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56B1 -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56B1
KR100912256B1 KR1020070045685A KR20070045685A KR100912256B1 KR 100912256 B1 KR100912256 B1 KR 100912256B1 KR 1020070045685 A KR1020070045685 A KR 1020070045685A KR 20070045685 A KR20070045685 A KR 20070045685A KR 100912256 B1 KR100912256 B1 KR 10091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elt
modules
motor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738A (ko
Inventor
이희상
이해성
이규대
Original Assignee
(주)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07004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진동 자극기는 벨트, 복수의 진동 모듈들 및 주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는 피부와 접촉하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들은 상기 벨트의 둘레 전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진동을 상기 피부로 전달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과 신호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모듈들이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가지도록,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에 진동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하여, 다양한 진동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고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진동 자극기, 진동 자극 방법, 안마기, 벨트 안마

Description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STIMULUS VIBRATOR AND METHOD FOR STIMULUS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6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일 회전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9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일 종료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는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동 자극기 110 : 벨트
111, 112 : 벨크로 113 : 제1 고정부
114 : 탄성 벨트 115 : 제2 고정부
116 : 제3 고정부 120 : 진동 모듈
121 : 소형 모터 122 : 편심 질량
123 : 부가 질량 130 : 주제어기
132 : 신호선
본 발명은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일부를 감싼 후 진동 자극을 가하는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마기 또는 진동 자극기는 마사지의 부위에 따라 신체 전반을 마사지하는 전신 안마 장치와 신체의 일부를 마사지하는 국소 안마 장치로 분류된다. 국소 안마 장치는 다양한 신체 부위에 적합하도록 제작되고 있는데, 특히, 허 리, 목, 팔다리 등의 신체 일부를 안마하는 국소 안마 장치는 주로 벨트형으로 제작되어 고정 및 운반을 용이하게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벨트형 안마기 또는 진동 자극기는 단순히 허리, 목, 팔다리 등의 둘레를 고정하기 위해 벨트형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마사지하는 진동 모듈은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크기에 따라 한 두 개가 배열되거나, 또는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벨트로 고정된 신체 부위가 전반적으로 마사지되지 않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벨트형 안마기 또는 진동 자극기에 상기 진동 모듈이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배열된 경우에도, 상기 진동 모듈들은 하나 하나가 일정한 진동 방법을 가지며 마사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진동수를 변경시켜 하나하나의 진동 모듈이 여러 개의 진동 방법을 가질 뿐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들 간의 유기적인 진동 방법은 발생하지 않고, 독립적인 진동 방법만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단순한 진동 방법으로 인해 쉽게 지루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진동 모듈들 사이에 다양한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진동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진동 자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는 벨트, 복수의 진동 모듈들 및 주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는 피부와 접촉하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들은 상기 벨트의 둘레 전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진동을 상기 피부로 전달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과 신호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모듈들이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가지도록,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에 진동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각각의 진동 모듈은 모터, 편심 질량 및 부가 질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주제어기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편심 질량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회전 중심이 상기 모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부가 질량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편심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진동 자극기는 제1 고정부 및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제1 끝단부에 연결되며, 링형상을 가진다. 상기 벨크로는 상기 제1 끝단부와 반대되는 상기 벨트의 제2 끝단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를 관통하여 서로 접착되어 상기 벨트를 고정한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 자극기는 제2 고정부 및 제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벨트의 제1 끝단부에 연결되며, 링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끝단부와 반대되는 상기 벨트의 제2 끝단부에 연결되며, 후크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벨트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의 진동 세기가 시간에 따라 단계별로 변화하여,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진동 흐름을 형성하는 단일 회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은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이 소정의 진동 모듈로 집중되어,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는 상기 진동 흐름이 상기 소정의 진동 모듈에서 종료되는 단일 종료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 패턴은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이 복수 개 발생하여,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진동 흐름들을 형성하는 복수 회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단일 회전 패턴이 소정의 진동 모듈들로 집중되어, 상기 복수의 진동 흐름들이 상기 소정의 진동 모듈들에서 종료되는 복수 종료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은 벨트에 부착된 주제어기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벨트의 둘레 전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진동 모듈들 각각에 전달된다.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은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한다.