089489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FMIPv6에서 TCP 패킷의 끊김없는 전송을 보장하는핸드오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759A (ja) 2002-02-06 2003-08-22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ノード、通信媒介ノード、通信媒介プログラム、セッション移動方法及びセッション移動プログラム
KR20050078631A (ko) * 2004-02-02 2005-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ip에 의한동적인 어드레스 할당 방법
KR20060046019A (ko) * 2004-05-17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802.11 망에 최적화된 고속 핸드오버 방법
KR20060089489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FMIPv6에서 TCP 패킷의 끊김없는 전송을 보장하는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86A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1255B (zh) 轻型移动性体系结构
US6731621B1 (en) Mobil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P packet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routing IP packets
US6804221B1 (en) Micromobility using multicast
US75391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mobility management
EP1563666B1 (en) Mobile ip registration supporting port identification
KR1008254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를 사용한 단말의 통신방법 및 장치
US7483706B2 (en) Floating IP address for roaming internet connected subscriber units
EP171932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group management of multiple link identifiers for collective mobility
CN101127758B (zh) 移动节点的ip地址获取方法与获取系统
JP2000004255A (ja) 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データパケット転送方法
EP2228947A1 (en) A method for allocating network addresses, network and network node thereof
JP2003516059A (ja) セル方式通信システム
US200801927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ssless transmission of mobile IP packets
US787299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ed for same, and control program
US7710956B2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network management server, mobile node, access node and anchor node
CN1748399A (zh) 移动导向器
JP2007522718A (ja) フラット構造の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ドレス管理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9743726B (zh) 一种lte系统漫游场景下共享静态终端的方法
US805119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912812B1 (ko) 분산 방식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이동성 지원방법
EP151438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local mobility management
US8428587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terminal, and home agent
CN105764041A (zh) 一种基于命名数据网络覆盖层的IPv6移动通信方法
JP3841268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2010010063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handoff of mobile node under multiple mobile agent platform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