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522B1 - 슬링 조합체 - Google Patents

슬링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522B1
KR100910522B1 KR1020090029344A KR20090029344A KR100910522B1 KR 100910522 B1 KR100910522 B1 KR 100910522B1 KR 1020090029344 A KR1020090029344 A KR 1020090029344A KR 20090029344 A KR20090029344 A KR 20090029344A KR 100910522 B1 KR100910522 B1 KR 100910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ling
water
slings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훈
Original Assignee
구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훈 filed Critical 구태훈
Priority to KR102009002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링 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원사와 물에 녹는 제2 원사가 편직되어 이루어지고, 제2 원사가 물에 녹아서 제거되면 제1 원사에 의해서 이루어진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만들 수 있는 슬링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슬링, 요실금, 편직, PVA, PP

Description

슬링 조합체{Sling assembly}
본 발명은 슬링 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원사와 물에 녹는 제2 원사가 편직되어 이루어지고, 제2 원사가 물에 녹아서 제거되면 제1 원사에 의해서 이루어진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만들 수 있는 슬링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요도를 통하여 방광 내의 소변이 배출되는 증상, 즉,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불수의적 배뇨현상을 뜻한다. 요실금의 종류에는 진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긴장성 요실금), 절박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등이 있다.
요실금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요도 괄약근이 약한 경우, 요도 자체의 지지 기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으로 인해 닫히는 힘이 약해진 경우, 반복되는 임신과 출산 또는 수술 등으로 방광과 요도를 지탱하는 골반 근육이나 인대가 파열 및 약해지면서 방광경부와 요도가 아래로 처지는 경우, 출산시 괄약근을 지지하는 신경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괄약근이 약화된 경우, 폐경기 이후 요도 내의 혈관들이 위축되어 요도 저항을 극도로 약화시킨 경우, 자궁암이나 직장암 등의 수술 후에 신경계 질환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상기 원인으로 인하여 웃음, 기침, 재채기 및 운동 등으로 복압이 상승할 때 요도 내의 압력보다 방광의 압력이 높아져 방광근의 수축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의식 없이 요도를 통하여 소변이 나오게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걷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소변이 나올 수 있다.
요실금은 건강한 중년여성의 30%∼47%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사회활동을 포기하거나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해서 요도 하부에 지지수단을 삽입하여 요도를 지지하게 하는 수술적 치료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치료법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325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28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은 슬링(12)과, 슬링(12)의 양쪽 끝단에 설치되어 슬링(12)을 인체 내부에 고정시키는 앵커(18)를 포함한다.
슬링(12)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사가 편직되어 이루어진다. 슬링(12)은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탄력을 가지기 때문에 요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슬링(12)의 구성은 상기 등록특허 제10-0877288호 등에 개시되어 있고, 시중에서는 Johnson&Johnson社의 슬링과 보스톤 사이언스社의 슬링 등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슬링(12)을 하나씩 각각 편직하여 제조하면 그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슬링의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슬링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꺼번에 여러 개의 슬링을 만들 수 있는 슬링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조합체는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편직되어 이루어지되 제2 원사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원사가 배치되어 각각의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이루고, 제2 원사는 이웃하는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편직으로 서로 연결하며, 제1 원사는 물에 녹지 않고, 제2 원사는 물에 녹아서 제거될 수 있으며, 제2 원사가 물에 녹아서 제거되면 이웃하는 슬링이 서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제2 원사는 물에 녹아서 제거될 수 있는 가수분해성 원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2 원사는 30도 이상의 물에 녹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이다.
여기에서, 제1 원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2 원사는 tenacity 강도가 2.3cN/T 이상 5.3cN/T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조합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슬링의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둘째, 한꺼번에 여러 개의 슬링을 만들 수 있다.
셋째, 슬링 조합체에 물을 뿌려주면 각각의 슬링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슬링의 분리공정이 용이하다.
넷째, 슬링 조합체가 분해되어서 만들어진 슬링의 양측부가 부드러운 곡선 형상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수술 후에 피부조직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링 조합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슬링 조합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링 조합체(100)는 제1 원사(20)와 제2 원사(22)가 편직되어 이루어진다.
제1 원사(20)는 제2 원사(22)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개수, 바람직하게는 7개가 배치된다. 즉, 7개의 제1 원사(20)와 1개의 제2 원사(22)가 교대로 배열된 후 제1,2 원사(20)(22)가 편직되어서 슬링 조합체(100)로 만들어진다.
