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746B1 -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 Google Patents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746B1
KR100904746B1 KR1020070102600A KR20070102600A KR100904746B1 KR 100904746 B1 KR100904746 B1 KR 100904746B1 KR 1020070102600 A KR1020070102600 A KR 1020070102600A KR 20070102600 A KR20070102600 A KR 20070102600A KR 100904746 B1 KR100904746 B1 KR 10090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reas
visualization
injecting
visualization material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129A (ko
Inventor
소광섭
김민수
최천주
성백경
오가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주식회사 모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주식회사 모베이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1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746B1/ko
Priority to US12/040,478 priority patent/US8057783B2/en
Publication of KR2009003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6Porphy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04Homeopathy; Vitalisation; Resonance; Dynamisation, e.g. esoteric applications; Oxygenation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41Xanthene dyes, used in vivo, e.g. administered to a mice, e.g. rhodamines, rose Be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Biological staining of tissues in vivo, e.g. methylene blue or toluidine blue O administered in the buccal area to detect epithelial cancer cells, dyes used for delineating tissu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61K49/0091Microparticle, microcapsule, microbubble, microsphere, micr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higher or equal to 1 micrometer
    • A61K49/0093Nanoparticle, nanocapsule, nanobubble, nanosphere, nan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smaller than 1 micrometer, e.g. polymeric nanopart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7Acupun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완혈 부근의 시각화 물질 투입지점에 시각화 물질을 투입한 후 이 시각화 물질이 췌장에 도달하였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경혈탐지기를 사용하여 실험할 동물의 중완혈 부근에서 최저 전기저항점을 찾아 시각화 물질을 투입할 지점을 지정한다. 이 지점에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시각화 물질을 주입하는데, 주입기구의 바늘이 피하조직 내에 주입되도록 사용한다. 또한, 이 과정은 실체현미경 하에서 수행된다. 이렇게 시각화 물질을 주입 후 동물을 개복수술하여 시각화 물질이 분포된 췌장 및 상기 췌장표면 외부의 상단에 있는 췌장위줄을 확인한다.
중완혈, 췌장, 시각화 물질, 봉한관, 췌장위줄

Description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Method of Injecting Liquid Agents at Acupuncture Points to Arrive Internal Organs and Method of Visualizing Arrival of Liquid Agents}
본 발명은 경혈에 주입된 물질이 장기에 도달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완혈 부근의 시각화물질 투입지점에 투입된 시각화 물질이 장기에 도달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전통적으로 670개의 경혈이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경혈들에 침, 뜸 등으로 다양한 자극을 가하면 이것이 경락을 따라 내장에까지 이르는 흐름을 활성화함으로써 내장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혈들은 질병치료의 유효점으로 사용해왔다.
이러한 경혈들 중에서 중완(中脘)혈은 WHO 표준기호로 CV12라 하며 위궤양, 위하수 등의 위장병과 당뇨병에 유효한 치료 점으로 알려져 왔다.
중완혈을 자극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침과 뜸 외에 전기적 자극 방법(전침), 침과 함께 약물을 투여하는 약침 치료법이 있지만 이러한 임상적 침 치료법이 구체 적으로 어떠한 과정에 의해서 치료가 되는지 그 기전에 대한 규명이 없다. 구체적으로, 중완혈에 약침을 시술하면 약물이 어느 곳으로 퍼지는지 알지 못하므로 과학적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다.
한편, 서양의학적으로 당뇨병은 췌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췌장은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인 인슐린 및 글루카곤에 의하여 혈당을 낮추거나 높임으로써 혈당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한의학에서 당뇨병 치료 점인 중완혈과 서양의학에서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췌장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구명되지는 않았다.
