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190B1 -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190B1
KR100907190B1 KR1020070125043A KR20070125043A KR100907190B1 KR 100907190 B1 KR100907190 B1 KR 100907190B1 KR 1020070125043 A KR1020070125043 A KR 1020070125043A KR 20070125043 A KR20070125043 A KR 20070125043A KR 100907190 B1 KR100907190 B1 KR 10090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home network
control
in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318A (ko
Inventor
한재호
김영민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07012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1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홈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에 관계된 신호들을 확보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홈네트워크상의 외부 침입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의 침입 감지 방법은 홈네트워크상의 홈서버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하는 제1단계;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처가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허가된 송신처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일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에 준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에 준하는 동작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5단 계; 및 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침입감지, 침입예측, 홈네트워크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intrusion o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홈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에 관계된 신호들을 확보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홈네트워크상의 외부 침입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마스터 즉, 홈서버에 해당하는 댁내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중앙 제어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홈 오토메이션 제어시스템으로, 사용자가 홈서버를 통해 전자기기 즉, 댁내의 도어락,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보일러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침입이 발생하여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전자기기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에 의한 비정상적인 동작제어가 이루어질 때,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 러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여과없이 실시하여 전자기기의 파손을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자기기가 댁내 보안과 관련된 것일 경우에는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해 질 수 있다. 이에, 보안 관련 전자기기의 오동작 및 물리적 파손은 홈네트워크로의 외부침입으로 간주할 수 있고, 상기 외부침입에 대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더 부가하여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보안 관련 전자기기의 동작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비인가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확보한 경우, 비인가 사용자가 확보한 등록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보안 관련 전자기기에 접근할 수 있어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비인가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지라도 이를 홈네트워크로의 외부침입으로 간주하여 댁내 보안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에 있어 충격, 화재, 전기적 오류 등의 물리적인 침입과 같은 직접적인 외부 침입의 감지 없이도 전자기기의 제어신호 또는 동작상태 등의 분석을 통해 간접적으로 외부 침입을 유추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상의 홈서버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하는 제1단계;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처가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허가된 송신처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일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에 준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에 준하는 동작제 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칩임 감지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은 홈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에 있어 충격, 화재, 전기적 오류 등의 물리적인 침입과 같은 직접적인 외부 침입의 감지 없이도 전자기기의 제어신호 또는 동작상태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외부 침입을 유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시스템은 크게 댁내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감지수단(110)과 감지수단(11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서버(120)를 포함한다.
감지수단(110)은 홈서버(120)로부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감지수단(110)은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전자기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감지수단(110)은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홈서버(1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감지부(111)와, 홈서버(1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3) 및 감지수단(1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상태감지부(111)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계측기나 센서를 구비한다. 상태감지부(111)는 이들 계측기나 센서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상태, 동작시간정보, 가열상태, 동작회수, 동작강도, 충격정도 등 전자기기의 물리적 상태나 동작이력 등을 포함하는 동작상태를 확보한다.
저장부는 상태감지부(111)에서 확보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나, 홈서 버(1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것이고, 통신부(113)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나 제어신호 등의 정보를 홈서버(120)와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112)는 감지수단(110)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태감지부(111)에서 확보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분석하거나, 이를 홈서버(120)에 전달하고, 또한 홈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의 분석은 감지수단(110)이 동작상태정보를 홈서버(120)로 전송하여 홈서버(120)에서 분석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의 분석은 감지수단(110)이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관리되고 있거나, 홈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 또는 동작 스케쥴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서버(120)는 감지수단(110)과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감지수단(110)으로 전달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며, 감지수단(110)으로부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 또는 이의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홈네트워크상에 외부 침입여부를 판별하거나, 이용자나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홈네트워크상에 외부 침입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입판단부(121), 통신부(123), 저장부 및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침입판단부(121)는 감지수단(110)으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부에 저장관리되고 있는 미리 설정된 전자기기의 안정동작범위 또는 동작 스케쥴을 기반으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즉, 침입판단부(121)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등을 나타내는 상태일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이 아니거나, 전원의 온/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 전자기기에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침입판단부(121)는 자신이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분석하지 않고, 감지수단(110)에서 분석된 결과를 수신하여 전자기기에 외부 침입이 발생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침입판단부(121)는 홈서버(120)에 직접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이용자나 홈서버(120)에 접속하여 제어명령을 홈서버(120)에 전달하는 이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외부 침입 여부를 판별한다.