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의 소정의 진동을 피부에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편심 질량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회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모터와 결합된 부가 질량은 상기 편심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주제어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온/오프(on/off) 신호, 및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진동 모듈 각각의 진동 세기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진동 흐름을 갖는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일정한 시간 t에, k-1(k는 자연수)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고,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60%를 전달하고,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90%를 전달하는 제m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 t+△t에,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고,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60%를 전달하고, k+2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90%를 전달하는 제m+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m 및 제m+1 단계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 진동 모듈로 연속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을 소정의 진동 모듈로 집중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의 진동이 상기 소정의 진동 모듈에서 종료되는 진동 흐름을 갖는 단일 종료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일 종료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일정한 시간 t에, k-2(k는 자연수)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고,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60%를 전달하고,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90%를 전달하고,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60%를 전달하고, k+2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t+△t에,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고,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60%를 전달하고,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 t+2△t에,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30%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 t+3△t에, k번째 진동 모듈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을 복수 개 발생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진동 흐름들을 갖는 복수 회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로 발생된 단일 회전 패턴들을 소정의 진동 모듈들로 집중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 전체의 진동이 상기 소정의 진동 모듈들에서 각각 종료되는 진동 흐름을 갖는 복수 종료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 질량 외에 부가 질량을 모터에 고정시켜, 진동 주파수를 감소시켜 안마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안마 패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제어기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진동 모듈들이 서로 연관되어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여, 가상의 진동의 흐름이 벨트 주위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안마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의 진동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또는 복수의 위치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하여, 안마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모듈(1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벨트(110), 복수의 진동 모듈들(120) 및 주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110)는 피부와 접촉하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이 향하는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면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벨트의 형상을 가지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이 일반적인 벨트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11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결합 방법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동 모듈들(120)은 상기 벨트(110)의 둘레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다. 상기 진동 모듈들(120)은 상기 벨트(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벨트(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모듈들(120)은 상기 벨트(110)의 둘레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벨트(110)가 커버하는 신체 부위를 골고루 마사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진동 모듈들(120)이 상기 벨트(110)의 둘레에 한 줄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진동 모듈들(120)은 상기 벨트(110)의 둘레에 두 줄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진동 모듈(120)은 모터(121), 편심 질량(122) 및 부가 질량(123)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121)는 상기 주제어기(1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기 신호에 부합하는 회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주제어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는 온/오프(ON/OFF) 신호, 다양한 크기의 전류 신호 또는 다양한 크기의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모터(121)는 소형 크기의 직류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모터(121)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 여, 보다 다양한 안마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편심 질량(122)은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편심 질량(122)은 회전 중심이 상기 모터(1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심 질량(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단면이 반원 형상인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편심 질량(122)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이 상기 실린더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편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심 질량(122)은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비대칭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120)의 회전력이 상기 편심 질량(122)을 통해 전달될 때, 상기 편심 질량(122)의 편심된 회전 중심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부가 질량(123)은 상기 모터(120)와 결합 부재(124)를 통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20)를 감싸면서 상기 부가 질량(123)과 모터(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모듈(100)은 실린더 형상의 모터(120) 및 실린더와 유사한 형상의 편심 질량(122)을 포함하므로, 상기 부가 질량(123)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신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벨트(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는 상기 부가 질량(123)이 신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자가 불쾌감 없이 안락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부가 질량(123)은 상기 편심 질량(12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21)와 상기 편심 질량(122)을 포함한 하 나의 계(系)에서 회전 주파수는 총 질량에 반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계(系)에 질량을 추가하게 되면, 회전 주파수는 더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121)와 상기 편심 질량(122)이 포함된 계(系)에 상기 부가 질량(123)을 포함시켜, 상기 계(系)의 총 질량을 증가시키면, 동일한 모터의 회전력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전 주파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주파수가 낮은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진동에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안마를 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가 질량(123)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부가 질량(123)이 지나치게 크면 진동 주파수가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부가 질량(123)은 상기 모터와 대응되는 정도의 질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기(130)는 상기 벨트(110)에 부착되며,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과 신호선들(1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주제어기(130)는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신호선들(132)의 배선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이 진동 