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031B1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foundation pile and hollow reinforcing pile - Google Patents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foundation pile and hollow reinforcing p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5031B1 KR100905031B1 KR1020080103169A KR20080103169A KR100905031B1 KR 100905031 B1 KR100905031 B1 KR 100905031B1 KR 1020080103169 A KR1020080103169 A KR 1020080103169A KR 20080103169 A KR20080103169 A KR 20080103169A KR 100905031 B1 KR100905031 B1 KR 1009050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foundation pile
- hollow foundation
- cylindrical
- hollo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중공 기초파일에 원통형 보강파일을 결합시켜 시공한 파일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파일 상부에서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아서 파일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이 일체로 거동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하고, 합성파일 또는 강관파일의 상부를 일부 컷팅해야 할 때 불필요한 강관 파일의 재료적 낭비를 피할 수 있는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ed by combining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o a concrete hollow foundation pile, and more particularly, even when the structure is subjected to a horizontal force at the top of the pile and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pile. Hollow foundation piles that provide a pile pile with high resistance to bending moments and shear forces, and avoid unnecessary waste of pile pipe piles whe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pile or steel pipe pile needs to be cut. And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일반적으로 구조물 기초를 시공함에 있어 기초파일을 이용하여 구조물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기초파일로서 PHC 파일을 많이 종래 많이 이용 하였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the structure, there are many cases of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the structure using the foundation pile, and many of the conventional PHC files are used as the foundation pile.
이는 상기 PHC 파일의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었기는 하지만 편압을 받는 파일에서는 휨응력과 전단력에는 한계가 있어 실제 현장여건에 따라 강관파일로 일부 또는 전체 대체하여 시공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This PHC pile has been used a lot because of the low price, but in the pile subjected to the bias pressure and the bending stress and shear force is limited, the construction is often replaced by some or all of the steel pipe pile depending on the actual site conditions.
예컨대, 설계단계에서 기초지지면이 연약할 때 지질특성치인 N치가 10이하이고 연약층이 두꺼울 때 직접기초가 아닌 파일기초로 설계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design stage, when the foundation surface is weak, the geological property N is less than 10 and when the soft layer is thick, it is designed as a pile foundation rather than a direct foundation.
이때 통상 편압을 받는 파일에서의 부재력 분포는 지지력, 휨모멘트, 전단력이 발생하는데 휨모멘트와 전단력의 최대 분포는 지중에 매립되는 파일에 있어서는 기초저면 즉, 파일두부에서 개략 5m 이내에서 최대로 부담하게 되고 그 이하에서는 파일의 매입길이에 상관없이 휨모멘트와 전단력은 미소하고 연직력만을 부담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of member force in piles under normal pressure is generated bearing force,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The maximum distribution of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is to be borne by the maximum within about 5m from the base bottom, that is, pile head, for piles buried in the ground. In general, the bending moment and the shear force are small and bear only the vertical force regardless of the embedding length of the pile.
하지만, 이러한 파일의 부재력 분포를 갖는다는 특성을 무시하고 통상 설계의 간편성을 이유로 파일 전체를 PHC파일이나 강관말뚝으로 설계되고 있다. However, the entire pile is designed as a PHC pile or a steel pipe pile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design, ignoring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such a member force distribution of the pile.
이에 도 1과 같이, 지표면으로부터 최대휨모멘트, 최대전단력 부위만 강관파일로 대체하고 나머지 부위는 PHC 파일로 대체하는 합성파일(10)이 개발된 바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즉, 상기 합성파일(10)은 기초파일의 상부는 강관파일(11)로 하부는 PHC 파일(12)로 제작한 것으로서 휨모멘트나 전단력에는 강관파일에 비하여 능력이 적은 PHC파일을 파일부재력 분포에 대응하는 위치에 매립하고 상대적으로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능력이 큰 강관파일을 합성함으로서 매우 경제적인 설계,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강관파일과 PSC 파일의 연결부는 기계적인 체결구 등으로 서로 강결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at is, the
또한, 이러한 합성파일(10)은 대량생산에 의한 코스트 다운 필요성 때문에 상부의 강관파일(11)이 차지하는 길이와 PHC 파일(12)이 차지하는 길이는 미리 정 해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In addition, such a
하지만, 이러한 합성파일(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작설비가 요구되어 초기 설비투자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부인 강관파일(11)과 하부인 PHC 파일(12)의 연결부에 대한 구조적 강성문제에 있어서 품질관리에 문제가 있을 경우 기초파일로서 하자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나아가 도 2a와 같이 사전 지질조사를 통해 지반의 일정 심도에 견질지지층(A)이 조사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견질지지층(A)은 구조물(예컨대 옹벽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하는 길이방향으로 그 심도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Furthermore, although the support layer A is irradiated to a certain depth of the ground through the pre-geological survey as shown in FIG. 2A, the depth support layer A is differ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structure (for exampl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hould be installed. There is no choice but to.
