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653B1 -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53B1
KR100907653B1 KR1020090030518A KR20090030518A KR100907653B1 KR 100907653 B1 KR100907653 B1 KR 100907653B1 KR 1020090030518 A KR1020090030518 A KR 1020090030518A KR 20090030518 A KR20090030518 A KR 20090030518A KR 100907653 B1 KR100907653 B1 KR 10090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saw
wires
wire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770A (ko
Inventor
오중표
Original Assignee
다이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섹(주) filed Critical 다이섹(주)
Priority to KR102009003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6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53B1/ko
Priority to PCT/KR2009/006684 priority patent/WO20101171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8Sawing tools of special type, e.g. wire saw strands, saw blades or saw wire equipped with diamonds or other abrasive particles in selected individual positions
    • B23D61/185Saw wires; Saw cables; Twisted saw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5/00Making 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use in cutting any kind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8Sawing tools of special type, e.g. wire saw strands, saw blades or saw wire equipped with diamonds or other abrasive particles in selected individu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리콘이나 세라믹 등의 모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풀리 상에 장착되어 고속 회전하는 와이어 톱의 제조방식을 적극 개선하여, 끊김이 없이 하나의 연결된 고리 형태로 형성시켜 잉곳 형태의 해당 내용물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게 하는 것은 물론, 고속회전에 따른 장기간 커팅 작업시에도 와이어 톱이 쉽게 단락되지 않게 방지함으로써 파손의 위험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 톱 수명의 장기화 및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엔드리스 와이어 톱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와이어 톱은,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2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2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3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3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4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4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5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5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6선재가 길이 방향 권 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6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따라 각 선재는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권취되고, 일체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선재 표면에 다수의 절삭재와 간격재를 번갈아 끼워넣는 단계;를 순차 진행하여서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와이어 톱을 구성하되, 상기 와이어 톱의 양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풀어 1선재를 각각 절개하는 제1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2,4,6선재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2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3,5,7선재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3단계;와, 절개된 와이어 톱 양단부의 각 1선재를 접촉시켜 가접하는 제4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2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5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3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6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4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7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5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8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6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9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7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을 구현하게 되면, 기존과는 달리 일체 연결된 일정 길이의 와이어 톱 전체에 취약 부위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연결부위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을 적극 해소할 수 있으 며, 이는 와이어 톱의 양쪽 끝단을 상호 대응시켜 대응하는 각 선재를 서로 개개별로 꼬아 엔드리스화를 구축하는 방식임에 따라 풀리 상에서 팽팽한 권취 상태에 놓인 와이어 톱을 고속회전시켜 모재를 절단할 경우에도 전혀 단락되거나 손상되는 현상 없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와이어 톱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톱, 엔드리스 와이어 톱

Description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Process for Endress Wire saw}
