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217B1 - 전열 온수보일러 - Google Patents

전열 온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17B1
KR100912217B1 KR1020070006927A KR20070006927A KR100912217B1 KR 100912217 B1 KR100912217 B1 KR 100912217B1 KR 1020070006927 A KR1020070006927 A KR 1020070006927A KR 20070006927 A KR20070006927 A KR 20070006927A KR 100912217 B1 KR100912217 B1 KR 10091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supply
boi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339A (ko
Inventor
이형락
Original Assignee
이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락 filed Critical 이형락
Priority to KR102007000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17B1/ko
Priority to PCT/KR2008/000398 priority patent/WO2008091097A1/en
Publication of KR2008006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8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with tubes filled with heat transfer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온수가 수용되는 공간인 보일러 수조 및 내부에 상기 보일러 수조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회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온수관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를 포함한 온수 공급부;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전열 방수부가 감싸고 있는 발열구를 포함한 가열부;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 내의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 공급관, 상기 배관 공급관에 한쪽 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를 상기 배관 공급관에 제공하는 온수 공급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 공급관의 다른 단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 공급관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배관 공급관을 통하여 배출된 온수가 다시 회수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배관순환부; 를 포함한다.
전열, 온수보일러, 발열구, 온수관, 회수부, 전열방수부

Description

전열 온수보일러 {Electric Heating Hot Water Boi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전면에 커버를 오픈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수보일러 110 : 몸체부
111 : 몸체 112 : 커버
113 : 힌지 114 : 제어부
115 : 스위치 116 : 온도표시구
117 : 전력공급구 118 : 보일러수조
119 : 과수배출구 120 : 온수공급부
121 : 공급수공급구 122 : 공급밸브
123 : 과수방지구 124 : 온수관
125 : 삽입구 126 : 인출구
127 : 유통공 128 : 온수배출구
129 : 배출밸브 130 : 가열부
131 : 발열구 132 : 가열전극
133 : 전열방수부 134 : 전극연결구
140 : 배관순환부 141 : 온수공급구
142 : 공급수연결관 143 : 온수공급관
144 : 온수공급밸브 145 : 배관공급관
146 : 회수관 147 : 회수펌프
148 : 회수밸브 149 : 드레인구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boiler)는 석유, 석탄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물에 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화력발전용, 선박 등의 동력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증기터빈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나 각종 공장의 작업용으로, 또는 일반의 난방용 등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일러의 주요부는 물과 증기를 담는 강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화로로 되어 있다.
이 밖에 본체 관계에서는 증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과열기(過熱器)나 재열기(再熱器), 연소가스가 가지는 여열(餘熱)을 될 수 있는 대로 이용하기 위한 절탄기(節炭器)와 공기예열기 등의 부속장치와 안전조작을 위한 안전밸브, 압력계, 수면계 및 그 밖의 밸브, 계기류가 필요하며, 연소실 관계에서는 화격자, 스토커, 버너 및 통풍장치 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보일러는 연료로서 종전에는 주로 석탄을 사용하거나, 취급의 용이성(容易性)과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미분탄을 버너로써 연소실에 불어넣어 연소시키는 미분탄연소장치가 대용량의 것에 사용되었다. 근년에는 중유를 버너로 분무상(噴霧狀)으로 연소실에 불어넣어 연소시키는 중유연소장치가 선박용 보일러를 비롯하여 공장용 보일러, 소형의 난방용보일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원자력발전 등에서는 보일러의 열원(熱源)을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에너지에서 얻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의 조작은 간단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였으나 최근 보일러의 운전에 자동제어방식이 채택되어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보일러는 가열되는 방식이 다변화 되면서 공해가 발생되는 화석연료의 사용이 제한되고, 점차 환경 친화적인 천연가스나 전열에 의한 가열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보일러를 가열하는 전열(電熱, electric heat)은 전류를 전열선 에 흐르게 하거나 또는 전류를 아크형으로 흐르게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생기는 열이다. 이는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발열시키는 방법과 용도에 따라 저항가열, 아크가열, 유도가열, 유전가열로 구분한다.
