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81B1 -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81B1
KR100906781B1 KR1020070106746A KR20070106746A KR100906781B1 KR 100906781 B1 KR100906781 B1 KR 100906781B1 KR 1020070106746 A KR1020070106746 A KR 1020070106746A KR 20070106746 A KR20070106746 A KR 20070106746A KR 100906781 B1 KR100906781 B1 KR 10090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queous solution
product
hydrochloric acid
organ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173A (ko
Inventor
전권수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102007010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01D59/28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 B01D59/30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by ion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3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을 무극성 유기용매 중의 디티존 용액과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 하여 64Cu가 추출된 유기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기층에 과산화수소를 유기층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할 때까지 수 방울 부가하고, 2 내지 10 N의 염산을 부가하여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하여 64Cu가 역추출된 수용액을 획득하는 단계;
그런 다음, 상기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64Cu를 음이온 교환수지 상에 결합시킨 다음, 물로 64Cu를 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64Cu를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u-64 from Ga-67 waste product}
본 발명은 방사성 구리 64Cu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u-64는 Cu-60, Cu-61, Cu-62, Cu-64, Cu-66, Cu-67등 구리 방사성 동위원소중 하나로 핵의학에서 매우 유용한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Cu-64는 다양한 붕괴방식으로 붕괴하며 방사성 의약품을 합성하기에 충분한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핵의학 의료 분야에서 진단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P.J. Blower, J.S. Lewis, and J. Jweit, Copper Radionuclides and Radiopharmaceuticals in Nuclear Medcine, Nucl. Med. Bio. vol. 23, p.957, 1996).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화합물이나 항체가 Cu-64로 라벨링된 방사성 의약품은 종양의 PET 이미지나 표적 방사성 치료에 유용하다(S.V. Smith, Molecular Imaging with Copper-64, J. Inorganic Biochemistry, Vol. 98, p. 1874, 2004; W. Cai, K. Chen, L. He, Q. Cao, A. Koong, and X. Chen, Quantitive PET of EGFR Expression in Xenograft-bearing Mice Using 64Cu-labeled Cetuximab, a Chimeric anti-EGFR Monoclonal Antibody, Eur J Nucl Med Mol Imaging vol.34, p.850, 2007). Cu-64의 반감기는 12.7시간이고, 붕괴는 전자포획(41%), 베타선 방출(40%)과 양전자를 방출(19%)하면서 Zn-64로 붕괴한다.
Cu-64는 가속기에서 가속한 하전 입자를 농축표적에 빔 조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구체적으로 3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첫째, 농축 니켈(Ni-64) 표적에 18 MeV의 양성자를 조사하여 64Ni(p,n)64Cu 핵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 둘째, 농축 니켈(Ni-64) 표적에 18 MeV의 중양자를 조사하여 64Ni(d,np)64Cu 핵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 셋째, 농축 아연(Zn-68) 표적에 30 MeV의 양성자를 조사하여 68Zn(p,αn)64Cu 핵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세가지 핵반응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농축 니켈(Ni-64)을 표적으로 사용하는 핵반응(64Ni(p,n)64Cu 반응 및 64Ni(d,np)64Cu 반응)은 천연 아연 표적을 사용하는 핵반응보다 생산수율이 높으나 농축 니켈 표적의 가격이 1 g당 대략 2 천만원으로 매우 고가여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농축 니켈을 표적으로 한 핵반응은 니켈을 재사용 하기 위해 핵반응된 니켈표적을 회수하는 별도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농축 니켈에 중양자 빔 조사를 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중양자를 가속시킬 수 있는 가속기가 적어 64Ni(d,np)64Cu 핵반응을 이용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농축 아연(Zn-68) 표적을 이용하는 방법은 생산 수율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수요량을 만족할만한 충분한 양이 존재하며, 농축 아연 표적의 가격은 1 g 당 약 3 백만원으로서, 농축 니켈보다 훨씬 저가이므로 농축 아연 표적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경제적이다. 더욱이, 가장 큰 장점은 농축 아연에 양성자를 조사하여 68Zn(p,αn)64Cu 핵반응 시키면 64Cu 외에 방사성 의료분야에서 진단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67Ga가 생산되며, 64Cu는 67Ga의 생산의 부반응으로서 생성되어 67Ga 생성물의 폐기물 중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농축 아연을 표적으로 하여 양성자를 조사하면 68Zn(p,2n)67Ga 반응과 68Zn(p,αn)64Cu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 67Ga와 64Cu가 모두 생성되어, 67Ga의 생산 시 생성되는 방사성 폐기물 중에서 64Cu를 분리함으로써 64Cu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버려질 수 있는 폐기물을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며, 별도의 방사선 조사 공정과 농축 표적 물질의 회수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더욱 경제적이다(S. V. Smith, D. J. Waters and N. D. Bartolo, Separation of 64Cu from 67Ga Waste Products Using Anion Exchange and Low Acid Aqueous/Organic Mixtures, Radiochimica Acta Vol. 75, p. 65, 1996).
