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115B1 -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115B1
KR100767115B1 KR1020060042474A KR20060042474A KR100767115B1 KR 100767115 B1 KR100767115 B1 KR 100767115B1 KR 1020060042474 A KR1020060042474 A KR 1020060042474A KR 20060042474 A KR20060042474 A KR 20060042474A KR 100767115 B1 KR100767115 B1 KR 10076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chao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민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115B1/ko
Priority to US11/603,108 priority patent/US77067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무선 통신 단말기는, 초광대역 통신용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통해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수신하며, 소정의 조건에 부합되면 채널을 형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파수 대역 폭을 변동시키어 좁은 주파수 대역 폭으로 혼돈 반송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채널 환경에서 휴대 단말과 각 무선 헤드셋 간의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의의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더 많은 수의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 혼돈신호, 광대역, 채널, 서브 채널, 파워레벨, 주파수 대역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WER CONTROLLING AND CHANNEL USING METHOD BY ADJUSTING OF CHANNEL BANDWIDTH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의 구조를 보인 그래프,
도 2는 도 1의 채널구조를 적용시킨 복수 쌍의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채널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에 장착되는 혼돈신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을 조절하는 예를 보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헤드셋에 장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블럭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 간에 서브 채널과 채널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폰 2 : 무선 헤드셋
10, 110 : 송신회로 11, 111 : 모듈레이터
15, 115 : 파워증폭기 20, 120 : 수신회로
23, 123 : 신호감지부 29, 129 : A/D컨버터
33, 133 : 인터페이스 35, 135 : 기저대역 처리부
37 : ADC 40 : 채널변경회로
41 : BPF 43 : 파워감지부
50 : 신호처리회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시 주위 환경에 따라 무선통신신호가 송수신되는 채널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단말기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여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모든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채널 내의 일부 대역폭을 타 무선 통신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분야에서 관심의 촛점이 되고 있는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규격이다. 블루투스는, 10 내지 100m 내의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전 화, 컴퓨터, PDA 등을 가정이나 회사의 전화, 컴퓨터, 가전제품들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기기간의 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블루투스의 주파수 대역은 2.4 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인 2.402 GHz ~ 2.480 GHz이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통해 상호 무선 통신하는 기기들을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라 하면,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쌍으로는,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 컴퓨터와 무선 헤드셋, 컴퓨터와 주변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수신 단말 간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스펙트럼 확산방식의 일종인 주파수 호핑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일정 시간마다 무작위로 주파수를 전환하는 방식으로서, 블루투스 대역인 2.402 GHz ~ 2.480 GHz 대역내에서 대역폭을 1MHz으로 분할하여 79개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각 주파수 대역을 전환하면서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전환은 1초에 1600회가 이루어진다.
한편, 하나의 송신 단말에 대해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신 단말이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하며, 최초 통신시 송신 단말은 미리 정해진 채널을 통해 무선통신신호를 수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채널을 매칭하게 된다. 여기서, 의미하는 채널은 주파수 호핑에 의해 형성되는 일종의 코드로서, 주파수 호핑을 위해 분할된 79개의 주파수 대역을 어떠한 순서로 전환하는지에 따라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을 제1 내지 제79대역으로 명명한다면, 제1 내지 제79대역을 순차적으로 호핑하는 것을 채널1로 설정하고, 제 5대역, 제29대역, 제17대역, 제3대역‥‥과 같은 순서로 호핑하는 것을 채널2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블루투스 이외에 3.1GHz 내지 5.1GHz의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초광대역 무선 통신 방식에서는 주로 디지털 신호를 온 또는 오프하여 송수신하는 OOK(On Off Key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한다. OOK 변조 방식은, 타 송신 단말간의 통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3.1GHz 내지 5.1GHz 주파수 대역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그 중 선택된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통신하게 된다.
