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751B1 - 사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751B1
KR100912751B1 KR1020077018136A KR20077018136A KR100912751B1 KR 100912751 B1 KR100912751 B1 KR 100912751B1 KR 1020077018136 A KR1020077018136 A KR 1020077018136A KR 20077018136 A KR20077018136 A KR 20077018136A KR 100912751 B1 KR100912751 B1 KR 10091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nozzle
molding apparatus
retaining element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025A (ko
Inventor
귄터 헤어베르트
Original Assignee
귄터하이스카날테크닉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귄터하이스카날테크닉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귄터하이스카날테크닉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0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59Nozzle centering or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72Means for fixing the nozzle to the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사출 성형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2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노즐(30)을 갖고, 각각의 노즐(30)은 보유 요소(40)에 의해 분배기(30)에 고정 가능하다. 빠른 조립 및 모든 노즐의 영구적인 밀봉을 분배기에 가능케 하기 위해, 보유 요소(40)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50)를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최종 조립 위치에서 분배기(20)와 결합되고 분배기 및 노즐(30)은 서로 위치 고정된다. 보유 요소(40)는 노즐(30)의 수납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1) 및 고정 요소(50)의 수납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2)를 포함하고, 추가 리세스(42)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50)는 보유 요소(40)를 위한 고정 요소, 특히 볼트 연결부(14)의 부분이다.
사출 성형 장치, 분배기, 사출 성형 노즐, 보유 요소, 리세스, 고정 요소

Description

사출 성형 장치{INJECTION MOULD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 장치는 다수의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실시예는 유동 가능한 플라스틱 질량을 소정의 온도에서 또 고압 하에서 분리 가능한 공구 블럭(주형 공동)에 공급하기 위해 예컨대 핫 러너(hot runner) 시스템 또는 콜드 러너(cold runner)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대부분 온도 조절 가능한 분배 시스템에는 -마찬가지로 온도 조절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조립되는데, 노즐은 처리되는 물질을 유동 채널을 통해 계량식으로 주형 공동으로 안내한다.
각각의 노즐은 통상 분배기에 대면한 노즐의 단부에 플랜지 또는 단차 형태의 연결 헤드를 갖는데, 이는 평평한 밀봉면에 의해 분배기의 평평한 전방면 또는 측면에 지지된다(DE-U1-201 00 840호 참조). 노즐의 고정을 위해 요구되는 클램핑 힘은 예컨대 볼트에 의해 생성되는데, 볼트는 가장자리에 보어가 제공된 연결 헤드를 관통하여 분배기에 나사 고정된다. 이에 반해 EP-B1-0 732 185호에는 분배기 내에 관통 보어가 제공된다. 관통 보어 내부에 삽입된 볼트는 반대편 면에서 클램프 링 내로 결합하는데, 클램프 링은 노즐의 연결 헤드에 결합되고 분배기에 대해 연결 헤드를 견고히 고정한다. 노즐 본체 내 유동 채널을 위한 중앙 유입 개구의 영역에 추가로 밀봉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점은, 분배기 시스템의 가열시 상응하는 열 팽창이 노즐 쪽으로 진입할 수 있는데 즉, -노즐과 분배기 사이의 부분적으로 높은 클램핑 힘에도 불구하고- 노즐 본체의 밀봉면과 분배기의 전방면 또는 측면 사이의 활주 운동은 분배기의 배출 개구 및 노즐의 유입 개구가 서로 변위 될 수 있는 결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더 이상 서로 정렬되지 않아, 유동 비율에 불리한 영향을 끼친다. 더구나 노즐이 발생하는 전단 응력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추가 누설이 발생한다.
