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514B1 -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514B1
KR100905514B1 KR1020080096700A KR20080096700A KR100905514B1 KR 100905514 B1 KR100905514 B1 KR 100905514B1 KR 1020080096700 A KR1020080096700 A KR 1020080096700A KR 20080096700 A KR20080096700 A KR 20080096700A KR 100905514 B1 KR100905514 B1 KR 10090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mounting module
locking
locking b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은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이즈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올 filed Critical (주)이즈올
Priority to KR102008009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8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acting on the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에 자전거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자전거의 거치를 위한 고정 거치모듈이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대; 자전거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거치모듈에 선택적으로 거치 및 거치해제 가능한 가동 거치모듈;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거치모듈에 상기 가동 거치모듈이 거치되면서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을 상호간 로킹시키는 로커; 및 상기 로커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로킹, 로킹장치, 잠금

Description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Double Rocking system for bik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에 자전거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를 요구하는 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21 세기 교통수단이라고도 불리는 자전거를 이용하게 되면, 지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교통 체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또한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운동 시간을 할애할 필요 없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에너지의 소비가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미비하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여론 및 자전거의 장점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차원에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1995년에 제정한 바 있으며, 점차 그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제도가 개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미국, 일본, 혹은 유럽의 자전거 선진국에 비해 자전거 정책과 시설 면에서 뒤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자전거의 시설 중에서도 특히,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 대해 살펴보면, 단독 설치형, 캐노피 복합 설치형, 휀스 설치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 수동 보관대와, 반자동 보관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보관대에 자전거를 보관하고자 할 때는 우선 자전거를 거치시킨 후에, 별도의 고리와 열쇠 등을 이용하여 이들 보관대에 자전거를 완전히 로킹(locking)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전거 소유자가 고리와 열쇠 등을 반드시 소지하고 다니면서 자전거를 상기의 보관대에 일일에 거치시킨 후에 또 다시 로킹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즉 자전거 로킹 문제가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자전거의 이용도 낮아지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에 자전거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한다면,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으며,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에 자전거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자전거의 거치를 위한 고정 거치모듈이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대; 자전거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거치모듈에 선택적으로 거치 및 거치해제 가능한 가동 거치모듈;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거치모듈에 상기 가동 거치모듈이 거치되면서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을 상호간 로킹시키는 로커; 및 상기 로커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거치모듈은, 상기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 중 어느 한 바퀴에 마련된 허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거치모듈은 상기 자전거의 앞바퀴의 허브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거치모듈은 거치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거치모듈은 상기 거치용 돌기부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거치용 돌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거치용 돌기레일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로커구동부에 의해 상기 거치용 돌기부를 향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로킹바아; 및 상기 거치용 돌기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바아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바아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로킹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로킹바아와 함께 동작되 는 푸싱로드; 상기 로킹바아가 상기 바아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싱로드를 가압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RFID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푸싱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오프 신호 시 상기 로킹바아가 상기 바아삽입홈으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싱로드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구동부는, 상기 로킹바아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직선 상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구동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회전 모터; 상기 로킹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로킹바아를 직선 상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왕복 구동로드;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왕복 구동로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왕복 구동로드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는 조명유닛; 및 상기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반사를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거치모듈에는, 상기 자전거 보관대 또는 상기 자전거 보관대를 관리하는 관리소의 자전거 등록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등록 관리될 수 있는 일련번호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에 자전거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자전거가 자전거 보관대에 로킹되어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자전거 보관대에 대해 자전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의 (a) 및 (b)는 로커구동부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110)를 이용하게 되면, 지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교통 체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으며, 또한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운동 시간을 할애할 필요 없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에너지의 소비가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미비하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다만, 종래에 개시된 자전거 보관대(미도시)로는 자전거(110)가 상기와 같이 다양한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보관상의 어려움, 특히 보관 시의 안전을 위한 로킹 문제가 대두되기 때문에 자전거(110)의 이용 활성화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로킹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자전거(110)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10)와 다수의 자전거 보관대(130)가 요구된다.
우선, 자전거(110)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자전거(110)는 크게, 구름 동력을 이루는 앞바퀴(111)와 뒷바퀴(112),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113), 앉는 자리로서의 안장(114), 핸들(115), 동력전달부(116)를 구비한다. 물론, 세부적으로 더 들어가면, 각 부의 역할 및 명칭 등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자전거(110)의 각 구성 중에서, 앞바퀴(111)에 보면, 허브(111a)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허브(111a)에 본 실시예의 핵심 기술 중에 하나인 가동 거치모듈(120)이 결합된다.