이러한 OOK 변조 방식을 이용한 초광대역 혼돈 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별 전력밀도가 규정에 의해 제안되므로사용하는 채널의 대역폭에 따라 무선 전력의 세기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소모되는 배터리의 전력 소비량이 결정되며,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이 넓을수록 배터리의 전력 소비량이 크다. 채널의 대역폭은 채널의 통신상태가 최적화되도록 그 대역폭이 정해지나, 채널의 환경에 따라 채널을 형성하는 전체 대역을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통신상태가 양호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현재는 채널의 대역폭을 조절하지 못하므로, 채널의 대역폭이 항상 동일하며, 이에 따라 채널의 환경이 좋을 때는 전력이 낭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채널의 환경이 좋을 때는 채널의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정한 무선 통신 범위내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쌍이 채널의 수 만큼 속해 있는 경우, 즉, 모든 채널이 사용중인 경우, 새로이 송신 단말1과 수신 단말1이 무선 통신 범위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새로이 진입한 송신 단말1과 수신 단말1과,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송신 단말간에 통신간섭이 발생하고, 양측 모두 무선통신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OOK 방식의 채널의 대역폭과 갯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므로, 채널의 대역폭의 조절을 통해 새로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시 주위 환경에 따라 무선통신신호가 송수신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단말기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여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채널 내의 일부 대역폭을 타 무선 통신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 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초광대역 통신용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상 기 채널을 통해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수신하며, 소정의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일 수 있다.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감지하는 파워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돈신호의 필터링 대역을 조절하여 상기 채널내의 주파수 대역의 폭을 변경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밴드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필터의 필터링 대역을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채널은 복수의 서브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각 서브 채널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선택된 채널내에서 사용하는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아니하면, 사용하는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선형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각 채널 사이에는 상기 혼돈신호를 송수신하지 아니하는 소정 폭의 가아드 대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정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상기 채널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범위로 진입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채널 중 사용하지 아니하는 서브 채널을 임시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돈신호는,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일 수 있다.
휴대 단말, 컴퓨터, MP3, RF 송수신기, TV, 오디오, PMP, PDA, 무선 헤드셋, 무선 마우스, 컴퓨터 주변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 단말, 컴퓨터, MP3, RF 송수신기, TV, 오디오, PMP, PDA, 무선 헤드셋, 무선 마우스, 컴퓨터 주변기기,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혼돈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초광대역 통신용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중 하나로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혼돈신호의 에너지를 감지하여 상기 채널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채널의 통신상태에 따라 상기 채널내에서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내의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혼돈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무선 통신 단말기는, 혼돈신호(Chaotic Signal)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채널의 상태에 따라 채널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혼돈신호는 소정 주파수대역에서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일종의 반송파로서,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대역에서 직접 생성된다.
한편,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송신 단말로는, 휴대 단말, 컴퓨터, MP3, RF 송수신기, TV, 오디오, PMP, PDA, 무선 헤드셋, 무선 마우스, 컴퓨터 주변기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신 단말로는 휴대 단말, 컴퓨터, MP3, RF 송수신기, TV, 오디오, PMP, PDA, 무선 헤드셋, 무선 마우스, 컴퓨터 주변기기, 스피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송신 단말로는 휴대 단말을, 수신 단말로는 무선 헤드셋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채널을 분할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돈신호는, 3.1 내지 5.1 GHz 대역에 걸쳐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3.1 내지 5.1 GHz 주파수 대역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 MHz 단위로 혼돈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경우, 4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형성할 수 있고, 4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4개의 채널로 설정한다. 즉, 3.1~3.6 GHz는 채널1, 3.6~4.1 GHz는 채널2, 4.1~4.6 GHz 는 채널3, 4.6~5.1 GHz는 채널4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돈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4개의 채널을 갖게 되고,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 간의 통신시 각 채널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채널은 복수의 서브 채널로 분할되어 있다. 도 1에는 각 채널은 3개의 서브 채널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채널의 갯수와, 각 채널의 주파수 대역 폭은 설계자의 편의와 통신효율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웃하는 채널 사이에는 채널 간의 신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아드(Guard) 대역이 형성되어 있다. 가아드 대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채널을 500 MHz 단위로 분할한 경우, 각 채널 사이에 10 내지 100 MHz 정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가아드 대역의 폭도 설계자에 의해 신호 간섭이 방지되는 최적의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채널구조를 적용시킨 복수 쌍의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채널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정한 무선 통신 범위내에 포함된 복수 쌍의 휴대 단말1 내지 휴대 단말4(1a 내지 1d)과 무선 헤드셋1 내지 무선 헤드셋4(2a 내지 2d)에 각각 채널1, 채널3, 채널4, 채널2을 할당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한다. 이 때, 각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은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환경에 따라 채널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의 모든 대역폭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1의 경우, 휴대 단말1(1a)과 무선헤드셋1(2a)은 서브 채널 'α'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서브 채널 'β', 'γ'는 사용하고 있지 아니하다.
