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094B1 -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094B1
KR100912094B1 KR1020070106587A KR20070106587A KR100912094B1 KR 100912094 B1 KR100912094 B1 KR 100912094B1 KR 1020070106587 A KR1020070106587 A KR 1020070106587A KR 20070106587 A KR20070106587 A KR 20070106587A KR 100912094 B1 KR100912094 B1 KR 10091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eriod
partial discharge
removal targe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067A (ko
Inventor
신병철
이상민
박철균
Original Assignee
(주)인텍씨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텍씨엔아이 filed Critical (주)인텍씨엔아이
Priority to KR102007010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0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46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application or detail not covered by any other subgroup of G01R19/00
    • G01R19/0053Noise discrimination; Analog sampling; Measuring transi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고압 회전기의 고정자 권선에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에 외부 잡음이 포함된 초기 데이터의 한 주기 내에서 신호의 크기별 그룹을 형성한다. 상기 초기 부분 방전 신호데이터의 크기별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발생 빈도를 계산한다.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거 대상 그룹 중에서 최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을 검출한다. 상기 최대 발생 빈도 그룹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발생 주기를 검출하고, 그 중 최대 발생 주기를 판별한다.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제거 대상 주기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상기 제거 대상 주기인 경우, 상기 제거 대상 주기에 해당하는 신호들을 그룹에서 제거하여 외부잡음이 제거된 부분 방전 신호를 최종 데이터로서 얻는다. 상기 제거 대상 주기가 상기 검출된 모든 발생 주기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그리고 상기 제거 대상 그룹이 상기 형성된 크기별 그룹들 중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한다.
부분 방전 신호, 외부 잡음 제거

Description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Method for removing external noise during measurement of partial discharge signal}
본 발명은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압 회전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부분 방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주변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외부 잡음의 주기성을 검출하는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에서 제거하지 못하던 부분 방전 신호와 유사한 대역의 외부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고압 회전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부분 방전 신호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잡음의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압 회전기는 빈번한 기동 정지와 장기간 운전에 의해 열적, 전기적, 기계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절연 파괴, 과열, 진동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결국에는 기기의 운전 정지를 초래하는 심각한 사고로 진전된다. 특히, 고압 회전기의 장기간 운전에 따른 고정자 권선의 절연 열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절연 파괴에 의한 돌발적인 운전 정지는 사고로 인한 파급 효과가 크고, 장기간의 복구 시간이 소요되며, 보수 비용이 과다 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예방 진단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고압 회전기의 예방 진단은 기계적 진단과 전기적 진단으로 구분되고, 기계적 진단은 주로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이상 상태를 진단하는 기법으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폭 넓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적 특성에 해당하는 고압 회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 상태에 대한 진단 기술은 최근 들어 개발된 기술로서, 특히 이를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압 회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은 회전기의 정지 중에 실시하는 방법(오프-라인법) 및 운전 중에 실시하는 방법(온-라인법)으로 구분된다. 정지 중 진단법은 절연물에 대한 저항, 누설 전류, 유전 정접 및 부분 방전 시험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회전기를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회전기의 운전 정지 상태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과 아울러 실제의 운전 상태에서 발생하는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회전기의 실제 운전 중에 발생하는 부분 방전을 측정하여 고정자 권선의 절연 상태를 신뢰성 있게 진단하는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운전중에 고정자 권선의 절연 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운전중에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 이외에 회전기 및 주변 기기들의 운전으로 인한 많은 외부 잡음이 함께 측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외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방식이 채용되었다.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은 대상 회전기의 각 상 에 하나의 접촉식 부분방전 센서를 설치하고, 각 상별 센서의 출력을 고주파의 부분방전 신호 대역인 수 MHz에서 수십 MHz 이상만을 통과시키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저주파의 외부 잡음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회전기의 부분 방전 측정방법에 있어서의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잡음 제거 방식은 저주파의 외부 잡음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부분방전 신호와 비슷한 대역을 가지는 고주파의 외부 잡음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버터와 같은 고속 스위칭을 하는 장비들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 잡음은 스위칭 주기는 kHz 대역이나 스위칭 파형의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써지는 수 MHz에서 수십 MHz 대역으로 고주파 필터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고, 부분방전 측정시 전 주기에 걸쳐 나타나므로, 부분방전 신호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한다.
