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57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579B1
KR100905579B1 KR1020087022823A KR20087022823A KR100905579B1 KR 100905579 B1 KR100905579 B1 KR 100905579B1 KR 1020087022823 A KR1020087022823 A KR 1020087022823A KR 20087022823 A KR20087022823 A KR 20087022823A KR 100905579 B1 KR100905579 B1 KR 10090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partit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523A (ko
Inventor
마사노리 스즈키
노부타카 호카조노
겐타로 우에다
도시후미 나기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표시 전극을 갖는 전면 패널과, 배면 기판과 격벽과 데이터 전극과 형광체층을 갖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배면 기판은 전면 기판에 대향 배치되어 전면 패널과의 사이에 방전 공간을 형성하고, 격벽은 배면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데이터 전극은 표시 전극에 대해 교차하여 형성되고, 형광체층은 격벽간에 형성된다. 또한, 격벽은, 데이터 전극과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은, 복수 영역간에서 다른 성질을 가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 선명도가 높은 표시 품질을 가지는,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크게 나누어, 구동 방법이 각각 다른 AC형과 DC형이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형식이 각각 다른 면 방전형과 대향 방전형의 두가지가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선명화와 대화면화 및 제조의 간편성의 이유로, 현상태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류는, 3전극 구조의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면 방전형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간에 방전 공간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전면측이 투명한 한쌍의 기판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방전 공간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에 의해서 구획된 방전 공간에서, 방전이 발생하도록 각각의 기판에 전극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녹색, 청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가 방전 공간에 설치되고, 복수의 방전 셀이 구성되어 있다. 형광체는,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파장이 짧 은 진공 자외광에 의해서 여기되어,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설치된 방전 셀로부터,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가시광이 발생한다. 이에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컬러 표시를 행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패널에 비해서, 고속의 표시가 가능하고, 시야각이 넓어, 대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自發光)형이므로, 표시 품질이 높은 등의 이유로, 최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중에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 또는, 가정에서 대화면의 영상을 즐기기 위한 표시 장치로서 각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섀시 부재의 전면측에 지지되고, 섀시 부재의 배면측에 회로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듈이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리가 주재료이고, 섀시 부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다. 회로 기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본 특허공개 2003-131580호 공보(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3-131580호 공보
본 발명은, 초대형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수율이 저하되지 않는, 대화면에서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초대형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수율이 저하되지 않는, 대화면에서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표시 전극을 갖는 전면 패널과, 배면 기판과 격벽과 데이터 전극과 형광체층을 가지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배면 기판은 전면 기판에 대향 배치되어 전면 패널과의 사이에 방전 공간을 형성하고, 격벽은 배면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데이터 전극은 표시 전극에 대해 교차하여 형성되고, 형광체층은 격벽간에 형성된다. 또한, 격벽은, 데이터 전극과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은, 복수의 영역간에서 다른 성질을 가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 선명도가 높은 표시 품질을 갖는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서, 도 1∼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이하, 패널(21)이라고 부른다)은 전면 패널(1)과 배면 패널(2)과의 사이에 방전 공간(60)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면 패널(1)과 배면 패널(2)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1)과 배면 패널(2)의 각각의 주변부에 설치된 밀봉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 전면 패널(1)과 배면 패널(2)이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 공간(60)에 방전 가스가 봉입됨으로써, 패널(21)이 구성되어 있다. 밀봉재는, 예를 들면, 유리 플릿 등이 이용된다. 또한, 방전 가스는, 예를 들면, 네온과 크세논의 혼합 가스 등이 이용된다.
전면 패널(1)에는, 유리제의 전면 기판(3) 상에, 표시 전극(62)이 복수열로 배열하여 설치된다. 표시 전극(62)은, 제1 전극으로서의 주사 전극(4)과 제2 전극으로서의 유지 전극(5)을 가지고 있다.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은 방전 갭(64)을 형성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을 덮도록,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층(6) 상에 MgO로 이루어지는 보호층(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같이 하여, 전면 패널(1)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사 전극(4)은, 투명 전극(4a)과, 투명 전극(4a) 상에 겹쳐 형성된 버스 전극(4b)을 가진다. 유지 전극(5)은, 마찬가지로, 투명 전극(5a)과, 투명 전극(5a) 상에 겹쳐져 형성된 버스 전극(5b)을 가진다. 또한, 투명 전극(4a)과 투명 전극(5a)은 각각 ITO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광 투과성을 갖고 있다. 또한, 버스 전극(4b)과 버스 전극(5b)은 각각, Ag 등의 도전성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패널(2)에는, 전면 기판(3)에 대향하여 배치된 유리제의 배면 기판(8) 상에, Ag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데이터 전극(10)이 설치된다. 데이터 전극(10)은,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9)으로 덮여 있다. 또한, 절연체층(9) 상에, 격자상의 형상을 갖는 격벽(11)이 설치된다. 격벽(11)은, 방전 공간(60)을 구획하고, 방전 셀(61)을 형성한다. 또한, 격벽(11) 간에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의 형광체층(12)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배면 패널(2)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전극(10)은, 격벽(11) 간에서,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과, 데이터 전극(10)의 교차 부분에, 격벽(11)에 의해서 구획된 방전 셀(61)이 형성된다.