이런 상태에서 무선 통신 범위내에 새로이 휴대단말5(1e)과 무선 헤드셋5(2e)이 진입하면, 휴대단말5(1e)과 무선 헤드셋5(2e)은 채널1의 서브 채널 'β' 또는 'γ'에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이러한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무선통신시, 채널의 통신상태에 따라 채널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으며, 채널내에 빈 대역폭을 추가의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1 내지 휴대 단말4(1a 내지 1d)과, 무선 헤드셋1 내지 무선 헤드셋4(2a 내지 2d)은, 후술하는 구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에 장착되는 혼돈신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휴대 단말(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채널의 변경을 위한 채널변경회로(40)와, 혼돈신호에 데이터 신호를 모듈레이션한 혼돈 반송파를 송신하는 송신회로(10)와, 혼돈 반송파를 수신받아 데이터 신호를 평가하는 수신회로(20)를 포함한다.
채널변경회로(40)는, 안테나와 송수신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1)과 각 무선 헤드셋(2)간의 통신을 위한 채널의 대역폭, 즉 서브 채널을 변경한다. 채 널변경회로(40)는, 채널변경용 필터(41)와,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감지하는 파워감지부(43)를 포함하며, 파워감지부(43)로부터의 결과를 제공받은 제어부(45)에 의해 필터(41)가 제어되어 채널이 변경된다.
필터(41)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혼돈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 폭만큼 필터링함으로써, 미리 선택된 채널 중 미리 선택된 서브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혼돈신호만이 송수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필터(41)는, 채널1의 서브 채널1이 선택된 경우, 도 1에서 'α'로 표시된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채널1의 서브 채널1과 서브 채널2가 선택된 경우, 필터(41)는 도 2에서 'α'와 'β'로 표시된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도록 작동된다. 채널1의 서브 채널1, 서브 채널2, 서브 채널3 모두가 선택된 경우, 필터(41)는 도 2에서 'α', 'β', 'γ'로 표시된 주파수 대역이 모두 필터링되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작동되는 서브 채널을 증가시킬 때, 서브 채널1, 서브 채널2, 서브 채널3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최초에 서브 채널2를 선택하고, 그 다음 서브 채널1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서브 채널3을 선택할 수도 있다. 작동되는 서브 채널의 선택 순서는 설계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필터(41)는 가변 BPF(41)(Band Pass Filter)로 형성할 수 있다. 가변 BPF(41)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되는 주파수 대역 폭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채널내의 서브 채널을 통해 혼돈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서브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채널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채널 을 형성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만을 형성하고, 각 채널을 서브 채널로 분할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41)는 각 채널내에서 주파수 대역폭을 선형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각 채널의 대역폭은 채널의 통신상태에 따라 사용되는 대역폭이 상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널내의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모든 채널이 사용중인 경우, 추가의 휴대 단말에 대해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의 여유가 있는 채널, 예를 들면, 채널4의 일부 대역인 'A'영역을 휴대 단말5에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파워감지부(43)는,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의 통신시,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휴대 단말(1)로 전송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감지하며, 스위치(7)와 수신회로(20) 사이에 설치된다. 파워감지부(43)는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감지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제어부(45)로 제공한다.
제어부(45)는, 파워감지부(43)로부터 감지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과,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혼돈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필터(41)로 서브 채널의 증감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먼저, 제어부(45)는, 파워감지부(43)로부터 감지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의 임계값을 서브 채널의 갯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서브 채널이 3개인 경우, 파워레벨의 임계값을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제1임계값을 제2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45)는, 파워감지 부(43)에서 감지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제1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브 채널을 하나 더 사용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파워레벨이 제2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브 채널을 두개 더 사용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채널1의 서브 채널1만을 사용하여 혼돈신호를 송수신한 결과, 파워감지부(43)로부터 파워레벨이 제1임계값보다 작다고 감지된 경우, 제어부(45)는 서브 채널2를 동작시키도록 필터(41)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만약, 파워감지부(43)로부터 파워레벨이 제2임계값보다 작다고 감지된 경우, 제어부(45)는 서브 채널2와 서브 채널3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BPF(41)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45)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내에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혼돈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사용되는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도록 필터링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BPF(41)로 제공한다. 이 때, 서브 채널을 하나만 증가시킬 수도 있고, 하나 이상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45)는,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의 통신 중, 지속적으로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전송된 혼돈반송파의 파워레벨을 감시하고, 파워레벨이 제1임계값 또는 제2임계값 이하로 저하될 경우, 실시간으로 서브 채널을 증감할 수 있도록 BPF(41)를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헤드셋(2)을 향한 일단에는, 송수신용 안테나(5)와, 송신회로(10)와 수신회로(20) 중 일측을 안테나(5)에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5)와 스위치(7) 사이 에는 채널변경회로(40)의 BPF(41)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송신되는 혼돈신호와 수신되는 혼돈신호 중, 미리 설정된 채널내의 서브 채널만큼, 즉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혼돈신호만을 송수신하게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단에는 CDMA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회로(50)와, 데이터 비트를 패킷화하는 기저대역 처리부(35), 제어부(4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7)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33)가 구비되어 있다.