분배기와 홀딩 링 사이에 활주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EP-B1-0 732 185호에서는 조절 핀 장치가 사용된다. 조절 핀 장치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분배기 및 홀딩 링과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 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위치 안정적으로 나타나기는 하지만 조립이 특히 복수의 노즐을 조립할 때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EP-B1-0 732 185호는 분배기와 노즐 사이에 항상 횡방향 이동이 가능해야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단점 및 다른 단점을 방지하고 간단하게 분배기에 모든 노즐의 빠른 조립이 가능하고 항상 분배기에 대한 모든 노즐의 지속적인 밀봉이 보장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특히 분배기 및 노즐이 실행된 조립에 따라 상대적으로 서로 변위 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의 노즐의 경우 항상 간단하게 다룰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이 요구된다. 모든 장치는 저렴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 특징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서 설명된다. 구성예는 청구항 제2항 내지 제29항의 대상이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 및 -각각의 노즐이 보유 요소에 의해 분배기에 고정 가능한 성형 사출 노즐을 갖는- 사출 성형 장치의 경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라 보유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최종 조립 위치에서 분배기와 결합되고, 분배기 및 노즐은 서로 위치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위치 고정에 의해 분배기는 더 이상 노즐을 넘어서 변위 할 수 없도록 보장된다. 이는 비록 분배기가 열 확장으로 인해 약간 변위 하더라도 항상 단단히 고정된다. 분배기의 유출 개구 및 노즐의 유입 개구는 중심 요소 또는 고정 요소로 인해 항상 서로 일치하게 놓이고 더 이상 서로 변위 할 수 없다. 가공되는 재료는 방해받지 않고 노즐로 유입될 수 있다.
선행한 조립은 따라서 저렴하게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변위된 고정 요소가 먼저 각 보유 요소 후방으로 복귀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 요소와 동일 높이로 위치할 수 있어, 먼저 -익숙한 바와 같이- 노즐이 조립되고 분배기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노즐의 사용시 거의 넘어서지 못하는, 이미 존재하는 조절부 또는 핀이 처리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분배기는 모든 종방향으로 변위된 고정 요소의 배열이 분배기와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 노즐이 차례로 빠르고 편하게 정렬되고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작동 소모 또는 시간 소모가 매우 적다. 모든 노즐은 또한 분배기의 열 확장시 항상 단단히 고정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라 보유 요소는 노즐의 수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리세스는 양호하게 확장된 연결 헤드에 의해 항상 안전하게 유지되고, 보유 요소에 의해 균일한 압축력이 생성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은 보유 요소가 고정 요소의 수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는 제4항에 따라 다른 리세스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고정 요소는 항상 정확하게 안내된다. 동시에 항상 보유 요소를 위한 직접 연결로, 정확한 위치 고정 또는 위치 조정에 작용한다. 고정 요소는 바람직하게 중심 요소의 기능도 포함하고, 청구항 제5항에 따라 노즐의 종축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 또는 배향된다. 청구항 제6항의 구성에서 고정 요소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분배기와 결합될 수 있다.
장치의 조종 및/또는 조립 중 고정 요소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청구항 제7항에 따라 분리 불가능하게 보유 요소와 연결 가능하다. 이에 덧붙여 청구항 제8항의 구성에서 예컨대 고정 요소의 종방향 이동이 한정될 수 있고, 청구항 제9항은 먼저, 보유 요소의 하부면이 고정 요소를 위한 제1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제공한다. 정지부는 동시에 노즐을 위해서도 지지력을 전달한다. 또한 청구항 제10항에 따라 보유 요소는 칼라, 돌출부, 후크 등을 포함하는 제2 정지부를 형성한다. 제2 정지부에 의해 고정 요소는 먼저 추가 요소 없이 안내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보유 요소의 상부면과 제2 정지부 사이 간격이 청구항 제11항과 일치되게 고정 요소의 길이보다 더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간격은 항상 바람직하게는 보유 요소의 평평한 상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장점은 어떠한 방해 없이 노즐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제12항의 구성은 노즐의 종축에 대해 수직이고 동시에 노즐의 폭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의 보유 요소의 두께가 동일 방향의 노즐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요소는 가능한 많은(평평한) 노즐이 좁은 폐쇄 간격을 갖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때 어려움 없이 형성된다. 보유 요소는 문제없이 분배기 노즐 장치로 삽입되고 지속적으로 정확한 위치를 모든 노즐을 위해 제공한다.
다른 중요한 구성예는 청구항 제13항에서 설명되는데, 고정 요소는 보유 요소를 위한 체결 요소이거나 또는 체결 요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 및 적은 부품으로 모든 콤팩트한 조립 형태가 구현되는데, 특히 고정 요소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라 볼트 연결부의 부분인데, 볼트 연결부는 청구항 제15항에 따라 노즐의 종축에 대해 분배기를 평행으로 관통한다.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볼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데, 볼트 연결부는 고정 요소와 결합한다. 따라서 볼트를 돌려 끼울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청구항 제17항에 따라 고정 요소는 보유 요소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볼트 연결부는 청구항 제18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데, 볼트는 직접적으로 보유 요소와 결합한다.