그런데 봉한학설에 의하면 경혈로부터 내부장기에 이르는 액체 흐름의 통로인 봉한관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 학설에 따르면 중완혈에 약물을 주입 시 인슐린 및 글루카곤의 생산기관인 췌장에 이 약물이 이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봉한학설에 의해서 중완혈과 췌장의 연관성을 구명한다면 췌장암, 당뇨병 등의 치료방법에 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완혈에서 투입한 물질이 췌장까지 도달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중완혈 부근의 전기저항이 낮은 부분에 시각화 물질을 투입하여 이 시각화 물질이 췌장에 도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췌장에 도달한 시각화 물질이 췌장의 표면에서 출현한 췌장위줄까지 퍼지며, 이 췌장위줄이 다른 장기들과 연결되거나 다른 장기에 들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은 전기경혈탐지기를 사용하여 중완혈 부근에서 최저 전기저항점을 찾는 단계와, 최저 전기저항점에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알시안 블루(Alcian blue)용액 및 유기발광물질로 표지된 나노입자(nanoparticle) 함유용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각화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와, 시각화 물질이 분포된 췌장, 상기 췌장표면 상면에 있는 췌장위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와, 분포된 시각화 물질을 확인한 후 상기 시각화 물질이 분포된 조직을 실체 현미경 및 형광 현미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촬영하여 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알시안 블루용액은 분말 상태의 알시안 블루를 1%(0.01mg/ml)의 농도로 인산완충식염수에 녹여 pH가 7.2 내지 7.4의 용액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알시안 블루용 액을 직경 0.2㎛ 크기의 폴리스티렌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와 알시안 블루를 4℃의 냉장상태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또한, 이 알시안 블루용액은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최저 전기저항점에 0.1㎕/min의 용량으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주입된다.
나노입자 함유용액의 나노입자는 평균 크기가 8nm 내지 9nm인 코발트-페라이트(Cobalt-ferrite)를 유기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비결정질 실리카셀로 코팅하는 단계와, 실리카셀로 코팅한 표면에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부착하는 단계와, 표면 처리된 나노입자를 인산완충식염수 또는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녹여 pH가 7.2 내지 7.4이며, 농도가 2.0 mg/cc인 용액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이때, 표면 처리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45 내지 50nm이며, 비결정질 실리카셀의 유기발광 물질은 로드아민 B-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다. 또한, 이 나노입자 함유용액은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0.2ml의 용량으로 주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은 전기경혈탐지기를 사용하여 중완혈 부근에서 최저 전기저항점을 찾는 단계와, 췌장에 액체가 도달되도록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탐지된 최저 전기저항점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완혈에 시각화 물질을 투입하여 췌장에 그 시각화 물질이 퍼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 시각화 물질 대신에 약물을 주입하여 췌장 관련 질병인 당뇨, 췌장암 등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전달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췌장에 퍼진 약물이 췌장위줄을 통하여 다른 장기까지 이 약물을 이동시켜 다른 장기의 질병까지 추가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췌장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들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췌장표면의 상면에 위치한 췌장위줄이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용액에 의해 푸르게 염색된 모습을 실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사진은 동물에 투입된 시각화 물질인 알시안 블루 용액이 췌장표면에 위치한 지방성 줄 조직의 췌장위줄로 흘러든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동물을 개복수술(開腹手術)하여 알시안 블루 용액이 췌장위줄에 흘러든 것을 확인한 후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20X의 배율로 촬영한 것이다. 이 사진을 보면 췌장위줄은 혈관이 관통하는 중앙부분과 지방이 없고 투명한 가장자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굵은 화살표는 췌장위줄의 가장자리부분으로서 알시안 블루 용액이 이 부분에 퍼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알시안 블루 용액은 이 동물의 중완혈 부근에서 전기저항이 최저인 곳에 투입되어 췌장으로 흘러든 후 췌장표면 상면에 위치한 췌장위줄까지 퍼진다.
중완혈은 해부학적으로 그 자리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중완혈로 판단되는 지점의 부근에 전기경혈탐지기를 이용함으로써 알시안 블루 용액 등의 시각화 물질을 투입할 지점을 찾는다. 이때, 시각화 물질을 투입할 지점은 전기저항이 최저인 지점이다.