상기 전열은 전류를 통함으로써 열을 발생하게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전열선에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아크가 발생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든가, 금속과 같은 양도체에 전자유도작용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든가, 또는 절연체에 고주파전계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유전체손(誘電體損)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을 통칭하여 전열이라 한다.
이와 같이, 전기에 의한 가열은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보면 많은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로, 손쉽게 더 높은 온도를 얻을 수 있으며 온도제어도 더 용이하다. 다음으로, 밀폐된 장소나 진공으로 된 장소 안에 있는 물체도 가열할 수 있으며, 연기도 나지 않고 재도 남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 중에 전열을 이용하는 보일러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보일러 공급수를 가열한 상태에서 배관을 통하여 실내에 난방을 실시한다.
이때, 전열로 공급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의 수조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파이프를 형성하여 보일러수조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가열한 상태로 온수 사용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전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는 보일러수조를 전열로 가열한 상태에서 가열된 열에 의해 온수를 가열함으로써, 보일러 작동 후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야 온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시간이 지체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전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는 온수만을 따로 사용하기 위해서 보일러를 작동하여도 보일러수조의 내부 공급수 전체를 가열하여야 함으로써, 온수 공급에 따른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전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는 온수를 가열시키는 방식이 보일러수조를 가열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 방식이므로, 온수의 온도의 제어가 어려움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전열을 이용한 온수보일러는 전열을 공급하는 전열선의 공급수와 접촉되어 누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공급수를 가열하는 전열선을 보일러수조의 외측에 형성하여 보일러수조 자체를 가열하거나, 가열수조를 별도를 설치하여 열효율이 감소되고 설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실내를 난방하도록 보일러수조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복수로 권회된 온수관의 내측으로 가열부를 형성하여 온수관에 내부에서 가열되는 열로 보일러수조의 내부를 가열하는 것으로, 안정적으로 온도를 제어하면서 온수를 공급하고, 온수관의 열로 배관에 공급하는 보일러수조의 배관공급수를 가열시켜 직접가열로 인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온수가 수용되는 공간인 보일러 수조 및 내부에 상기 보일러 수조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회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온수관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를 포함한 온수 공급부;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전열 방수부가 감싸고 있는 발열구를 포함한 가열부;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내의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 공급관, 상기 배관 공급관에 한쪽 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를 상기 배관 공급관에 제공하는 온수 공급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 공급관의 다른 단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 공급관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배관 공급관을 통하여 배출된 온수가 다시 회수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배관순환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구를 가지는 제어부, 상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구, 상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공급구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수가 기 설정되어 있는 공급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외부로 배출하는 과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표시구에서 표시하는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공급수 공급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수 공급구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 상기 온수 배출구의 온수 배출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 그리고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에 기설정되어 있는 공급수의 수위에서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공급수 공급이 차단되는 과수방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온수관과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구가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에 삽입되는 인출구, 및 상기 온수관과 상기 온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구가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와 공급수가 유통되는 유통공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인출구와 상기 삽입구에 상기 발열구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구에 연결되는 가열 전극, 및 상기 가열 전극과 상기 전력 공급구를 연결하는 전극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수 공급구와 상기 온수 공급구를 연결하는 공급수 연결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관순환부는 상기 배관 공급관의 온수 배출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온수공급밸브, 상기 회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관으로 회수되는 온수를 흡입하여 상기 보일러 수조로 공급하는 회수 펌프, 상기 회수관의 온수 회수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수되는 온수의 회수량을 제어하는 회수밸브,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의 공급수가 드레인되는 드레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전면에 커버를 오픈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보일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100)는 보일러수조(118)가 구비된 몸체(111)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보일러수조(118) 내측으로 온수관(124)을 복수회 권회하도록 형성한 온수공급부(120)와, 상기 온수공급부(120)의 온수관(124) 내측으로 가열하는 발열구(131)를 형성한 가열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보일러수조(118) 하부에 난방용 배관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면서 순환하는 배관순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실내를 난방하도록 난방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수조(118)를 내부에 안치한 몸체(111)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몸체(111)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이 힌지(113)로 결합되어 있어 힌지(11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커버(112), 커버(1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구(117)를 가지는 제어부(114), 커버(11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구(116), 커버(11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 공급구(117)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115), 그리고 보일러 수조(118)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수가 기 설정되어 있는 공급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외부로 배출하는 과수 배출구(119)를 포함한다.