또한 고정 요소가 청구항 제19항의 구조에서 원형의 축 및 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를 갖는 슬리브일 때, 구조적으로 저렴하다. 볼트의 고정 요소가 검출되고 조여지면, 슬리브가 고정 요소의 제1 정지부에 플랜지 엣지를 갖고 보유 요소의 제1 정지부에 지지된다. 보유 요소의 제1 정지부는 분배기에 대해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는 슬리브 내로 결합할 수 있고, 청구항 제20항에 따라 축의 내부에 내부 톱니가 형성된다.
고정 요소가 보유 요소 또는 리세스로 삽입되기 위해 플랜지 엣지는 두 개의평행하게 연장되는 키 평면의 형성하에 측면으로 평평하다(청구항 제21항). 키 평면의 형성은 측면으로 회전하고, 주 슬리브가 제2 정지부에서 지나 보유 요소의 추가 리세스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반해 고정 요소는 예컨대 90°로 회전하며 플랜지 엣지는 제2 정지부에서 지지된다. 고정 요소는 더 이상 보유 요소로부터 활주할 수 없다. 동시에 고정 요소가 보유 요소에 못 미치게 됨에 따라 분배기는 방해받지 않고 노즐로 배치될 수 있다.
청구항 제22항의 추가 구성에서 유리한 힘 분배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또한 청구항 제23항도, 이른바 고정 요소가 노즐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고정 요소가 필요에 따라서는 청구항 제24항에 따라 삼각형 또는 원으로 노즐의 종축 둘레에 배치된다.
보유 요소는 청구항 제25항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노즐을 수용하는데, 이 노즐에 의해 주형점의 개수가 계속해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즐은 청구항 제26항에 따라 바람직하게 공동의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청구항 제 27항의 조치로 이른바 각 노즐이 보유 요소의 리세스의 내에서 스프링 하중을 가할 때 노즐의 가압이 분배기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구성으로써 청구항 제28항으로 주어지는 노즐, 보유 요소 및 고정 요소는 사전 조립 또는 사전 조립 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도록 주어진다. 노즐은 보유 요소 및 고정 요소를 갖고 공급되고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토리지 및 기호는 현저히 부담을 던다.
청구항 제29항에 따른 노즐 및 보유 요소는 장점의 실시예에 따라 단일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청구항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한 하기 구성예의 설명으로부터 주어진다.
도1은 사출 성형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도,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사출 장치의 선(AA)을 따른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분사 장치의 다른 구성예이다.
도4는 분사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이다.
도1에서 10으로 표시되는 사출 성형 장치는 통상 재료 용융물, 예컨대 플라스틱 용융물의 가공에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예컨대 가공되는 재료를 위한 공급 장치, 주형 삽입체를 갖는 주형 공동 플레이트와 같은 다른 (도시되지 않은) 부품들 외에-, 적당한 분배기(20) 및 분배기에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핫 러너 노즐(30)을 포함하고, 각 핫 러너 노즐(30)은 보유 요소(40)에 의해 분배기(20)에 고정 가 능하다.
분배기(20)는 실제로 평평한 상부면(22) 및 그에 평행하고 실제로 평평한 하부면(23)을 포함하고 분배기 판(21)으로 형성된다. 판(21)에는 판(21)의 하부면(23)에서 유출 개구(26)로 합류하는 복수의 유동 채널(24)이 삽입된다. 각 유출 개구(24)에 대칭으로 판(21) 내에 두 개의 관통 보어(27)가 삽입되며, 관통 보어는 판(21)의 상부면(22)에서 단차 형태의 오목부(28)를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판(21)의 하부면(23)에 직경이 확장된 조절부(29)를 구비한다.