모듈들(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 모듈들(120)이 상기 벨트(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되면, 상기 주제어기(130)도 상기 벨트(1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 모듈들(120)이 상기 벨트(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되면, 상기 주제어기(130)도 상기 벨트(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듈들(110) 각각은 별개의 진동 패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주제어기(130)와 별개의 신호선(1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기(130)는 상기 진동 모듈들(110) 각각이 별개의 진동 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나아가, 상기 진동 모듈들(110)이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진동 모듈들(110) 각각에 일정한 진동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달되는 진동 신호의 종류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상기 주제어기(130)의 제어를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상기 진동 자극기(100)의 안마 패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외부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 부합하는 진동 패턴을 수신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합하는 안마 패턴을 통해 안마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상기 벨트(110)의 제1 끝단부에 연결된 링형상의 제1 고정부(113)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반대되는 상기 벨트(110)의 제2 끝단부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111, 112)를 더 포 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13)는 상기 벨트(110)의 제2 끝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형상은 D자 형상, O자 형상, ??자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크로(111, 11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112)는 상기 제1 고정부(113)를 관통한 후 구부러져서 다른부(111)와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상기 벨크로(111, 112)의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c는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제2 고정부(115) 및 제3 고정부(116)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탄성 벨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벨트(114)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므로 소정의 범위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자극기(100)가 사용되는 부분의 둘레에 맞도록 상기 탄성 벨트(114)의 둘레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고정부들(115, 116)은 각각 상기 탄성 벨트(114)의 양 끝부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벨트(1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115)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D자 형상, O자 형상, ??자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고정부(116)는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 벨트(114)를 포함하는 진동 자극기(100)는 사용되는 부분의 둘레에 부합하도록 상기 탄성 벨트(114)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탄성 벨트(114)에 고정된 진동 모듈들(120)은 사용자마다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예를 들어, 두꺼운 둘레의 허리를 가진 사용자와 얇은 둘레의 허리를 가진 사용자들이 상기 진동 자극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두 사용자 간의 이격 간격의 차이는 있으나, 두 사용자 모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진동 모듈들(120)로부터 진동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벨트(110)에 부착된 상기 주제어기(130)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S10). 상기 전기 신호는 전기 신호는 온/오프(ON/OFF) 신호, 다양한 크기의 전류 신호 또는 다양한 크기의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주제어기(130)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들(120) 각각에 전달된다(S20). 이미 언급하였듯이,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들(120)은 상기 벨트(110)의 둘레 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신호선들(132)을 통해 상기 주제어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은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이 회전한다(S30). 이후,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편심 질량(122)이, 상기 모터(121)의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회전하여 진동을 발생 시킨다(S40). 이후,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121)와 결합된 상기 부가 질량(123)이 상기 편심 질량(12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킨다(S50).
이후,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의 진동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한다(S60).
도 5는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상기 진동 자극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기(100)는 상기 주제어기(130)를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1, ..., (k-1), k, (k+1), ..., (l-1), l, (l+1), ..., n, k, l및 n은 자연수)을 상기 주제어기(130)의 주변부에 위치시켜 도식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k-1)번째 진동 모듈, k번째 진동 모듈 및 (k+1)번째 진동 모듈과, (l-1)번째 진동 모듈, l번째 진동 모듈 및 (l+1)번째 진동 모듈은 각각 서로 연속된 진동 모듈들이며, n은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모듈들(120)의 총 개수이다. 상기와 같은 도식화를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일 회전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진동 패턴은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제어부(13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k-1)번째, k번째 및 (k+1)번째 진동 모듈들 각각의 진동 세기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120) 전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진동 흐름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제어부(130)는 일정한 시간(t)에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하고,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50% 내지 약 60%를 전달하며,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90% 내지 약 100%를 전달한다(S100). 이 경우, 상기 주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진동 모듈에 전달하는 전기 신호의 비율은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약 30%,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약 50% 내지 약 60%, 그리고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약 90% 내지 약100%로 한정되지 않으며, (k-1)번째에서 k번째 및 (k+1)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충분하다. 즉,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마의 강도에 따라서 상기 전달되는 비율은 변화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주제어부(13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일정한 시간(t+△t)에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하고,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50% 내지 약 60%를 전달하고, (k+2)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90% 내지 약 100%를 전달한다(S110). 이 경우에도, 상기 단계 S100과 동일하게, 상기 주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진동 모듈에 전달하는 전기 신호의 비율은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약 30%,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약 50% 내지 약 60%, 그리고 상기 (k+2) 번째 진동 모듈에 약 90% 내지 약100%로 한정되지 않으며, k번째에서 (k+1)번째 및 (k+2)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충분하다.