제어부(114)는 온도 표시구(116)에서 표시하는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 온도에 따라 스위치(115)를 조작하여 가열부(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온수 공급부(120)는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회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124), 보일러 수조(118)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관(124)의 일측에 연결되어 온수관(124)에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수 공급구(121), 및 보일러 수조(118)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관(124)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어, 온수관(124)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128)를 포함한다.
온수 공급부(120)는 공급수 공급구(121)의 공급수 공급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수 공급구(121)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122), 온수 배출구(128)의 온수 배출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온수 배출구(128)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129), 그리고 공급수 공급구(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일러 수조(118)에 기 설정되어 있는 공급수의 수위에서 공급수 공급구(121)의 공급수 공급이 차단되는 과수방지구(123)를 포함한다.
온수 공급부(120)는 온수관(124)과 공급수 공급구(1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열구(131)가 온수관(12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에 삽입되는 인출구(126), 및 온수관(124)과 온수 배출구(128)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열구(131)가 일측에 삽입되는 삽입구(125)를 포함하며, 삽입구(125)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와 공급수가 유통되는 유통공(127)을 가진다.
가열부(130)는 온수관(124)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전열 방수부(133)가 감싸고 있는 발열구(131), 인출구(126)와 삽입구(125)에 발열구(131)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발열구(131)에 연결되는 가열 전극(132), 가열 전극(132)과 전력 공급구(117)를 연결하는 전극 연결구(134)를 포함한다.
배관순환부(140)는 보일러 수조(1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일러 수조(118) 내의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 공급관(145), 배관 공급관(145)에 한쪽 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를 배관 공급관(145)에 제공하는 온수 공급관(143),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 공급관(143)의 다른 단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 공급관(143)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구(141), 그리고 보일러 수조(1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배관 공급관(145)을 통하여 배출된 온수가 다시 회수되는 회수관(146)을 포함한다.
배관 공급관(145)에서 배출되는 온수는 난방용 배관(미도시됨)을 거쳐서 보일러 수조(1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회수관(146)을 통해서 보일러 수조(118)로 회수된다.
난방용 배관은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에 연결되어 난방을 실시하는 일반적인 배관은 모두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하여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배관순환부(140)는 배관 공급관(145)의 온수 배출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온수공급밸브(144), 회수관(146)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수관(146)으로 회수되는 온수를 흡입하여 상기 보일러 수조(118)로 공급하는 회수 펌프(147), 회수관(118)의 온수 회수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수되는 온수의 회수량을 제어하는 회수밸브(148), 그리고 보일러 수조(1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의 공급수가 드레인되는 드레인구(149)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수 공급구(121)와 온수 공급구(141)를 연결하는 공급수 연결관(142)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공급수 공급 시에 공급수 공급구(121)와 공급수 연결관(142)으로 연결되어 있는 온수 공급구(141)에서 동시에 공급수가 공급됨에 따라 보일러 수조(118)의 내부에 공급수가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열 온수보일러(100)에 난방을 위해서 공급수를 공급밸브(122)의 제어로 공급수공급구(121)로 공급하면 공급수공급구(121)에 연결된 온수관(124)에 일측으로 삽입구(125)의 유통공(127) 측으로 공급되어 공급수가 보일러수조(118)의 내부에 공급되고, 공급수공급구(121)와 공급수연결관(142)으로 연결된 온수공급구(141) 측으로 공급수가 공급되어 유통공(127)과 온수공급구(141)에서 동시에 공급수를 공급한다.
