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652B1 -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 Google Patents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652B1
KR100912652B1 KR1020090022992A KR20090022992A KR100912652B1 KR 100912652 B1 KR100912652 B1 KR 100912652B1 KR 1020090022992 A KR1020090022992 A KR 1020090022992A KR 20090022992 A KR20090022992 A KR 20090022992A KR 100912652 B1 KR100912652 B1 KR 10091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opening
rotating part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09002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는: 도어에 설치되는 전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측으로 개폐축이 형성된 회전부와, 회전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개폐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회전부의 개폐축에 연결되도록 중심에 개폐홀이 형성되고, 개폐홀로부터 편심된 연결홀을 갖는 전환부재, 전환부재의 연결홀에 연결되어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걸쇠와, 전면프레임의 후측에 결합되어 걸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환부재의 연결홀은 개폐홀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사방에 각각 형성되어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물함 손잡이, 설치방향, 호환성, 걸쇠

Description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Locker handle which is free from fitting direction}
본 발명은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의 회전부의 회전을 전환부재에 의해 걸쇠의 직선운동을 변환하여 도어의 로킹을 단속하되, 걸쇠의 걸림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도 적용가능하여 호환성을 갖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이란 사용자가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서 대중이 모이는 독서실,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문짝에 이름표를 넣을 수 있는 이름표함과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물함의 도어하중으로 자공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석과 금속판으로 형성된 고정부와 자물쇠를 이용하여 사물함을 잠글 수 있도록 자물쇠걸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물함은 이름표, 손잡이, 고정부, 자물쇠걸편을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써 사물함을 조립함에 있어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양한 부품으로 인하여 사물함의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436620호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와 같은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는 사물함의 함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매립공을 형성하고 매립공에 삽입되는 고정봉 정면 일측으로 손잡이편을 형성하며 타측으로는 식별덮개가 형성된 식별편을 형성한 손잡이부와, 매립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고정봉에 고정되도록 상측에 고정턱이 형성된 고정판을 형성하고 고정판 상측으로는 이동공을 형성하며 배면에는 체결편을 고정하고 체결편의 전방으로 고정편을 절곡하여 이동공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고정부와, 고정부을 수용한 상태에서 함체의 도어 내측에 고정되는 수용편 외측으로는 결합편을 형성하고 수용편에는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부를 형성한 고정판부와 고정판부의 실린더부에는 피스톤이 스프링에 의해 내장되며 피스톤의 정면에는 이동편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고정편과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피스톤이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에 이동편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을 형성한 이탈방지편을 수용편에 고정한 이동체로 구성되었다.
종래에 따른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에 의하면, 도어를 개방하는 손잡이와 도어의 로킹을 해제하는 피스톤의 작동이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두손을 다 사용하여 피스톤을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피스톤의 걸림위치가 변경되어도 바로 적용되지 못하므로 각 방향에 맞는 사물함 손잡이를 따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면의 회전부의 회전을 전환부재에 의해 걸쇠의 직선운동을 변환하여 도어의 로킹을 단속하되, 걸쇠의 걸림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도 적용가능하여 호환성을 지니며, 대량생산으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는 : 도어에 설치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측으로 개폐축이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고, 상기 도어의 로킹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능 하게 하는 개폐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설치공에 매립되고 전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함몰부 내부에 수용되고 전면이 굴곡져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상에서 잠금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축에 다수개의 캠부재와 다이얼이 배열되어 다이얼의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작동편을 승하강시키는 다이얼조합장치와, 상기 작동편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편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상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단속부는 일단이 상기 작동편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후측으로 관통되는 로킹축과, 상기 작동편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로킹축의 타단이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로킹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에는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개폐축에 연결되도록 중심에 개폐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로부터 편심된 연결홀을 갖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 의 연결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걸쇠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환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개폐홀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사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걸쇠가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드홈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걸쇠를 탄동지지하고, 상기 걸쇠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는 종래 발명과 달리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걸쇠가 직선운동되어 도어의 로킹을 단속함은 물론 회전부에 파지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개폐작동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회전부의 회전운동을 걸쇠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전환부재에 편심되어 사방에 형성된 연결홀을 형성함으로써, 걸쇠의 설치방향의 제약없이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부품연결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개폐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100)는 크게 전면프레임(110), 회전부(120), 개폐작동부(170)로 이루어진다.
우선, 전면프레임(110)은 도어(10)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어(10)에는 개구홀(12)이 형성되고, 전면프레임(110)은 개구홀(12)에 끼워 져 고정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10)에는 회전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면프레임(110)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112)를 형성하고 함몰부(112)에는 회전부(120)가 안착되고, 회전부(120)의 개폐축(122)이 관통되어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중앙에 관통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120)에는 가장자리가 굴곡져 함몰부(112)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128)가 형성된다.