이 후, 상기 주제어부(130)는 상기 단계들 S100 및 S110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 진동 모듈들(120)로 연속적으로 확장하여, 전체 진동 모듈들(120)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상기 주제어부(130)가 각각의 진동 모듈들에 (k-1)번째에서 k번째 및 (k+1)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전체 진동 모듈들(1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주제어부(130)가 각각의 진동 모듈들에 (k+1)번째에서 k번째 및 (k-1)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전체 진동 모듈들(1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일 회전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훌라후프를 돌릴 때 허리에서 느껴지는 회전 패턴과 대응되는 회전 패턴으로 상기 벨트(110)가 고정된 신체 부위 둘레에서 안마 패턴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진동 패턴은 복수 회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 회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제어부(130)는 도 6의 단일 회전 패턴을 복수 개 발생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120) 전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진동 흐름들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복수 회전 패턴의 단계는 회전 패턴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일 회전 패턴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9은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일 종료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진동 패턴은 단일 종료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일 종료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제어부(13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k-2)번째, (k-1)번째, k번째, (k+1)번째 및 (k+2)번째 진동 모듈들의 각각의 진동 세기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120) 전체의 진동이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서 종료되는 진동 흐름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제어부(130)는 일정한 시간(t)에 상기 (k-2)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하고,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50% 내지 약 60%를 전달하고,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90% 내지 약 100%를 전달하고,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50% 내지 약 60%를 전달하며, 상기 (k+2)번째 진동 모듈에는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한다(S200).
이 경우, 상기 주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진동 모듈에 전달하는 전기 신호의 비율은 상기 (k-2)번째 진동 모듈 및 상기 (k+2)번째 진동 모듈에 약 30%,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 및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약 50% 내지 약 60%, 그리고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약 90% 내지 약100%로 한정되지 않으며, (k-2)번째에서 (k-1)번째 및 k번째로 갈수록, (k+2)번째에서 (k+1)번째 및 k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충분하다. 즉,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마의 강도에 따라서 상기 전달되는 비율은 변화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주제어부(13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일정한 시간(t+△t)에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하고,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50% 내지 약 60%를 전달하며, (k+1)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한다(S210). 이 경우에도, 상기 단계 S200과 동일하게, 상기 주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진동 모듈에 전달하는 전기 신호의 비율은 상기 (k-1)번째 진동 모듈 및 (k+1)번째 진동 모듈에 약 30%,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약 50% 내지 약 60%로 한정되지 않으며, (k-1)번째에서 k번째로 갈수록, (k+1)번째에서 k번째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면 충분하다.
이 후, 상기 주제어부(13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일정한 시간(t+2△t)에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 가능한 최대 전기 신호의 약 30%를 전달한다(S220). 이 경우에도,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는 약 30%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접한 진동 모듈들의 전기 신호의 비율 및 소정의 시간(t, t+△t)에서의 전기 신호의 비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주제어부(13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일정한 시간(t+3△t)에 상기 k번째 진동 모듈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S230).