이렇게, 공급수공급구(121)로 공급수를 공급하여 일정한 수위가 되면 공급수공급구(121)의 상부에 형성된 과수방지구(123)가 작동하여 공급수공급구(121)를 차단시켜 일정한 수위로 보일러수조(118)의 내부에 공급수를 공급한다.
이때, 공급수가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보일러수조(118)의 상부에 형성된 과수배출구(119)로 배출시켜 공급수의 과잉공급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수를 공급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힌지로 개폐되는 커버(112) 정면에 형성된 스위치(115)를 작동하면 제어부(114)의 제어로 전력공급구(117)의 전력이 전극연결구(134)로 연결된 가열전극(132) 측으로 인가되면 온수공급부(120)의 온수관(124)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도록 삽입구(125)로 삽입되어 인출구(126)로 인출된 발열구(131)가 발열되어 온수관(124) 내부의 공급수를 가열시킨다.
이때, 발열구(131)의 외측으로 피복형태의 방수되면서 열을 전달하는 전열방수부(133)를 형성하여 공급수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을 방지하면서 발열구(131)의 열로 온수관(124) 내부에 공급수를 가열시킨다.
이렇게, 몸체부(110)의 커버(112)의 정면에 형성된 스위치(115)를 작동하여 온수관(124)의 내부에 발열구(131)에 제어부(114)의 작동으로 가열전극(132)에 연결된 전극연결구(134)로 전력을 인가하여 발열구(131)를 발열시켜 가열하면 온수관(124) 내부에 공급수가 가열되고, 보일러수조(118) 내측으로 복수로 권회된 온수관(124)의 내부에서 가열된 열로 보일러수조(118) 내부에 공급수를 가열시킨다.
상기와 같이, 온수공급부(120)의 온수를 가열부(130)로 가열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120)의 온수관(124)의 가열된 열로 보일러수조(118) 내부를 가열시켜 몸체부(110)의 커버(112) 전면에 형성된 온도표시구(116)로 온도를 외부에 표시하여 난방과 온수가 되는 온도를 외부로 표시한다.
이렇게, 온도표시구(116)로 난방과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온수관(124)의 배출 측에 배출밸브(129)로 배출을 제어하는 온수배출구(128)를 통하여 온수를 배출하여 욕실이나 주방 등의 온수를 사용하는 측으로 배출하여 온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온수공급부(120)에서 발생되는 온수는 가열부(130)의 발열구(131)에 직접 가열됨에 따라 온수의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가열 방식으로 온수 자체를 먼저 가열함에 따라 온수만 사용할 때도 열효율을 증대시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지비를 절감한다.
상기와 같이 온수를 사용하다가 난방을 실시하게 되면 보일러수조(118) 내부에 온도가 상승되어 상부로 이송된 온수가 온수공급구(141)에 보일러수조 내측으로 구비된 온수공급관(143)에 연결된 전면에서 후부 하측으로 형성된 온수공급밸브(144)로 흐름이 제어되는 배관공급관(145)을 통하여 배관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배관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실시하면 보일러수조(118) 전면 후부 하측으로 흡입하도록 형성된 회수펌프(147)를 작동시켜 흡입력으로 온수의 난방을 마치고 온도가 저하된 난방수를 흡입하여 회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회수밸브(148)가 구비된 회수관(146) 측으로 회수한 상태로 보일러수조(118)의 내측으로 공급시켜 순환하도록 한다.