송신회로(10)는, 혼돈신호 발생기(30), 모듈레이터(11), 파워증폭기(15)를 포함하며, 신호처리회로(5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 또는 MP3,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무선 헤드셋(2)으로 전송한다. 이 때, 신호처리회로(50)에서는 음성신호를 데이터 비트 또는 데이터 신호 형태로 기저대역 처리부(35)로 제공하고, 기저대역 처리부(35)에서는 데이터 비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패킷화하여 모듈레이터(11)로 제공한다.
혼돈신호 발생기(30)는, 미리 설정된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발생시킨다. 혼돈신호는, 도 2의 ⓓ점에 대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볼 때, 주기와 진폭이 상이한 다수의 펄스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생성된다. 혼돈신호의 주파수대역은 혼돈신호 발생기(3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UWB 대역인 3.1 내지 5.1GHz 주파수대역에서 혼돈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모듈레이터(11)는, 혼돈신호 발생기(30)로부터의 혼돈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혼돈 반송파를 생성한다. 이 때, ⓐ점에 대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 와 같이, 0과 1의 바이너리 형태로 형성된 데이터 비트는, ⓑ점에 대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펄스 형태로 모듈레이터(11)에 제공된다. 이러한 데이터 신호와 혼돈신호를 합성하면, ⓔ점에 대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에서 정보가 존재하는 구간에서만 혼돈신호가 존재하는 혼돈 반송파가 생성된다. 이렇게 모듈레이션이 완료된 뒤에도, 혼돈 반송파의 주파수대역은, 혼돈신호의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다.
이러한 송신회로(10)가 동작할 때, 인터페이스(33)는 스위치(7)가 송신회로(10)와 안테나(5)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송신회로(10)에서 생성된 혼돈 반송파는 BPF(41)에서 필터링된 다음 안테나(5)를 통해 각 무선 헤드셋(2)으로 전송된다.
한편, 수신회로(20)는, LNA(21)(Low Noise Amp), 신호감지부(23), AGC(Automatic Gain Control) 증폭기(25), LPF(27), A/D컨버터(29)를 포함하며,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한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음성 데이터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 신호 뿐 아니라,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종류의 데이터 신호로 한정되지 않는다.
LNA(21)는 안테나(5)를 통해 수신된 혼돈 반송파를 증폭시켜 신호감지부(23)로 전달한다.
신호감지부(23)는, 혼돈 반송파의 포락선(envelop)을 감지하여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신호감지부(23)는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신호감지부(23)를 통과한 혼돈 반송파는, ⓒ점에 대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있는 파형 을 형성하게 된다.
AGC 증폭기(25)는 증폭율을 증감시킬 수 있는 증폭기로서, 신호감지부(23)에서 추출된 파를 일정 레벨로 증폭시킨다. LPF(27)는 증폭된 파를 A/D 컨버터(29)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가능하도록 필터링한다.
A/D컨버터(29)에서는 굴곡이 있는 파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펄스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데이터 신호는 기저대역 처리부(35)를 통해 신호처리회로(50)로 제공되어 CDMA신호로 처리된 다음,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1)은 송신회로(10) 및 수신회로(20)를 모두 내장하고 있으나, 무선 이어폰의 경우 수신회로(20)만을 포함할 것이다. 즉, 무선 통신 기기에 따라 송신회로(10) 또는 수신회로(20)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헤드셋에 장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헤드셋(2)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1)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수신회로(120)와 송신회로(110)를 포함한다.
