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03B1 -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03B1
KR100910403B1 KR1020090019759A KR20090019759A KR100910403B1 KR 100910403 B1 KR100910403 B1 KR 100910403B1 KR 1020090019759 A KR1020090019759 A KR 1020090019759A KR 20090019759 A KR20090019759 A KR 20090019759A KR 100910403 B1 KR100910403 B1 KR 10091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olyvinyl alcohol
polymer solution
contact lens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운
Original Assignee
(주)콘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콘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콘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1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친화적이고 안정성이 뛰어난 렌즈 착색용 잉크 및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는 폴리비닐알콜을 물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과, 안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금형의 표면에 인쇄되어 렌즈물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용매 대신에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잉크를 제조함으로써 무독성이면서도 생체친화적인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콘택트렌즈, 칼라, 중합체, 안료, 물

Description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Coloring ink for color contact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친화적이고 안정성이 뛰어난 렌즈 착색용 잉크 및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 착용 인구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개발 노력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시력교정이라는 콘택트렌즈 고유의 임무 외에도 미용효과까지 낼 수 있는 칼라 콘택트렌즈의 개발은 여성들의 미적 추구 욕구와 제품개발 성과가 어우러져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콘택트렌즈 분야의 중요한 제품군 중의 하나로 등장하게 하였다.
특히 세계가 글로벌화 되면서 서로 다른 인종과 문화권사이의 교류가 많아져 눈동자의 색깔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관한 수요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첫번째로 투명 채색 렌즈가 있다. 투명 채색렌즈는 본래의 홍채 색상을 변경시켜 주는 목적 보다는 투명성을 강조하거나, 광선의 차단 효과 등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투명 채색렌즈로는 눈동자를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시켜주는 데는 한계가 있어 미용용보다는 식별용이나 자외선 차단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두 번째는 본래의 홍채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불투명 채색렌즈이다. 그러나 이 렌즈에 사용되는 불투명 안료는 일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소프트렌즈의 기공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그 색소를 렌즈에 직접 착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크터얼 (Wichterle)의 미국 특허 제3,679,504호는 붓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착색체를 렌즈 표면에 그려 넣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렌즈 형태의 변형을 야기하는 동시에 균일한 색깔과 문양을 얻을 수 없어 대량생산이 어렵고 렌즈 착용 시 좌우의 색깔이 다른 문제점이 있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착색 렌즈의 대량생산 방안은 렌즈 표면에 유색 잉크로 피복하는 것이다. 칼라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잉크의 구성은 안료와 렌즈 표면에 결합할 수 있는 중합체 및 용매, 다양한 첨가제로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잉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다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잉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기용매의 조성비에 따라 잔류성분이 존재할 때 안구에 여러가지 문제점을 불러올 수 있다. 중합체 중에 잔류된 다량의 유기용매는 휘발과정 없이 렌즈성분과 반응하기 때문에 유기용매는 렌즈성형물 속에 그대로 미반응 물질로 남게된다.
더구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잉크는 점도가 일정치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조환경에 따라 점도성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안료의 조성비율이 변화하여 인쇄하는 데 있어서 색상의 다변화, 인쇄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다량의 유기용매 대신에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잉크를 제조함으로써 안전한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독성이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고분자 중합체의 가수분해도와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물에 용해시 적정 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는 폴리비닐알콜을 물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과, 안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금형의 표면에 인쇄되어 렌즈물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가수분해도 85 내지 99%,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상기 폴리비닐알콜 10 내지 12.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의 점성도는 364 내지 558cp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은 결합중합체인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폴리비닐알콜을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얻는 용해단계와; 상기 고분자 용액에 안료를 혼합하여 잉크를 얻는 혼합단계 와; 상기 잉크를 제 1금형의 표면에 설정된 패턴으로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제 1금형에 인쇄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와; 상기 제 1금형을 렌즈물질이 채워진 제 2금형에 형합시켜 상기 제 1금형에 인쇄된 잉크를 상기 렌즈물질에 결합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안료에 더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용매 대신에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잉크를 제조함으로써 무독성이면서도 생체친화적인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는 폴리비닐알콜을 물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과, 안료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 중합체로서 물에 용해 가능하고 팽윤도가 높고, 인체에 무독성이며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다.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PVA)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분자 중합체이다. 일 예로 초산과 아세틸렌을 반응시켜 비닐아세테이트를 만들고 이를 다시 중합하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만든 다음 용매에 용해시켜 산 또는 알칼 리 촉매를 사용하여 가수분해시킨다.
