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511B1 -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511B1
KR100911511B1 KR1020070108313A KR20070108313A KR100911511B1 KR 100911511 B1 KR100911511 B1 KR 100911511B1 KR 1020070108313 A KR1020070108313 A KR 1020070108313A KR 20070108313 A KR20070108313 A KR 20070108313A KR 100911511 B1 KR100911511 B1 KR 10091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eck valve
crankcase ventilation
pressure
crank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514A (ko
Inventor
이창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5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8Separating lubricant from air or fuel-air mixture before entry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 내부에서 혼합된 오일과 블로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에 있어서는 가스 배출측과 접속되는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가 커지게 되므로 오일의 최대 유면높이에서도 오일 드레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필터링된 오일이 내부를 채운 다음에는 오일이 역류하여 블로오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일측에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오일 배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크랭크케이스와;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오일 배출구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에 있어서, 엔진의 흡기측과 접속되는 상기 가스 배출구에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체크밸브의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걸리게 되더라도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가 일정압력이상으로 커지지 않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오일 드레인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오일이 넘치는 블로오버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상품성 및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 다.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 블로오버, 체크밸브, 가스 유출구, 오리피스

Description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a blow-over prevention structure for a vehicle engine's Closed Crankcase Ventilation}
본 발명은 차량 엔진 내부에서 혼합된 오일과 블로바이 가스를 분리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가스 유출구에 오리피스를 마련하여 흡기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여서 블로오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 Closed Crankcase Ventilation)은 엔진 내부에서 혼합된 오일과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 부압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실린더블록 내부에 정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을 통해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터보차저 입구인 엔진 흡기로 유도되고, 오일은 오일팬으로 유도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종단면도 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장착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이 관계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10)은 일측에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12) 및 가스 배출구(13)가 마련되고 하단에 오일 배출구(14)가 마련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5)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크랭크케이스(16)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필터(17)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스프링(19)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이아프램(18);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필터방식의 크로즈드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10)은 오일 배출구(14)에 설치된 체크밸브(20)의 전후단 압력차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에서 분리된 오일의 드레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필터방식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오일 드레인은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에 의한 흡기압력의 함수이며,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과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의 차에 의해 오일의 드레인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 압력차이만큼 오일 유면 높이가 확보되었을 때에 비로소 드레인이 가능하게 된다.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은 가스 배출구(13)내의 압력과 거의 동일하다.
그런데 종래의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에 있어서는 가스 배출측과 접속되는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가 커지게 되므로 오일의 최대 유면높이에서도 오일 드레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필터링된 오일이 내부를 채운 다음에는 오일이 역류하여 블로오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흡기정상조건에서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이 -250mmAq이고,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이 -80mmAq인 경우 체크밸브 전후 압력차는 +170mmAq이어서 오일 드레인이 가능하게 되지만 흡기 더티조건에서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이 -560mmAq이고,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이 -140mmAq인 경우 체크밸브 전후 압력차는 +470mmAq로 증대 되어 오일 드레인이 불가능하게 되고 블로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용 엔진의 경우 체크밸브의 전후단 압력차가 +240mmAq 이상 발생되면 오일이 역류하여 블로오버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가스 배출구와 접속되는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가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오일 드레인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로 함은 물론 불로오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오일 배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크랭크케이스와;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내부 상부 에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오일 배출구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에 있어서, 엔진의 흡기측과 접속되는 상기 가스 배출구에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체크밸브의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 배출구에 오리피스를 마련하여 체크밸브의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걸리게 되더라도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가 일정압력이상으로 커지지 않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오일 드레인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오일이 넘치는 블로오버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상품성 및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일부 절제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에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12) 및 가스 배출구(13)가 마련되고 하단에 오일 배출구(14)가 마련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5)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크랭크케이스(16)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필터(17)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스프링(19)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이아프램(18);을 구비하고, 오일 배출구(14)에 체크밸브(20)가 설치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10)에 있어서, 엔진의 흡기측과 접속되는 상기 가스 배출구(13)에 오리피스(21)를 형성하여 체크밸브(20)의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로즈드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10)은 오일 배출구(14)에 설치된 체크밸브(20)의 전후단 압력차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에서 분리된 오일의 드레인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10)의 오일 드레인은 체크밸브(20) 전후단 압력차에 의한 흡기압력의 함수이며,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과 체크밸브 후단 압력(흡기압력) P(A)의 차이에 의해 오일의 드레인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압력차이만큼 오일 유면 높이가 확보되었을 때에 비로소 드레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스 배출구(13)에 오리피스(21)를 형성하여 가스 이동 통로를 줄이는 것에 의해 오리피스(21)를 사이에 두고 전단에 비하여 가스 배출구(13)의 내부 압력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일 드레인은 체크밸브(20)의 전후단 압력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걸리게 되어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보다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이 일정압력 이상(예를 들면 240mmAq이상) 커지게 되면 오일이 역류하는 블로오버가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오리피스(21)에 의해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이 커지게 되면 엔진 흡기측에 과도한 부압이 걸리게 되더라도 체크밸브 전단 압력 P(D)과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차가 일정압력 즉, 예를 들면 240mmAq이상 발생되지 않게 되어 오일 배출구(14)를 통해 정상적인 오일 드레인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필터링된 오일이 역류하는 블로오버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오리피스 전후단 압력차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5와 같이 오리피스(21)를 설치했을 때 가스 배출구(13)내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의 체크밸브 후단 압력 P(A)과 체크밸브 전단 압력P(D)의 압력차가 현저하게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의 장착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일부 절제 요부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체크밸브 전후단 압력차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
11 : 하우징 12 :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
13 : 가스 배출구 14 : 오일 배출구
15 : 덮개 16 : 크랭크케이스
17 : 필터 18 : 다이아프램
19 : 스프링 20 : 체크밸브
21 : 오리피스