도 2는 췌장표면에서 출현한 도 1과 다른 모양의 췌장위줄이 비장 및 위장에 연결된 모습을 실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사진은 동물에 투입된 알시안 블루 용액이 퍼진 췌장위줄이 비장(spleen) 및 위장(stomach)과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 이 췌장위줄은 두 갈래로 갈라져서 비장 및 위장과 연결되어있으며, 이 모습을 확인한 후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7X의 배율로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도 2에서 점선은 비장 및 위장에 연결된 췌장위줄을 따라 나타낸 선이다. 따라서 췌장의 표면에서 출현하여 췌장표면 상면에 위치한 췌장위줄은 비장 및 위장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췌장에 흘러든 알시안 블루 용액은 췌장위줄을 통하여 비장 및 위장까지 퍼질 수 있다.
도 3은 췌장표면에서 출현하고 다시 췌장표면으로 들어가는 췌장위줄의 모습을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사진은 동물에 투입된 시각화 물질인 나노입자가 췌장에 흘러들어 췌장의 표면에서 출현한 췌장위줄까지 퍼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나노입자가 퍼진 췌장위줄은 췌장의 끝 부분 표면에서 출현하여 다시 췌장의 엽 상(leaf)으로 들어가며, 이 모습을 확인한 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10X의 배율로 촬영하여 얻은 사진이다. 이때, 굵은 화살표는 췌장의 끝 부분에 나노입자가 집적된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며, 화살표는 췌장의 끝 부분에서 출현한 췌장위줄이 다시 췌장의 엽상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나노입자는 췌장위줄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산발적으로 흩어져서 분포된다.
도 4는 췌장에서 출현한 췌장위줄이 비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사진은 나노입자를 투입한 후 동물로부터 췌장, 비장, 췌장위줄을 분리한 후 형광 현미경 아래에 위치시켜 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사진은 나노입자가 퍼진 췌장위줄이 췌장표면에서 출현하여 비장이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10X의 비율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4b 사진은 비장쪽으로 향한 췌장위줄이 비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7X의 비율로 촬영한 사진이다.
제조예 1 : 알시안 블루 용액제조
알시안 블루 용액은 분말 상태의 알시안 블루를 인산완충용액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olution)에 용해시켜 1%(0.01mg/ml)의 농도로 제조되었다. 이때, 이 알시안 블루 용액은 PBS에 의하여 pH가 7.2 내지 7.4인 중성 용액이 된다. 또한, PBS에 용해된 알시안 블루 용액의 입자가 장기 조직 내의 흐름에 영향을 미 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알시안 블루 용액을 0.2㎛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폴리스티렌 필터에 여과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알시안 블루 용액은 4℃의 냉장 상태에서 보관하며, 보관기간은 일주일이 넘지 않도록 한다.
제조예 2 : 형광 나노 입자를 함유한 용액제조
유기염료로 표지된 나노입자들은 그 핵심으로 코발트-페라이트(cobalt-ferrite)를 사용하며, 이때 코발트-페라이트의 평균 크기는 8nm 내지 9nm인 것을 이용한다. 또한, 이 코발트-페라이트는 유기발광물질인 로드아민 B-이소티오시아네이트(RITC: Rhodamine B-isothiocyanate, 방사파장 (emission wavelength) λmax = 555nm)를 포함하는 비결정질 실리카셀이 코팅된다. 코팅된 비결정질 실리카셀의 표면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을 부착함으로써 독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표면 처리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45nm 내지 50nm인 것을 이용하며, 나노입자의 크기가 50nm 이상인 것을 장기표면에 투입하면 장기 조직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나노입자(MNP-SiO2(RITC)-PEG)는 인산완충용액식염수(PBS) 또는 증류수에 녹여 그 농도가 1.5 내지 2.0mg/cc가 되도록 한다. 이때, 이 나노입자 용액의 pH는 7.2 내지 7.4이다.
실시예 1
실험동물은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공급하는 무모생쥐 (hairless mouse, 수컷, 약 6주령)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 상대습도 60%의 사육실에서 12시간씩 밤낮의 주기를 갖도록 유지되었고, 음식과 물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급되었다.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은 서울대학교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에 관한 안내서 및 국제적 법령과 정책(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Nation Academy press, 1996)을 따랐다.