핫 러너 노즐(30)은 측면으로 평평한 연결 헤드(31) 및 그에 축 방향 하부로 연결된 폭이 좁은 축(32)을 갖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노즐 본체를 갖는다. 종축(A)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노즐(30)의 폭(B)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결 헤드(31)의 두께는 단지 (마찬가지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축(32)의 직경보다 약간 커서 노즐 본체는 전체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노즐 본체의 내부에는 중앙에 (도시되지 않은) 유동 채널이 삽입되며, 유동 채널은 연결 헤드(31) 내에 재료 유입 개구(33)를 포함하고 그 하부 단면에서 노즐 첨부(34)로 합류하는데, 노즐 첨부는 재료 용융물을 적어도 하나의 재료 유출 개구(35)를 통해 주형 공동으로 안내한다. 분배기(20)에 대한 핫 러너 노즐(30)의 밀봉을 위해 밀봉링(36)이 노즐 본체의 연결 헤드(31) 내에서 재료 유입 개구(33)에 대해 동심으로 제공된다.
축(32)의 외부 주연부에는 가열기 본체(37)가 배치된다. 가열기 본체는 평평한 중심 블럭의 형태를 갖는데, 중심 블럭은 노즐 축(32)의 거의 전체 축 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열 전도성의 재료로 제작된 중심 블럭(37) 내에 노즐 축(32)을 수용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관통 보어 형태의 제1 수납 채널이 삽입된다. 수납 채널의 내부 관통 직경은 축(32)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작아서, 양호한 열 전달을 위해 형상 맞춤 방식으로 항상 가열부(37)에 의해 둘러싸인다. 가열부(37)의 두께(D)는 종축(A)에 대해 횡으로 그리고 노즐(30)의 폭(B)에 대해 횡으로 측면이 평평한 연결 헤드(31)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핫 러너 노즐(30)은 가열부(37)와 함께 전체적으로 매우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1 채널의 옆으로 평행하게 블록 형태의 가열부(37)에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다른 수납 채널이 제공된다. 그 내부에는 가열기 본체(37)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두 개의 장방형 가열 카트리지(38)가 놓인다. 측면으로 가열기 본체(37)로부터 안내되는 전기 연결부(39)는 가열 카트리지(38)를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와 연결시킨다. 각 가열 카트리지(38)의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납 채널의 내경보다 약간 커서 가열 카트리지(38)는 항상 중심 블럭(37)의 고열 전도성 재료의 양호한 열 접촉성을 갖는다. 가열 카트리지(38)에 의해 생성된 가열 출력은 항상 최적으로 중심 블럭(37)에 그리고 중심 블럭으로부터 노즐 본체(31, 32)에 전달된다.
가열기(37)에 의해 생성된 온도의 검출을 위해 직접적으로 노즐 축(32)의 옆에는 그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가 삽입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수납 채널이 제공된다. 또한 온도 센서의 연결부(39')는 측면에서 가열기 본체(37)로부터 연장되고 제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보유 요소(40)는 분배기(20)의 하부면(23)에 대해 종 방향(A)으로 핫 러너 노즐(30)을 클램핑한다. 이는 연결 헤드(31)의 수납기를 위해 그리고 중앙 리세스(41)를 갖는 노즐 축(32)의 관통 안내를 위해 제공된 스트럿 형태의 주 부분(43)을 갖는다. 분배기(20)의 관통 보어(27) 내에 안내된 두 개의 볼트 연결부(14)는 스트럿(43)을 후방 결합함으로써, 균일하게 죄어지고 노즐(30)의 연결 헤드(31)는 분배기 하부면(23)에 대해 밀봉 가압될 수 있다.
도1에서 스트럿(43)은 전체적으로 연결 헤드(31) 또는 노즐(30)보다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 축(A)에 대해 수직으로 주 부분(43)의 두께(d)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37) 또는 노즐(30)의 두께(D)보다 크지 않아서, 보유 요소(40)에 의해 노즐(30)의 수평의 구조 크기가 중요하지 않게 변경된다. 핫 러너 노즐(3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번 연속하여 최소 간격으로 조립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주형 공동 또는 복수 개의 주형 점이 동시에 사출될 수 있다. 주형 공동 간격 또는 주형 점의 간격은 적어도 축 방향(A)에 대해 횡방향에서 가장 작게 선택될 수 있다.