Claims (2)

  1. 삭제
  2. 일측에 블로바이 가스 유입구(12) 및 가스 배출구(13)가 마련되고 하단에 오일 배출구(14)가 마련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5)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크랭크케이스(16)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필터(17)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스프링(19)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이아프램(18);을 구비하고, 오일 배출구(14)에 체크밸브(20)가 설치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구(13)에 오리피스(21)를 형성하여 체크밸브의 전후단 압력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 블로오버 방지구조.
KR1020070108313A 2007-10-26 2007-10-26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KR10091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313A KR100911511B1 (ko) 2007-10-26 2007-10-26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313A KR100911511B1 (ko) 2007-10-26 2007-10-26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514A KR20090042514A (ko) 2009-04-30
KR100911511B1 true KR100911511B1 (ko) 2009-08-10

Family

ID=407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313A KR100911511B1 (ko) 2007-10-26 2007-10-26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8405B (zh) * 2010-11-16 2012-09-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
CN112392573A (zh) * 2019-08-15 2021-02-2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适用于高进气真空度的油气分离装置和柴油发动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46U (ko) * 1995-02-10 1996-09-17 자동차용 엔진의 벤틸레이션호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46U (ko) * 1995-02-10 1996-09-17 자동차용 엔진의 벤틸레이션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514A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457A (en) Breathe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25049B2 (en) Apparatus for ventilating the crankcase of a combustion engine
JP2003535252A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ス換気ガスから脱油をする装置
WO2011145522A1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US20100000499A1 (en) Deaerating and aerating device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534518B2 (en) Lubricating oil filter assembly
US81569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crankcase fumes
US20140290634A1 (en) Crankcase breather
US5697349A (en) Blowby mist separator and regulator system for an enclosed crankcase
JP2009150289A (ja) Pcvバルブの取付構造
JP2006022700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KR100911511B1 (ko) 차량 엔진용 크로즈드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ccv)의블로오버 방지구조
US20100147253A1 (en) Oil Pan
US20090126708A1 (en) Crank-case ventilation filter set equipped with check valve
JP2017066963A (ja) ブローバイガス用フィルタ
JP2018178958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US10677121B2 (en) Oil and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CN207033752U (zh) 空气压缩机油气过滤结构及具有该过滤结构的螺杆式空气压缩机
JP2006152890A (ja) オイル分離構造及び内燃機関
CN107989671B (zh) 用于曲轴箱通风的一体式油分离器组件
KR20200042726A (ko) 차량용 오일필터 체결기구
JP2009209813A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KR100736982B1 (ko)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의 결빙방지장치
US7096847B1 (en) Oil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67276A1 (en) Internal-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a device for purifying the crankcase breather g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