폴리비닐알콜로 Poly(Vinyl Alcohol)(시그마알드리치사), 엘바놀(Elvanol) 50 (듀퐁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알콜은 바람직하게 가수분해도 85 내지 99%,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인 것을 이용한다. 이 경우 평균분자량과 가수분해도는 상기 폴리비닐 알콜의 제조공정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 물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물을 용매로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의 저급알코올이나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포시드 등의 카르복실산 아미드와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유기용매의 위험성을 배제시켜 안전한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안료로는 잉크의 색깔에 따라 공지의 안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안료자체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작용기를 가질필요가 없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인체에 무해한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를 이용한다. 가령, 산화철블랙(Iron(Ⅲ) oxide), 산화티탄(Titanium(Ⅳ) oxide), Remazol Brilliant Blue R, Reactive Black 5, Quinoline Yellow, Solvent Green 3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의 일 실시 예로 폴리비닐알콜수지를 물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다음, 고분자 용액에 안료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 경우 고분자 용액의 조성은 물 87.5 내지 90 중량%, 폴리비닐알콜 수지 10 내지 12.5중량%로 혼합된다. 이 때 고분자 용액의 점성도는 364 내지 558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용액의 점성도는 잉크의 인쇄시 인쇄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점도는 안료의 분산성, 경화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고분자 용액에 안료를 혼합하여 칼라콘택트 렌즈용 잉크가 조성된다. 이 경우 조성비는 고분자 용액 60 내지 80중량%, 안료 20 내지 40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안료에 더하여 경화제나 첨가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경화제는 잉크의 경화촉진을 위한 것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이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NCO를 갖는 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nate)가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단계별로 설명한다.
1. 결합중합체의 준비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시그마알드리치사)의 증류수에 대한 용해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분자량과 가수분해도에 따른 용해성을 실험하였다. 폴리비닐알콜의 열안정성과 열가소성이 약 100 내지 140℃인 점을 감안하여 용해시 온도는 65℃에서 95℃까지 5℃간격으로 용해성을 측정하였다. 증류수 대 폴리비닐알콜은 중량비로 9:1로 혼합하여 25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기에서 교반시키면서 육안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온도(℃) 용해정도, 용해시간
평균 분자량(Mw): 9000~10000 가수분해도: 80% 65 불용
70 일부 용해
75 용해, 37분
80 용해, 25분
85 용해, 25분
90 용해, 10분
95 용해, 10분
평균 분자량(Mw): 31000~50000 가수분해도: 87~89%, 65 불용
70 불용
75 일부 용해
80 일부 용해
85 용해, 12분
90 용해, 10분
95 용해, 10분
평균분자량(Mw): 89000~98000 가수분해도: 99% 65 불용
70 일부 용해
75 일부 용해
80 용해, 24분
85 용해, 15분
90 용해, 10분
95 용해, 10분
평균분자량(Mw):85000~124000 가수분해도: 98~99% 65 불용
70 불용
75 일부 용해
80 용해, 55분
85 용해, 47분
90 용해, 37분
95 용해, 25분
평균분자량(Mw):146000~186000 가수분해도: 99% 65 불용
70 불용
75 불용
80 일부 용해
85 일부 용해
90 용해, 55분
95 용해, 55분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중합도가 높을 수록 용해도가 낮고 용해시간이 길었다. 그리고 가수분해도가 높을수록 용해온도에 따라 용해속도가 급격하게 변하였다. 또한, 가수분해도가 낮으면 전체적으로 용해도가 높고, 용해속도가 빨랐다.