상기 환경에서 생활한 무모생쥐에 우레탄 1.5g/kg을 투여하여 마취하였고, 모든 수술과정은 마취상태에서 수행되었다. 마취상태인 무모생쥐를 컴퓨터 및 CCD 카메라와 연결된 실체 현미경(Olympus SZX12) 아래 수술대에 올려놓았다.
골도법(骨度法)에 의하여 무모생쥐의 백선을 따라 배꼽(umbilicus)과 검상돌기 흉골접합부(중정혈)의 중간위치에 중완혈을 정하였다. 중완혈을 정한 후 전기경혈탐지기(햄텍코리아㈜, YNS202-S)를 사용하여 중완혈 주위의 반경 2mm 내에서 전기저항이 최저인 지점을 찾아 알시안 블루 용액을 주입하는 주입지점으로 정하였다. 이때, 전기경혈탐지기는 햄텍코리아㈜에서 구입한 것을 본 연구실에서 말단 직경이 50㎛ 정도인 금도금 탐침을 따로 장착하여 이용하였다.
무모생쥐의 중완혈 부근에서 알시안 블루 용액을 주입할 지점을 찾은 후 미세주입기(KD Scientific사, KDS310 NanoPump) 및 미세조절기와 연결된 33게이지(gauge) 주사바늘을 피하조직 내에 삽입하였다. 이때, 이 주사바늘은 알시안 블루 용액 주입지점의 피부 표면과 10 내지 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후 제조예1에 의하여 제조된 알시안 블루 용액을 분당 0.1㎕의 용량으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주입하였다. 알시안 블루 용액을 주입하는 과정은 실체 현미경 하에서 수행하며, 주사바늘이 피하조직 아래의 근육층을 뚫어 복강 내에 알시안 블루 용액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주입이 끝난 뒤 바늘을 제거하고 척추 분리 방법으로 무모생쥐를 희생한 후, 수술 가위로 주입 부분을 비껴, 무모생쥐의 옆구리를 따라 배꼽부터 검상돌기까지 절개하였다. 이때,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세심하게 주의한다.
무모생쥐를 개복함으로써 간장, 위장, 대장, 소장 등의 복벽 쪽 장기 표면을 관찰하여 알시안 블루 용액이 이곳에 흘러들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알시안 블루 용액이 복강 내로 흘러 들었다면 장기 표면에 알시안 블루 용액이 묻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알시안 블루 용액의 주입이 잘못된 것이므로 실험을 다시 실시한다.
복벽 쪽 장기 표면에 알시안 블루 용액이 묻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장기들을 들춰내고 췌장부위를 관찰한다. 췌장표면을 뚫고 나와 혈관과 함께 지방조직의 줄 형태를 이루고 있는 췌장위줄에 알시안 블루 용액이 퍼져있음을 확인한다. 그 후 CCD 카메라 및 이와 연결된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체 현미경으로 여러 배율의 영상을 관찰하고 이것을 촬영하였다(도 1). 또한, 알시안 블루가 분포된 췌장위줄을 통하여 췌장위줄이 췌장으로 다시 들어가거나 십이지장, 위장, 비장과 연결되는 경우(도 2)를 실체 현미경 관찰하고 이것을 촬영하였다. 이때, 도 2는 췌장위줄이 위장 및 비장과 연결된 사진이다.
알시안 블루 용액은 췌장 끝 부분의 경계 조직에 나타나기도 한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은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공급하는 생쥐 (BALB/c, 수컷, 약 8주령)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 상대습도 60%의 사육실에서 12시간씩 밤낮의 주기를 갖도록 유지되었고, 음식과 물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급되었다.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은 서울대학교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에 관한 안내서 및 국제적 법령과 정책(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Nation Academy press, 1996)을 따랐다.
상기 환경에서 생활한 생쥐의 복강 내에 우레탄 1.5g/kg을 투여하여 마취하였고, 모든 수술과정은 마취상태에서 수행되었다. 마취상태인 생쥐의 배 쪽의 털을 깨끗이 깎은 후에 컴퓨터와 CCD 카메라에 연결된 실체 현미경 아래 수술용 테이블에 올려놓았다.