또한,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과의 사이에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차광성이 높은 흑색의 차광층(13)이 설치된다.
또한, 패널(21)의 구조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stripe)상의 격벽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의 배열에 대해서, 도 1에서는, 주사 전극(4)-유지 전극(5)-주사 전극(4)-유지 전극(5) …과 같이,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이 교대로 배열된 표시 전극(62)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사 전극(4)-유지 전 극(5)-유지 전극(5)-주사 전극(4) …과 같은 전극 배열을 갖는 표시 전극(62)의 구성이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 전극 배열도이다. 행 방향(세로 방향)으로 n개의 주사 전극(4)인 주사 전극(SC1∼SCn)과 n개의 유지 전극(5)인 유지 전극(SU1∼SUn)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열방향(가로 방향)으로 m개의 데이터 전극(10)인 데이터 전극(D1∼Dm)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주사 전극(SCi)과 유지 전극(SUi)(i=1∼n)과, 1개의 데이터 전극(Dj)(j=1∼m)이 교차한 부분에 방전 셀(6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방전 셀(61)은, 방전 공간(60) 내에 m×n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블록도를 도시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는, 패널(21), 화상 신호 처리 회로(22),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 주사 전극 구동 회로(24), 유지 전극 구동 회로(25), 타이밍 발생 회로(26), 전원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을 가진다.
도 3에 있어서, 타이밍 발생 회로(26)는, 수평 동기 신호(H)와 수직 동기 신호(V)에 의거해,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각 구동 회로 블록인 화상 신호 처리 회로(22),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 주사 전극 구동 회로(24), 유지 전극 구동 회로(25)에 공급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22)는, 화상 신호(Sig)를 서브필드마다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는, 서브필드마다 화상 데이터를 각 데이터 전극(D1∼Dm)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에 의해서 변환된 신호를 이용해, 각 데이터 전극(D1∼Dm)이 구동된다. 주사 전극 구동 회로(24)는, 타이밍 발생 회로(26)로부터 보내진 타이밍 신호에 의거해, 주사 전극(SC1∼SCn)에 구동 전압 파형을 공급한다. 유지 전극 구동 회로(25)는, 마찬가지로, 타이밍 발생 회로(26)로부터 보내진 타이밍 신호에 의거해, 유지 전극(SU1∼SUn)에 구동 전압 파형을 공급한다. 또한, 주사 전극 구동 회로(24)와 유지 전극 구동 회로(25)는 유지 펄스 발생부(27)를 각각 가진다.
다음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 파형과 패널(21)의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의 구동 방법은, 1필드가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필드는 초기화 기간과 기입 기간과 유지 기간을 가지고 있다.
제1 서브필드의 초기화 기간에서는, 최초, 데이터 전극(D1∼Dm)과 유지 전극(SU1∼SUn)이 0(V)로 유지되어 있다. 동시에, 주사 전극(SC1∼SCn)에 대해서는, 방전 개시 전압 이하로 되는 전압(Vi1(V))으로부터 방전 개시 전압을 넘는 전압(Vi2)(V)을 향해 완만하게 상승하는 램프 전압(Vi12)이 인가된다. 그러면, 모든 방전 셀(61)에 있어서, 1회째의 미약한 초기화 방전이 일어나, 주사 전극(SC1∼SCn) 상에 부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이와 함께, 유지 전극(SU1∼SUn) 상과 데이터 전극(D1∼Dm) 상에 정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여기서, 전극 상의 벽전압은, 전극을 덮는 유전체층(6)상 또는 형광체층(12) 상 등에 축적한 벽전하에 의해서 생기는 전압을 가리킨다.