이때, 보일러수조(118)의 후부 하측으로 드레인구(149)를 형성하여 온수보일러(100)의 작동을 장시간 실시하지 않거나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시에 내부에 공급수를 드레인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열로 가열되는 가열부(130)의 발열구(131)을 방수처리되어 열을 전달하는 전열방수부(133)의 내측에 형성한 상태로 보일러수조(118)의 내부에 복수로 권회된 온수관(124)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여 온수관(124)의 내부에 온수를 직접 가열한 상태로 온수관(124)의 열로 난방 배관에 연결되는 보일러수조(118)를 가열하도록 사용됨에 따라 직접 가열로 온수를 먼저 가열시킨 상태로 온수보일러(100) 전체를 가열함으로써, 신속하게 온수를 가열하여 온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직접 가열 방식으로 열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실내를 난방하도록 보일러수조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복수로 권회된 온수관의 내측으로 가열부를 형성하여 온수관에 내부에서 가열되는 열로 보일러수조의 내부를 가열하는 것으로, 안정적으로 온도를 제어하면서 온수를 공급하고, 온수관의 열로 배관에 공급하는 보일러수조의 배관공급수를 가열시켜 직접가열로 인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실내를 난방하도록 난방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수조를 내부에 안치한 몸체의 전면으로 힌지로 개폐되는 커버를 형성하고, 커버의 내측에 전력공급구를 구비한 제어부를 형성하며, 커버의 전면으로 온도표시구와 스위치를 형성하며, 보일러수조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된 공급수의 과수를 방지하도록 과수배출구를 형성하여 공급수가 과수되는 것을 과수배출구로 배출하여 과수를 방지하고, 스위치에 동작에 의해 온도표시구로 온도를 표시하면서 제어부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힌지로 개폐되는 제어부가 구비된 커버의 전면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작동하면 외부에 온도를 표시하면서 작동되어 과열을 방지하고, 보일러수조의 상부 일측으로 과수배출구를 형성하여 과수를 방지함으로써, 보일러의 원활한 작동을 제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보일러수조의 내부에 복수회 권회된 온수관의 내측으로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발열구를 삽입 형성하여 온수관의 내부를 직접 가열시키고, 가열된 온수관의 열기로 보일러 내부의 공급수를 가열시켜 난방수를 배관에 공급함에 따라 온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온수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온수관의 내측으로 삽입구와 인출구 사이에 삽입되는 발열구의 외측으로 공급수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방수하면서 발열구의 열을 외측으로 전달하는 전열방수부를 형성하여 발열구의 직접 가열시키는 효율을 증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공급수를 공급하는 공급수공급구의 상부에 과수를 방지하는 과수방지구를 형성하여 공급수의 과수를 방지하고, 공급수공급구의 상부에 온수공급구와 공급수연결관으로 연결한 상태로 공급수를 공급하면 공급수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된 공급수가 공급수연결관으로 통하여 온수공급구와 동시에 공급되어 보일러의 공급수 공급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온수를 공급시키는 온수공급부의 내측으로 발열구를 구비한 가열부를 형성하여 보일러수조 내부에 난방수를 가열한 상태에서 가열된 온수가 상부로 이송되면 상부에 형성된 온수공급구를 통하여 후부 하측으로 온수공급관으로 배관에 공급하는 배관공급관으로 배관에 공급됨으로써, 일정 한 온도가 상승되어 상부로 이송된 온수만을 배관에 공급시켜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열 온수보일러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에 가열부로 가열된 난방수를 배관공급관으로 공급한 상태에서 보일러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배관에 공급된 온수를 회수하는 회수관에 연결 형성된 회수펌프를 흡입형태로 형성하여 배관을 순환하여 온도가 저하된 난방수를 회수펌프로 흡입 회수함으로써, 고온의 온수의 유입으로 인해 회수펌프의 파손을 방지하여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온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보일러 수조 및 내부에 상기 보일러 수조가 위치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회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온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에 공급수를 공급하는 공급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온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관을 거친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구를 포함한 온수 공급부,
    상기 온수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발열구 및 상기 발열구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는 전열 방수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보일러 수조내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 공급관, 상기 배관 공급관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수를 상기 배관 공급관에 제공하는 온수 공급관,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상부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온수 공급관 연결되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 공급관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구,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배관 공급관을 통하여 배출된 온수가 다시 회수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배관순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측이 힌지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구를 가지는 제어부,
    상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구,
    상기 커버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공급구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급수가 기설정되어 있는 공급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상기 공급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수 배출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표시구에서 표시하는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공급수 공급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
    상기 온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 그리고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에 기설정되어 있는 공급수의 수위에서 공급수 공급을 차단하는 과수방지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온수관과 상기 공급수 공급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발열구가 삽입되는 인출구 및
    상기 온수관과 상기 온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발열구가 삽입되는 삽입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인출구 및 상기 삽입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발열구와 연결되어 있는
    전열 온수 보일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전극 연결구 및 상기 전극 연결구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전열 온수 보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 공급구와 상기 온수 공급구를 연결하는 공급수 연결관을 더 구비한 전열 온수 보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순환부는
    상기 배관 공급관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되는 온수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온수공급밸브,
    상기 회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수관으로 회수되는 온수를 흡입하여 상기 보일러 수조로 공급하는 회수 펌프,
    상기 회수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수관으로 회수되는 온수의 회수량을 제어하는 회수밸브, 그리고
    상기 보일러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일러 수조의 내부의 공급수가 드레인되는 드레인구
    를 더 포함하는
    전열 온수 보일러.