회전부(120)의 후측에는 개폐축(122)에 축결합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플레이트(130)가 구비된다.
회전부(120)의 후면에는 가이드축(124)이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플레이트(130)에는 가이드축(124)이 삽입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홀(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120)는 가이드플레이트(130) 상에서 잠금장치(1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잠금장치(140)는 회전부(120)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축(152)에 다수개의 캠부재(153)와 다이얼(154)이 배열되어 다이얼(154)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작동편(155)을 승하강시키는 다이얼조합장치(150)와, 작동편(155)과 연결되어 작동편(155)의 승하강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130)상에서 회전부(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160)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부(120)의 전면에는 다이얼(154)이 노출되도록 노출홀(126)이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이얼조합장치(150)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다이얼조합장치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구성을 취하는 것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브라켓(151)과, 브라켓(151)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회전축(152)과, 회전축(1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부재(153a)에 의해 탄동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작동편(155)을 승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캠부재(153)와, 캠부재(153)의 둘레에 형성되고, 캠부재(153)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다이얼(154) 및 다이얼(154)의 비밀번호 조합에 의해 캠부재(153)의 가압이 작용 또는 해제됨에 따라 승하강하는 작동편(1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편(155)은 탄성부재(155a)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캠부재(153)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3a, 155a)는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단속부(160)는 일단이 작동편(155)에 연결되고 회전부(120)의 후측으로 관통되는 로킹축(162)과, 작동편(155)의 작동에 의해 로킹축(162)의 타단이 삽입 또는 이탈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가이드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로킹홀(164)로 이루어진다.
회전부(120)의 후측에는 개폐작동부(170)이 구비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해 도어(1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개폐작동부(170)는 전환부재(175), 걸쇠(180), 후면프레임(190)으로 이루어진다.
전환부재(175)는 회전부(120)의 개폐축(122)에 연결된다.
전환부재(175)는 개폐축(122)이 연결되도록 중심에 개폐홀(176)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개폐홀(176)로부터 편심된 연결홀(177)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177)은 개폐홀(176)을 중심으로 사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홀(177)에는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해 도어(10)의 개폐를 단속하는 걸쇠(180)가 연결된다.
걸쇠(180)에는 연결홀(177)에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힌지축(182)이 형성되어 회전부(120)의 회전을 전환부재(175)에 의해 걸쇠(180)가 직선운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홀(177)은 힌지축(182)의 직경보다 큰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홀(177)과 힌지축(182)은 각각의 위치가 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지나지 않는다.
전면프레임(110)의 후측에는 후면프레임(190)이 결합되어 상기 걸쇠(1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후면프레임(190)에는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드홈부(192)가 형성되어 걸쇠(180)의 직선운동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쇠(180)의 힌지축(182)은 전환부재(175)의 개폐홀(176)을 중심으로 한 연결홀(177)이 사방에 형성됨에 따라 걸쇠(180)의 걸림방향에 관계없이 변경 하여 적용 가능함으로 설치방향에 대한 호환성을 갖는다.
또한, 걸쇠(180)의 일단과 슬라이드홈부(192) 사이에는 탄성부재(180a)가 구비되어 걸쇠(180)를 탄동지지하고, 걸쇠(180)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180a)는 걸쇠(180)를 슬라이드홈부(192) 내에서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어(10)의 개구홀(12)에 전면프레임(110)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함몰부(112)에 가이드플레이트(13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회전부(12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회전부(120)의 개폐축(122)은 관통홀(114)을 지나 후측으로 연장되고, 개폐축(122)의 끝단부는 전환부재(175)의 개폐홀(176)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때, 회전부(120)의 내부에는 다이얼조합장치(150)가 구비되고, 작동편(155)은 로킹축(162)에 연결되며, 로킹축(162)의 끝단부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로킹홀(164)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환부재(175)의 연결홀(177)에는 걸쇠(180)의 힌지축(182)을 연결한 후 전면프레임(110)의 후측에 후면프레임(190)을 결합하여 걸쇠(18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걸쇠(180)는 후면프레임(190)의 슬라이드홈부(192)에 안착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상태로 도어(10)를 닫아주고 다이얼의 비밀번호를 흐트러뜨리면 도어(10)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물함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로킹축(162)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로킹홀(164)에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회전부(120)의 파지부(128)를 파지하여 회전시켜도 가이드플레이트(130) 상에서 회전부(120)는 회전되지 않아 도어(10)를 개방할 수 없다.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다이얼(154)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맞추면 캠부재(153)의 구속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55a)에 탄성지지되는 작동편(155)이 상승하게 되고, 작동편(155)에 연결된 로킹축(162)이 상승되어 로킹홀(164)에서 이탈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부(120)의 파지부(128)를 파지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부(12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해 개폐축(122)이 회전되고, 개폐축(122)의 회전이 전환부재(175)에 의해 걸쇠(180)를 직선운동하게 하여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전부(120)의 가이드축(124)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가이드홀(134)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회전부(12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쇠(180)의 걸림위치의 변경에 따라 사물 함 손잡이(1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전환부재(175)의 사방에 형성된 연결홀(177)에 의해 걸쇠(180)의 걸림위치와 상관없이 설치가능하다.
이는 조립시 걸쇠(180)의 힌지축(182)을 전환부재(175)의 사방에 형성된 연결홀(177)중 걸쇠(180)의 슬라이드 방향을 결정하여 조립해주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걸쇠의 걸림위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함으로 사물함 손잡이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며, 이에 따라 제작단가를 줄이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부품연결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개폐작동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물함 손잡이 110 : 전면프레임
112 : 함몰부 114 : 관통홀
120 : 회전부 122 : 개폐축
124 : 가이드축 126 : 노출홀
128 : 파지부 130 : 가이드플레이트
134 : 가이드홀 140 : 잠금장치
150 : 다이얼조합장치 151 : 브라켓
152 : 회전축 153 : 캠부재
153a, 155a, 180a : 탄성부재 154 : 다이얼
155 : 작동편 160 : 회전단속부
162 : 로킹축 164 : 로킹홀
170 : 개폐작동부 175 : 전환부재
176 : 개폐홀 177 : 연결홀
180 : 걸쇠 182 : 힌지축
184 : 경사면 190 : 후면프레임
192 : 슬라이드홈부