그 후, 유지 전극(SU1∼SUn)이 정의 전압(Vh(V))으로 유지되고, 주사 전극(SC1∼SCn)에 대해, 전압(Vi3(V))으로부터 전압(Vi4(V))을 향해 완만하게 하강하는 램프 전압(Vi34)이 인가된다. 그러면, 모든 방전 셀(61)에 있어서, 2회째의 미약한 초기화 방전이 일어나, 주사 전극(SC1∼SCn) 상과 유지 전극(SU1∼SUn) 상의 사이의 벽전압이 약해진다. 또한, 데이터 전극(D1∼Dm) 상의 벽전압이 기입 동작에 적합한 값으로 조정된다.
다음에, 제1 서브필드의 기입 기간에 있어서, 주사 전극(SC1∼SCn)이 일단 Vr(V)에 지지된다. 다음에, 1행째의 주사 전극(SC1)에 부의 주사 펄스 전압(Va(V))이 인가된다. 이와 함께, 데이터 전극(D1∼Dm) 중 1행째에 표시해야 할 방전 셀(61)의 데이터 전극(Dk)(k=1∼m)에, 정의 기입 펄스 전압(Vd(V))이 인가된다. 이 때, 데이터 전극(Dk)과 주사 전극(SC1)의 교차부의 전압은, 외부 인가 전압(Vd-Va)(V)에 데이터 전극(Dk) 상의 벽전압과 주사전극(SC1) 상의 벽전압이 가산된 전압값이 되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극(Dk)과 주사 전극(SC1)의 사이와, 유지 전극(SU1)과 주사 전극(SC1)의 사이에 기입 방전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기입 방전이 일어난 방전 셀(61)의, 주사 전극(SC1) 상에 정의 벽전압이 축적되고, 유지 전극(SU1) 상에 부의 벽전압이 축적되며, 데이터 전극(Dk) 상에 부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1행째에 표시해야 할 방전 셀(61)에서 기입 방전이 일어나고, 각 전극 상에 벽전압을 축적하는 기입 동작이 실행된다. 한편, 기입 펄스 전압(Vd(V))이 인가되지 않은 데이터 전극(D1∼Dm)과 주사 전극(SC1)이 교차하는 교차부의 전압은 방전 개시 전압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기입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기입 동작이 n행째의 방전 셀(61)에 이르기까지 순차 행해진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필드의 기입 기간이 종료한다.
다음에, 제1 서브 필드의 유지 기간에 있어서, 주사 전극(SC1∼SCn)에는 제1의 전압으로서 정의 유지 펄스 전압 Vs(V)이 인가된다. 그리고, 유지 전극(SU1∼SUn)에는 제2의 전압으로서 접지 전위, 즉 0(V)이 인가된다. 이 때, 기입 기간 중에 기입 방전을 일으킨 방전 셀(61)은, 주사 전극(SCi) 상과 유지 전극(SUi) 상의 사이의 전압이, 유지 펄스 전압 Vs(V)에 주사 전극(SCi) 상의 벽전압과 유지 전극(SUi) 상의 벽전압이 가산된 전압값으로 되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한다. 그리고, 주사 전극(SCi)과 유지 전극(SUi)의 사이에 유지 방전이 일어나, 유지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서 형광체층(12)이 여기되어, 발광한다. 그리고, 주사 전극(SCi) 상에 부의 벽전압이 축적되고, 유지 전극(SUi) 상에 정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동시에, 데이터 전극(Dk) 상에도 정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기입 기간에 있어서 기입 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방전 셀(61)에서는, 유지 방전은 발생하지 않고, 초기화 기간의 종료시에 있어서의 벽전압이 유지된다. 계속해서, 주사 전극(SC1∼SCn)에는, 제2의 전압인 0(V)가 인가된다. 동시에, 유지 전극(SU1∼SUn)에는, 제1의 전압인 유지 펄스 전압 Vs(V)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먼저 유지 방전을 일으킨 방전 셀(61)에서는, 유지 전극(SUi) 상과 주사 전극(SCi) 상의 사이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한다. 이 때문에, 다시 유지 전극(SUi)과 주사 전극(SCi)의 사이에 유지 방전이 일어나, 유지 전극(SUi) 상에 부의 벽전 압이 축적되고, 주사 전극(SCi) 상에 정의 벽전압이 축적된다.
이후, 동일하게 하여, 주사 전극(SC1∼SCn)과 유지 전극(SU1∼SUn)에 교대로 휘도 가중에 따른 수의 유지 펄스 전압 Vs(V)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기입 기간에 있어서, 기입 방전을 일으킨 방전 셀(61)에서는, 유지 방전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유지 기간에 있어서의 유지 동작이 종료한다.