즉, 가동 거치모듈(120)은 자전거(11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c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동 거치모듈(120)은, 그 형상 및 면적, 부피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와 사이즈의 자전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거치모듈(120)의 형상이나 면적, 혹은 크기, 부피 등은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는 바, 도시된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가동 거치모듈(120) 의 결합은 부분적인 나사 결합 방식에 의존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후크식 착탈 구조가 적용되어도 좋다.
물론, 가동 거치모듈(120)의 형상 및 면적, 부피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와 사이즈의 자전거에 모두 적용되도록 하여도 좋으나, 가동 거치모듈(120)을 하나의 모델로 만들되, 가동 거치모듈(120)을 자전거(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의 방식만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모델의 자전거에 혼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가동 거치모듈(120)을 자전거(110)의 앞바퀴(111)의 허브(111a)에 결합되도록 함에 있어 전술한 나사식, 후크식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이 용이하지 않다면 별도의 케이블 타이나 클램프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결합시켜도 무방한 것이다.
이러한 가동 거치모듈(120)에는 해당 자전거의 등록 관리를 위한 일련번호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일련번호부(123)는 바코드 형태가 되어도 좋고, 아니면 RFID 방식의 통신 모듈이 되어도 좋다. 이러한 일련번호부(123)가 가동 거치모듈(120)에 마련되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의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보관한 후에, 자전거 보관대(130) 또는 자전거 보관대(130)를 관리하는 관리소의 자전거 등록 관리프로그램(미도시)에 의해 등록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 관리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이 야간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가동 거치모듈(120)에는 조명유닛(124)과, 조명의 반사를 위한 반사 판(12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조명유닛(124)으로는 일반 형광 램프를 비롯하여 백열 램프 아니면 PL 램프 등이 적용되어도 좋으나, 이들은 비교적 많은 전력 소비를 요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발광다이오드(LED)로서 조명유닛(124)을 마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ED) 하나로부터의 빛의 밝기는 약하지만, 여러 개를 사용하게 되면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을 사용할 정도의 빛의 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가동 거치모듈(120)에는 조명유닛(124) 외에도 반사판(125)이 더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유닛(124)으로부터의 빛의 밝기가 약하다 하더라도 빛이 반사판(125)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므로 빛의 밝기는 그만큼 더 배가될 수 있게 된다. 반사판(125)은 반사물질을 직접 가동 거치모듈(120)에 도포하는 형태가 되어도 좋고, 아니면 반사필름이나 반사지를 가동 거치모듈(120)에 붙이는 형태가 되어도 좋다. 반사필름이나 반사지의 용도 및 종류에 따라 반사의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가동 거치모듈(120)에는 거치용 돌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도면을 보면, 거치용 돌기부(121)의 형상이 봉 형상에서 그 단부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자전거 보관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자전거(110)가 실질적으로 거치되는 장소이다.
이러한 자전거 보관대(130)는 별도로 구획된 자전거 파킹 장소, 즉 정거장이나 지하철 역사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수의 자전 거(110)를 보관하고자 한다면, 자전거 보관대(130)의 크기와 부피를 더욱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 보관대(130)에는 자전거(110)의 가동 거치모듈(120)이 선택적으로 거치 및 거치해제되는 고정 거치모듈(1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거치모듈(140)은 가동 거치모듈(120)에 형성된 거치용 돌기부(121)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거치용 돌기레일(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자전거(110) 이용자들은 자전거(110)를 자전거 보관대(130)에 접근시킨 후에, 자전거(110)의 가동 거치모듈(120)에 형성된 거치용 돌기부(121)가 고정 거치모듈(140)에 형성된 거치용 돌기레일(141)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단 1차로 간편하게 자전거(110)를 거치시킬 수 있다.
다만, 여기까지는 단순히 자전거(110)를 거치시킨 것에 불과하므로, 자전거(110)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거치대(130)에 자전거(110)를 완전히 로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로커(150)와 로커구동부(160)가 구비된다.
로커(150)는 가동 거치모듈(120) 및 고정 거치모듈(140)에 마련되어 고정 거치모듈(140)에 가동 거치모듈(120)이 거치되면서 결합될 때 가동 거치모듈(120) 및 고정 거치모듈(140)을 상호간 로킹시키는 역할을 하고, 로커구동부(160)는 로커(15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커(150)에 대해 살펴보면, 로커(150)는 거치용 돌기레일(141)의 사이에 마련되어 로커구동부(150)에 의해 거치용 돌기부(121)를 향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로킹바아(151)와, 거치용 돌기부(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로킹바아(151)가 선택적 으로 삽입되는 바아삽입홈(152)을 구비한다.