골도법(骨度法)에 의하여 무모생쥐의 백선을 따라 배꼽(umbilicus)과 검상돌기 흉골접합부(중정혈)의 중간위치에 중완혈을 정하였다. 중완혈을 정한 후 전기경혈탐지기(햄텍코리아㈜, YNS202-S)를 사용하여 중완혈 주위의 반경 2mm 내에서 전기저항이 최저인 지점을 찾아 나노입자 함유용액을 주입하는 주입지점으로 정하였다. 이때, 전기경혈탐지기는 햄텍코리아㈜에서 구입한 것을 본 연구실에서 말단 직경이 50㎛ 정도인 금도금 탐침을 따로 장착하여 이용하였다.
생쥐의 중완혈 부근에서 나노입자 함유용액을 주입할 지점을 찾은 후 미세주입기(KD Scientific사, KDS310 NanoPump) 및 미세조절기와 연결된 31게이지(gauge) 주사바늘을 피하조직 내에 삽입했다. 이때, 이 주사바늘은 알시안 블루 용액 주입지점의 피부 표면과 10 내지 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제조예2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입자 함유용액을 0.2ml 주입하며, 이 과정은 실체 현미경 하에서 수행한다. 주사바늘이 피하조직 아래의 근육층을 뚫어 복강 내에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나노입자가 내장기관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위로 배쪽 부분의 피부를 절개하고 백선을 확인한 후에 가위로 이 백선을 따라 검상돌기에서 치골 결절까지 가른다. 이때, 출혈이 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출혈이 생길 때는 출혈방지 포셉으로 출혈을 방지한다.
형광 현미경 아래로 생쥐를 옮긴 후 이 생쥐를 개복함으로써 간장, 위장, 대장, 소장 등의 복벽 쪽 장기 표면을 관찰하여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이곳에 흘러들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주사바늘이 근육층을 관통하여 근육층 아래에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주입됨으로써 이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복강 내로 흘러들었다면 장기 표면에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묻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노입자 함유용액의 주입이 잘못된 것이므로 실험을 다시 실시한다.
복벽 쪽 장기표면에서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없는 경우에는 췌장부위를 관찰한다. 췌장 표면을 뚫고 나와 혈관과 함께 지방조직이 줄 형태를 이루고 있는 췌장위줄에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모여있음을 확인하고, CCD카메라 및 형광 현미경을 이 용하여 배율에 따라 영상을 관찰하고 이것을 촬영하였다. 나노입자 함유용액이 분포된 췌장위줄이 췌장으로 다시 들어가는 경우(도면 3)와 이 췌장위줄이 비장의 옆으로 들어가는 경우(도면 4)를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이것을 촬영하였다.
나노입자 함유용액은 췌장 끝 부분의 경계 조직에 나타나기도 한다(도면 3, 굵은화살표).
본 실시예에서는 중완혈에서 췌장까지 용액(액체)의 이동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경혈에서 다른 내부장기까지 용액을 전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용액은 시각화 물질뿐만 아니라 약물 등 액체물질이면 무엇이나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췌장표면의 상면에 위치한 췌장위줄이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용액에 의해 푸르게 염색된 모습을 실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췌장표면에서 출현한 도 1과 다른 모양의 췌장위줄이 비장 및 위장에 연결된 모습을 실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췌장표면에서 출현하고 다시 췌장표면으로 들어가는 췌장위줄의 모습을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췌장에서 출현한 췌장위줄이 비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형광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9)

  1. 전기경혈탐지기를 사용하여 중완혈 부근에서 최저 전기저항점을 찾는 단계;
    상기 최저 전기저항점에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시각화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시각화 물질이 분포된 췌장, 상기 췌장표면 상면에 있는 췌장위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된 시각화 물질을 확인한 후 상기 시각화 물질이 분포된 조직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실체현미경 하에서 상기 주입기구의 바늘이 피하조직 내에 주입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물질은 알시안 블루(Alcian blue)용액 및 유기발광물질로 표지된 나노입자(nanoparticle) 함유용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시안 블루용액은 분말 상태의 알시안 블루를 인산완충식염수에 녹여 용액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알시안 블루용액을 폴리스티렌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상기 알시안 블루를 냉장상태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알시안 블루용액을 0.1㎕/min의 용량으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물질로 표지된 나노입자(nanoparticle) 함유용액을 0.2ml의 용량으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의 촬영은 실체 현미경 및 형광 현미경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장기에 도달되는 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9. 전기경혈탐지기를 사용하여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중완혈 부근의 피부에서 최저 전기저항점을 찾는 단계;
    췌장에 액체가 도달되도록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탐지된 최저 전기저항점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주입 방법.