연속되는 제2 서브필드에 있어서도, 초기화 기간, 기입 기간, 유지 기간의 동작이, 제1 서브필드에 있어서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게 행해진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제3 서브필드 이후의 동작도 행해지므로, 이후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조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섀시 부재(31)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고, 방열판을 겸한 지지판이다. 섀시 부재(31)의 전면측에는, 패널(21)이 지지되어 있다. 패널(21)과 섀시 부재(31)의 사이에는, 방열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되고, 접착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해, 패널(21)과 섀시 부재(31)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섀시 부재(31)의 배면측에는, 패널(21)을 표시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동 회로 블록(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듈(65)이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패널(21)은 섀시 부재(31)에 숨어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방열 시트는, 섀시 부재(31)의 전면측에 패널(21)을 접착하여 지지 하고, 패널(21)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섀시 부재(31)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방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방열 시트는 두께가 1㎜∼2㎜ 정도의 시트상이다. 또한, 방열 시트는 아크릴, 또는 우레탄,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열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서 필러가 함유된 절연성의 방열 시트가 이용된다. 또한, 방열 시트는 흑연 시트(graphite sheet), 금속 시트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방열 시트 자체에 접착력을 갖게 하여, 섀시 부재(31)에, 방열 시트만으로 패널(21)을 접착하여 지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는, 접착력을 갖지 않는 방열 시트가 이용되는 경우는, 별도의 양면 접착 테이프가 이용되고, 패널(21)과 섀시 부재(31)를 접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패널(2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의 전극 인출부에 접속된, 표시 전극용 배선 부재로서의 플렉시블 배선판(32)이 설치된다. 플렉시블 배선판(32)은, 섀시 부재(31)의 외주부를 통해서 배면측으로 당겨져, 주사 전극 구동 회로(24)의 구동 회로 블록(도시하지 않음)과 유지 전극 구동 회로(25)의 구동 회로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한편, 패널(21)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데이터 전극(10)의 전극 인출부에 접속된, 데이터 전극용 배선 부재로서의 복수의 플렉시블 배선판(33)이 설치된다. 플렉시블 배선판(33)은,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의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함께, 섀시 부재(31)의 외주부를 통해서 배면측으로 당겨져, 섀시 부재(31)의 배면측의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에 배치된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의 구동 회로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전 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각 구동 회로 블록의 근방에는, 냉각 팬(34)이 앵글(35)에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34)으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에 의해서, 각 구동 회로 블록이 냉각되는 구성이다. 또한, 섀시 부재(31)의 상부 위치에는, 3개의 냉각 팬(36)이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36)은, 섀시 부재(3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된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의 구동 회로 블록을 냉각한다.
이와 함께, 냉각 팬(36)은, 섀시 부재(31)의 배면측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 전체의 내부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흐르는 공기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 내부가 냉각된다.
또한, 섀시 부재(31)에는, 기계적 강도 보강용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앵글(37)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앵글(3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앵글(37)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를 세운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 폴(39)이 나사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모듈(65)은 패널(21)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전면 보호 커버(40)와, 섀시 부재(31)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금속제의 백 커버(41)를 갖는 본체 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완성된다. 또, 전면 보호 커버(40)는, 전면 테두리(42)와 보호판(43)을 갖는다. 전면 테두리(42)는 개구부(42a)를 가지고, 수지 또는 금속 등을 이용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42a)는, 패널(21)의 전면측의 화상 표시 영역을 표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한, 보호판(43)은, 개구부(42a)에 부착되고, 유리 등으로 구성되어, 광 투과성을 가진다. 보호판(43)에는, 예를 들면, 전자파에 의한 불필요한 복사를 억제하기 위한 불필요 복사 억제막 또는 광학 필터 등이 설치된다. 또한, 보호판(43)은, 보호판(43)의 주변부가, 개구부(42a)의 주 가장자리부와 보호판 가압 클램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끼워져 전면 테두리(4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백 커버(41)에는, 모듈(6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나사(44)가 이용되고, 백 커버(41)가 섀시 부재(31)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를 운반할 때 등에 이용되는 파지부(45)가, 백 커버(41)에 나사 등(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 부착된다.
다음에,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패널(21)에 주사 전극(4), 유지 전극(5), 데이터 전극(10), 차광층(13), 격벽(11) 등의 각 구성 부분을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노광 현상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즉, 우선, 기판상에 감광성 재료층이 형성된다.