이에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는 통상의 기초파일(15)을 시공하다 보면 선단부가 견질지지층(A)에 지지되도록 시공된 각각의 기초파일에 있어 지표면(30)으로부터 돌출된 두부길이(h1,h2,h3)는 도 2a와 같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In the construction of a
이에 따라 도 2b와 같이 상기 두부의 구조물 기초와 연결되는 파일의 기준면 즉, 컷팅위치(C)를 기준으로 기초파일을 컷팅하다 보면, 컷팅된 두부길이(h1,h2,h3)는 서로 다를 수 밖에 없고, 만약 특정 위치에 있어 견질지지층(A)이 지표면(30)으로부터 가까울 경우 컷팅된 두부길이(32)가 너무 길어 재료적 낭비가 매우 심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B, when the foundation pile is cut based on the reference plane of the pile connected to the structure base of the head, that is, the cutting position C, the cut head lengths h1, h2, and h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in a particular position, the support layer A is close to the
이때 상기 두부의 컷팅위치(C)는 기초파일(15)의 상부를 일정한 높이로 정해지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는 추후 구조물용 기초와 일체화시킬 때의 두부보강수단 설치 등을 위하여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두부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cutting position (C) of the head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낭비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관파일(11) 또는 합성파일(10)의 경우 더욱 심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강관파일 또는 합성파일(10)의 상부는 고가인 강관파일(11)로 구성되어 있어 컷팅된 두부길이(32)가 크면 클수록 고가인 강관파일(11)을 컷팅함으로서 재료적 낭비요인이 더 크기 때문이며 능동적으로 지중에 매입되는 파일의 최대부재력(휨모멘트,전단력)분포에 대응하여 설치되기 어렵다.This waste becomes more serious in the case of the
즉, 특히 고가인 강관을 이용해야 하는 합성파일(10) 또는 강관파일(11)을 시공함에 있어서 통상 견질지지층(A)은 대부분 지반에 따라 일정한 심도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가인 강관을 이용해야 하는 합성파일(10) 또는 강관파일(11)의 상부를 일부 컷팅해야 할 때 불필요한 재료적 낭비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시공에 따른 재료적 낭비요인은 전체 구조물 공사의 경제적인 시공에 있어 항상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었다.That is,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일 상부에서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아서 파일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이 일체로 거동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강관 파일의 재료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even when the structure is subjected to the horizontal force at the top of the pile and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pile,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behaves integrally to the bending moment It is to provide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o provide a foundation pile with a large resistance to and shear force, and to minimize the material waste of unnecessary steel pipe pi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은 지반에 중공 기초파일을 근입시킨 후, 상기 중공 기초파일의 노출된 상단을 감싸면서 원통형 보강파일을 끼워 넣으면서 상기 지반에 원통형 보강파일을 근입시키되 그 근입깊이를 조정하여 중공 기초파일이 보강되도록 하되, 상기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과 원통형 보강파일에 수평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중공 기초파일의 중공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태변형이 가능한 강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와셔를 중공 기초파일 내측에 끼워넣고,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로부터 수평 관통공들과 원통형 와셔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원통형 와셔를 중공 기초파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불규칙한 내측 단면형상을 가진 중공 기초파일에 원통형 보강파일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재료적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corporating the hollow foundation pile into the grou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nto the ground while inserting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while covering the exposed top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In order to reinforce the hollow foundation piles by adjusting the depth of indentation, horizontal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end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s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s and form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llow inn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s. A cylindrical washer including a deformable steel is inserted inside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washer is fastened using a fastener including a bolt and a nut fastened through the horizontal through holes and the cylindrical washer from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rregular inner end, including securing to the hollow foundation pile A hollow base having a shape file is one to be easily mounted to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fi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ndation pile with high resistance to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while minimizing unnecessary material wast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와셔는 2개의 절곡강재판의 일 단부가 일정길이 겹쳐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도 일정길이 겹쳐지도록 하되 서로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고정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절곡강재판의 타단이 중공 기초파일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겹침정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원통형 와셔가 중공 기초파일의 중공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단면 형태의 중공 기초파일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ylindrical washer so that one end of the two bent steel plate is fixed by overlapping a certain length, the other end is also overlapping a certain length so as not to be fixed to each other, the bent steel on the basis of the fixed one end The other end of the trial is to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so that the cylindrical washer can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llow inn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to be mounted inside the hollow foundation pile of various cross-sectional