수신회로(120)는, LNA(121)(Low Noise Amp), 신호감지부(123), AGC(Automatic Gain Control) 증폭기(125), LPF(127), A/D컨버터(129)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1)로부터 전송된 혼돈 반송파에서 무선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송신회로(110)는, 혼돈신호 발생기(130), 모듈레이터(111), 파워증폭기(115) 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혼돈신호에 합성하여 휴대 단말(1)로 전송한다.
무선 헤드셋(2) 무선 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1)을 향한 일단에는, 안테나(105), 스위치(107), BPF(10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BPF(106)는 휴대 단말(1)의 BPF(41)를 통해 설정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설정되며, 제어부(14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채널이 변경된다. BPF(106)는 작동 초기에는 미리 설정된 채널의 전체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혼돈반송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제어부(145)는, 초기 통신시 미리 선택된 채널로 혼돈반송파가 입력되어 무선 헤드셋(2)의 ID를 요청하면, 해당 채널의 해당 주파수 대역으로 ID를 송신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1)에서 해당 채널로 무선 통신을 원하는 경우, 해당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포함된 혼돈반송파가 제공되며, 휴대단말(1)의 제어부(45)는 휴대단말(1)의 BPF(41)를 제어하여 데이터가 포함된 혼돈반송파가 제공된 채널로 무선 헤드셋(2)의 채널을 셋팅한다.
그러나, 초기 통신시의 채널의 파워가 일정 이하인 경우, 휴대 단말(1)은 서브 채널을 증가시켜 다시 ID를 요청하게 되고, 제어부(145)는 해당 채널의 해당 서브 채널로 혼돈 반송파를 수신하여 다시 휴대 단말(1)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은 휴대 단말(1)에서 충분한 파워레벨의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5)에서는 서브 채널을 변경하면서 휴대 단말(1)로부터의 혼돈반송파를 감지하여 서브 채널이 셋팅될 때까지 휴대 단말(1)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휴대 단말(1)로부터 무선 헤드셋(2)으로 일방향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즉, MP3,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시, 제어부(145)는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이 통신하는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채널의 파워레벨을 파악할 수 있는 신호를 휴대 단말(1)로 제공한다. 이는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의 통신 중, 채널 환경이 변화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1) 측에서는 해당 신호를 수신받아 채널의 상태에 따라 서브 채널을 증감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 간에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즉 전화통화시에는, 휴대 단말(1)에서는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전송된 혼돈반송파를 이용하여 채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휴대 단말(1)로 별도의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단에는 데이터 비트를 패킷화하는 기저대역 처리부(135), 제어부(14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107)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133), 오디오 인터페이스(140)가 구비되어 있다.
수신회로(120)와 송신회로(110) 및 각 구성요소의 역할은 휴대 단말(1)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의 역할과 동일하며, 다만 처리되는 데이터 신호의 종류만이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 간에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1)을 통해 MP3,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1) 또는 무선 헤드셋(2)의 버튼을 조작하여 MP3,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선택한다(S400). 그러면, 휴대 단말(1)은 미리 설정된 채널, 예를 들어, 채널1을 통해 무선 헤드셋(2)으로 ID를 요청하는 ID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05). 한편, 무선 헤드셋(2)에서는 미리 선택된 채널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통해 휴대 단말(1)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채널1의 임의의 서브 채널로 ID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서브 채널을 통해 ID를 포함한 응답신호를 휴대 단말(1)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1)의 제어부(45)는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ID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S410), ID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5).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BPF(41)의 필터링 대역을 가변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서브 채널을 증가시킨다(S430). 그리고 서브 채널이 증가된 해당 채널로 ID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35).
한편,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ID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5)는 파워감지부(43)로부터 감지된 ID 응답신호의 파워레벨이 미리 설정된 소정 이상인지 파악한다. 이 때, ID 응답신호의 파워레벨이 소정 이상이면, 해당 ID와 해당 채널의 서브 채널을 셋팅한다(S450). 그리고 혼돈신호 발생기(30)와 모듈레이터(11)를 작동시켜 MP3, 오디오 데이터를 혼돈신호와 합성하여 혼돈 반송파를 생성한다(S455). 그런 다음, 해당 채널의 서브 채널을 통해 무선 헤드셋(2)으로 혼돈 반송파를 전송한다(S460).