구체적으로, 68Zn을 표적으로 하여 양성자를 조사하여 67Ga를 생성시킨 다음에는, 염산으로 표적을 용해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추출하여 67Ga를 함유하는 유기층과 68Zn, 64Cu, 및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리함으로써 67Ga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는, 아연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수용액에 약 2N의 염산을 부가한 다음 음이온 교환수지를 통해 통과시키면 음이온 교환수지 상에 68Zn이 결합되고, 64Cu가 및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폐기물이 용리되어 나온다. 이러한 64Cu가 및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폐기물로부터 64Cu를 순수하게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가 없으며, 64Cu를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폐기물로부터 64Cu를 순수하게 분리하는 방법의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67Ga의 생성물의 방사성 폐기물로부터 64Cu를 순수하게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을 무극성 유기용매 중의 디티존 용액과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 하여 64Cu가 추출된 유기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기층에 과산화수소를 유기층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할 때 까지 수 방울 부가하고, 2 내지 10 N의 염산을 부가하여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하여 64Cu가 역추출된 수용액을 획득하는 단계;
그런 다음, 상기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64Cu를 음이온 교환수지 상에 결합시킨 다음, 물로 64Cu를 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64Cu를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64Cu를 생산하는 방법은 68Zn 표적에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7Ga를 생성시키고, 사용된 표적 68Zn을 회수하고 남은 방사성 폐기물로부터 64Cu 를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로부터 64Cu를 분리하는 방법을 최초로 개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68Zn 표적에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7Ga를 생성시키고, 사용된 표적 68Zn을 회수하고 남은 방사성 폐기물을 간략하게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이라고도 부른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를 분리하는 방법은 크게 폐기물을 디티존 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그 추출액을 염산으로 역추출하는 단계, 및 이온 교환 수지로 분리하여 64Cu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를 분리하는 방법은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을 무극성 유기용매 중의 디티존 용액과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 하여 64Cu가 추출된 유기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기층에 과산화수소를 유기층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할 때 까지 수 방울 부가하고, 2 내지 10 N의 염산을 부가하여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하여 64Cu가 역추출된 수용액을 획득하는 단계; 및
그런 다음, 상기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64Cu를 음이온 교환 수지 상에 결합시킨 다음, 물로 64Cu를 용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64Cu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은 68Zn을 표적으로 하고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7Ga를 생성시킨 다음 재활용을 위해 68Zn를 분리한 나머지의 폐기물로서 약 1 내지 3 N 농도의 HCl을 함유하는 폐기물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은
농축 68Zn 표적에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8Zn(p,2n)67Ga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표적을 5 내지 8 N 염산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가하여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분리 하여 67Ga를 함유하는 유기층과 68Zn 및 64Cu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에 물을 부가하여 염산의 농도를 1 내지 3 N로 맞춘 다음,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나오는 용리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폐기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68Zn 표적에 양성자를 조사하여 68Zn(p,2n)67Ga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양성자 조사는 약 10 내지 40 MeV, 100 내지 300 μA로 약 5 내지 15 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MeV, 200 μA로 10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 다. 그런 다음, 염산에 용해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5 내지 8 N 염산을 이용하여 핵반응된 표적을 용해시키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 N 염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가하여 격렬하게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가하여 혼합하면 염산에 용해되어 있던 67Ga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쪽으로 추출되며, 68Zn, 64Cu, 및 여러 방사성 동위원소 불순물은 수용액에 남아있게 된다. 