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696B1 -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 Google Patents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696B1
KR100905696B1 KR1020070077295A KR20070077295A KR100905696B1 KR 100905696 B1 KR100905696 B1 KR 100905696B1 KR 1020070077295 A KR1020070077295 A KR 1020070077295A KR 20070077295 A KR20070077295 A KR 20070077295A KR 100905696 B1 KR100905696 B1 KR 10090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
ism band
terminal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305A (ko
Inventor
조재명
Original Assignee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6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76Time-division multiplex with pulse-position, pulse-interval, or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단말기 내부에 ISM 대역을 이용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이 내장되어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채널별로 선택하여 ISM 대역에서 무선으로 음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은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 ISM 대역 송신부(TX), ISM 대역 수신기(RX),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선택부,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 MP3 세팅부(MP3_SET), 키 패드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서,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에러 및 잡음없이 전송시킬 수 있고, 저 전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 기능이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SM 대역,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 MP3 단말기

Description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WITH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본 발명은 MP3 단말기 내부에 ISM 대역을 이용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이 내장되어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채널별로 선택하여 ISM 대역에서 무선으로 음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 기능이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4GHz 대의 주파수 영역은 국내에서는 무선랜으로 할당된 구역이며, 일반인에게 면허없이 임의의 사용이 허가된 주파수 대역이다. 따라서 ISM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국내의 물류 자동화 시스템 및 WLL, 정보 교환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국을 위시한 여러 나라에서도 이용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광범위하다.
2.4GHz 대역을 이용하는 대역확산 방식에는 직접대역 확산 방식(DSSS :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과, 주파수 도약 방식(FHSS :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이 있다.
그 중에서 직접대역 확산 방식(DSSS)은 확산코드를 데이터에 직접 곱해서 확산 신호를 얻는 방법이고, 주파수 도약 방식(FHSS)은 확산코드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을 옮기는 방식이다.
특히, 주파수 도약 방식은 확산시켜야 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도약 패턴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파수를 도약하며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시간 평균으로 협대역 신호를 광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주파수 도약 방식은 각 국가들의 표준에 맞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 내에서 임의의 도약 패턴을 만들고, 이 패턴에 맞는 주파수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파수 중복을 최소화 하고, 빠른 주파수 변환으로 다중경로에 의한 손실을 적게하며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저가형 무선 랜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럼, 상기와 같은 주파수 도약 방식의 하나로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사용될 홈 알에프(Home RF) 표준 무선 데이터 전송방식인 스왑(SWAP :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에 대하여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스왑 방식의 수퍼프레임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를 도약하기 위한 도약 구간(Hop)과; 도약할 주파수 패턴 및 도약 인덱 스와 유지시간(dwell time)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비콘 구간(Beacon)과;
음성 전송 구간(CFP2)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음성을 재전송하기 위한 음성 재전송 구간(CFP1)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구간(CP)과;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음성 전송 구간(CFP2)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수퍼프레임의 구성은 무선 랜과는 달리 20msec의 주기를 갖는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스왑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효 전계 강도(RSSI : Return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미치는 거리내에 ISM 밴드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예 : Microwave oven)가 있을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자기기(Microwave oven)에서 발생된 전자파에 의한 간섭(Interference)을 받게 된다.이에 따라, 상기 전송 데이터는 구분할 수 없는 데이터로 인식되어 재전송을 받게 되는데, 만약 무선단말기상에서 재전송되는 데이터가 문자나 파일인 경우에는 시간적 제약이 적은 반면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는 음성 데이터의 경우에는 통화 품질에 막대한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ISM 밴드를 통해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에 무선으로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고자 할 때,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MP3 단말기에서 발사되는 전자파로 인해 간섭현상이 발생할 경우, 장치 오동작을 유발시키거나 간섭 구간 동안에 전송된 데이터를 유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에러 및 잡음없이 전송시킬 수 있고, 저 전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 기능이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는,