핫 러너 노즐(30)을 단지 축 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고정하기 위해, 보유 요소(40) 내에는 노즐 축(A)에 대해 대칭으로 두 개의 중심 요소 또는 고정 요소(50)가 제공되며, 고정 요소는 볼트 연결부(14)의 부품으로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마지막 조립된 위치에서 형상 맞춤 방식으로 조절부(29)와 분배기(2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노즐(30)이 분배기(20)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각 고정 요소(50)는 원통형 축(52) 및 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54)를 갖는 종방향의 슬리브로서 형성된다. 축(52)은 작은 운동 유격으로 다른 리세스(42)에서 스트럿 형태의 주 부분(43)에서 노즐(30)의 종 축(A)에 대해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변위되게 안내되고 내부 톱니(53)가 제공되는데, 내부 톱니 내에 볼트 연결부(14)의 볼트(15)가 결합한다.
헤드(16)를 갖는 각각의 볼트(15)가 분배기(20)내 관통 보어(27)의 오목부(28)에서 지지되는 반면, 중앙 슬리브(50)의 플랜지 엣지(54)는 볼트(15)의 죔 시,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3)의 평평한 하부면(44)에 놓인다. 동시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리세스(42) 내에 고정된 고정 요소(50)는 그 축 단부(56)를 이용하여 형상 맞춤 방식으로 분배기(20) 내의 조절부(29)와 결합된다.
보유 요소(40)는 분배기(20)에 대해 노즐(30)만 고정되게 가압하는 것은 아니다. 중심 요소 또는 고정 요소(50)에 의해 동시에 노즐(30)의 위치도 종축(A)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어, 분배기(20) 및 노즐(30)은 조립 후에 더 이상 상대적으로 서로 변위 할 수 없다. 그러나 고정 요소(50)도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 요소는 분배기(20)와 노즐(30) 사이에 활주 운동을 방해한다.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보유 요소(40)를 위한 체결 요소를 형성하여, 구조적인 비용이 전체적으로 적게 든다.
분배기(20) 내 관통 보어(27) 및 보유 요소(40) 내 리세스(41, 42)는 노즐(30)의 재료 유입 개구(33)가 분배기(20) 내에서 재료-유출 개구(26)에 대해 항상 동심으로 놓이도록, 노즐(30)이 그 연결 헤드(31)를 이용하여 분배기(20)의 하부면(23)에 대해 압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50)는 동시에 핫 러너 노즐(30)을 위해 중심 요소도 형성한다.
전체 노즐(30)을 빠르고 편리하게 분배기(20)에 장착하기 위해 보유 요소(40)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고정 요소(50)가 조립 이전에 간단하게 스트럿(43)의 상부면(45) 후방으로 다시 이동한다. 따라서 보유 요소(40) 내로 상부로부터 삽입된 노즐(30)은 먼저 분배기(20)의 하부면(23)에 평평하게 안착되는데, 조절 요소, 중심 요소 또는 고정 요소에 대한 고려 없이 안착되어야 한다. 모든 노즐(30)은 분배기 판(21)이 평평하게 노즐(30) 또는 보유 요소(40)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그 다음 관통 보어(27)로 삽입된 볼트(15)는 상부로부터 고정 요소(50) 내로 결합하고 이는 종축(A)에 대해 평행하게 보유 요소(40)를 통해 각 조절부(29)로 관통하여 들어간다. 따라서 노즐(30)은 차례로 축 방향과 측면 방향 모두 고정된다.
따라서 중앙 요소 또는 고정 요소(50)는 볼트(15)가 돌려 끼워질 때 회전되지 않고, 축(52)과 다른 리세스(42) 사이에서 보유 요소(40) 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회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회전 방지 장치는 플랜지 엣지(54)와 보유 요소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요소(50)가 그 후방의 위치에서 보유 요소(4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럿(43)의 하부면(44)에는 축 모양의 부분(47)이 형성되는데, 축 모양의 부분은 단부 측면의 반경 외부를 향한 칼라(46)를 형성한다. 칼라 상에서 각각의 고정 요소(5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랜지 엣지(5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보유 요소(40)의 상부면(45)과 칼라(46) 사이의 간격(H)은 고정 요소(50)의 길이(l)보다 더 크다. 따라서 이 간격은 노즐(30)의 조립에서 항상 보 유 요소(40)의 상부면(45) 후방에 못 미친다. 또한 칼라(46) 및 축(47)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평평해서, 보유 요소(40)의 전체 두께(d)가 노즐(30)의 전체 두께(D)보다 크지 않다.