shape Can b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와셔는 그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재 또는 봉 형태의 연장대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채움 콘크리트의 형성깊이가 조정되도록 하되, 상기 채움콘크리트가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위한 하부막이판이 연장대 하단에 더 형성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두부(頭部)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ylindrical washer is formed so that the extension of the plate or rod-shaped extending downwards at the lower end of the filling depth to be fi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to be adjusted, the filling The bottom plate is furth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xtension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leaking to the bottom to more effectively reinforce the head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형 기초파일의 외주면에 끼워진 원통형 보강파일의 하단에 반원형의 스틸 필러를 서로 맞대어 더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는 모르타르의 하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사이에서 모르타르가 안정적으로 충전되도록 하고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다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of the mortar to be fi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llow base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by further connecting the semi-circular steel filler to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outflow so that the mortar is stably filled between the hollow base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nd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can be reinforced more firmly.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의 근입깊이는 중공 기초 파일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조정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하거나,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근입시킨 후,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을 커팅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상단면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재료적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adjusts the root depth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so that the top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is not exposed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top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or the top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fter entering so as to be exp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is cut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provides a foundation pile with a high resistance to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while minimizing unnecessary material wast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중공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되도록 하되, 상기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단계는, 원통형 보강파일의 상단 외측에 밴드 형태로서 외주면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봉형태의 슬리브가 형성된 수직 철근 고정링을 감싸도록 한후,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에 형성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상기 중공 기초파일, 원통형 보강파일과 원통형 와셔에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하여 함께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을 장착하고, 상단에 정착구가 형성되며, 하단에 볼트가 부착된 수직철근의 하단을 상기 슬리브에 체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기초파일의 두부(頭部) 보강작업을 체결구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hollow base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he step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he hollow outer pile,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nd the cylindrical by u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fixed ring and then wrapped arou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nd in the form of a band The vertical rebar fixing ring is mounted together by a fastener fastened to the washer, and a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top thereof.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is fastened by fastening the bottom of the vertical rebar having a bolt attached thereto to the sleeve. ) The reinforcing work can be done more effectively by using the fasteners.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은 그 중간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원통형 보강파일에 쉽게 끼워지며, 내주면은 원형으로 원통형 보강파일에 면접하여 안정적인 접합면을 형성하고, 외주면은 각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체결구 접합면을 형성함으로써 수직철근 고정링을 이용하여 쉽게 기초파일의 두부(頭部) 보강작업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vertical rebar fixing ring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utting portion is easily fitted to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circular interview with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o form a stable joint sur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n angular form By forming the fastener joint surface, it is possible to easily reinforce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using the vertical rebar fixing ring.