MP3 단말기(100) 내부에 ISM 대역을 이용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200)이 내장되어 복수개의 커플 청취수단(300)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MP3 단말기(100)를 통해 채널별로 선택하여 ISM 대역에서 무선으로 음악을 제공하는 MP3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200)은,
전원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사용을 방지하여 충전 후 장시간 사용하도록 한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210)와,
시분할방식(TDD : Time Division Duplexing)으로 이루어져,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바이너리(Binary) 디지털 데이터로 받아서 펄 스(pulse) 성형(shaping) 한 후 아날로그 FM 변조기를 통과시키고, 채널을 구분하여 복수개의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으로 전송시키는 제1 ISM 대역 송신부(TX)(220)와,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ISM 대역의 입력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복수개의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된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ISM 대역 수신부(RX)(230)와,
USB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노트북, PC, MP3, PMP, TV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고, ISM 대역 송신부(TX)로 전송시키는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 선택부(240)와,
MP3 본체의 상태 및 운영 상태를 표시하고, 송신측 단말기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250)와,
상기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하여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전달하는 MP3 세팅부(MP3_SET)(260)와,
MP3 단말기의 버튼 키들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하는 키 패드 제어부(270)와,
MP3 단말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믹싱하여 출력하거나 녹음 기능을 갖는 마이크 제어부(28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에러 및 잡음없이 전송시킬 수 있고, 저 전력으로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ISM 대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ISM 대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은 미국에서 규정한 FCC 규약의 일환으로 원래 비면허로 약한 전계 강도를 이용하여 산업 과학 및 의료용으로 할당된 대역으로서, 주로 900MHz(902MHz ~ 928MHz), 2.4GHz(2.4GHz ~ 2.4835GHz), 5.8GHz(5.725GHz ~ 5.825GHz)에서 무선 LAN 응용으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는 라이센스가 필요 없는 대역이므로 무료로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고, 전세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자유로운 이동 배치가 가능한 가내 소규모 네트웍을 구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ISM 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LAN 표준에는 2.1 Bluetooth, HomeRF, IEEE802.11, IrDA, HIPERLAN 등이 있다.
방식명 Bluetooth IEEE 802.11 Home RF IrDA HIPERLAN
최대전송속도 1Mbps(실질적으로 721kbps) 2Mbps(IEEE 802.11b:11Mbps) 0.8Mbps, 1.6Mbps 4Mbps(advanced IR:16Mbps) 23.5Mbps
주파수 대역 2.4GHz대 2.4GHz대 2.4GHz대 적외선 5GHz대 17GHz대
변조방식 주파수 hopping 방식의 스텍트럼 확산기술(hopping 회수는 1초에 최대 1600회) 직접확산방식 및 주파수 hopping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기술 주파수 hopping 방식의 스텍트럼 확산기술(hopping 회수는 1초에 최대 50회) 4단계 PPM/16단계 PPM(1차 변조만) 주파수 hopping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기술
음성전용채널 유(CSVD 또는 대수 PCM에 의한 부호화) 32kbps ADPCM
최대전송가능거리 10m(1mW, 0dBm), 100m(100mW,+20dBm) 100m(802.1b의 경우는 30m) 50m 3.8m 30m
1차변조방식 GMSK(GAUSSIAN Freq. Shift Keying) BPSK/QPSK 및 GFSK GFSK 상기 Diff. GMSK
접속제어방식 Master-Slave, Polling CSMA/CA CSMA/CA, TDMA Pplling EY-NPMA
보안 표준(인증, 암호화) 옵션 표준(암호화) NA
본 발명에서는 MP3 단말기 내부에 상기와 같은 ISM 대역을 이용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이 내장되어 복수개의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MP3 단말기를 통해 다채널로 음악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끼리 마이크를 통해 대화를 하거나 녹음을 할 수 있는 커플 MP3 단말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100)와, 커플 청취수단(300)을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 중 커플 MP3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커플 MP3 단말기(100)에 내장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200)은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210), 제1 ISM 대역 송신부(TX)(220), 제1 ISM 대역 수신부(RX)(230), USB & AUDIO 선택부(240),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250), MP3 세팅부(MP3_SET)(260), 키 패드 제어부(270), 마이크 제어부(280)로 구성된다.
상기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210)는 전원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사용을 방지하여 충전 후 장시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AC 전원이 입력되면, 전원 IC(미도시)의 발진 주파수 100㎑의 1/4인 25㎑로 PWM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트랜스포머 및 기타 이상 발진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줄이기 위함이다.
25㎑로 PWM 제어를 수행한 후, 전원 IC 발진 주파수까지 주파수 변조로 발진동작을 수행한다.