따라서 고정 요소(50)를 보유 요소(40) 내 다른 리세스(42)로 삽입할 수 있고 플랜지 엣지(54)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키 평면(55)의 구성에서 측면으로 평평하다. 따라서 고정 요소(50)는 키 평면(55)이 횡의 칼라(46) 이전에 놓이도록 회전하여, 슬리브(50)는 축(52)에 의해 하부로부터 보유 요소(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 엣지(54)가 칼라(46)를 통과하는 즉시 키 평면(55)은 90°로 회전한다. 따라서 플랜지 엣지(54)는 칼라(46)와 보유 요소(40)의 하부면(44) 사이에 놓인다. 슬리브(50)는 보유 요소(40)로부터 상부로 또는 하부로 빠져나올 수 없다. 중심 요소 또는 고정 요소(50)는 분실되지 않게 고정 요소(50)와 연결된다.
고정 요소(50)의 종 방향 운동이 모두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제1 정지부는 보유 요소(40)의 하부면(44)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에 칼라(46)는 고정 요소(50)에 대한 제2 정지부를 나타낸다.
조절부(29) 내로 고정 슬리브(50)의 간단한 삽입을 위해, 조절부 및/또는 축(52)의 축 단부(56)가 거의 원뿔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 모서리를 제공한다.
도4의 실시예에서 보유 요소(40)에는 두 개의 노즐 본체가 삽입되어 있다. 스트럿 형태의 주 부분(43)은 두 개의 연결 헤드(31)를 위한 상응하는 두 개의 리세스(41)를 갖는데, 리세스는 각각 폭이 좁은 노즐 축(32)으로 변한다. 그 외부 측면 모서리에 가열 카트리지(38)를 수용하는 공동의 가열부(37)가 노즐 축에 배치된다.
스트럿(43)은 그 외부 단부에 중앙 요소 또는 고정 요소(50)를 지지하는데, 중앙 요소 또는 고정 요소는 각각 다른 리세스(42)에서 안내되고 고정 너트로서 공동의 볼트(15)와 함께 볼트 연결부(14)를 형성한다. 노즐(30)의 연결 헤드(31)를 위한 리세스(41) 사이에서 내부 톱니(49)를 갖는 보어(48)가 보유 요소(40) 내로 삽입된다. 분배기(20) 내의 다른 관통 보어(27')에서 안내되는 다른 볼트(17)가 이 내부에 삽입된다. 볼트(17)는 접시형 헤드(18)에 의해 분배기(20) 내에서 지지되고 또한 보유 요소(40)는 추가로 분배기(20)의 하부면(23)에 대해 죄어진다. 따라서 노즐(30)에 대한 가압력은 더 상승한다. 분배기 내의 관통 보어(27, 27') 및 보유 요소 내의 리세스(42, 48)는 바람직하게는 종축(A)에 대해 대칭으로 선 위에 놓여서, 분배기(20) 내의 유출 개구(26)가 그리고 노즐(30) 내의 유입 개구(33)가 항상 일치하게 서로 놓이고 노즐(30)은 좁은 밀폐 간격을 갖고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노즐(30), 보유 요소(40) 및 고정 요소(50)가 사전 조립 또는 사전 조립 가능한 유닛을 형성한다는 점인데, 이는 먼저 공구(10)로 삽입되고 그 다음 차례로 배치된 분배기(20)에 위치 고정되고 중심 설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평평한 블록 가열부(37) 대신에 예컨대 나선형 가열 본체 같은 다른 가열 형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보유 요소(40)의 배치 후에 노즐 본체로 빠르고 편리하게 노즐 축(32)에 고정된다. 또한 사출 성형 장치(10)는 모두 콜드 러너 시스템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노즐(30)은 이때 콜드 러너 노즐이다.