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중공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되도록 하되, 상기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단계는, 상단에 정착구가 형성된 수직철근의 하단을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용접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초파일의 두부(頭部) 보강작업을 용접식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he step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the fixing fixture on the top It is possible to weld more effectively the head reinforcement work of the foundation pile, including the step of fix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formed by wel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바가 더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바는 그 하단에 각각 하방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바의 하방 경사면을 따라서 기초파일에 원통형 보강파일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기초파일에 원통형 보강파일이 쉽게 결합되어 합성파일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며,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편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guide bars are furthe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the guide bar is to form a lower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in the foundation pile along the lower slope of the guide bar Allow files to b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s easily combined with the foundation pil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composite pile, and the eccentricity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the load acting on the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기초파일은 옹벽을 포함하는 구조물 기초용 PHC 파일을 이용하고,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은 강관파일을 이용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에 의하여 상기 중공 기초파일이 합성파일로 작용하도록 하고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hollow foundation pile uses a PHC pile for the structure foundation including a retaining wall,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s to use a steel pipe pile so that the hollow foundation pile by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t can act as a composite pile and provide a foundation pile with high resistance to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 의하면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이 합성파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 상 부에서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아서 파일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이 일체로 거동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form a composite pile, when the structure receives the horizontal force on the pile and the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pile. In addition,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behave integrally to provide a foundation pile having a high resistance to the bending moment and the shear for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 파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보강파일은 그 상단이 컷팅 위치에 일치하도록 중공 기초파일에 결합됨으로써 합성파일의 제작시 불필요한 강관 파일의 재료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made of a steel pipe pile is coupled to the hollow foundation pile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matches the cutting position,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minimizing material waste of unnecessary steel pipe pile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composite pi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한 내측 단면형상을 가진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은 지반(E)에 중공 기초파일(110)을 근입시킨 후,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노출된 상단을 감싸면서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끼워 넣는다.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지반(E)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근입시키되 그 근입깊이를 조정하여 중공 기초파일(110)이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상단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에 수평 관통공(112)(122)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is process, the
그리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중공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태변형이 가능한 강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와셔(130)를 중공 기초파일(110) 내측에 끼워넣고,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로부터 수평 관통공(112)(122)들과 원통형 와셔(1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140)를 이용하여 상기 원통형 와셔(130)를 중공 기초파일(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Then,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근입깊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가이, 중공 기초파일(110)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조정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기초파일(110)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근입시킨 후,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상단면이 일치하도록 중공 기초파일(110)의 상단을 커팅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의 상단면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상단면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결합전에 절단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강파일(120)과의 결합후에 커팅될 수 있다. In this process, the root depth of the
한편 상기 원통형 와셔(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절곡강재판(132a)(132b)의 일 단부가 일정길이 겹쳐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도 일정길이 겹쳐지도록 하되 서로 고정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된 일단부(134)를 기준으로 절곡강재판의 타단이 중공 기초파일(11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겹침정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원통형 와셔(130)가 중공 기초파일(110)의 중공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단면 형태의 중공 기초파일(110)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A, the
또한 상기 원통형 와셔(130)는 그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재 또는 봉 형태의 연장대(136)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중공 기초파일(1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채움 콘크리트의 형성깊이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원통형 와셔(130)는 상기 채움콘크리트가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위한 하부막이판(138)이 연장대(136) 하단에 장착되어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頭部)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외주면에 끼워진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스틸 필러(150)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반원형의 스틸 필러(15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하단에 서로 맞대어 용접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내주면은 중공 기초파일(110)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중공 기초파일(110)에 중첩하여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결합되는 경우,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모르타르(M)가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사이에는 모르타르(M)가 안정적으로 충전되도록 한다.Meanwhile, a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를 보강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head of the