본 발명은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리콘이나 세라믹 등의 모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풀리 상에 장착되어 고속 회전하는 와이어 톱의 제조방식을 적극 개선하여, 끊김이 없이 하나의 연결된 고리 형태로 형성시켜 잉곳 형태의 해당 내용물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게 하는 것은 물론, 고속회전에 따른 장기간 커팅 작업시에도 와이어 톱이 쉽게 단락되지 않게 방지함으로써 파손의 위험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 톱 수명의 장기화 및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톱은 실리콘이나 유리, 세라믹 또는 반도체 웨이퍼용 잉곳(ingot)이나 크리스탈, 유리 등과 같은 취성 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다수의 선재를 꼬아 만든 와이어에 다이아몬드 입자 등을 전착 혹은 융착시 켜 공구화한 것으로, 이러한 와이어 톱은 상기 재료의 절단가공시 정밀하고 평탄한 절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정확한 간격으로 다량의 모재를 커팅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반도체 및 태양전지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웨이퍼는 규소 잉곳을 커팅하여 제조되는바, 이때 사용되는 커팅 수단으로 과거에는 실톱 형태의 밴드형 커팅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는 날 파손율이 높고 수명이 짧아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커팅 작업효율과 생산성이 저조했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가는 굵기의 소구경 와이어(대략 0.068mm 정도의 가는 금속심) 수십 가닥을 서로 꼬아 보다 큰 직경의 스트랜드 와이어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스트랜드 와이어는 다시 큰 직경의 로프형 와이어로 꼬아 만들되, 끊김이 없이 전체가 하나로 엔드리스(endress)화 연결된 일체화 연속된 고리형 구조를 가지는 한편, 그 표면에는 절삭수단(초경입자 또는 다이아몬드입자)이 고착되어, 고속회전되는 풀리 사이에 팽팽히 권취될 경우 고효율 잉곳 커팅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엔드리스 와이어 톱이 개발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엔드리스 와이어 톱은 끊김이 없도록 전체가 하나의 형상이 되게 일체 연결시켜 엔드리스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와이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클립을 압착하여 연결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용접연결방법과 연결클립을 이용한 압착연결방법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난해하여 고도의 기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특히 각 단부의 연결부위가 극히 취약해 풀리 간 권취 상태에서 잉곳 커팅을 위해 고속 회전시킬 경우 와이어가 쉽게 끊어지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와이어 톱으로 구현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이 될 뿐 아니라, 잦은 와이어 톱 교체작업 및 수리 작업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을 저감시키고, 원가 손실 또한 상당한바, 풀리 상에서 팽팽한 상태로 권취되어 위치하는 와이어 톱을 고속 회전시켜 잉곳을 절단하더라도 와이어가 단락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견고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와이어 톱은,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2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2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3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3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4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4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5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5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6선재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6선재를 오른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따라 각 선재는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권취되고, 일체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선재 표면에 다수의 절삭재와 간격재를 번갈아 끼워넣는 단계;를 순차 진행하여서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와이어 톱을 구성하되, 상기 와이어 톱의 양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풀어 1선재를 각각 절개하는 제1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2,4,6선재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2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3,5,7선재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3단계;와, 절개된 와이어 톱 양단부의 각 1선재를 접촉시켜 가접하는 제4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2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5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3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6 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4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7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5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8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의 6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9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의 7선재를 가접된 1선재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엔드리스 와이어 톱을 구현하게 되면, 기존과는 달리 일체 연결된 일정 길이의 와이어 톱 전체에 취약 부위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연결부위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을 적극 해소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톱의 양쪽 끝단을 상호 대응시켜 대응하는 각 선재를 서로 개개별로 꼬아 엔드리스화를 구축하는 방식임에 따라 풀리 상에서 팽팽한 권취 상태에 놓인 와이어 톱을 고속회전시켜 모재를 절단할 경우에도 전혀 단락되거나 손상되는 현상 없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와이어 톱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b)(c)(d)(e)(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와이어 톱의 선재 권취과정을 순차 전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정으로 완성된 와이어 톱의 양단부 상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 톱 양단 부가 일부 절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1선재 표면으로 순차 권취되는 각 선재의 꼬임 종료 지점을 알기 쉽게 구분하여 도시화한 절개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리콘이나 유리, 세라믹 또는 반도체 웨이퍼용 잉곳(ingot)이나 크리스탈, 유리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다수의 선재를 꼬아 만든 와이어에 다이아몬드 입자 등을 전착 혹은 융착시켜 공구화 한 엔드리스 와이어 톱(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경이 대략 0.06mm 정도인 선재 7가닥을 마련하여 설명의 편의상 각각 1,2,3,4,5,6,7선재(10,20,30,40,50,60,70)로 구분 명칭한다.
