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360B1 - 브릿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브릿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360B1
KR100909360B1 KR1020070096554A KR20070096554A KR100909360B1 KR 100909360 B1 KR100909360 B1 KR 100909360B1 KR 1020070096554 A KR1020070096554 A KR 1020070096554A KR 20070096554 A KR20070096554 A KR 20070096554A KR 100909360 B1 KR100909360 B1 KR 10090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substrate
plug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891A (ko
Inventor
정주영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3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2)과, 상기 기판과 소켓들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플러그들과 결합되는 금속성 체결구(5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50)는 상부에 걸림공(5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들(30,40)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이 상기 소켓들(10,20)에 체결시에 상기 걸림턱(3)이 걸림공(51)과 결합하여 상호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브릿지 커넥터, 단자, 회로기판, 소켓, 플러그.

Description

브릿지 커넥터{BRIDGE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기판들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전자제품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는 많은 기판들이 장착된다. 이들 기판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판들간의 연결을 위하여 브릿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브릿지 커넥터는 분리되어 있는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 기판들에 결합되는 부분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또는 도선 부분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소켓과, 소켓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플러그로 구성된다.
소켓은 회로기판과 하부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소켓과 플러그는 탄성을 가진 락킹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브릿지 커넥터는 간격이 좁은 기판과 기판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다. 또한 브리지 커넥터는 협소장소에 사용되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여러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면 결합과정이 복잡한 경우 결합 및 해제시에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에 소켓과 플러그를 하나의 부품을 통해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플러그들을 연 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2)과,
상기 기판과 소켓들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플러그들과 결합되는 금속성 체결구(5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50)는 상부에 걸림공(5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들(30,40)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들(30,40)이 상기 소켓들(10,20)에 체결시에 상기 걸림턱(3)이 걸림공(51)과 결합하여 상호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50)는 중심부가 굴곡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51)과 걸림턱(3)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금속성 체결구를 사용하여, 시판과 소켓과 플러그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간단한 부품 한개로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공정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이 간단하게 플러그를 밀어 넣기만 하더라도, 체결구 자체의 탄성에 의해 간단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플러그의 외측면에서 이루어지며, 소켓의 상측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결합의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전 측면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후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듯이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연결용 단자들(2)과, 체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에 붙여진 서수는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붙인 것으로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은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상기 소켓들(10,20)은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소켓들(10,2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플러그들(30,40)이 진입가능하다.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기판접속용 단자들이 수용될 수 있다. 소켓들의 비어 있는 내부의 벽에는 다수개의 병렬적인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들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상기 소켓들(10,20)의 하부에서 기판들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들에 연결된 연결용 단자와 결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에 각각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는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이다. 외측면에는 연결용 단자들이 병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단자(2)는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연결용 단자들의 상부는 연결용단자들간의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물을 도포하고 있다.
체결구(50)는 도 1에 도시되듯이 소켓과 플러그들의 측면에 결합되는 금속성의 구성으로, 상기 기판과 소켓들을 차례로 관통하고 있다. 기판과 소켓들을 관통하여 상기 플러그들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도 2와 같이 플러그들을 기판과 소켓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체결구(50)는 상부에 걸림공(5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들(30,40)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을 포함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러그들(30,40)이 상기 소켓들(10,20)에 체결시에, 도 4와 같이 상기 걸림턱(3)이 걸림공(51)과 결합하여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상호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체결구(50)는 중심부가 굴곡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체결구(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51)과 걸림턱(3)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체결구(50)의 하단은 소켓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부가 플러그 측으로 밀착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구의 상부는 플러그에 밀착하여 플러그 측으로 고정력을 작용하고, 상기 플러그의 하부는 소켓에 밀착하게 되어 소켓 쪽으로 고정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체결부의 하단이 상기 기판 접속용 단자와 마찬가지로 기판과 접촉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소켓과 기판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플러그를 소켓에 결합시킬 때에는, 기판에 소켓을 위치시키고 체결구를 소켓에 안착시킨다. 그 후 플러그를 소켓의 상부로 밀어 넣으면, 체결구에 형성된 굴곡에 의해 플러그는 탄성을 받으며 소켓으로 진입하게 되고, 체결구의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걸림턱(3)이 걸림공(51)과 결합하여, 플러그를 소켓과 기판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플러그를 소켓에 대하여 이탈시킬 때에는, 금속성 체결구를 살짝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걸림턱(3)과 걸림공(51)의 결합이 해제되어 플러그를 이탈시킬 수 있 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전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후 측면 단면도.

Claims (2)

  1.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릿지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플러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플러그들의 측면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과,
    상기 기판과 소켓들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플러그들과 결합되는 금속성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상부에 걸림공을 포함하고, 하부의 끝단은 상기 소켓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의 상부는 플러그 측으로 굴절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측으로 밀착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구의 하부는 상기 소켓측으로 밀착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플러그들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들이 상기 소켓들에 체결시에 상기 걸림턱이 걸림공과 결합하여 상호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브릿지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중심부가 굴곡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과 걸림턱의 결합이 유지되는,
    브릿지 커넥터.
KR1020070096554A 2007-09-21 2007-09-21 브릿지 커넥터 KR10090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554A KR100909360B1 (ko) 2007-09-21 2007-09-21 브릿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554A KR100909360B1 (ko) 2007-09-21 2007-09-21 브릿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91A KR20090030891A (ko) 2009-03-25
KR100909360B1 true KR100909360B1 (ko) 2009-07-24

Family

ID=4069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554A KR100909360B1 (ko) 2007-09-21 2007-09-21 브릿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3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063A (ko) * 2005-10-17 2007-04-2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063A (ko) * 2005-10-17 2007-04-2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91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696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9865958B2 (en) Plug
TWI385871B (zh) 多電纜用電連接器
KR20110027660A (ko) 배요넷 작동을 구비한 고밀도 원형 상호 연결기
US9791649B2 (en) Mounting frame system
US20100279534A1 (en) Header connectors with rigid latches
WO2018090675A2 (zh) 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US20160149333A1 (en) Connector support structure and adaptor
CA2763743A1 (en) Connection device for a solar module
KR20190048538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JP2011503803A (ja) コネクタ
JP2003243068A (ja) プリント基板の相互間接続構造
KR20090006806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09360B1 (ko) 브릿지 커넥터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JP2008277108A (ja) コネクタカバー
TWI566483B (zh) 連接器插頭及連接器
KR100939620B1 (ko) 브릿지 커넥터
KR20090105058A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TWI430522B (zh) 插塞及插孔式連接器
US6793507B2 (en) Cable connector riser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TW201630272A (zh) 電連接器組合
KR100860905B1 (ko) 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