반면, ID 응답신호의 파워레벨이 소정 이상을 넘지 않는 경우, 제어부(45)는 상술한 S430 내지 S435 과정을 반복하여 서브 채널을 증가시키고 다시 증가된 서브 채널로 ID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S410 내지 S435 과정은 ID 응답신호의 파워레벨이 소정 이상일 때까지 반복된다.
한편, 채널이 셋팅되어 휴대 단말(1)로부터 데이터가 삽입된 혼돈 반송파가 수신되면, 무선 헤드셋(2)에서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헤드셋(2)의 채널 상태를 알리기 위한 파워확인신호를 전송한다.
휴대 단말(1)의 제어부(45)는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파워확인신호가 수신되면(S465), 파워확인신호의 파워레벨이 소정 이상인지 판단한다(S470). 파워레벨이 소정 이상이 아닌 경우, BPF(41)의 필터링 대역을 가변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서브 채널을 증가시킨다(S475). 그리고 서브 채널이 증가된 해당 채널로 혼돈 반송파를 전송한다(S480).
만약 사용자가 통신 종료를 선택하면(S500-Y), 통신을 종료하고, 그렇지 아니하면(S500-N), 통신 중에는 S465 내지 S500 과정을 반복하여 채널 환경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 간에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휴대 단말(1)은 무선 헤드셋(2)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이 포함된 혼돈 반송파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에서 사용되는 서브 채널의 파워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통화시에는 무선 헤드셋(2)에서 휴대 단말(1)로 별도의 파워확인신호를 전 송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광대역의 고주파 신호인 혼돈신호를 복수의 채널과 서브 채널로 분할하고, 미리 선택된 채널 중 일부 서브 채널만을 사용하여 혼돈 반송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광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의 전체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때, 혼돈 반송파의 송수신시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널의 송수신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서브 채널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최적화된 채널 환경에서 휴대 단말(1)과 무선 헤드셋(2) 간의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임의의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채널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무선 통신 범위내에 추가의 휴대 단말이 진입하면, 사용하지 아니하는 서브 채널을 임시적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임의의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더 많은 수의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필터(41)와 파워감지부(43)를 이용하여 파워레벨을 감지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간단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채널 변경 과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대역 폭을 변동시키어 좁은 주파수 대역 폭으로 혼돈 반송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화된 채널 환경에서 휴대 단말과 각 무선 헤드셋 간의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의의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더 많은 수의 휴대 단말과 무선 헤드셋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을 각각 복수의 서브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채널을 통해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소정의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서브 채널을 형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폭을 조절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감지하는 파워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의 필터링 대역을 조절하여 상기 채널내의 주파수 대역의 폭을 변경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밴드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필터의 필터링 대역을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에 포함된 상기 각 서브 채널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선택된 채널내에서 사용하는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돈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아니하면, 사용하는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각 채널 사이에는 상기 혼돈신호를 송수신하지 아니하는 소정 폭의 가아드 대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상기 채널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상기 무선 통 신 범위로 진입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채널 중 사용하지 아니하는 서브 채널을 임시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 컴퓨터, MP3, RF 송수신기, TV, 오디오, PMP, PDA, 무선 헤드셋, 무선 마우스, 컴퓨터 주변기기, 스피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혼돈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7.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초광대역 통신용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해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혼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혼돈신호의 에너지를 감지하여 상기 채널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채널의 통신상태에 따라 상기 채널내에서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채널내의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혼돈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각 채널을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혼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해 상기 혼돈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내에서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혼돈신호가 소정 시간내에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선택된 채널내에서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일정 이하인 경우, 상기 서브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혼돈신호의 파워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폭의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혼돈신호를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밴드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일정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상기 채널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범위로 진입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채널 중 사용하지 아니하는 서브 채널을 임시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채널 대역폭 조절 방법.