즉, 침입판단부(121)는 확보한 제어신호로부터 제어신호의 송신처나 제어신호의 발생/수신 회수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외부 침입여부를 판별한다. 송신처가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홈서버(120)에 등록된 송신처가 아니거나, 제어신호의 발생 또는 수신 회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침입판단부(121)는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침입신호로서 확보한다.
또한, 침입판단부(121)는 확보한 제어신호의 제어내용을 분석하고, 분석한 제어내용이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에서와 같이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거나,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가 아닌 경우, 홈서버(120)에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통신부(123)는 감지수단(110)과의 유무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 지수단(110)으로부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나 분석결과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홈서버(120)가 생성하거나 수신한 제어신호를 감지수단(110)으로 전달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장부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나 제어신호의 이상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반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 동작 스케쥴, 제어 가능 이용자, 제어신호 접속 유효회수 등의 정보들을 저장관리하며, 침입판단부(121)의 침입여부 판단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2)는 침입판단부(121), 통신부(123), 저장부의 제어를 통해 홈서버(120)로 하여금 전자기기를 포함한 홈네트워크상의 외부 침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홈서버(120)는 홈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한다(S210). 상기 제어신호는 이용자가 홈서버(120)에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홈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이어 홈서버(120)는 확보한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홈서버(120)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의 송신처나, 제어신호의 발생 또는 수신 회수 등의 정보를 확보한다(S220).
홈서버(120)는 이렇게 확보된 정보를 자신이 저장관리하고 있는 기반 정보와 비교하여 제어신호에 대한 침입여부를 판별한다(S230).
즉, 홈서버(120)는 송신처가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홈서버(120)에 등록된 송신처가 아니거나, 제어신호의 발생 또는 수신 회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침입신호로서 확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홈서버(120)는 홈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한다(S310). 상기 제어신호는 이용자가 홈서버(120)에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홈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이어 홈서버(120)는 확보한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홈서버(120)는 제어신호의 분석을 통해 제어신호의 제어내용을 확보하고(S320), 확보한 제어내용이 자신이 저장관리하고 있는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나 동작 스케쥴에 벗어나는 제어내용일 경우, 확보한 제어신호를 침입신호로서 간주한다(S3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홈서버(120)나 감지수단(110)은 전자기기의 동작상태를 감지한다(S410). 즉, 감지수단(110)이 계측기나 센서 등을 통해 전자기기의 전원상태, 동작시간정보, 가열상태, 동작회수, 동작강도, 충격정도 등 전자기기의 물리적 상태 나 동작이력 등을 포함하는 동작상태정보를 확보하고, 감지수단(110)이 확보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홈서버(120)와 감지수단(110)이 서로 공유함으로써 홈서버(120)나 감지수단(110)이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어, 홈서버(120)나 감지수단(110)은 확보한 동작상태정보를 분석한다. 홈서버(120)나 감지수단(110)은 미리 설정된 전자기기의 안정동작범위 또는 동작 스케쥴을 기반으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S420). 즉, 홈서버(120)나 감지수단(110)은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정보가 아닌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 상태정보가 아닌 경우 등을 의미할 때, 전자기기에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안전동작범위는 전자기기의 안전한 동작을 위해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물리적 동작에 관한 것이며, 동작 스케쥴 또한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시간에 따른 전자기기의 물리적 동작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은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침입 감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먼저, 홈네트워크상의 홈서버(120)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홈서버(120)에 도달한 제어신호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홈서버(120)를 통해 직접 생성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홈서버(120)는 확보한 제어신호의 송신처가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허가된 송신처인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가 아닌 경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일 경우에는 제어신호의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송신회수가 기준치에 준하는 경우 제어신호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어신호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제어신호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에 준하는 동작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제어신호가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어신호가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홈서버(120)는 자신이 확보한 제어신호의 이상여부를 단계별로 검증하여 확보한 제어신호가 외부 침입에 의한 것인지 예측하게 된다. 즉, 홈서버(120)는 확보한 제어신호의 송신처를 시작으로 송신회수, 제어의 범위, 제어의 정당성 등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제어신호의 침입성 여부를 판별한다.