보유 요소(40)는 리세스(42) 내에 고정 요소(50)의 고정을 위해 칼라(46) 대신에 돌출부, 후크 등을 포함하고, 고정 요소(50)의 플랜지 엣지(54)를 결합한다. 또한 이는 핀 안내 또는 바요넷 연결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결정적으로 고정 요소(50)가 리세스(42)로 삽입된 후 후향의 정지부를 갖고, 따라서 노즐(30)은 평평한 분배기(20)에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볼트(15)는 회전 방지된 고정 너트(50)의 내부 톱니(53)로 결합하고 보유 요소(40)에 대해 죈다. 고정 요소(50)는 -충분한 공간이 제공될 때- 필요 시 삼각형 또는 원으로 노즐(30)의 종축(A) 둘레로 배치된다.
노즐(30)의 가압력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열 제한적인 길이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노즐(30)은 보유 요소(40)의 리세스(41)의 내부에 스프링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노즐(30) 및 보유 요소(40)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 시 단일편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공간적인 배치, 방법 단계 및 단독으로 또는 구조적인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청구항,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제시된 모든 특징 및 장점은 상이한 조합으로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도면 부호 리스트>
A : 종축 34 : 노즐 분사구
B : 폭 (노즐) 35 : 유출 개구
D : 두께 (노즐) 36 : 밀봉링
d : 두께 (보유 요소) 37 : 가열부 본체
H : 높이 38 : 가열부 스토리지
l : 길이 39 : 연결부
10 : 사출 성형 장치 39' : 연결부
14 : 볼트 연결부 40 : 보유 요소
15 : 볼트 41 : 리세스
16 : 헤드 42 : 리세스
17 : 볼트 43 : 주 부분
18 : 헤드 44 : 하부면/제1 정지부
20 : 분배기 45 : 상부면
21 : 분배기 판 46 : 칼라/제2 정지부
22 : 상부면 47 : 축/부분
23 : 하부면 48 : 리세스/보어
24 : 유동 채널 49 : 내부 톱니
25 : 유출 개구 50 : 중심 요소/고정 요소
26 : 관통 보어 52 : 축
27':추가 관통 보어 53 : 내부 톱니
28 : 오목부 54 : 플랜지 엣지
29 : 조절부 55 : 키 평면
30 : 핫 러너 노즐 56 : 스피것 단부
31 : 연결 헤드
32 : 축
33 : 유입 개구

Claims (29)

  1.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2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노즐(30)을 갖고, 각각의 노즐(30)은 보유 요소(40)에 의해 분배기(20)에 고정 가능한 사출 성형 장치(10)에 있어서,
    보유 요소(40)는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50)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50)는 최종 조립 위치에서 분배기(20)와 결합됨으로써, 분배기(20)와 노즐(30)이 서로 위치 고정되고,
    고정 요소(50)는 볼트 연결부(14)의 부분이고,
    볼트 연결부(14)는 노즐(30)의 종축(A)에 대하여 평행하게 분배기(20)를 관통하여 고정 요소(50)와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볼트(15)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50)는 보유 요소(40) 내에서 후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40)는 노즐(30)의 수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40)는 고정 요소(50)의 수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세스(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다른 리세스(42)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노즐(30)의 종축(A)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 또는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분배기(2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보유 요소(40)와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의 종 방향 이동이 한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40)의 하부면(44)이 고정 요소(50)를 위한 제1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40)가 고정 요소(50)를 위한 제2 정지부를 형성하는 칼라(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40)의 상부면(45)과 제2 정지부(46) 사이의 간격(H)이 고정 요소(50)의 길이(l)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0)의 종축(A)에 대해 수직이고 동시에 노즐(30)의 폭(B)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의 보유 요소(40)의 두께(d)가 동일 방향의 노즐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보유 요소(40)를 위한 체결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가 보유 요소(4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볼트 연결부(14)는 보유 요소(40)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원형의 축(52) 및 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 엣지(54)를 갖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축(52)은 내부 톱니(5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플랜지 엣지(54)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키 평면(55)을 형성하도록 측면이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요소(5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가 노즐(30)의 종축(A)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삼각형 또는 원으로 노즐(30)의 종축(A)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는 적어도 두 개의 노즐(30)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0)은 공동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노즐(30)이 보유 요소(40)의 리세스(41) 내에서 스프링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0), 보유 요소(40) 및 고정 요소(50)가 사전 조립 또는 사전 조립 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0) 및 보유 요소(40)가 단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KR1020077018136A 2005-02-08 2007-08-07 사출 성형 장치 KR100912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02043.5 2005-02-08