Claims (10)

  1. 도어에 설치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측으로 개폐축이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고, 상기 도어의 로킹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능하게 하는 개폐작동부를 포함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설치공에 매립되고 전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함몰부 내부에 수용되고 전면이 굴곡져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상에서 잠금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부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축에 다수개의 캠부재와 다이얼이 배열되어 다이얼의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작동편을 승하강시키는 다이얼조합장치;
    상기 작동편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편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상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를 포함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속부는 일단이 상기 작동편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후측으로 관통되는 로킹축;
    상기 작동편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로킹축의 타단이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로킹홀을 포함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안내하고,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개폐축에 연결되도록 중심에 개폐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로부터 편심된 연결홀을 갖는 전환부재;
    상기 전환부재의 연결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걸쇠;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개폐홀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사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상기 걸쇠가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드홈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걸쇠를 탄동지지하고;
    상기 걸쇠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KR1020090022992A 2009-03-18 2009-03-18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KR10091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992A KR100912652B1 (ko) 2009-03-18 2009-03-18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992A KR100912652B1 (ko) 2009-03-18 2009-03-18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652B1 true KR100912652B1 (ko) 2009-08-17

Family

ID=4120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92A KR100912652B1 (ko) 2009-03-18 2009-03-18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231B1 (ko) * 2018-05-31 2018-09-19 (주)퍼맥스 호환형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86Y1 (ko) * 2003-12-19 2004-03-30 김태길 사물함용 도어 잠금 손잡이
KR200382644Y1 (ko) * 2005-01-12 2005-04-22 박생현 사물함에 체결되는 원터치식 록킹구와 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86Y1 (ko) * 2003-12-19 2004-03-30 김태길 사물함용 도어 잠금 손잡이
KR200382644Y1 (ko) * 2005-01-12 2005-04-22 박생현 사물함에 체결되는 원터치식 록킹구와 그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231B1 (ko) * 2018-05-31 2018-09-19 (주)퍼맥스 호환형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KR200465812Y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912652B1 (ko) 설치방향 호환성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KR20130019246A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CA2471315A1 (en) Lock for lever-handled door latch
KR10080390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446682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1856179B1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KR10100898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0922126B1 (ko) 다이얼식 자물쇠
CN203978055U (zh) 机电两用隐藏式搭扣
KR101058354B1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백셋
JP3215161U (ja) スーツケース
KR20110005319U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3230782U (ja) 施錠構造
KR200485299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778278B1 (ko) 도어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