다음에, 기판상에 형성된 감광성 재료층에, 소정 패턴을 묘화할 수 있는 포토마스크를 통해 노광한다. 또한, 노광된 감광성 재료층을 현상한다. 이에따라, 기판 상에 고정밀도의 패턴이 형성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의 진전에 따라, 노광 프로세스에 있어서, 일반 노광 장치의 노광 영역에 들어가지 않는 넓은 영역의 노광을 필요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요망된 다. 이러한, 대면적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노광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노광 영역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여 노광하는, 분할 노광 방법이 유효하다.
도 6a에서 도 6d는, 대화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패널(21)의 작성에 이용되는 분할 노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기판(51)에 도포되어 형성된 감광성 재료층(52)이, 포토마스크(53)를 통해 노광되는 노광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다.
도 6a는, 기판(51)의 좌측 영역을 노광하는 경우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기판(51)의 6B-6B선에 의한 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c는 기판(51)의 우측 영역을 노광하는 경우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d는 기판(51)이 노광 현상되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다.
우선, 감광성 재료층 형성 단계(S01)에 있어서, 기판(51) 상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의 구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은 페이스트 등의 감광성 재료층(52)이 형성된다.
다음에, 위치 결정 단계(S02)에 있어서, 감광성 재료층(52)이 형성된 기판(51)이, 노광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노광 단계(S03)에 있어서, 포토마스크(53)의 윗쪽에 설치된 노광 광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기판(51)의 좌측 영역(51a)측의 감광성 재료층(52)이 노광된다. 이 때, 포토마스크(53)는, 기판(51)의 좌측 영역(51a) 상부에, 감광 성 재료층(52)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토마스크(53)에는 개구부(53a)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감광성 재료층(52)의 좌측 영역의 좌측 노광부(52a)가 노광된다.
또한, 마스크 이동 단계(S04)에 있어서, 포토마스크(53)가, 기판(51)의 우측 영역(51b) 상부로 이동되어, 감광성 재료층(52)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되어 배치된다.
다음에, 제2 노광 단계(S05)에 있어서, 포토마스크(53)의 윗쪽에 설치된 노광 광원에 의해서, 기판(51)의 우측 영역(51b)측의 감광성 재료층(52)이 노광된다. 이에 따라, 감광성 재료층(52)의 우측 영역의 우측 노광부(52b)가 노광된다.
또한, 현상 단계(S06)에 있어서, 노광된 감광성 재료층(52)이 현상되고, 감광성 재료층(52)의 미노광부의 영역이 제거되어, 소정의 패턴을 갖는 전극 패턴 등의 구성 부재가 형성된다.
즉,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판(51)은 포토마스크(53)에 비해서 충분히 크기 때문에, 포토마스크(53)를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판(51)이 좌우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2회에 나누어 기판(51)의 전 영역에 걸쳐 노광된다.
즉, 도 6b에 도시하는, 기판(51)의 좌측 영역(51a)을 노광하는 단계와, 도 6c에 도시하는, 기판(51)의 우측 영역(51b)을 노광하는 단계로 분할되어, 기판(51)이 분할 노광된다. 또한, 포토마스크(53)에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53a)가 형성되고, 개구부(53a)를 통해서 포토마스크(53)의 윗쪽에 설정된 노광 광원으로부터, 감광성 재료층(52)이 노광된다. 또한, 연결부(52c)는, 제1 노광 단계(S03)와 제2 노광 단계(S05)의 양쪽에서 노광되는 영역이다. 또한, 제1 노광 단계(S03)에 있어서, 좌측 영역(51a)이 노광될 때는, 우측 영역(51b)은 차광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 차광된다. 마찬가지로, 제2 노광 단계(S05)에 있어서, 우측 영역(51b)이 노광될 때는, 좌측 영역(51a)은 차광판을 이용해 차광된다.
또한, 도 6a∼도 6d에 도시하는, 분할 노광 방법은, 기판(51)의 좌측 영역(51a)과 우측 영역(51b)을, 하나의 포토마스크(53)를 이용해 분할 노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판(51)이 분할 노광될 때에 이용되는 포토마스크(53)는 반드시 한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측 영역(51a)을 노광하기 위한 좌측 영역용 포토마스크와 우측 영역(51b)을 노광하기 위한 우측 영역용 포토마스크가 각각 달라도 된다.
또한, 도 6d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에는, 감광성 재료층(52)을 건조하는 단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드시, 도 6d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하게, 건조 단계, 소성 단계 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가 추가되어도 된다.