제1 원사(20)는 물에 녹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 예를 들어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다.
제2 원사(22)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원사(20), 예를 들어서 7개의 제1 원사(20)마다 하나씩 배열된다. 제2 원사(22)는 이웃하는 요실금 치료용 슬링(30)을 편직으로 서로 연결한다.
제2 원사(22)는 물에 녹아서 제거될 수 있는 가수분해성 원사이다. 바람직하게, 제2 원사(22)는 고온의 물 예를 들어, 30도 이상의 물에 녹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로 이루어진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Nitivy社의 Solvron Yarn이 제2 원사(22)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원사(22)가 물에 녹아서 제거되면 이웃하는 슬링(30)이 서로 분리된다. 이 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링(30)의 양측부에는 제1 원사(20)로 이루어진 루프(32)가 형성되기 때문에 인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에 피부 조직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원사(20)와 제2 원사(22)가 서로 편직된 상태에서 제2 원사(22)가 제거되기 때문에 슬링(30)의 양측부에는 루프(3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루프(32)로 인하여 슬링(30)의 양측부가 부드러운 곡선 형상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수술 후에 피부조직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원사(22)는 물에 의해서 제거될 것이기 때문에 필요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질 필요가 없다. 즉, 이웃하는 슬링(30)을 편직으로 결합해서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상기 결합을 유지할 정도의 인장강도만을 가지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 제2 원사(22)는 2.3cN/T 이상이고 5.3cN/T 이하인 tenacity 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제2 원사(22)의 인장강도는 슬링 조합체(100)를 이루도록 편직된 경우에 잡아당기면 끊어지는 정도의 인장강도이다.
도 6은 제2 원사(22)가 이웃하는 제1 원사(20)와 편직된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원사(22)가 형성하는 루프(36)에 제1 원사(20)의 루프(32)가 삽입되고, 제1 원사(20)가 형성하는 루프(32)에 제2 원사(22)의 루프(36)가 삽입된다. 이러한 편직은 통상적인 편직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조합체(100)를 이용하여 슬링(30)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2 원사(20)(22)를 편직하여 슬링 조합체(100)를 만든다(S10). 제1 원사(20)가 형성하는 루프(32)에 이웃하는 제1 원사(20)의 루프(3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편직된다. 제1 원사(20)와 제2 원사(22)의 편직에 관해서는 도 6과 관련해서 전술한 바 있다. 이러한 제1,2 원사(20)(22)의 편직은 통상적인 편직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편직공정은 '배경기술'의 설명란에서 설명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7288호의 슬링(12)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편직방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편직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2398호, 공개특허 제10-2006-0090871호, 등록특허 제10-0520003호 등에 그 구성 이 개시되어 있다.
이어서, 열처리 유니트(도 8의 50)를 이용하여 슬링 조합체(100)를 열처리한다(S20). 열처리 공정은 루프(32)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서 슬링(30)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열처리 유니트(50)는 입구(53)와 출구를 가진 프레임(52)과, 프레임(52)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55)과, 프레임(52)의 내부를 관찰하고 청소하기 위한 창문(57)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52)은 폭이 대략 4m, 길이가 대략 50m이다.
슬링 조합체(100)는 입구(53)를 통하여 프레임(52)의 내부로 유입되고 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프레임(52)의 내부로 유입된 슬링 조합체(100)는 프레임(52) 내부에서 소정 속도 예를 들어, 30cm/sec-50cm/sec의 속도로 이동되면서 공급관(55)을 통해서 공급된 고온의 공기 예를 들어, 130도-150도의 공기에 의해서 20%-30%정도 수축되는데, 이 과정에서 루프(32) 사이의 결합력이 커진다. 도 9a와 도 9b는 프레임(52)의 내부에서 이송롤러(54)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수축되는 슬링 조합체(100)를 보여준다. 입구(53)를 통하여 프레임(100) 내부에 유입된 슬링 조합체(100)는 도 9a와 같이 아래로 쳐지게 되지만, 이송롤러(54)에 의해서 이동되는 동안에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수축되어 도 9b와 같이 팽팽하게 된다.
열처리 공정을 거친 슬링 조합체(100)는 분리 유니트(도 10의 60)에 의해서 각각의 슬링(30)으로 분리된다(S30). 분리 유니트(60)는 슬링 조합체(100)가 권취된 공급롤(61)과, 물을 슬링 조합체(100)에 뿌리는 물 분사부재(65)를 구비한다.
슬링 조합체(100)는 물 분사부재(65)의 하측을 통하여 이동된다. 이 때, 분사부재(65)로부터 공급된 물,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 100도 이하의 물에 의해서 제2 원사(22)가 녹아서 제거된다. 제2 원사(22)가 제거되면 슬링 조합체(100)를 이루는 각각의 슬링(30)이 분리된다. 분리된 각각의 슬링(30)은 권취롤(미도시)에 권취된다. 권취롤에 권취된 슬링(30)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조합체(100)는 여러 개의 슬링(30)을 한꺼번에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슬링(30)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단가를 떨어뜨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구비하는 지지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링 조합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슬링 조합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슬링 조합체에서 분리된 슬링의 측부를 보여주는 확대도면.
도 6은 도 3의 슬링 조합체에서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편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슬링 조합체를 이용하여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도 7의 공정에 사용되는 열처리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a와 도 9b는 각각 도 8의 열처리 유니트에서 열처리되는 슬링 조합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공정에 사용되는 분리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수단 20 : 제1 원사
22 : 제2 원사 30 : 슬링
32, 36 : 루프 50 : 열처리 유니트
60 : 분리 유니트 100 : 슬링 조합체