주파수 변조를 통해 전원 IC 동작주파수 100㎑에 도달하면, MP3를 구동시키는 전원 IC 동작주파수로 PWM 발진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발진제어를 통해 MP3 단말기에 전원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ISM 대역 송신부(TX)(220)는 시분할방식(TDD : Time Division Duplexing)으로 이루어져,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바이너리(Binary) 디지털 데이터로 받아서 펄스(pulse) 성형(shaping) 한 후 아날로그 FM 변조기를 통과시키고, 채널을 구분하여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ISM 대역 송신부는 구조가 간단한 직접 VCO 변조 방식이고, 각 표준에 따라 변조지수가 다르므로 변조지수는 외부의 저항비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출력전력은 0dBm이고 외부 T/R 스위치 및 Balun의 감쇄를 가정하여 약 3dB의 전력 마진을 갖도록 구성된다.
0dB 출력으로 대략 10m 가내(indoor)통신이 가능한데, 만약 10m 이상의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PA(Power Amplifier)를 사용한다.
상기 제1 ISM 대역 수신부(RX)(230)는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ISM 대역의 입력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된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수신부(230)는 이미지제거 및 채널선택을 IF대역에서 수행하는 LOW-IF 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는 낮은 IF주파수를 사용한 수신기로서 I-Q 복소 신호처리를 통하여 이미지 대역 신호를 상쇄시킨다.
여기서, Low-IF구조로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문제는 이미지 제거 문제(Image Rejection) 문제이다. IF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이미지 대역이 ISM 밴드안에 존재하게 된다
즉, ISM 대역필터에서 이미지 잡음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IF 대역에서 충분히 이미지를 제거해야만 한다. 여기서, I-Q 복조기에서 이미지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미지 제거부로서 하틀리(Hartley) 구조로 이루어지고, RC 수동 소자만을 이용한 복소필터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득이 적은 반면, 선형성이 뛰어나게 되고, IRR 이 RC 소자의 상대 매칭에 의존하게 된다. 복소 필터를 2단으로 구성하여 약 20dB의 IRR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수신부는 RF 전단부(Front-end), 채널선택필터(channel select filter)와, 기저대역증폭기로 구성된다.
상기 RF 전단부는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RF 대역의 입력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는 기능을 한다.
상기 채널선택필터는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수 MHz IF대역에서 수행되므로 칩상(on-chip) 필터의 구현이 가 능하고 극저주파 부분에는 정보가 없으므로 DC 오프셋의 문제와 1/f 잡음 문제가 없다.
이러한 채널 선택 필터는 I-Q combiner의 출력 전류가 LPF 입력 저항에서 더해진 후 전압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즉, LPF에서는 컴바이너(combiner)의 출력전류가 입력 종단 저항(termination resister)RT에서 전압으로 변환되고, 선형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스 디제너레이션 저항 R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상기 HPF는 2MHz, 1MHz, DC 영역에 존재하는 간섭 채널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저대역증폭기는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 선택부(240)는 USB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노트북, PC, MP3, PMP, TV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고, 제1 ISM 대역 송신부(TX)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USB 접속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연결시 기기식별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제1 ISM 대역 송신부(TX)로 제공하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제공하여 외부장치가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 선택부(240)는 USB 접속부로 외부장치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수행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가 USB에 따른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1 ISM 대역 송신부(TX)로 제공한다.
이때의, 시리얼 통신은 UART 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250)는 MP3 본체의 상태 및 운영 상태를 표시하고, 커플 청취수단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MP3 단말기의 전원 ON/OFF를 표시하거나, 음악 파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서 보내오는 오디오 파일 요구 정보 및 MP3 단말기와 커플 청취 수단 간의 정보 송수신 상태, 커플간 대화 녹음 기능 등을 표시한다.
상기 MP3 세팅부(MP3_SET)(260)는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하여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된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음악의 음악 구분 정보를 담은 신호가 제1 ISM 대역 송신부(TX)를 통하여 주변의 공동 모드로 셋팅된 MP3 단말기 측으로 무선 송신한다.
이어서 MP3 셋팅부는 선택한 음악을 재생할 준비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한편 공동 모드로 셋팅된 주변의 커플 청취수단은 MP3 셋팅부로부터 전송받은 음악 구분 정보를 제1 ISM 대역 수신부(RX)를 통하여 수신하여서 저장한 후 자신의 내부 메모리 내에서 수신된 상기 음악 구분용 정보에 해당하는 음악을 내장된 음악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MP3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서 검색한다.
검색 후에 선택된 음악을 찾으면 주변의 커플 청취수단들은 즉시 재생 준비 완료를 의미하는 신호를 MP3 셋팅부 측으로 무선 전송한다.