또한, 전면 패널(1)을 제조할 때에는, 전면 기판(3)이 기판(51)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주사 전극(4), 유지 전극(5)이 구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때에는,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감광성 재료층(52)으로서, 전면 기판(3) 상에 형성된다. 또한, 차광층(13)이 구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때에는, 차 광층(13)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감광성 재료층(52)으로서, 전면 기판(3) 상에 형성된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배면 패널(2)을 제조할 때에는, 배면 기판(8)이 기판(51)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데이터 전극(10)이 구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때에는, 데이터 전극(10)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감광성 재료층(52)으로서, 배면 기판(8) 상에 형성된다. 또한, 격벽(11)이 구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때에는, 격벽(11)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감광성 재료층(52)으로서, 배면 기판(8)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7a는, 이상과 같은 분할 노광 방법이 이용되어 구성 부분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전면 패널(1)측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7b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배면 패널(2)측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면 패널(1)의 장변측의 상하 단부의 중앙부 각각에 십자 형상의 얼라인먼트 마크(alignment mark)(1a)가 설치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면 패널(2)의 장변측의 상하단부의 중앙부 각각에, 십자 형상의 얼라인먼트 마크(2a)가 설치된다. 도 6a∼도 6d에 도시하는 분할 노광 방법을 이용할 때에, 얼라인먼트 마크(1a, 2a)를 이용해, 기판(51)에 상당하는 전면 기판(3) 또는 배면 기판(8)이, 포토마스크(53)와 위치 맞춤된다.
또한, 얼라인먼트 마크(1a)는, 투명 전극(4a, 5a)이 전면 기판(3)에 형성될 때에, ITO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얼라인먼트 마크(2a)는, 데이터 전극(10)이 배면 기판(8)에 형성될 때에, Ag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 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전면 패널(1)과 배면 패널(2)의 장변측의 상하단부의 중앙부 각각에 얼라인먼트 마크(1a, 2a)가 설치된다. 그리고, 얼라인먼트 마크(1a, 2a)를 이용해, 도 6a∼도 6d에 도시하는 분할 노광 방법을 이용할 때의 기판(51)과 포토마스크(53)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구성하는 구성 부분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노광되고, 고정밀도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각 영역에 대해서, 소정 이상의 표시 품질을 유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이 형성된다. 이 결과, 선명도가 높고 또한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따라서, 특히, 최근, 65인치 사이즈 이상의 대화면으로서, 또한, 선명도가 높은 표시 품질(1080×1920 이상)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용이하게, 그리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된다. 즉, 초대형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수율이 저하하지 않는, 대화면에서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제공된다.
그런데, 상술과 같은 분할 노광 방법을 이용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의 각 구성 부분이 분할하여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 영역의 연결부(52c)에 해당하는 경계부(1b, 2b)가 표시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를 보면서 즐길 때, 경계부(1b, 2b)의 형상에 따라서는, 사람의 눈으로 인식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의 비점등 시, 또는 점등 시의 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의, 표시 품질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이하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배면 패널(2)은, 데이터 전극(10)과 평행한 방향 Y에서, 배면 패널(2)의 장변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된다. 그리고,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하여 격벽(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11)의 성질은, 복수의 영역간에서 다른 성질을 가진다. 격벽(11)의 성질은, 예를 들면, 격벽(11)의 기하학적 성질, 또는, 광학적 성질 등이다. 격벽(11)의 기하학적 성질은, 예를 들면, 격벽(11)의 외형 형상이다. 격벽(11)의 외형 형상은, 예를 들면, 격벽(11)의 폭, 높이, 격벽(11)의 정상부의 폭, 평면적으로 격벽(11)을 관찰하였을 때의 격벽(11)의 패턴 형상 등이다. 또한, 격벽(11)의 광학적 성질은, 예를 들면, 격벽(11)의 반사율, 광 흡수 특성 등이다. 이하, 도 8a∼도 11을 이용해, 격벽(11)의 외형 형상에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2)을 설명한다.