이와 같이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를 보강하는 경우, 체결구(140)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2)와 너트(14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체결구(140)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 에서는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상단 외측에 밴드 형태로서 외주면에 볼트체결공(162a)이 형성된 봉형태의 슬리브(162)가 형성된 수직 철근 고정링(160)을 감싸도록 한후,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에 형성된 관통공(164)을 이용하여 도 6a, 도 6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 원통형 보강파일(120)과 원통형 와셔(130)에 체결되는 체결구(140)에 의하여 함께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을 장착한다. As such, when reinforcing the head of the
그리고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의 슬리브(162)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정착구(172)가 형성되며, 하단에 볼트(174)가 부착된 수직철근(170)의 하단을 체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頭部) 보강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And the
또한 이와 같은 체결구(140)를 이용한 두부 보강작업에서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에 절단부(166)를 형성하여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둘레에 쉽게 끼워지며, 내주면(168a)은 원형으로 원통형 보강파일(120)에 면접하여 안정적인 접합면을 형성하고, 외주면(168b)은 각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체결구 접합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체결구(14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을 중공 기초파일(110), 원통형 보강파일(120)과 원통형 와셔(130)에 체결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직철근 고정링(160)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를 용접식으로 보강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a, 8b and 8c instead of using the vertical reinforcing
이와 같이 용접식으로 상기 기초파일의 두부를 보강하는 과정은 상단에 정착구(172)가 형성된 수직철근(170)의 하단을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용접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직철근(170)을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접으로 일체로 연결한다.As such,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foundation pile by welding is fixed by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이와 같이 체결구(140)를 이용한 조립식 또는 용접식으로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를 보강하는 단계에서는 수직철근(170)의 둘레에 나선형 철근(180)을 설치한 다음, 중공 기초파일(110)로부터 연장된 PC 강선(114)등과 함께 연결하고, 린 콘크리트(lean concrete)(190)를 타설한 다음, 상부내력철근(192), 하부내력철근(194)을 시공하고 기초 콘크리트(196)를 타설하여 완성시킨다. And in this step of reinforcing the head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중공 기초파일(110)의 외측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내측면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 바(200)가 더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바(200)는 그 하단에 각각 하방 경사면(20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바(200)의 하방 경사면(202)을 따라서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바(200)를 통하여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쉽게 결합되어 합성파일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에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은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편심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될 수 있게 된다.The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가이드 바(200)를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 파일(120)의 사이에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모르타르(M) 충전시 용이하게 모르타르(M)가 충전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을 포함하는 구조물 기초용 PHC 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은 강관파일을 이용하도록 하여 기초파일(300)로 구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초파일(300)은 말뚝상부에서 옹벽등의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는 경우, 필연적으로 휨변형이 발생하지만 이와 같은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은 서로 일체화되어 거동함으로써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300)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은 불규칙한 내측 단면형상을 가진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장착하여 쉽게 기초파일(300)로 제작하고 기초를 시공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E)에 중공 기초파일(110)을 근입시키고 바로 두부(110a)를 절단하여 정리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와셔(130)용 수평 관통공(112)을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노출된 두부(110a)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끼워서 중공 기초파일(110)의 외주면에 중첩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스틸 필러(150)를 용접으로 고정시킨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내부에 원통형 와셔(130)를 장착하고, 체결구(140)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원통형 보강파일(120), 중공 기초파일(110) 및 원통형 와셔(13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Next, the
또한 다음으로는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로 이루어진 기초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mortar (M) between the
한편 이와는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반(E)에 중공 기초파일(110)을 근입시키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에 원통형 와셔(130)용 수평 관통공(112)을 천공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first, the
그리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노출된 두부(110a)에 원통형 보강파일(120)을 끼워서 중공 기초파일(110)의 외주면에 중첩으로 위치시킨 다음,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스틸 필러(150)를 용접으로 고정시킨다.And the
또한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에는 원통형 와셔(130)를 장착하고, 체결구(140)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원통형 보강파일(120), 중공 기초파일(110) 및 원통형 와셔(13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중공 기초파일(110)의 두부(110a)를 정리하여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상단을 일치시킨다.In addition, a