고압 회전기를 사용하는 현장에는 주변의 다른 시스템이나, 제어장치들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써지성 잡음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잡음들로 인하여 고압 회전기의 운전중 절연 상태 진단에 주로 사용되어지는 인자인 부분방전 신호의 검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인버터와 같은 장치에서 발생하는 써지는 스위칭 주파수에 기인하여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외부 잡음들은 스위칭 주파수와 같은 주기성을 가진다. 따라서 고압 회전기의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에서 이러한 주기성을 가지는 외부 잡음들은 부분방전 측정 주기인 전원 주파수 한 주기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수십에서 수백 개의 신호로 나타나게 되며, 일반적으로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대역이 수 KHz에서 수십 KHz 대역인 것을 고려하면, 발생 가능한 외부 잡음의 개수는 어느 정도 정량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기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부분 방전을 측정하기 위해 외부 잡음을 제거함에 있어서 측정된 신호의 주기성을 검출하여 이 주기성에 기인하여 외부 잡음과 부분방전 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에서 제거하지 못하던 부분 방전 신호와 유사한 대역의 외부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부분 방전 신호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방전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은 (i) 고압 회전기의 고정자 권선에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에 외부 잡음이 포함된 초기 데이터의 한 주기 내에서 신호의 크기별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초기 부분 방전 신호데이터의 크기별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iii)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v)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거 대상 그룹 중에서 최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v) 상기 최대 발생 빈도 그룹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발생 주기를 검출하고, 그 중 최대 발생 주기를 판별하는 단계; (vi)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제거 대상 주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vii)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상기 제거 대상 주기인 경우, 상기 제거 대상 주기에 해당하는 신호들을 그룹에서 제거하여 외부잡음이 제거된 부분 방전 신호를 최종 데이터로서 얻는 단계; (viii) 상기 제거 대상 주기가 상기 검출된 모든 발생 주기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단계 (iii) 내지 단계 (vii)을 반복하는 단계; 및 (ix) 상기 제거 대상 그룹이 상기 형성된 크기별 그룹들 중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단계 (iii) 내지 단계 (vii)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iii)에서,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를 최소 발생 가능 빈도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상기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 보다 큰 경우,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가 최소 발생 가능 빈도 이하인 경우,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계 (vi)에서, 상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를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상기 제거 대상 주기인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이상인 경우, 상기 최대 발생 주기를 상기 제거 대상 주기로 판별하고, 상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최대 발생 주기를 상기 제거 대상 주기가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을 채용한 전동기의 운전중의 부분 방전 측정방법은 종래의 고주파 필터를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에서 제거하지 못하던 부분 방전 신호와 유사한 대역의 외부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부분 방전 신호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퍼지나 뉴럴 네트워크로 구성된 기존의 외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은 그 구현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백 데이터(Back Data)를 요구하는 실정이라 실제 장비에 적용 및 구현이 용이하지 못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은 적용 및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동기의 절연 진단시 외부 잡음으로 인한 부정확한 진단결과를 줄이고, 한층 정확한 절연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가의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과 동일한 수준의 높은 신뢰성을 가진 저가의 절연 진단 시스템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한 고압 전동기의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운전중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110)은 부분방전 신호의 전원 주기 60Hz 한주기 내에서 0.1° (약 4.63us) 내에서 발생하는 최대 부분방전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시스템이며, 한 주기당 3,600개의 최대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원격지에 있는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이들 부분방전 신호에서 본 발명의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최종적인 부분방전 진단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식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초기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측정 데이터에서 크기별 그룹으로 분류된 일 그룹인 B 그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측정 데이터에서 크기별 그룹으로 분류된 다른 그룹인 G 그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발전기 또는 전동기 등의 고압 회전기의 고정자 권선에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감지하고 시간 대 크기로 표현된, 시 간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데이터를 획득한다(단계 S202). 상기 초기 데이터는 부분 방전 신호 및 잡음 신호로 이루어진다.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획득된 초기 데이터의 한 주기 내에서 신호의 크기별 그룹을 형성한다(단계 S204). 즉, 도 3에서 크기가 B 그룹인 신호만을 분류하면 도 4와 같으며, 크기가 G 그룹인 신호만을 분류를 하면 도 5과 같은 형태로 분류가 될 것이다.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이렇게 분류한 크기별 그룹에서 시간에 따른 발생 빈도를 순차적으로 각각 계산한다(단계 S206).