Claims (5)

  1.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편직되어 이루어지되 제2 원사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1 원사가 배치되어 각각의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이루고, 제2 원사는 이웃하는 요실금 치료용 슬링을 편직으로 서로 연결하며, 제1 원사는 물에 녹지 않고, 제2 원사는 물에 녹아서 제거될 수 있으며, 제2 원사가 물에 녹아서 제거되면 이웃하는 슬링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원사는 물에 녹아서 제거될 수 있는 가수분해성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원사는 30도 이상의 물에 녹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조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조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원사는 tenacity 강도가 2.3cN/T 이상 5.3cN/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조합체.
KR1020090029344A 2009-04-06 2009-04-06 슬링 조합체 KR10091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44A KR100910522B1 (ko) 2009-04-06 2009-04-06 슬링 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44A KR100910522B1 (ko) 2009-04-06 2009-04-06 슬링 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522B1 true KR100910522B1 (ko) 2009-07-31

Family

ID=4133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344A KR100910522B1 (ko) 2009-04-06 2009-04-06 슬링 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5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171B2 (en) 2001-01-23 2006-09-26 Ams Research Corporation Sling assembly with secure and convenient attachment
US7297102B2 (en) 2004-07-28 2007-11-20 Ethicon, Inc. Minimally invasive medical implant and insertio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877288B1 (ko) 2007-06-01 2009-01-07 구태훈 요실금 치료용 슬링
US7513865B2 (en) 2005-12-20 2009-04-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lattened tubular mesh sling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171B2 (en) 2001-01-23 2006-09-26 Ams Research Corporation Sling assembly with secure and convenient attachment
US7297102B2 (en) 2004-07-28 2007-11-20 Ethicon, Inc. Minimally invasive medical implant and insertio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513865B2 (en) 2005-12-20 2009-04-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lattened tubular mesh sling and related methods
KR100877288B1 (ko) 2007-06-01 2009-01-07 구태훈 요실금 치료용 슬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0402B (zh) 用于治疗盆腔病况的手术制品和方法
US9943390B2 (en) Method of treating pelvic organ prolapse in a female patient by accessing a prolapsed organ trans-vaginally through a vagina
AU2007253683B2 (en) Method and articles for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N105769378B (zh) 用于治疗女性骨盆病症,具有可吸收性和不可吸收性特征的移植物
EP2001398B1 (en) Prosthesis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CN102137633B (zh) 微创植入物
EP2531136B1 (en) Body implantable fabric having closed loop knit
EP2931176B1 (en) Medical sling
CN101534746A (zh) 用于治疗盆腔病况的手术制品和方法
KR100910522B1 (ko) 슬링 조합체
US20130053626A1 (en) Fecal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KR100893255B1 (ko) 슬링을 이용하는 요실금 치료기
KR100982613B1 (ko) 생분해부를 가진 요실금 치료용 메쉬 및 그 직조방법
CN104178910A (zh) 一种盆底补片悬吊带及其制造方法
CN207012267U (zh) 一种具有编链结构的尿失禁悬吊带
US20180263750A1 (en) Sling for urinary incontinence surgery
CN209564261U (zh) 一种弹性私密环
AU2016204897B2 (en) Method and articles for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U2013201299B2 (en) Method and articles for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KR20150105703A (ko) 요실금 시술용 메쉬 및 장기 탈출증 시술용 메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