상기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용 잉크에 적합한 폴리비닐알콜은 용해도와 용해시간 등을 감안할 경우 가수분해도 85 내지 99%,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용해
상기에서 준비된 폴리비닐알콜을 물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준비한다. 이 경우 얻어진 고분자 용액은 적당한 점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폴리비닐알콜 수지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물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온도 85℃에서 95℃까지 5℃간격으로 각 온도에서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가수분해도 85 내지 99%,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인 폴리비닐알콜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점성을 육안관찰하였다. 각 실험은 약 25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기에서 각 온도를 유지한 채 한시간 정도 교반시킨 후 온도 off조건에서 12시간 정도 실온에서 방치한 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수지조성비 결과
85℃ 5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7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10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12.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낮음
1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낮음
90℃ 5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점도 낮음
7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점도 낮음
10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양호
12.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양호
1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높음
95℃ 5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점도 낮음
7중량% 낮은 슬러리 상태, 점도 낮음
10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양호
12.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양호
15중량% 슬러리 상태 양호, 점도 높음
상기 표 2의 결과를 토대로 육안관찰상 각 온도에서 가장 양호한 상태인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점도계(DV-E VISCOMETER,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미국)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온도 수지조성비 점도(cps)
85℃ 12.5중량% 558
90℃ 10중량% 398
90℃ 12.5중량% 412
95℃ 10중량% 364
95℃ 12.5중량% 372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온도와 무관하게 폴리비닐알콜의 조성비가 5중량% 및 7중량%인 경우 스펙큘라를 이용한 육안관찰시 점성도가 너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온도와 무관하게 1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탁한 상태, 용해가 부분적으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분자 용액은 작업성을 고려하여 판단할 때 85 내지 95도의 용해 온도에서 폴리비닐알콜 조성비가 10 내지 1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이 경우 용액의 점성도는 364 내지 558cps인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고분자용액은 용해온도 90도, 폴리비닐알콜 조성비 10 내지 12.5중량%, 점성도 398 내지 412cps인 경우이다.
3. 안료혼합
상기 표 7의 결과로 얻어진 용해온도 90도, 폴리비닐알콜 조성비 12.5중량%, 점성도 412cps인 고분자 용액에 안료와 경화제를 첨가하여 잉크를 제조한다.
안료는 산화철블랙(Iron(Ⅲ) oxide, 시그마알드리치)을, 경화제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를 이용한다. 이 경우 잉크 중 경화제의 함량은 약 0.2 내지 0.8중량%이다.
상기와 같이 안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실온에서 약 12시간 정도 방치시킨다. 이 경우 안료는 반응에 참가하지 않지만 중합체의 중의 고분자들끼리 가교결합이 일어난다. 이때 안료는 결합중합체 사이에 침투되어 탈색을 방지한다.
4. 인쇄 및 고정
제조된 잉크는 패드인쇄기를 이용하여 렌즈의 곡률을 가지는 제 1금형의 표면에 설정된 색상과 패턴으로 인쇄한다. 패드인쇄방법은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금형에 특정패턴이 인쇄되면 후술할 고정단계에서 렌즈물질에 결합되는 잉크의 탈색을 방지하기 위해 경화시킨다. 충분히 경화가 되지 않으면 탈색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인쇄된 제 1금형을 렌즈물질이 채워진 제 2금형에 형합시킨다. 제 1금형과 제 2금형은 형상이 상보적으로 이루어지며, 형합시 제 1금형에 인쇄된 잉크는 렌즈물질에 결합된다. 그리고 착색된 렌즈물질은 공지된 조건으로 경화됨으로써 칼라콘택트 렌즈가 제조된다.
상기에서 렌즈물질로는 다양한 물질이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PHEMA계(Polly hydroxy ethyl methacrylate), 락탐구조 재질,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을 이용한다. 렌즈물질에는 다양한 강화제나 UV차단제,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시 충분한 경화시간과 온도를 살펴보기 위해 고분자 용액 66. 6중량 %, 안료 26.5중량%, 경화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 잉크를 제 1금형의 표면에 패드인쇄기로 인쇄하여 칼라 콘택트 렌즈를 제조한 후 탈색시험을 하였다.
탈색시험은 렌즈의 인쇄된 부분을 엄지와 검지 사이 손가락으로 20회 문지른 후 탈색 및 변형정도를 관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일단 탈색된 시료는 형상검사를 배제하였다.