여기서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1 kHz에서 50 kHz 이내이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압 전동기 운전 중 부분 방전 진단 시스템의 경우 부분 방전 신호를 전원 주파수인 60Hz 한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3,600 point의 신호를 측정하므로, 주기성을 가지는 외부 잡음의 발생 가능 빈도는 최소 16개 이상이며, 최대 1,667개 이하이다. 하지만, 최대 개수는 부분 방전 신호도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보다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최소 크기보다 많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만을 계산에 반영한다.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빈도를 최소 발생 가능 빈도와 비교하여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08). 즉, 최소 크기보다 많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만이 주기성을 가지는 외부 잡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발생 빈도를 판별하여 외부 잡음 제거 대상 그룹인지를 판별한다.
단계 S208의 판단 결과,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즉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가 최소 발생 가능 빈도 보다 큰 경우,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외부 잡음을 포함한 제거 대상 그룹 중에서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부터 처리하기 위하여, 최대 발생 빈도 그룹을 검출한다(단계 S210). 도 3에서 최대 발생 빈도 그룹은 도 4의 B 그룹이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이어서,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최대 발생 빈도 그룹, 즉 B 그룹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발생 주기를 검출하고(단계 S212), 그 중 최대 발생 주기를 판별한다(S214). 예를 들면, 도 4의 B 그룹에서 발생 가능한 주기를 검출하여 보면 여러 종류의 발생 주기가 검출된다. 이들 발생 주기들 중에서 외부 잡음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최대로 많은 발생 빈도를 가지는 발생 주기이다. 따라서 이들 발생 주기 중에서 최대 발생 주기를 판별하여 보면, 도 4에서 발생 주기별 가장 많은 개수를 가지는 주기는 주기 a이다.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판별된 최대 발생 빈도 그룹에서의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를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제거 대상 주기인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6).
단계 S216의 비교 결과,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최소 발생 빈도의 개수 이상인 경우,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최대 발생 주기를 제거 대상 주기로 판별하고 제거 대상 주기로 검출된 최대 발생 주기의 신호들을 그룹에서 제거한다(단계 S218). 따라서, 도 4의 B 그룹의 주기 a는 제거 대상 주기가 될 것이다. 도 4에서 주기 a가 제거 대상 주기이므로, 도 4의 B 그룹에서 a의 주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외부 잡음으로 간주하고 제거한다.
이후, 처리 루틴은 단계 S212로 복귀하여 다시 도 4의 B 그룹에서 발생 주기를 검출하고, 제거 대상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이때, 주기 e, f, g와 같은 주기는 주기 a의 배수로 나타나는 주기이므로, 다시 발생 주기를 검출하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b, c, d와 같은 주기 역시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주기 h만 존재한다. 하지만, 주기 h는 그 발생 빈도의 개수가 1로 제거 대상 주기로 검출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도 4의 B그룹의 주기성 검출을 통한 외부 잡음 제거는 완료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의해 얻은 주기성을 가지는 외부 잡음을 제거한 최종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3에서 a의 주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제거한 결과이다.