KR1020060042474A 2006-05-11 2006-05-1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KR10076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74A KR100767115B1 (ko) 2006-05-11 2006-05-1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US11/603,108 US7706752B2 (en) 2006-05-11 2006-11-22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using channel by adjusting channel bandwidth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74A KR100767115B1 (ko) 2006-05-11 2006-05-1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115B1 true KR100767115B1 (ko) 2007-10-17

Family

ID=3868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474A KR100767115B1 (ko) 2006-05-11 2006-05-11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06752B2 (ko)
KR (1) KR100767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46B1 (ko) 2007-04-18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혼돈신호를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74B1 (ko) * 2006-02-22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대역 확산 기법을 적용한 위치인식용 카오스 무선통신 장치
KR100730086B1 (ko) * 2006-07-10 2007-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시스템 송수신장치
US20100035562A1 (en) * 2008-08-05 2010-02-1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ssion
GB0901713D0 (en) * 2009-02-03 2009-03-11 Sepura Plc Communications systems
US8724492B2 (en) 2011-04-08 2014-05-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dio coexistence on adjacent frequency bands
US20130244666A1 (en) * 2012-03-19 2013-09-19 Broadcom Corporation Power Saving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hrough Dynamic Control of Processed Bandwidth
KR20150044538A (ko) * 2013-10-17 2015-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ok 변조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신기
US9646626B2 (en) * 2013-11-22 2017-05-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ndwidth management for adjusting audio quality
US20160119927A1 (en) * 2014-10-24 2016-04-28 Newracom, Inc. Ofdma resource assignment rules to achieve robustness
US10824579B2 (en) 2018-03-16 2020-11-03 Neuralink Corp. Network-on-chip for neurological data
US11239570B2 (en) * 2018-10-16 2022-02-01 Hook'd WiFi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scalable archite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830A (ko) * 2000-01-19 2001-08-11 오길록 혼돈 신호를 이용한 랜덤 인터리버 장치
KR20030024808A (ko) * 2000-07-27 2003-03-26 알렉산더 세르게이비치 드미트리프 혼돈 신호를 이용한 정보전송방법
KR20050050042A (ko) * 2003-11-24 2005-05-27 인스티튜트 어브 라디오 엔지니어링 앤드 일렉트로닉스 어브 라스 혼돈 신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215295A (en) * 1994-08-12 1996-03-14 Neosoft, A.G. Nonlinear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6614806B1 (en) * 2000-01-06 2003-09-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ing receiver signal overload protection
US6560463B1 (en) * 2000-09-29 2003-05-06 Pulse-Link, Inc.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830A (ko) * 2000-01-19 2001-08-11 오길록 혼돈 신호를 이용한 랜덤 인터리버 장치
KR20030024808A (ko) * 2000-07-27 2003-03-26 알렉산더 세르게이비치 드미트리프 혼돈 신호를 이용한 정보전송방법
KR20050050042A (ko) * 2003-11-24 2005-05-27 인스티튜트 어브 라디오 엔지니어링 앤드 일렉트로닉스 어브 라스 혼돈 신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신호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46B1 (ko) 2007-04-18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혼돈신호를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06752B2 (en) 2010-04-27
US20070265011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115B1 (ko)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대역폭 조정을 이용한 전력제어와 채널 사용 방법
KR100787224B1 (ko) 채널 변경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채널 변경방법
US88493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transceiver for bluetooth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N100546266C (zh) 用于分布式网络中的自适应信标周期的设备、网络和方法
JP4815553B2 (ja) 変化するデータ速度を有する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00782083B1 (ko)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22649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ression of interferences between cells
EP3934057B1 (en) Long-distanc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end, receiving end, and system
JP2007506301A (ja) 超広帯域通信プロトコル
US20070260236A1 (e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s using chaotic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02516513A (ja) スタートアップ中のハイブリッド直接拡散/ホッピングモードを有する周波数ホッピング無線システム
WO2018172814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relaying an audio signal
CN106170149A (zh) 控制传输功率的方法及相关装置
US940819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US20030073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on of spectral congestion to allow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communication
EP30384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a dect communications protocol
CN202085306U (zh) 一种音响输出装置、音响设备和音响系统
KR100510702B1 (ko) 무선 홈 네트워킹 모듈 및 방법
JP4978631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40100150A (ko) 무전기 및 무선 전화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송수신 장치
WO2004100461A1 (en) Wireless ad hoc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power levels for message header and payload
KR200343401Y1 (ko) 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핸즈프리 및무선스피커 시스템
KR200238642Y1 (ko) 무선 인터컴 장치
KR20050055344A (ko) 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무선 핸즈프리 및무선스피커 시스템
Musavian et al. Power allocation under service-outage constraints for spectrum-sharing cognitive radio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