경화온도(℃) 경화시간(min) 탈색여부 및 변형 정도
85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
90 탈색
105 탈색
120 탈색
90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
90 탈색
105 탈색
120 탈색
95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
90 탈색
105 탈색
120 탈색
100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
9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9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10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9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15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9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45 탈색,
60 탈색,
7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9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05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120 탈색없음, 변형약간발생
상기의 결과로부터 인쇄후 경화시간은 105 내지 120℃에서 약 75분 내지 120분 정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폴리비닐알콜을 물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과, 안료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금형의 표면에 인쇄되어 렌즈물질에 결합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가수분해도 85 내지 99%,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상기 폴리비닐알콜 10 내지 12.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용액의 점성도는 364 내지 558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4. 결합중합체인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폴리비닐알콜을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얻는 용해단계와;
    상기 고분자 용액에 안료를 혼합하여 잉크를 얻는 혼합단계와;
    상기 잉크를 제 1금형의 표면에 설정된 패턴으로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제 1금형에 인쇄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와;
    상기 제 1금형을 렌즈물질이 채워진 제 2금형에 형합시켜 상기 제 1금형에 인쇄된 잉크를 상기 렌즈물질에 결합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안료에 더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90019759A 2009-03-09 2009-03-09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KR10091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59A KR100910403B1 (ko) 2009-03-09 2009-03-09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59A KR100910403B1 (ko) 2009-03-09 2009-03-09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403B1 true KR100910403B1 (ko) 2009-08-04

Family

ID=4120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59A KR100910403B1 (ko) 2009-03-09 2009-03-09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8664A1 (en) * 2019-09-12 2021-03-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k composition for cosmetic contact lenses
US10996491B2 (en) 2018-03-23 2021-05-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k composition for cosmetic contact len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68A (ko) * 2005-02-22 2006-08-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드로겔 처리
US7165839B2 (en) * 2003-12-19 2007-01-23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tinted contact len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5839B2 (en) * 2003-12-19 2007-01-23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tinted contact lenses
KR20060093668A (ko) * 2005-02-22 2006-08-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드로겔 처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6491B2 (en) 2018-03-23 2021-05-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k composition for cosmetic contact lenses
WO2021048664A1 (en) * 2019-09-12 2021-03-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k composition for cosmetic contact lenses
US11891526B2 (en) 2019-09-12 2024-02-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k composition for cosmetic contact len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3944B1 (de) Getemperte Polyvinylalkohol-Kontaktlinse
KR100773571B1 (ko) 콘택트렌즈 착색용 잉크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CN106867388A (zh) 一种自修复防眩光水性聚氨酯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220252B (zh) 一种固体胶棒及其制备方法
IE60525B1 (en) Hydrophilic coloured contact lenses
US20080012164A1 (en) Novel biocompatible ink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P1817362A1 (en) Crosslinkable poly(oxyalkylene)-containing polyamide prepolymers
CN105399954A (zh) 亲水性硅氧烷低聚物、硅水凝胶、角膜接触镜及制备方法
TW200303884A (en) Coated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H06235887A (ja) 色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910403B1 (ko) 칼라콘택트 렌즈 착색용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US11567236B2 (en)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211025B2 (ko)
CN108192313A (zh) 一种聚酯环保镜面材料
JPWO2005016617A1 (ja) マーク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マーク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
TWI694122B (zh) 用於著色矽水膠隱形眼鏡之色料組合物、含此色料組合物的著色矽水膠隱形眼鏡、以及改質用於著色矽水膠隱形眼鏡之色料的方法
CN111021093A (zh) 一种交联型环保纺织涂料墨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1068746A1 (fr) Moulage obtenu a partir d'alcool polyvinyliqu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US3813447A (en) Hydrophilic synthetic high polymers for soft contact lenses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71840B (zh) 具有可自癒合性的水凝膠及其用途
TWI706013B (zh) 用於著色隱形眼鏡之色料組合物、含此色料組合物的著色隱形眼鏡以及改質用於著色隱形眼鏡之色料的方法
EP0077295A1 (de) Kontaktlinse aus mit Borat vernetztem Polyvinylalkohol
TW201639916A (zh) 用於隱形眼鏡著色的可聚合組成物
CN105175640A (zh) 光变色性软性隐形眼镜组合物及制造其的方法
CN110396190A (zh) 防紫外线彩色荧光隐形眼镜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