단계 S216의 비교 결과,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최소 발생 빈도의 개수 미만 경우,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120)은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제거 대상 주기가 아닌 것으로 판별하고 단계 S208으로 복귀하여,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거 대상 그룹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그리고 최종적으로 검출된 도 6과 같은 부분 방전 신호를 바탕으로 부분 방전 파라미터를 산출하고(단계 S218), 외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완료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전동기의 운전중의 부분 방전 측정의 전체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부분 방전 신호의 주기성 검출을 이용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은 고압 전동기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에 적용(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한 고압 전동기의 운전중 절연 진단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초기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측정 데이터에서 크기별 그룹으로 분류된 일 그룹인 B 그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측정 데이터에서 크기별 그룹으로 분류된 다른 그룹인 G 그룹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외부 잡음 제거 방법에 의해 얻은 주기성을 가지는 외부 잡음을 제거한 최종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i) 고압 회전기의 고정자 권선에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에 외부 잡음이 포함된 초기 데이터의 한 주기 내에서 신호의 크기별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초기 부분 방전 신호데이터의 크기별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iii)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v)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거 대상 그룹 중에서 최대 발생 빈도를 가지는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v) 상기 최대 발생 빈도 그룹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발생 주기를 검출하고, 그 중 최대 발생 주기를 판별하는 단계;
    (vi)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제거 대상 주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vii)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상기 제거 대상 주기인 경우, 상기 제거 대상 주기에 해당하는 신호들을 그룹에서 제거하여 외부잡음이 제거된 부분 방전 신호를 최종 데이터로서 얻는 단계;
    (viii) 상기 제거 대상 주기가 상기 검출된 모든 발생 주기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단계 (iii) 내지 단계 (vii)을 반복하는 단계; 및
    (ix) 상기 제거 대상 그룹이 상기 형성된 크기별 그룹들 중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단계 (iii) 내지 단계 (vii)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를 최소 발생 가능 빈도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상기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 보다 큰 경우,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산된 크기별 그룹의 발생 빈도가 최소 발생 가능 빈도 이하인 경우, 상기 크기별 그룹들 중에 제거 대상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단계 (vi)에서, 상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를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대 발생 주기가 상기 제거 대상 주기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이상인 경우, 상기 최대 발생 주기를 상기 제거 대상 주기로 판별하고, 상 기 최대 발생 주기의 개수가 상기 최소 발생 가능 빈도의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최대 발생 주기를 상기 제거 대상 주기가 아닌 것으로 판별하는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KR1020070106587A 2007-10-23 2007-10-23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KR10091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87A KR100912094B1 (ko) 2007-10-23 2007-10-23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87A KR100912094B1 (ko) 2007-10-23 2007-10-23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67A KR20090041067A (ko) 2009-04-28
KR100912094B1 true KR100912094B1 (ko) 2009-08-20

Family

ID=4076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587A KR100912094B1 (ko) 2007-10-23 2007-10-23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52B1 (ko) * 2013-11-14 2017-12-28 (주)파워피디 부분방전 판단 방법
KR102621378B1 (ko) * 2021-07-06 2024-01-08 한국전력공사 Hvdc 케이블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13B1 (ko) * 2004-11-05 2006-1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분방전 측정신호의 잡음 제거 및 정량화 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13B1 (ko) * 2004-11-05 2006-1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분방전 측정신호의 잡음 제거 및 정량화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67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0093B2 (en) Generator neutral ground monitoring device utilizing direct current component measurement and analysis
US20210140849A1 (en) Condition monitoring device, wind turbin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electrical noise
US104737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insulation state of wind-powered generator windings
WO2017221588A1 (ja) 負荷の異常検出装置
JP6190841B2 (ja) 電動機の診断装置
JP6945371B2 (ja) 回転機システムの診断装置、電力変換装置、回転機システム、および回転機システムの診断方法
US811549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ub detection in a machine
JP2011259624A (ja) 転がり軸受部振動データの高周波電磁振動成分除去方法および高周波電磁振動成分除去装置、回転機械の転がりの軸受診断方法および軸受診断装置
KR20200053579A (ko) 이상 진단 장치, 이상 진단 방법 및 이상 진단 시스템
KR102257079B1 (ko) 전동기의 진단 장치
KR20220124249A (ko) 전동기의 진단 장치
WO2018020563A1 (ja) 電動機の診断装置
KR100912094B1 (ko) 부분 방전 신호 측정시 외부 잡음 제거 방법
WO2022224391A1 (ja) 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JP6801144B2 (ja) 診断装置および診断方法
WO2016151708A1 (ja) 電機品の故障検出装置および故障検出方法
JP2019045401A (ja) 部分放電診断装置および部分放電診断方法
JP2019039845A (ja) 部分放電診断装置および部分放電診断方法
JP6824493B1 (ja) 電動機の診断装置
WO2021029104A1 (ja) 回転電機の診断システム及び診断方法
KR102597935B1 (ko) 진공차단기 절연 내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0967187B (zh) 一种变桨轴承失效的预警方法及系统
Negrea Fault Diagnostics of Electrical AC Machine
KR20230166897A (ko) 배터리 셀의 이상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2379221A (zh) 一种利用l2相似的变压器运行状态振声检测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