그리하여, 상기 주제어부(130)는 상기 단계와 같이 각각의 진동 모듈들(120)을 제어하여, 전체 진동 모듈들(120) 전체의 진동이 소정의 진동 모듈, 예를 들어 k번째 진동 모듈에서 종료되는 진동 흐름을 갖는 단일 종료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의 부위로 집중되면서 소멸하는 안마 패턴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1는 상기 진동 자극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 자극 방법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진동 패턴은 복수 종료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 종료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제어부(130)는 도 8의 단일 종료 패턴을 복수 개 발생시켜, 상기 진동 모듈들(120) 전체의 진동이 상기 k번째 및 l번째 진동 모듈들에서 종료되는 진동 흐름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복수 종료 패턴의 단계는 회전 패턴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단일 종료 패턴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 모듈들(120)이 서로 인접한 진동 모듈들(120)과 서로 연관되어 특정한 진동 흐름을 가지도록 제어되는 패턴을 설명하였으며, 주지 기술의 범위 내에서 상기 진동 모듈들(120) 각각이 인접하는 진동 모듈들의 진동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패턴은 생략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 질량 외에 부가 질량을 모터에 고정시켜, 진동 주파수를 감소시켜 안마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안마 패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제어기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진동 모듈들이 서로 연관되어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도록 제어하여, 가상의 진동의 흐름이 벨트 주위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안마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의 진동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또는 복수의 위치에서 발생하도록 유도하여, 안마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피부와 접촉하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을 포함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둘레 전체에 부착되어, 진동을 상기 피부로 전달하는 복수의 진동 모듈들; 및
    상기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과 신호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 모듈들이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가지도록,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에 진동 신호를 전달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진동 모듈은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회전 중심이 상기 모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 질량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진동 모듈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편심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부가 질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자극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제1 끝단부에 연결된 링형상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반대되는 상기 벨트의 제2 끝단부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는 상기 제1 고정부를 관통하여 서로 접착되어 상기 벨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자극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제1 끝단부에 연결된 링형상의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끝단부와 반대되는 상기 벨트의 제2 끝단부에 연결된 후크 형상의 제3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자극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벨트에 부착된 주제어기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벨트의 둘레 전체에 부착되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주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진동 모듈들 각각에,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은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의 진동을 피부에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특정한 진동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이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편심 질량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회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모듈들 각각이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모터와 결합된 부가 질량이, 상기 편심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자극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 또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자극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45685A 2007-05-10 2007-05-10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KR10091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85A KR100912256B1 (ko) 2007-05-10 2007-05-10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85A KR100912256B1 (ko) 2007-05-10 2007-05-10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38A KR20080099738A (ko) 2008-11-13
KR100912256B1 true KR100912256B1 (ko) 2009-08-17

Family

ID=4028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685A KR100912256B1 (ko) 2007-05-10 2007-05-10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291B2 (en) 2014-10-31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for outputting virtual vibration using vibrat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38570A1 (en) * 2016-09-27 2018-04-05 Bruce Murison Devices exploiting hollow motors
CN108652940A (zh) * 2018-05-01 2018-10-16 泉州市加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便携腹部按摩装置
US11517500B2 (en) 2019-06-12 2022-12-06 Lg Electronics Inc. Massag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558A (ko) * 2000-12-28 2002-07-09 조영만 조끼식 안마기
KR200325398Y1 (ko) * 2003-04-19 2003-09-03 (주)한우리 전자 휴대 가능한 다이어트용 진동 벨트
KR200406749Y1 (ko) 2005-08-18 2006-01-24 주식회사 동아기전 복부 맛사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558A (ko) * 2000-12-28 2002-07-09 조영만 조끼식 안마기
KR200325398Y1 (ko) * 2003-04-19 2003-09-03 (주)한우리 전자 휴대 가능한 다이어트용 진동 벨트
KR200406749Y1 (ko) 2005-08-18 2006-01-24 주식회사 동아기전 복부 맛사지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KR200379686 Y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291B2 (en) 2014-10-31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for outputting virtual vibration using vib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38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5071B2 (ja) 振戦の影響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838571A (ja) 指先型マッサージ器
EP3031438B1 (en) Vibration device using sound pressure, and human body stimul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0912256B1 (ko) 진동 자극기 및 진동 자극 방법
US8109869B2 (en) Vibrator
US20050059909A1 (en) Cervical heat and vibration massage apparatus
US5486156A (en) Head vibrator
US20140350441A1 (en) Vibratory neural stimulation
US20080119764A1 (en) Muscular relief apparatus
EP3458011B1 (en) A haptic system for providing a gait cadence to a subject
KR20070100706A (ko) 생체기계적 자극을 이용하는 근육 섬유 반응 협응 기능의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1544093A (zh) 振動式按摩裝置及藍牙耳機
US20130158446A1 (en) Dual stimulating massage apparatus
US6234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ment and feedback training of step width coordination
JP7258865B2 (ja) ハンドアタッチト制御パルス振動装置
SG188030A1 (en) Flexible massager
KR101742429B1 (ko) 진동자극기
JP4221525B2 (ja) 治療用干渉低周波の生成方法
JP2004160120A (ja) 指先マッサージ手袋
CN103479512B (zh) 一种便携式按摩鞋、按摩系统及按摩方法
JP6990891B2 (ja) 治療用振動装置
KR200234890Y1 (ko) 안마기기의 진동발생장치
CN207640802U (zh) 一种西药外敷促疗装置
KR20040009619A (ko) 오디오신호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
CN212163681U (zh) 具有按摩功能的脖挂式骨传导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