격렬하게 혼합 반응시켜 67Ga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층으로 충분히 이행하게 되면, 정치시켜 상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68Zn, 64Cu, 및 여러 방사성 동위원소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68Zn을 회수하기 위해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수용액에 물을 가해 염산의 농도를 1 내지 3 N로 맞추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의 농도를 2 N로 맞출 수 있다. 이는 농축 68Zn의 결합력이 컬럼에서 가장 크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이 염산 농도를 조절한 층을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을 통해 통과시키면, 68Zn은 음이온 교환 수지 상에 결합되고, 컬럼을 통해 통과된 용리액이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서 얻어진다. 68Zn을 보다 순도 높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컬럼을 통과시킨 수용액의 염산 농도와 동일한 농도의 염산을 컬럼을 통해 더욱 통과시킬 수 있다.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을 디티존 용액으로 추출하기 전에,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의 pH를 2 내지 4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64Cu와 디티존의 유기용매층과 수용액층에서 분배계수가 가장 때문이다. 상기 pH를 조절하기 위한 시약으로는 임의의 염기성 시약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부피를 충분히 하기 위해 물, 바람직하게는 탈염수를 가하여 이후 반응에 충분한 부피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은 디티존 용액과 혼합 반응시킴으로써 64Cu를 추출시킬 수 있다. 상기 디티존 용액은 디티존 용액을 용해할 수 있는 무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무극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염화탄소가 이용될 수 있다. 디티존 용액의 농도는 64Cu를 추출하기에 충분한 농도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로 이용될 수 있다.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 중의 64Cu를 충분히 추출해 내기 우해 디티존 용액을 상기 폐기물의 수용액과 충분히 혼합반응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분별 깔대기 중에서 정치시켜 상 분리를 수행하여, 64Cu가 추출된 디티존 용액의 유기층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 즉 57Ni, 57Co, 55Co, 67Ga를 제외하고 64Cu를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런 다음, 64Cu를 함유하는 유기층에 2 내지 10N의 염산을 가하고 혼합 반응시켜, 염산에 64Cu를 역추출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염산 64Cu를 함유하는 유기층에 가하기 전에, 유기층에 과산화수소수를 수 방울 적가할 수 있다. 이때 과산화수소수는 유기층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할 때까지 부가하며, 이러한 정도로 부가하기에 적절한 농도의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의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유기층에 부가된 과산화수소는 디티존을 환원시켜 디티존의 64Cu와의 결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이후에 염산을 부가하여 역추출 시 64Cu의 염산으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역추출을 위한 염산은 2 내지 10 N의 농도의 염산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N, 가장 바람직하게는 7.2 N의 염산을 가하여 역추출 시킬 수 있다. 유기층 중의 64Cu를 염산에 충분히 역추출해 내기 위해 부가된 염산을 상기 폐기물 수용액과 충분히 혼합 반응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분별 깔대기 중에서 정치시켜 상 분리를 수행하여, 64Cu가 추출된 염산층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64Cu가 추출된 염산을 음이온 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 함으로써 64Cu를 더욱 정제할 수 있다. 64Cu가 추출된 염산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컬럼 상에 로딩하여 통과시키면 64Cu가 음이온 교환 수지 상에 결합되어 64Cu의 정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64Cu가 추출된 염산과 동일한 농도의 염산을 컬럼에 더 부가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물을 컬럼에 통과시켜 64Cu를 용리시키고, 그 용리물을 획득함으로써 정제된 64Cu를 얻을 수 있다. 그리하여 얻어진 용리물은 구리를 순수하게 포함하며, 주로 64Cu이지만, 67Cu 또한 소량 존재한다. 그러나, 67Cu는 64Cu와 항상 함께 존재하는 동위원소로서 64Cu가 방사성 의약품에 적용되는데 있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64Cu가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순수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은 하기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68Zn을 표적으로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생성된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를 분리함으로써, 64Cu를 높은 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핵반응 표적의 제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표적 의 회수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게 64Cu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시약 및 기구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모든 시약은 분석 등급으로 하였다. 농축된 68Zn (동위원소 순도 > 98%)을 Isoflex Russia로부터 입수하였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염산, 사염화탄소, 디티존(dithizone), 및 과산화수소는 Aldrich로부터 입수하였다.
음이온 교환 레진으로는 AG1-x8(100~200 메쉬)을 사용하였으며, BioRad로부터 구입하였다.