그리고 로커구동부(160)는, 로킹바아(151)와 연결되어 로킹바아(151)와 함께 동작되는 푸싱로드(161)와, 로킹바아(151)가 바아삽입홈(15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푸싱로드(161)를 가압하는 솔레노이드(162)와, 솔레노이드(162)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163)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로커구동부(160)는, 솔레노이드(162)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RFID 모듈(미도시)과, 푸싱로드(161)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162)의 오프 신호 시 로킹바아(151)가 바아삽입홈(152)으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푸싱로드(161)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64)를 더 포함한다.
참고로, RFID 모듈은 자전거 보관대(130)의 상단에 마련되거나 아니면 다른 컨트롤패널 등에 마련되어,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 방식에 의해 솔레노이드(162)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드식 방식이어도 좋고, 혹은 휴대폰 내장용 칩이어도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계식 버튼 방식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전거(110)를 자전거 보관대(130)에 보관하는, 즉 거치하면서 로킹하는 일련의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과 같이, 자전거 보관대(130)로부터 자전거(110)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전거(110)를 자전거 보관대(130)에 접근시킨 후에, 자전거(110)의 가동 거치모듈(120)에 형성된 거치용 돌기부(121)가 고정 거치모듈(140)에 형성된 거치용 돌기레일(141)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RFID 모듈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162)의 온(on) 신호를 발생시킨 다.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63)는 실질적으로 솔레노이드(162)를 동작시킨다.
예컨대 솔레노이드(162)에 전류를 흘려 솔레노이드(162)를 자화시키면 플레밍의 왼손법칙 등에 의해 솔레노이드(162) 내의 푸싱로드(161)는 도 8의 (b)와 같이 전진하게 되고(도 8에서는 좌측으로의 전진임), 푸싱로드(161)가 전진함에 따라 푸싱로드(161)에 연결된 로킹바아(151)가 고정 거치모듈(140)로부터 돌출되어 자전거(110)의 가동 거치모듈(120)의 거치용 돌기부(121) 내의 바아삽입홈(152)에 도 7과 같이 삽입된다. 이로써 자전거(110)의 로킹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반대로 자전거(11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RFID 모듈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162)의 오프(off) 신호를 발생시켜, 솔레노이드(162)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탄성부재(164)의 반발력에 의해 로킹바아(151)가 바아삽입홈(152)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경우, 자전거(110) 이용자 입장에서 보면, 단순히 RFID 모듈을 동작시키는 간단한 행위만으로도 자전거(110)를 자전거 보관대(130)에 안전하게 로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해 훨씬 편리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안전하게 보관대(130)에 자전거(110)를 로킹시킬 수 있어 많은 장점을 갖는 자전거(110)의 이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162)라는 전자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로킹바아(151)의 동작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솔레노이드(16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솔레노이드(162)에 전류를 공급해야 하는 단점이 예상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164)의 사용 없이 교류 전원인 (+)전원을 인가하면 로킹바아(151)가 전진하여 멈추고, (-)전원을 인가하면 로킹바아(151)가 후진하여 멈추는 구조를 갖는 다른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경우라면 상기의 문제점은 극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로커구동부(260,36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에서 로커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로커구동부(260)는, 로킹바아(151)에 직접 결합되어 로킹바아(151)를 직선 상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적용되고 있다.