도 8a∼도 1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이용할 수 있는 배면 패널(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형광체층(12)은, 적색 형광체층(12R), 녹색 형광체층(12G), 청색 형광체층(12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 8a에서 도 8c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예에서는, 배면 패널(2)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좌우 영역의 격벽(11)은, 경계부(2b)가 실질적인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면 패널(2)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설치된 경계부(2b)와 배면 패널(2)의 양단부(2d)를 비교한 경우, 양단부(2d)의 폭이 경계부(2b)보다도 넓은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거의 중심부인 X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면 패널(2)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된다. 또한,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좌우 영역의 격벽(11)의 정상부(11a, 11b)의 폭이 다른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배면 패널(2)의 우측 영역(14b)의 정상부(11a)의 폭(W1)에 비해, 배면 패널(2)의 좌측 영역(14a)의 정상부(11b)의 폭(W2)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배면 패널(2)의 우측 영역(14b)의 정상부(11a)의 폭(W1)에 비해, 배면 패널(2)의 좌측 영역(14a)의 정상부(11b)의 폭(W2)이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경계부(2b)에 설치되는 격벽(11)의 정상부(11h)의 폭은, 좌측 영역(14a)의 정상부(11b)의 폭(W2)과 같은 구성이다. 그러나, 정상부(11h)의 폭은, 반드시, 정상부(11b)의 폭(W2)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우측 영역(14b)의 정상부(11a)의 폭(W1)과 같아도 된다. 또한, 좌측 영역(14a)은 제1의 영역을 구성하고, 우측 영역(14b)은 제2의 영역을 구성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면 패널(2)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된다. 또한,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좌우의 영역 중 우측 영역(14b)의 격벽(11)이, 좌측 영역(14a)의 격벽(11)에 대해 경사지는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영역(14a)의 격벽(11)은, 표시 전극(6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우측 영역(14b)의 격벽(11)이, 표시 전극(6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경사진 패턴 형상으로, 격벽(11)이 형성되는 경우, 격벽(11)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데이터 전극(10)도 격벽(11)과 동일하게 경사지는 패턴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이 경우, 각 데이터 전극(D1∼Dm)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는, 데이터 전극(10) 또는 격벽(11)의 경사 패턴의 형상이 고려되어, 데이터 전극 구동 회로(23)에 있어서 변환되어 생성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면 패널(2)이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된다. 또한, 경계부(2b)의 양측에 제3의 영역인 경계 영역(2c)이 설치된다. 또한, 경계 영역(2c)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격벽(11c)의 폭(W3)이, 경계 영역(2c) 이외의 제4의 영역(14c)의 가로 방향의 격벽(11d)의 폭(W4)보다도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방향의 격벽(11c, 11d)은 배면 패널(2)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11c, 11d)이고, 데이터 전극(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11c, 11d)이다. 또한, 데이터 전극(10)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격벽은 세로 방향의 격벽으로 불린다.
또한, 도 11에서는, 경계 영역(2c)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격벽(11c)의 폭(W3)이, 경계 영역(2c) 이외의 제4의 영역(14c)의 가로 방향의 격벽(11d)의 폭(W4)보다도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 예를 들면, 경계 영역(2c)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격벽(11c)의 폭(W3)이, 경계 영역(2c) 이외의 제4의 영역(14c)의 가로 방향의 격벽(11d)의 폭(W4)보다도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경계 영역(2c)이, 경계부(2b)에 형성된 격벽(11)을 포함하는, 3열분의 격벽(11)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경계 영역(2c)은, 3열분의 격벽(11)을 포함하는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5열분 또는 7열분의 격벽(11)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경계 영역(2c)의 폭은, 패널(21)의 크기, 해상도 등의 패널(21)의 특성, 또는, 표시 품질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2)이 분할 노광 방법을 이용해 형성되는 경우, 데이터 전극(10)과 평행한 방향(Y)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격벽(11)이 형성된다.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11)의 외형 형상이, 복수의 영역의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다른 형상이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를 보고 즐길 때, 경계부(2b)가 사람의 눈으로 인식되기 어렵게 되어, 소정의 표시 품질이 유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이용한 대화면이고, 또한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실시의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서, 도 12a에서 도 12c를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플라즈마 디 스플레이 패널은,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비해, 격벽의 광학적 성질에 특징을 가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에, 동일하게 이용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c에는, 도 12a와 도 12b에 도시하는 패널(21)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2)을 도시한다. 또한, 도 12c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거의 중심부인 X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 패널(2)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배면 패널(2)도, 데이터 전극(10)과 평행한 방향 Y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격벽(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11)의 반사율이 복수의 영역간에서 다른 구성이다. 즉,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격벽(11)은,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11)이, 복수개 영역간에서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가진다.