2. 68 Zn 표적에 대한 양성자 빔 조사 및 67 Ga 생성물의 폐기물 회수
68Zn 표적에 30 MeV, 200 μA의 양성자 빔을 7.5 시간동안 조사함으로써 68Zn(p,2n)67Ga 반응을 통해 67Ga를 생성시켰다. 조사 후에, 반응이 이루어진 68Zn 표적에 7 N HCl 용매를 가하고 혼합시켜 추출한 다음,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가해 혼합한 다음 상분리를 하여, 67Ga를 함유하는 유기층과 68Zn, 64Cu, 및 불순물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분리시켰다. 수용액으로부터 68Zn을 회수하기 위해 탈염수를 가해 수상의 염산 농도를 2N로 조정하고, 그 용액을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을 통해 통과시켰다. 그 컬럼에서의 용리액은 64Cu 분리를 위해 수집하고, 음이온 교환수지상에 결합된 68Zn은 재활용을 위해 탈염수를 가해 용리시켰다.
3. 67 Ga 생성물의 폐기물의 방사성 핵종 분석
상기 컬럼에서의 용리액으로서 얻어진 67Ga 생성물의 폐기물에서의 방사성 동위원소의 감마선 및 방사능 활성을 MCA(Multichannel Analyzer)와 결합된 HPGe(High Purity Germanium) 검출기(ORTEC EG&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HPGe 검출기의 감마선 검출 효율은 NIST 표준 원료로부터의 80 keV 내지 2 MeV의 감마선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64Cu, 67Cu, 57Co, 57Ni, 67Ga, 및 66Ga의 감마선이 67Ga 생성물의 폐기물 중에서 확인되었으며, EOB(End of bombardment)에서의 64Cu 및 67Cu의 방사능은 각각 1,208 mCi 및 6.05 mCi 이었다.
Figure 112007075821194-pat00001
4. 67 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 Cu 의 분리
상기 2.에서 68Zn의 회수를 위해 수행한 음이온 교환 수지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리액으로서 얻어진 67Ga 생성물의 폐기물에서 64Cu를 분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부피: 약 350 mL)을 2 L 비이커에 옮기고, 진한 수산화나트륨을 부가하여 pH를 3으로 조정하였다. 총 부피를 1.4 L로 하기 위해, 탈염수를 부가하였다. 용매 추출을 위해, 사염화탄소 중의 0.01% 디티존 용액 140 mL를 용액에 부가하고 약 5 분간 완전히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로 옮기고 64Cu 및 67Cu를 함유하는 유기상을 비이커에 수집하였다. 64Cu의 추출 효율은 정량적으로 거의 100%에 가까웠다. 상기 비이커에 수집된 유기상에 30% 과산화수소수 용액 수 방울을 유기상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홍색으로 변할 때까지 부가하였다. 그런 다음, 그 유기상에 7.2 N 염산을 부가하고 완전히 혼합하여 64Cu를 염산중에 역추출하였다. 수상과 유기상의 64Cu 감마선 계수를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 역추출의 수율은 거의 90%에 가까웠다. 역추출된 64Cu 용액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역추출로 얻어진 수상을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φ 1 x 7 cm)에 통과시켜 용리된 액은 버리고,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에 탈염수를 추가로 통과시켜 음이온 교환 수지 상에 결합된 64Cu를 용리시켜 컬럼으로부터 회수하였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67Ga의 생산 과정 및 64Cu의 분리방법을 도 2에 순서도로 나타내었다.
5. 확인 시험
상기한 바와 같이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를 분리하는데 걸린 총 처리시간 및 분리수율은 각각 약 2 시간 및 90% 이상이었다. 순수한 방사능 구리 64Cu/67Cu 용액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었으며, 그 방사능 핵종의 순도를 HPGe-MCA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용매 추출(염산 중의 디티존 용액) 후 염산으로 역추출 한 다음,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결과,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64Cu가 효과적으로 순수하게 분리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3에 나타난 67Cu의 피크는 그 계수로 보아 매우 소량이며 64Cu에 언제나 수반되는 동위원소로서 64Cu가 방사성 의약품으로서 이용되는데 있어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68Zn을 표적으로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8Zn(p,αn)64Cu 핵반응에 의해 얻어진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을 MCA(Multichannel Analyzer)와 결합된 HPGe(High Purity Germanium) 검출기(ORTEC EG&G)로 측정한 결과 얻어진 감마선 스펙트럼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67Ga의 생산 과정 및 64Cu의 분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최종 64Cu 생성물을 MCA와 결합된 HPGe 검출기로 측정한 결과 얻어진 감마선 스펙트럼 이다.