DE200520002043 DE202005002043U1 (de) 2005-02-08 2005-02-08 Spritzgieß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025A KR20070107025A (ko) 2007-11-06
KR100912751B1 true KR100912751B1 (ko) 2009-08-18

Family

ID=3448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136A KR100912751B1 (ko) 2005-02-08 2007-08-07 사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220117A1 (ko)
EP (1) EP1846215A1 (ko)
JP (1) JP2008529828A (ko)
KR (1) KR100912751B1 (ko)
CN (1) CN101115602A (ko)
BR (1) BRPI0606154A2 (ko)
CA (1) CA2596982A1 (ko)
DE (1) DE202005002043U1 (ko)
MX (1) MX2007008713A (ko)
TW (1) TW200637714A (ko)
WO (1) WO2006084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0148B2 (en) 2014-03-07 2018-12-2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anifold system nozzle retention
DE102017102276B3 (de) 2017-02-06 2018-08-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Elektrisches Widerstandsgerät und Verwendung eines elektrischen Widerstandsgeräts
CN108381876B (zh) * 2018-03-08 2020-05-12 柳道万和(苏州)热流道系统有限公司 阀针式热流道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1842A1 (en) * 1982-10-13 1985-08-21 Carbomedics Inc. Dental implant
EP0750974A1 (en) * 1995-06-26 1997-01-02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pressed in heating element and integral collar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440A (en) * 1994-09-26 1995-12-12 Gellert; Jobst U.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collar having locating and retaining lug protions
CA2137702C (en) * 1994-12-07 2004-11-02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separable core and one-piece collar
CA2228931C (en) * 1998-02-02 2007-06-26 Mold-Masters Limited Injection molding three portion gate and cavity insert
DE20014043U1 (de) * 2000-08-16 2000-12-14 Lee Shu Mei Baueinheit aus einer Heizkanalplatte und einer Heizdü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1842A1 (en) * 1982-10-13 1985-08-21 Carbomedics Inc. Dental implant
EP0750974A1 (en) * 1995-06-26 1997-01-02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pressed in heating element and integral collar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6982A1 (en) 2006-08-17
EP1846215A1 (de) 2007-10-24
WO2006084669A1 (de) 2006-08-17
KR20070107025A (ko) 2007-11-06
TW200637714A (en) 2006-11-01
MX2007008713A (es) 2008-10-24
BRPI0606154A2 (pt) 2009-06-02
US20080220117A1 (en) 2008-09-11
CN101115602A (zh) 2008-01-30
JP2008529828A (ja) 2008-08-07
DE202005002043U1 (de)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1472B1 (en) runnerless nozzle for edge gates and injection moldu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A2720556C (en) Hot runner nozzle for lateral spraying
CA2682424C (en) Injection-molding nozzle
EP2639036B1 (en) Edge-gate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20020098262A1 (en) Nozzle end for multiple tipped injection molding nozzle
US4563149A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0912751B1 (ko) 사출 성형 장치
CA2654032C (en) Injection-molding nozzle, in particular hot-runner nozzle, for an injector
KR20100106338A (ko) 사출 성형 노즐
EP0535616B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angled tip probe
US5122050A (en) Injection molding probe with a longitudinal thermocouple bore and off center heating element
EP0960713B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nozzles with elongated mounting flanges
CN116749467A (zh) 注射喷嘴、注射装置及注射成型机
WO2013181689A1 (en) Improved cold runner block
EP0743157B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nozzle advanceable to mount side gate seals
US20100255145A1 (en) Injection moulding device
CN109109267B (zh) 分配机构、注塑喷嘴和带注塑喷嘴和分配机构的注塑模具
WO2013003018A1 (en) Selective positioning of nozzle tip relative to mold-side of runner system
US7261552B2 (en) Integrated multiple edge gate
JP4267990B2 (ja) 射出成形機
JP2831364B2 (ja) 射出成型ノズルの供給方法と射出成型ノズル
KR101945982B1 (ko) 히트 스프레더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US20040258795A1 (en)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separate nozzle flange
EP2729291B1 (en) Selective adjustment of position of nozz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