KR1020070006927A 2007-01-23 2007-01-23 전열 온수보일러 KR10091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927A KR100912217B1 (ko) 2007-01-23 2007-01-23 전열 온수보일러
PCT/KR2008/000398 WO2008091097A1 (en) 2007-01-23 2008-01-22 Electric heating hot water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927A KR100912217B1 (ko) 2007-01-23 2007-01-23 전열 온수보일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13A Division KR100967360B1 (ko) 2009-02-18 2009-02-18 전열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39A KR20080069339A (ko) 2008-07-28
KR100912217B1 true KR100912217B1 (ko) 2009-08-14

Family

ID=3964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927A KR100912217B1 (ko) 2007-01-23 2007-01-23 전열 온수보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2217B1 (ko)
WO (1) WO2008091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650B1 (ko) * 2013-04-04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커버를 구비하는 이코노마이저
CN107726435A (zh) * 2017-11-07 2018-02-23 隆基乐叶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智能供暖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31A (ko) * 2004-03-06 2005-09-09 김종철 중형 전기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346A (en) * 1973-06-01 1976-07-06 Cooksley Ralph 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heating a fluid
US4529032A (en) * 1978-06-30 1985-07-16 Molitor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waste energy
US5422976A (en) * 1994-04-06 1995-06-06 Bunn-O-Matic Corporation Boiler control system with steam sensor thermally isolated from a water reservo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31A (ko) * 2004-03-06 2005-09-09 김종철 중형 전기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1097A1 (en) 2008-07-31
KR20080069339A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4330C (zh) 直流锅炉
CN201382398Y (zh) 快速热水蒸汽发生器
CN201209848Y (zh) 蒸汽发生器
KR100912217B1 (ko) 전열 온수보일러
CN101760206B (zh) 干熄焦电气配管及管内穿线安装方法
CN104154514B (zh) 一种燃气蒸汽发生器
KR100967360B1 (ko) 전열 온수 보일러
CN107567570B (zh) 锅炉、锅炉的热交换器和锅炉的门
CN210197678U (zh) 一种新型微波等离子体家用壁挂炉
KR20200035931A (ko) 스팀식 온수발생장치
CN203785026U (zh) 炒炉余热回收系统
KR20190141287A (ko) 스팀식 온수발생장치
CN207486777U (zh) 蒸汽发生器
CN212533473U (zh) 异形蒸汽发生器及智能熨烫一体机
CN214581765U (zh) 即开式电开水器自动排水系统
CN102116467A (zh) 新型蒸汽发生炉
KR100607025B1 (ko) 보일러
KR200254378Y1 (ko)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CN202845365U (zh) 防爆型冷热水清洗机
CN210069810U (zh) 一种电加热蒸汽发生器
CN213453846U (zh) 一种防干烧的电壁挂炉
KR100649981B1 (ko) 직수 순간 가열식 전기 난방장치
CN211668013U (zh) 一种基于输水管道的涡轮发电加热装置
CN205227265U (zh) 一种贯流式蒸汽锅炉
CN207555567U (zh) 一种新型蒸汽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