이상의 판단결과, 제어신호가 침입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홈서버(120)는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확보하고, 확보된 동작상태정보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전자기기에 외부침입이 발생했는지 예측하게 된다.
즉, 홈서버(120)는 확보된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가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상태이거나 장시간동작상태일 경우 전자기기에 외부침입이 발생했음을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감지수단 111: 상태감지부 112,122: 제어부
113,123: 통신부 120: 홈서버 121: 침입판단부

Claims (2)

  1. 홈네트워크상의 홈서버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보하는 제1단계;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처가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허가된 송신처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처가 허가된 송신처일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송신회수가 기준치에 준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이나 장시간동작 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에 준하는 동작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는지 판단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 를 홈네트워크 침입신호로 확보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의 침입 감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따른 동작제어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확보하는 제7단계; 및
    확보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상태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안전동작범위를 벗어나는 반복동작상태이거나 장시간동작상태일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외부침입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제8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KR1020070125043A 2007-12-04 2007-12-04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KR10090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43A KR100907190B1 (ko) 2007-12-04 2007-12-04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43A KR100907190B1 (ko) 2007-12-04 2007-12-04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318A KR20090058318A (ko) 2009-06-09
KR100907190B1 true KR100907190B1 (ko) 2009-07-10

Family

ID=4098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043A KR100907190B1 (ko) 2007-12-04 2007-12-04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2020B2 (en) * 2015-03-26 2020-01-21 Tyco Fire & Security Gmbh Home network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483A (ja) 2002-01-23 2003-07-31 Nef:Kk 家電製品電源管理装置
KR20050112805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6079166A (ja) 2004-09-07 2006-03-23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人間活動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07186A (ja) 2006-05-19 2007-11-29 Aruze Corp 遊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483A (ja) 2002-01-23 2003-07-31 Nef:Kk 家電製品電源管理装置
KR20050112805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6079166A (ja) 2004-09-07 2006-03-23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人間活動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07186A (ja) 2006-05-19 2007-11-29 Aruze Corp 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318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8518A1 (en) Detection apparatus and detection system
US20150264080A1 (en) Testing Integrity of Property Data of a Device Using a Testing Device
US11232665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9070264B2 (en) Detecting a security breach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972457B1 (ko) Can 통신 기반 해킹공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US200502289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ity device
JP2018160851A (ja) 車載通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メッセージ判定方法
CN110445633A (zh) 用于在分布式网络中提供经认证更新的方法
KR20150075996A (ko) 해킹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1753285A (zh) 控制用户对技术设施的操作功能的访问的访问控制系统
KR100907190B1 (ko) 홈네트워크 침입 감지 방법
US9959393B2 (en) Method for testing tamper protection of a field device and field device having tamper protection
KR20230005886A (ko) 보안 모듈을 구비한 필드 장치, 필드 장치용 개조 모듈, it 보안 수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KR100484814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연동되는 인터넷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US11636720B2 (en) Authentication system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JP2017168993A (ja) 監視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7008602A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
US11232659B2 (en) Tamper detection in a stationary credential reader device
KR101923349B1 (ko) 사물 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JP2018166309A (ja)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制御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78836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988649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884645B1 (en) Method of managing network access of a device and device
US20230118448A1 (en) Add-on module for manipulation protection of a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