[공정 1]
직경이 약 0.06mm인 선재 7가닥을 준비한 다음, 1선재(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2선재(2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2선재(20)의 계속적인 반복 권취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산과 산 사이 공간에는 나머지 3,4,5,6,7선재(30,40,50,60,70)가 나란히 정렬되어 감길 수 있도록 그 폭을 감안하여 일정 공간이 이격된 형태로 2선재를 권취하는바, 2선재(20)가 권취되는 산과 산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비치된다. 이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2]
1선재(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3선재(3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3선재(30)의 계속적인 반복 권취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산과 산 사이 공간에는 나머지 4,5,6,7선재(40,50,60,70)가 나란히 정렬되어 감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이격된 형태로 3선재(30)를 권취하는바, 3선재가 권취되는 산과 산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비치된다. 즉, 1선재에 권취된 2선재와 나란히 배열될 수 있게 3선재를 배치하여 2선재와 3선재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며, 이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3]
1선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4선재(4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 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4선재(40)의 계속적인 반복 권취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산과 산 사이 공간에는 나머지 5,6,7선재(50,60,70)가 나란히 정렬되어 감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이격된 형태로 4선재를 권취하는바, 4선재가 권취되는 산과 산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비치된다. 즉, 1선재에 권취된 2,3선재(20,30)와 나란히 배열될 수 있게 4선재를 배치하여 2,3선재와 4선재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며, 이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4]
1선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5선재(5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5선재(50)의 계속적인 반복 권취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산과 산 사이 공간에는 나머지 6,7선재(60,70)가 나란히 정렬되어 감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이격된 형태로 5선재를 권취하는바, 5선재가 권취되는 산과 산 사이에는 또 다른 여유 공간이 비치된다. 즉, 1선재에 권취된 2,3,4선재와 나란히 배열될 수 있게 5선재를 배치하여 2,3,4선재(20,30,40)와 5선재(50)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며, 이는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5]
1선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6선재(6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6선재(60)의 계속적인 반복 권취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산과 산 사이 공간에는 나머지 7선재(70)가 나란히 정렬되어 감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 이격된 형태로 6선재를 권취하는바, 6선재가 권취되는 산과 산 사이 역시 여유 공간이 비치된다. 즉, 1선재에 권취된 2,3,4,5선재와 나란히 배열될 수 있게 6선재를 배치하여 2,3,4,5선재(20,30,40,50)와 6선재(60)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며, 이는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6]
1선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준비된 7선재(70)를 1선재 표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권취하고, 그 권취 구간은 1선재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 한쪽 끝까지 감아나가는 것으로 완료된다.
즉, 상기 7선재(70)는 기 배치된 2,3,4,5,6선재(20,30,40,50,60)와 나란하게 정렬되어 권취됨으로써 1선재에 순차적으로 감긴 2,3,4,5,6,7선재는 서로 빈틈없이 맞물려 하나의 와이어를 구현하게 된다. 이는,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다.
[공정 7]
상기 공정을 거쳐 제조된 와이어의 양단부를 통해 다수의 절삭재와 간격재를 번갈아 끼워넣어 하나의 와이어 톱(100)을 구축한다.
[공정 8]
상기 와이어 톱의 양쪽 단부(A,B)를 일정 길이만큼 재차 풀어 중심축이 되는 1선재(10)를 각각 절개하고,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2,4,6선재(20,40,60)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한편, 대응하는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3,5,7선재(30,50,70)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한다. 이는, 첨부도 2 및 3에 도시하였다.
[공정 9]
절개된 와이어 톱 양단부(A,B)의 각 1선재(10)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가접하는 공정으로, 와이어 톱(100)의 엔드리스화를 구현하기 위한 중심축으로 작용하게 된다.
[공정 10]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2선재(2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타측 단부(B)의 2선재 끝단은 절개된 일측 단부(A)의 2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2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공정 11]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3선재(3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일측 단부(A)의 3선재 끝단은 절개된 타측 단부(B)의 3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3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공정 12]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4선재(4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타측 단부(B)의 4선재 끝단은 절개된 일측 단부(A)의 4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4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공정 13]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5선재(5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일측 단부(A)의 5선재 끝단은 절개된 타측 단부(B)의 5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5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공정 14]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6선재(6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타측 단부(B)의 6선재 끝단은 절개된 일측 단부(A)의 6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6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공정 15]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7선재(7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와인딩하는 일측 단부(A)의 7선재 끝단은 절개된 타측 단부(B)의 7선재 끝단에 맞물려 꼬임을 완료하게 된다.