Claims (6)

  1.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을 무극성 유기용매 중의 디티존 용액과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 하여 64Cu가 추출된 유기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기층에 과산화수소를 유기층의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할 때까지 수 방울 부가하고, 2 내지 10 N의 염산을 부가하여 혼합 반응시킨 다음 상 분리하여 64Cu가 역추출된 수용액을 획득하는 단계; 및
    그런 다음, 상기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64Cu를 음이온 교환수지 상에 결합시킨 다음, 물로 64Cu를 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64Cu를 67Ga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은 68Zn을 표적으로 하고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7Ga를 생성시킨 다음 재활용을 위해 68Zn를 분리한 나머지의 폐기물로서 약 1 내지 3 N 농도의 HCl을 함유하는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은
    농축 68Zn 표적에 양성자 빔을 조사하여 68Zn(p,2n)67Ga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표적을 5 내지 8 N 염산 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가하여 혼합반응시킨 다음, 상분리하여 67Ga를 함유하는 유기층과 68Zn 및 64Cu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에 물을 부가하여 염산의 농도를 1 내지 3 N로 맞춘 다음, 음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나오는 용리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67Ga 생성물의 폐기물의 수용액의 pH를 2 내지 4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극성 유기용매는 사염화탄소 또는 클로로포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의 농도는 5 내지 8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106746A 2007-10-23 2007-10-23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KR10090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46A KR100906781B1 (ko) 2007-10-23 2007-10-23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46A KR100906781B1 (ko) 2007-10-23 2007-10-23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73A KR20090041173A (ko) 2009-04-28
KR100906781B1 true KR100906781B1 (ko) 2009-07-09

Family

ID=4076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46A KR100906781B1 (ko) 2007-10-23 2007-10-23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81B1 (ko) * 2009-01-21 2011-06-13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Cu-64를 제조하기 위해 Cu-64가 형성된 Ni-64 농축 표적으로부터 Cu-64를 분리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2003
Radiochimica Acta, 19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73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zkliniarz et al. Production of medical Sc radioisotopes with an alpha particle beam
Alliot et al. Cyclotron production of high purity 44m, 44Sc with deuterons from 44CaCO3 targets
van der Meulen et al. Cyclotron production of 44Sc: from bench to bedside
Naskar et al. Theranostic terbium radioisotopes: challenges in produc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Radchenko et al. Application of ion exchange and extraction chromatography to the separation of actinium from proton-irradiated thorium metal for analytical purposes
Loveless et al. Photonuclear production, chemistry, and in vitro evaluation of the theranostic radionuclide 47 Sc
Jalilian et al. IAEA activities on 67Cu, 186Re, 47Sc theranostic radionuclides and radiopharmaceuticals
US20180158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gallium-68 radioisotope by solid targeting in a cyclotron
Perron et al. Construction of a thorium/actinium generator at the Canadian Nuclear Laboratories
Sadler et al. Cutting edge rare earth radiometals: prospects for cancer theranostics
Abel et al. Production, collection, and purification of 47Ca for the generation of 47Sc through isotope harvesting at the national superconducting cyclotron laboratory
Katabuchi et al. Production of 67 Cu via the 68 Zn (p, 2p) 67 Cu reaction and recovery of 68 Zn target
Jang et al. A preliminary biodistribution study of [99mTc] sodium pertechnetate prepared from an electron linear accelerator and activated carbon-based 99mTc generator
Kawabata et al. Large scale production of 64 Cu and 67 Cu via the 64 Zn (n, p) 64 Cu and 68 Zn (n, np/d) 67 Cu reactions using accelerator neutrons
KR100906781B1 (ko) Cu-64를 Ga-67 생성물의 폐기물로부터 생산하는 방법
Nagai Production scheme for diagnostic-therapeutic radioisotopes by accelerator neutrons
Kim et al. Effective separation method of 64Cu from 67Ga waste product with a solvent extraction and chromatography
Dvoráková Production and chemical processing of Lu-177 for nuclear medicine at the Munich research reactor FRM-II
Zaman et al. Production of 55Co via the 54Fe (d, n)-process and excitation functions of 54Fe (d, t) 53Fe and 54Fe (d, α) 52mMn reactions from threshold up to 13.8 MeV
Khandaker et al. Cyclotron production of no carrier added 186gRe radionuclide for theranostic applications
Webster The chemical separation of terbium for applications in nuclear medicine
Van der Walt et al. Thick targets for the production of some radionuclides and the chemical processing of these targets at iThemba LABS
Denzler et al. Production and radiochemical separation of 147Gd
Szűcs et al. Development of cost effective method for production of 64 Cu from nat Ni
WO2022149578A1 (ja) Ac-225溶液の製造方法およびAc-225溶液を用いた医薬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