상기 키 패드 제어부(270)는 MP3의 버튼 키들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다이얼링, 음량 조절, MP3 단말기의 각종 조작을 수행하며, 특히, 마이크를 통한 녹음 기능과, MP3 셋팅부를 구동시켜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하여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 제어부(280)는 MP3 단말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 되는 음성데이터를 믹싱하여 출력하거나 녹음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청취수단(300)의 구성요소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청취수단(300)은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구성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짝을 이루며 커플을 형성한 후,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끼리 대화를 하거나 또는 ISM 대역의 MP3 단말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송받는 곳이다.
이러한 커플 청취수단(300)은 커플 이어폰(310), 마이크 제어부(320), 제2 ISM 대역 송신부(TX)(330), 제2 ISM 대역 수신부(RX)(340), 키패드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 이어폰(310)은 MP3 단말기의 ISM 대역 송신부(TX)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서로 짝을 이루며 커플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크 제어부(320)는 커플 이어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해 커플끼리 대화를 하거나, 그 대화한 내용을 녹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ISM 대역 송신부(TX)(330)는 커플 이어폰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시분할방식(TDD : Time Division Duplexing)으로 커플 이어폰 중 대화를 원하는 커플 이어폰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ISM 대역 수신부(RX)(340)는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ISM 대역의 입력신호(음성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키패드 제어부(350)는 커플 이어폰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 키들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의 구체적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210)에서는 전원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사용을 방지하여 충전 후 장시간 사용하도록 MP3 단말기의 각 기기로 공급한다.
이어서, 제1 ISM 대역 송신부(TX)(220)에서는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바이너리(Binary) 디지털 데이터로 받아서 pulse 성형(shaping) 한 후 아날로그 FM 변조기를 통과시키고, 채널을 구분하여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 전송시킨다.
이어서, 제1 ISM 대역 수신부(RX)(230)에서는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RF 대역의 입력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복수개의 이어폰 및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된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어서, USB & AUDIO 선택부(240)에서는 USB 접속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연결시 기기식별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제1 ISM 대역 송신부(TX)로 제공하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제공하여 외부장치가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250)는 MP3 단말기의 전원 ON/OFF를 표시하거나, 음악 파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서 보내오는 오디오 파일 요구 정보 및 MP3 단말기와 커플 청취 수단 간의 정보 송수신 상태, 커플간 대화 녹음 기능 등을 표시한다.
이어서, MP3 세팅부(MP3_SET)(260)에서는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하여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전달한다.
이어서, 키 패드 제어부(270)에서는 다이얼링, 음량 조절, MP3 단말기의 각종 조작을 수행하며, 특히, 마이크를 통한 녹음 기능과, MP3 셋팅부를 구동시켜 공동 MP3 플레이어 모드로 셋팅하여 상호 근접된 위치에 있는 커플 청취수단인 이어폰 및 헤드셋에, 공동으로 동시에 재생할 음악을 전달한다.
이어서, 마이크 제어부(280)에서는 MP3 단말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믹싱하여 출력하거나 녹음을 한다.
도 1은 종래 스왑 방식의 수퍼프레임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100)와, 커플 청취수단(300)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 중 커플 MP3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 중 커플 청취수단(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MP3 단말기 200 :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
210 : PWM 전원제어부 220 : 제1 ISM 대역 송신부(TX)
230 : 제1 ISM 대역 수신부(RX)
240 :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 선택부
250 :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
260 : MP3 세팅부
270 : 키 패드 제어부
280 : 마이크 제어부
300 : 커플 청취수단

Claims (2)

  1. MP3 단말기(100) 내부에 유에스비·오디오(USB & AUDIO) 선택부(240), LCD 디스플레이 제어부(LCD_DISPLAY)(250), MP3 세팅부(MP3_SET)(260), 키 패드 제어부(270)로 이루어진 ISM 대역을 이용한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200)이 내장되어 복수개의 커플 청취수단(300)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MP3 단말기(100)를 통해 채널별로 선택하여 ISM 대역에서 무선으로 음악을 제공하는 MP3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무선 접속 시스템 칩(200)은,
    전원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원 사용을 방지하여 충전 후 장시간 사용하도록 한 PWM 전원제어부(PWM POWER & BAT CONTROL)(210)와,