즉, 양쪽 7선재가 만나는 위치는 1선재의 가접된 위치를 벗어나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쪽으로 일정 간격 더 치우쳐서 상호 맞물리게 된다.
상기한 공정을 단계별로 거쳐 2,3,4,5,6,7선재(20,30,40,50,60,70)가 서로 나란히 밀착 배열된 엔드리스 와이어 톱(100)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양끝단을 단순히 접합시켜 구성한 와이어 톱과는 달리, 동일한 꼬임 방식으로 와이어 톱의 양단부를 서로 결속시킴에 따라 결속부위가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정에서 제시한 선재의 가닥 수는 다수의 실시 예 중 하나일 뿐이고,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7가닥보다 많거나 혹은 보다 적은 개수의 선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톱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자에 의해 실시된 반복적인 제조 실험에 의하면, 선재의 굵기 및 내구성 등을 고려했을 경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선재 개수가 7가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재를 권취하는 방향에 대해 오른 방향으로 한정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 또한 제조자의 선택에 의해 왼 방향으로도 각 선재를 권취할 수 있는바, 어느 특정 방향에 국한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공정에서 절삭재(미도시함)를 와이어의 외측 표면에 고정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다이아몬드 파우더를 니켈 합금(니켈,크롬)분말과 왁스형 본드제와 서로 혼합하여 와이어의 외측 표면에 약하게 부착시킨 다음, 온도가 약 1100℃ 정도인 진공 전기로에서 니켈합금 분말을 용융시키고 냉각함으로 변환된 니켈합금 금속상으로서 다이아몬드 파우더를 고정시키는 융착방법 또는 와이어 톱의 금속재료 표면을 다른 종류의 금속이나 합금의 얇은 막으로 피복 고착하는 과정에서 초경입자 또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고정시키는 전착방법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재는 엔드리스 와이어에 삽입 가능한 튜브형 비즈(beads)에 고착시킨 다음, 상기 비즈를 엔드리스 와이어 제조과정에서 끼워 넣고, 끼워진 비즈는 엔드리스 와이어 제조 완료 후 브레이징(brazing) 고정방법을 통해 와이어와 견고히 고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등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절삭재 사이 공간에 탄성력이 뛰어난 탄성 수지 또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시킨 간격재(미도시함)를 더 개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코일스프링과 수지를 혼용하여 개재함으로써 탄성 효율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b)(c)(d)(e)(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된 와이어 톱의 선재 권취과정을 순차 전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과정으로 완성된 와이어 톱의 양단부 상태 모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 톱 양단부가 일부 절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1선재 표면으로 순차 권취되는 각 선재의 꼬임 종료 지점을 알기 쉽게 구분하여 도시화한 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선재 20 : 2선재
30 : 3선재 40 : 4선재
50 : 5선재 60 : 6선재
70 : 7선재 100 : 와이어 톱
A : 와이어 톱 일측 단부
B : 와이어 톱 타측 단부

Claims (2)

1선재(10)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2선재(2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2선재(20)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3선재(3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3선재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4선재(4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4선재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5선재(5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5선재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6선재(6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6선재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1선재를 축으로 그 표면을 따라 7선재(70)가 길이 방향 권취되고, 1선재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7선재를 일 방향으로 감아나가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그 양단부를 통해 소정의 절삭재 및 간격재를 번갈아 끼워넣어서 이루어지는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톱의 양단부(A,B)를 일정 길이만큼 풀어 1선재(10)를 각각 절개하는 제1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2,4,6선재(20,40,60)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2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3,5,7선재(30,50,70)를 1선재의 절개 길이 2배로 절개하는 제3단계;와,
절개된 와이어 톱 양단부(A,B)의 각 1선재(10)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가접하는 제4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2선재(2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5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3선재(3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6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4선재(4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7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5선재(5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8단계;와,
와이어 톱 타측 단부(B)의 6선재(6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9단계;와,
와이어 톱 일측 단부(A)의 7선재(70)를 가접된 1선재(10) 표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제10단계;를 순차 진행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리스 와이어 톱(100)의 제조방법.