그리고 이와 같은 시공과정을 거쳐서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일체화되면,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구(140)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또는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 은 용접식으로 두부(110a)를 보강한 다음, 상부내력철근(192), 하부내력철근(194) 및 기초 콘크리트(196)를 타설하여 두부 보강을 완료한다.When the
이와 같은 두부보강구조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체결구(14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철근 고정링(160)을 중공 기초파일(110), 원통형 보강파일(120)과 원통형 와셔(130)에 체결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수직철근 고정링(160)의 슬리브(162)에는 수직철근(170)의 하단을 체결시켜 고정시킨 다음, 중공 기초파일(110)로부터 연장된 PC 강선(114)등과 함께 나선형 철근(180)을 연결시켜서 완성시킬 수 있다.When configuring th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as a prefabricated fastening the vertical reinforcing
또한 이와 같은 두부보강구조를 용접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단에 정착구가 형성된 수직철근(170)의 하단을 상기 원통형 보강파일(1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접으로 일체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수직철근(170)에는 중공 기초파일(110)로부터 연장된 PC 강선(114)등과 함께 나선형 철근(180)을 연결시켜서 완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두부 보강구조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린 콘크리트(lean concrete)(190)를 타설한 다음, 상부내력철근(192), 하부내력철근(194)을 시공하고 기초 콘크리트(196)를 타설하여 기초를 완성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is constructed by welding, the lower end of the
이와같이 본 발명은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서로 중첩으로 결합되어 기초파일(300)을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 상부에서 옹벽(210)과 같은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아서 파일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공 기초파일(110)과 원통형 보강파일(120)이 일체로 거동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응하는 저항능력이 큰 기초파일(300)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 파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보강파일(120)은 그 상단이 컷팅 위치에 일치하도록 중공 기초파일(110)에 결합됨으로써 기초파일(300)의 제작시 불필요한 강관 파일의 재료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도 1은 종래 합성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mposite file.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종래의 기초파일 시공방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2A, 2B and 2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problem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foundation pile construction metho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중공 기초파일의 지반 근입 후 두부 절단이 이루어지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step by step cutting the head after the ground entry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의 결합 후에 중공 기초파일의 두부 절단이 이루어지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the step of cutting the head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fter the combination of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llow foundation pile and the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구성 부품의 부분 상세도로서,5 is a partial detailed view of the components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원통형 와셔의 상세도, b)도는 스틸 필러의 상세도, c)도는 가이드 바의 상세도이다.a) is the detail of a cylindrical washer, b) is the detail of a steel filler, c) is the detail of a guide ba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체결구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진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부분 절개 사시도, b)도는 종단면도이다.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reinforcement is prefabricated using a fastener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체결구를 이용한 조립식으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진 경우 구성 부품의 상세도로서, a)수직 철근과 나선형 철근의 사시도, b)도는 수직철근 고정링의 사시 도, c)도는 수직철근 고정링을 이용한 결합 단면도이다.7 is a detailed view of the components when the head reinforcement is made by using the fastener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spiral reinforcement, b)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rebar fixing ring, c)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using a vertical rebar fixing rin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에서 용접식으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진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부분 절개 사시도, b)도는 종단면도, c)도는 원통형 보강파일의 두부 상세도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reinforcement is made by welding in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foundation pile and a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 Head detail of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도 9a 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파일이 옹벽과 같은 구조체의 하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nda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t the bottom of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종래의 합성파일 11..... 강관파일100 ..... Conventional
12..... PHC 파일 15..... 기초파일12 .....
32..... 컷팅된 두부길이 32 ..... Cut Tofu Length
100..... 중공 기초파일과 원통형 보강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100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hollow foundation pile and cylindrical reinforcement pile
110..... 중공 기초파일 120..... 원통형 보강파일110 .....
112,122.... 수평 관통공 130.... 원통형 와셔 112,122 .... Horizontal through-
140..... 체결구 142.... 볼트 140 .....
144..... 너트 150..... 스틸 필러 144 .....
160.... 수직철근 고정링 162.... 슬리브160 ....
166.... 절단부 168a.... 내주면166 .... cut 168a .... inner circumference
168b.... 외주면 170.... 수직철근 168b ....
180..... 나선형 철근 190..... 린 콘크리트(lean concrete)180 .....
192.... 상부내력철근 194..... 하부내력철근192 .... upper bearing
196.... 기초 콘크리트 200..... 가이드 바196 ....
202.... 경사면 300.... 기초파일202 ....