즉, 도 12c에 도시하는 배면 패널(2)의 예에서는, 배면 패널(2)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경계부(2b)가 설치된다. 경계부(2b)를 경계로 하여 좌측 영역(14a)에 격벽(11e)이 형성되고, 우측 영역(14b)에 격벽(11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11e)의 색이 격벽(11f)의 색에 비해서 밝다. 즉, 좌우의 영역(14a, 14b)에 있어서, 격벽(11e)의 반사율과 격벽(11f)의 반사율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부(2b)에 설치되는 격벽(11g)의 반사율은, 격벽(11e)의 반사율과 같아도 되고, 격벽(11f)의 반사율과 같아도 된다. 또한, 격벽(11g)의 반사율은, 격벽(11g)의 좌측 영역(14a)측의 반사율과 격벽(11g)의 우측 영역(14b)측의 반사율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도 된다. 즉, 격벽(11g)의 좌측 영역(14a)측의 반사율이 격벽(11e)의 반사율과 동일하고, 격벽(11g)의 우측 영역(14b)측의 반사율이 격벽(11f)의 반사율과 동일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격벽(11f)의 색이 격벽(11e)의 색에 비해서 밝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분할 노광 방법을 이용해 작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용의 배면 패널(2)을 작성하는 경우, 데이터 전극(10)과 평행한 방향 Y에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격벽(11)이 형성된다. 또한,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11)의 반사율이, 복수의 영역간에서 다른 구성이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를 보고 즐길 때, 경계부(2b)가 사람의 눈으로 인식되기 어려워, 소정의 표시 품질이 유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이용한 대화면이고 또한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63)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간편한 방법으로 대화면, 선명도가 높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되어,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시 기기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 전극 배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분할 노광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6B-6B 단면에 의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면 패널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면 패널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면 패널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면 패널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면 패널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도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배면 패널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전면 패널 1a, 2a : 얼라이먼트 마크
1b, 2b : 경계부 2 : 배면 패널
3 : 전면 기판 4 : 주사 전극
4a, 5a : 투명 전극 4b, 5b : 버스 전극
5 : 유지 전극 6 : 유전체층
7 : 보호층 8 : 배면 기판
9 : 절연체층 10 : 데이터 전극
11, 11c, 11e, 11f, 11g : 격벽 11a, 11b, 11h : 정상부
12 : 형광체층 12R : 적색 형광체층
12G : 절연 형광체층 12B : 청색 형광체층
13 : 차광층 2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0 : 방전 공간 61 : 방전 셀
62 : 표시 전극 63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

  1. 전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 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표시 전극
    을 가지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과의 사이에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 전극에 대해 교차하여 형성된 데이터 전극과,
    상기 격벽의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층
    을 가지는 배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데이터 전극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분할하여 형성된 격벽의 외형 형상은, 상기 복수의 영역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상기 격벽의 폭이, 다른 부분의 가로 방향의 상기 격벽의 폭보다 넓은 형상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3A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05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4459 2005-12-27
JPJP-P-2005-00374459 2005-12-27
JP2005374461 2005-12-27
JP2005374462 2005-12-27
JPJP-P-2005-00374462 2005-12-27
JPJP-P-2005-00374461 2005-12-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946A Division KR100895142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23A KR20080091523A (ko) 2008-10-13
KR100905579B1 true KR100905579B1 (ko) 2009-07-02

Family

ID=38228614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823A KR100905579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1A KR100905366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0A KR100905365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2A KR100905578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77014946A KR100895142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4A KR100905580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821A KR100905366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0A KR100905365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2A KR100905578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77014946A KR100895142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7022824A KR100905580B1 (ko) 2005-12-27 2006-12-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0091B2 (ko)
KR (6) KR100905579B1 (ko)
CN (5) CN101728169A (ko)
WO (1) WO20070778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9787A (ja) * 2008-03-24 2009-10-08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220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1580A (ja) 2001-10-23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208876B2 (en) * 2003-07-22 2007-04-2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0560480B1 (ko) * 2004-04-29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619B1 (ko) * 2006-04-12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 휘도를 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220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578B1 (ko) 2009-07-02
KR20080091524A (ko) 2008-10-13
CN101728167A (zh) 2010-06-09
KR20080091520A (ko) 2008-10-13
KR100905365B1 (ko) 2009-07-01
CN101728170A (zh) 2010-06-09
WO2007077803A2 (ja) 2007-07-12
KR100905580B1 (ko) 2009-07-02
KR20080091523A (ko) 2008-10-13
CN101728169A (zh) 2010-06-09
US7830091B2 (en) 2010-11-09
KR20080091522A (ko) 2008-10-13
CN101728168A (zh) 2010-06-09
CN101728171A (zh) 2010-06-09
KR100895142B1 (ko) 2009-05-04
KR20070091311A (ko) 2007-09-10
KR20080091521A (ko) 2008-10-13
KR100905366B1 (ko) 2009-07-01
US20090051288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1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855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055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3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48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13071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0708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12182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79299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9416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19416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1160641A (zh) 等离子体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