삭제
KR1020090030518A 2009-04-08 2009-04-08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KR10090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18A KR100907653B1 (ko) 2009-04-08 2009-04-08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PCT/KR2009/006684 WO2010117121A1 (ko) 2009-04-08 2009-11-13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18A KR100907653B1 (ko) 2009-04-08 2009-04-08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70A KR20090042770A (ko) 2009-04-30
KR100907653B1 true KR100907653B1 (ko) 2009-07-13

Family

ID=4076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518A KR100907653B1 (ko) 2009-04-08 2009-04-08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7653B1 (ko)
WO (1) WO2010117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522A (zh) * 2017-06-27 2017-09-26 盛利维尔(中国)新材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复合金属固结磨料金刚绳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388A (ja) 1996-09-26 1998-04-21 Oji Tokushu Seikosho:Kk ワイヤロープ
JP2002129488A (ja) 2000-10-16 2002-05-09 Tokyo Seiko Co Ltd エンドレスワイヤロープ
JP2002213048A (ja) 2001-01-18 2002-07-31 Ps Corp 複合ストランド、複合ケーブ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6069756A (ja) 2004-09-03 2006-03-16 Shigeo Sakai スリングにおけるアイスプライス端部の処理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388A (ja) 1996-09-26 1998-04-21 Oji Tokushu Seikosho:Kk ワイヤロープ
JP2002129488A (ja) 2000-10-16 2002-05-09 Tokyo Seiko Co Ltd エンドレスワイヤロープ
JP2002213048A (ja) 2001-01-18 2002-07-31 Ps Corp 複合ストランド、複合ケーブ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6069756A (ja) 2004-09-03 2006-03-16 Shigeo Sakai スリングにおけるアイスプライス端部の処理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522A (zh) * 2017-06-27 2017-09-26 盛利维尔(中国)新材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复合金属固结磨料金刚绳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121A1 (ko) 2010-10-14
KR20090042770A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23262B (zh) 环形线锯及其制作方法
EP2641281B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module
JP6135614B2 (ja) セグメントコイルの製造方法
JP6507312B2 (ja) Hts磁石セクション
CN204894254U (zh) 环形超硬磨料线
CN102782943A (zh) 用于复合缆线的压缩连接器和组件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4908166A (zh) 环形超硬磨料线及其制作方法
KR100907653B1 (ko) 엔드리스 와이어 톱의 제조방법
CN101159402A (zh) 单相异步电动机
KR20080066909A (ko) 환상 금속코드 및 무단 금속벨트
EP3302861B1 (en) Saw cord loop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loop
CN111418029A (zh) 集合导线、分割导体、使用其的分段线圈和马达
JP2019075906A (ja) セグメントコイル用分割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000735B (zh) 一种环形超硬磨料线及其制作方法
KR100926441B1 (ko) 잉곳절단용 엔드리스 컷팅와이어 제조방법
EP2006863B1 (en) PRECURSOR FOR MANUFACTURE OF Nb3Sn SUPERCONDUCTING WIRE ROD, AND Nb3Sn SUPERCONDUCTING WIRE ROD
CN112440396A (zh) 环形线锯及其制作方法
JP2008245477A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方法、接続部材、接続部材の製作治具及び接続部材の製作方法
KR20110016237A (ko) 다이아몬드 엔드리스 와이어로프 쏘 및 이의 제조방법
JP5166683B2 (ja) 多芯超伝導ストランドを備えた複合導体
CN201118399Y (zh) 单相异步电动机定子
CN114368071A (zh) 一种分段环形线锯、制作方法及注塑模具
CN210576495U (zh) 一种多股超导金属线接头结构
CN210453290U (zh) 一种钢丝切割绳
CN213770123U (zh) 一种双股绕丝型输送网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