참고로, 리니어 모터란, 반도체 장비 등에 널리 적용되는 모터로서 실린더와 같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모터이다. 근래에 들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리니어 모터가 소형화되었고, 현재 슬라이드형 휴대폰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리니어 모터를 로커구동부(260)로서 적용하게 되면, 로킹바아(151)의 동작 구현을 위해 계속해서 전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를 쉽게 해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에서 로커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로커구동부(36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축(361a)이 회전 가능한 회전 모터(361)와, 로킹바아(151)에 결합되어 로킹바아(151)를 직선 상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왕복 구동로드(362)와, 회전 모터(361)의 회전축(361a)과 왕복 구동로드(362)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 모터(361)의 회전 운동을 왕복 구동로드(362)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363)로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운동변환부(363)는 다수의 기어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자전거가 자전거 보관대에 로킹되어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자전거 보관대에 대해 자전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의 (a) 및 (b)는 로커구동부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서 로커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에서 로커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자전거 120 : 가동 거치모듈
121 : 거치용 돌기부 130 : 자전거 보관대
140 : 고정 거치모듈 141 : 거치용 돌기레일
150 : 로커 151 : 로킹바아
152 : 바아삽입홈 160 : 로커구동부
161 : 푸싱로드 162 : 솔레노이드
163 : 제어부 164 : 탄성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자전거 보관대(130)에 자전거(110)를 거치하고 로킹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전거 보관대(130)의 일측에 형성된 자전거(110)의 거치를 위한 고정 거치모듈(140); 자전거(110)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거치모듈(140)에 선택적으로 거치 및 거치해제 가능한 가동 거치모듈(120);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거치모듈에 상기 가동 거치모듈이 거치되면서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및 가동 거치모듈을 상호간 로킹시키는 로커(150); 및 상기 로커(150)를 구동시키는 로커구동부(160, 260, 360)를 포함하는 자전거의 로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동 거치모듈(120)은, 상기 자전거의 앞바퀴에 마련된 허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용 돌기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거치모듈(140)은 상기 거치용 돌기부(121)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거치용 돌기레일(141)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150)는, 상기 로커구동부(150)에 의해 상기 거치용 돌기레일(141)에 끼움 결합된 상기 거치용 돌기부(121)를 향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한 로킹바아(151), 및 상기 거치용 돌기부(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바아(15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바아삽입홈(152)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구동부(160)는, 상기 로킹바아(151)와 연결되어 상기 로킹바아(151)와 함께 동작되는 푸싱로드(161), 온 되었을 때 상기 로킹바아(151)가 상기 바아삽입홈(15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싱로드(161)를 가압하는 솔레노이드(162), 상기 푸싱로드(161)에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62)의 오프 신호 시 상기 로킹바아(151)가 상기 바아삽입홈(152)으로부터 취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푸싱로드(161)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64) 및 상기 솔레노이드(162)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163)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용 돌기부(121)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차폐된 단면 한글 “ㄷ”자 형상의 상기 거치용 돌기레일(141)의 일측 입구를 향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거치용 돌기레일(14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아삽입홈(152)과 상기 로킹바아(151)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구동부(160)는, 상기 솔레노이드(162)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RFID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구동부(260)는, 상기 로킹바아(151)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로킹바아(151)를 직선 상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거치모듈(120)에 마련되는 조명유닛; 및
    상기 가동 거치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반사를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거치모듈에는, 상기 자전거 보관대 또는 상기 자전거 보관대를 관리하는 관리소의 자전거 등록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등록 관리될 수 있는 일련번호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KR1020080096700A 2008-10-01 2008-10-01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KR10090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00A KR100905514B1 (ko) 2008-10-01 2008-10-01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00A KR100905514B1 (ko) 2008-10-01 2008-10-01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514B1 true KR100905514B1 (ko) 2009-07-01

Family

ID=4133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00A KR100905514B1 (ko) 2008-10-01 2008-10-01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5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706A (ko) * 2007-06-20 2007-07-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파식별시스템을 구비한 이동수단 관리시스템
KR100858555B1 (ko) * 2008-03-20 2008-09-16 (주)위트콤 자전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706A (ko) * 2007-06-20 2007-07-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파식별시스템을 구비한 이동수단 관리시스템
KR100858555B1 (ko) * 2008-03-20 2008-09-16 (주)위트콤 자전거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169B2 (en) Bicycle lighting apparatus
TW200624886A (en) Polarized led
CN1870197A (zh) 包括具有发光功能的面板的电气设备
ATE389146T1 (de) Tragbar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euchtdioden
KR100905514B1 (ko) 자전거의 이중 로킹 시스템
CN201269941Y (zh) 具闪光灯的镜头环结构
CN101923403A (zh) 无线双头鼠标
EP1617135A3 (en) Molded-i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KR20100123964A (ko) 자전거의 보관을 위한 거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CN201449594U (zh) 发电储能荧光键盘
CN203236405U (zh) 一种具有照明装置的螺丝刀
TWM395626U (en) Rack structure with solar panel module
CN2878098Y (zh) 光导纤维发光工艺品
CN201179642Y (zh) 一种螺丝刀
TWM318578U (en) Bicycle's running-board with autonomous lighting warning
CN201246693Y (zh) 发光二极管多功能舞台灯
KR20080002844U (ko) 다기능 후레쉬
CN208605963U (zh) 一种户外旅行用多功能手电筒
AU2009100005A4 (en) Magnetic LED warning light
CN214664223U (zh) 一种灯具的轴向往复运动结构
CN214664282U (zh) 一种旋转灯座结构
CN202835037U (zh) 一种视频展示台跟随式led顶灯
ATE454590T1 (de) Explosionsgeschützte leuchte
CN2759905Y (zh) 一种自行车车灯
CN201611012U (zh) 微型手腕照明灯和电源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