    시분할방식(TDD : Time Division Duplexing)으로 이루어져, USB & AUDIO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바이너리(Binary) 디지털 데이터로 받아서 펄스(pulse) 성형(shaping) 한 후 아날로그 FM 변조기를 통과시키고, 채널을 구분하여 복수개의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으로 전송시키는 제1 ISM 대역 송신부(TX)(220)와,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ISM 대역의 입력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복수개의 커플 이어폰 및 커플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된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ISM 대역 수신부(RX)(230)와,
    MP3 단말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믹싱하여 출력하거나 녹음 기능을 갖는 마이크 제어부(28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커플 청취수단(300)은 MP3 단말기의 ISM 대역 송신부(TX)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제1이어폰과, 제2이어폰이 서로 짝을 이루며 커플을 형성하는 커플 이어폰(310)과,
    그 커플 이어폰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를 통해 커플끼리 대화를 하거나, 그 대화한 내용을 녹음시키는 마이크 제어부(320)와,
    커플 이어폰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시분할방식(TDD : Time Division Duplexing)으로 커플 이어폰 중 대화를 원하는 또 다른 커플 이어폰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2 ISM 대역 송신부(TX)(330)와,
    안테나에서 유입되는 ISM 대역의 입력신호(음성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conversion)을 수행하여 주파수가 낮은 대역으로 신호를 옮기고, 원하는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채널 신호크기가 복조기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 ISM 대역 수신부(RX)(340)와,
    커플 이어폰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 키들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어하는 키 패드 제어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 모듈을 내장한 커플 MP3 단말기.
KR1020070077295A 2007-08-01 2007-08-01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KR10090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95A KR100905696B1 (ko) 2007-08-01 2007-08-01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95A KR100905696B1 (ko) 2007-08-01 2007-08-01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05A KR20090013305A (ko) 2009-02-05
KR100905696B1 true KR100905696B1 (ko) 2009-07-03

Family

ID=4068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295A KR100905696B1 (ko) 2007-08-01 2007-08-01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6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87A (ko) * 2002-08-26 2003-09-13 주식회사 필드콤 휴대용 무선인터폰
KR200328548Y1 (ko) * 2003-06-26 2003-09-29 주식회사 씨엠테크 커플용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휴대용 오디오 장치
KR20040058592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오디오 게이트웨이 겸용 블루투스방식의 무선 헤드셋
KR20050055344A (ko) * 2003-12-08 2005-06-13 정민 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핸즈프리 및무선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87A (ko) * 2002-08-26 2003-09-13 주식회사 필드콤 휴대용 무선인터폰
KR20040058592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오디오 게이트웨이 겸용 블루투스방식의 무선 헤드셋
KR200328548Y1 (ko) * 2003-06-26 2003-09-29 주식회사 씨엠테크 커플용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휴대용 오디오 장치
KR20050055344A (ko) * 2003-12-08 2005-06-13 정민 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핸즈프리 및무선스피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05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artsen et al. Bluetooth-a new low-power radio interface providing short-range connectivity
US708903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UWB and cellular capability
CN100547940C (zh) 包括rfid阅读器的移动通信终端
EP1838040B1 (en)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KR100787224B1 (ko) 채널 변경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변경방법
KR100767115B1 (ko)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CN101938284B (zh) 通信装置及其通信方法
KR101528495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정합 장치
JP2007529941A (ja) 無線リピータ
KR100905696B1 (ko) Ism 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저 전력 송수신모듈을 내장하여 커플과 대화가 가능한 커플 mp3 단말기
KR20090117160A (ko) Ism 대역 다채널 rf 모듈용 핸즈프리를 내장한무선카오디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US20090011719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201146501Y (zh) 数字无线话筒
CN112770300A (zh) 无线通信装置
JP6292675B2 (ja) 携帯無線システム
KR200238642Y1 (ko) 무선 인터컴 장치
KR100792675B1 (ko) Ism 대역 근거리 저전력 2채널 1:n 수신 단말기가내장된 오디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신방법
KR20090117156A (ko) Ism 대역 다채널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에서의 오디오혼합기능을 갖는 회의용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3898922B2 (ja) 放送番組の予約情報送信装置、放送番組の記録予約システム及び放送番組の記録予約方法
US20040085941A1 (en)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 system
KR200249694Y1 (ko) 리모콘 겸용 휴대폰
CN218217354U (zh) 一种对讲机
Junnila et al. Wireless technologies for data acquisition systems
KR101035730B1 (ko) 오토스켈치컨트롤러를 구비한 생활무전기
KR100419991B1 (ko) 무선 인터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