A...... 견질지지층 C..... 컷팅위치 A ...... Quality support layer C ..... Cutting position
E..... 지반 M..... 모르타르 E ..... Soil M ..... Mortar
h1,h2,h3.... 두부길이h1, h2, h3 .... Tofu length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32136 | 2008-04-07 | ||
KR1020080032136 | 2008-04-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5031B1 true KR100905031B1 (en) | 2009-06-30 |
Family
ID=4098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3169A KR100905031B1 (en) | 2008-04-07 | 2008-10-21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foundation pile and hollow reinforcing p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503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302B1 (en) * | 2010-05-24 | 2011-03-11 | 주식회사 영풍씨앤디 | Pile for underground foundation work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422781B1 (en) * | 2012-03-30 | 2014-07-23 | 서동수 | The Composite Pile |
KR101613530B1 (en) * | 2014-07-16 | 2016-04-20 |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 Precast concrete pile with upper head cutting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616846B1 (en) * | 2014-07-16 | 2016-05-18 |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 Precast concrete pile with sheath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10939127A (en) * | 2019-11-28 | 2020-03-31 | 中建四局土木工程有限公司 |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subway pi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1117A (en) * | 1987-07-15 | 1989-01-24 | Fujita Corp | Upper pile reinforcing work for pc pile |
JP2001182053A (en) * | 1999-12-24 | 2001-07-03 | Nishimatsu Constr Co Ltd | Underground aseismatic reinforcing pile and foundation aseismatic structure |
KR200395613Y1 (en) * | 2005-06-27 | 2005-09-13 | 최두영 | An assembly soil nailing device for presure grouting |
-
2008
- 2008-10-21 KR KR1020080103169A patent/KR1009050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1117A (en) * | 1987-07-15 | 1989-01-24 | Fujita Corp | Upper pile reinforcing work for pc pile |
JP2001182053A (en) * | 1999-12-24 | 2001-07-03 | Nishimatsu Constr Co Ltd | Underground aseismatic reinforcing pile and foundation aseismatic structure |
KR200395613Y1 (en) * | 2005-06-27 | 2005-09-13 | 최두영 | An assembly soil nailing device for presure grouting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302B1 (en) * | 2010-05-24 | 2011-03-11 | 주식회사 영풍씨앤디 | Pile for underground foundation work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422781B1 (en) * | 2012-03-30 | 2014-07-23 | 서동수 | The Composite Pile |
KR101613530B1 (en) * | 2014-07-16 | 2016-04-20 |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 Precast concrete pile with upper head cutting pip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616846B1 (en) * | 2014-07-16 | 2016-05-18 |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 Precast concrete pile with sheath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10939127A (en) * | 2019-11-28 | 2020-03-31 | 中建四局土木工程有限公司 | Steel pipe pile 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subway p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86417A (en) | Tensionless pier foundation | |
KR100938394B1 (en) | Phc pile with imbeded steel pipe | |
CN210827541U (en) | Center section of thick bamboo component of tower section of thick bamboo basis, center section of thick bamboo that has it and tower section of thick bamboo basis | |
KR100905031B1 (en)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foundation pile and hollow reinforcing pile | |
KR20110103000A (en) | Precast bridge joint structure with composite hollow concrete filled tub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2004691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Upper Of Steel Piles And Method Of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4734151B2 (en) | Pile head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069151A (en) | Prefab apparatus for reinforcing head of pile | |
JP7304248B2 (en) | Pile hea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head connection structure | |
KR100952199B1 (en)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foundation pile and dual hollow reinforcing pile | |
JP2012001981A (en) | Sc pile, pile head reinforcing bar for sc pile and installing method of pile head reinforcing bar for sc pile | |
KR102075437B1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200454162Y1 (en) |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temporary structure | |
JP5131645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tower foundation | |
JP5456627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pile and steel column | |
KR200381589Y1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recastconcrete pile | |
JP4452060B2 (en) | Steel pipe pile head joint structure and steel pipe pile hea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26131B1 (en) | Structure for reinforcing head of a steel pipe pile for a construction | |
JP5008683B2 (en) | Pile head reinforcement member and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it | |
KR102282583B1 (en) | Foundation work method for installation of prop of solar power device | |
JP5077865B2 (en) | Ready-made pile and foundation pile structure | |
JP6071125B2 (en) | Underground support joint structure | |
JP2013036269A (en) | Sc pile | |
JP4154492B2 (en) | Pile head connection structure of ready-made piles | |
KR101195551B1 (en) | PHC Pile for Support of Tensile For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ot Reinforcement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