KR1020070102600A 2007-10-11 2007-10-11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KR10090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00A KR100904746B1 (ko) 2007-10-11 2007-10-11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US12/040,478 US8057783B2 (en) 2007-10-11 2008-02-29 Method of injecting liquid agents at acupuncture points to arrive internal organs and method of visualizing arrival of liquid ag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600A KR100904746B1 (ko) 2007-10-11 2007-10-11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29A KR20090037129A (ko) 2009-04-15
KR100904746B1 true KR100904746B1 (ko) 2009-06-29

Family

ID=4053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600A KR100904746B1 (ko) 2007-10-11 2007-10-11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7783B2 (ko)
KR (1) KR1009047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98B1 (ko) * 2010-12-22 2013-01-07 주식회사 모베이스 봉한관을 통한 암전이 이미징 방법
KR101244764B1 (ko) * 2011-05-19 2013-03-18 한국과학기술원 척수 내 프리모관의 가시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1637A (en) 1988-11-02 1993-10-12 Solar Wide Industrial Ltd. Electro-therapeutic device
KR100506084B1 (ko) 2002-10-24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혈점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753899B1 (ko) 2005-12-27 2007-08-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알시안 블루를 이용한 시각화 방법
KR20070090175A (ko) * 2005-05-23 2007-09-0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가시화 제제 및 이를 이용한가시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53508B (it) * 1970-07-06 1981-10-10 Searle & Co Procedimento per prepare composizioni marcate adatte a mettere in evidenza alterazioni della mucosa gastrointestinale prodotto ottenuto e relativo metodo di impieg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1637A (en) 1988-11-02 1993-10-12 Solar Wide Industrial Ltd. Electro-therapeutic device
KR100506084B1 (ko) 2002-10-24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혈점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070090175A (ko) * 2005-05-23 2007-09-0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가시화 제제 및 이를 이용한가시화 방법
KR100753899B1 (ko) 2005-12-27 2007-08-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알시안 블루를 이용한 시각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98B1 (ko) * 2010-12-22 2013-01-07 주식회사 모베이스 봉한관을 통한 암전이 이미징 방법
KR101244764B1 (ko) * 2011-05-19 2013-03-18 한국과학기술원 척수 내 프리모관의 가시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7783B2 (en) 2011-11-15
US20090098058A1 (en) 2009-04-16
KR20090037129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o et al. A soft, transparent, freely accessible cranial window for chronic imaging and electrophysiology
Seynhaeve et al. Intravital microscopy of tumor-associated vasculature using advanced dorsal skinfold window chambers on transgenic fluorescent mice
Heymann et al. Long term intravital multiphoton microscopy imaging of immune cells in healthy and diseased liver using CXCR6. Gfp reporter mice
JP5883221B2 (ja) 1型糖尿病の薬品開発方法
JP2010536908A5 (ja) 1型糖尿病の薬品開発方法
Jia et al. Fluorescent nanoparticles for observing primo vascular system along sciatic nerve
KR100904746B1 (ko) 내부 장기에 도달되도록 경혈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액체 도달 시각화 방법
Seynhaeve et al. An adapted dorsal skinfold model used for 4D intravital followed by whole-mount imaging to reveal endothelial cell–pericyte association
KR100753899B1 (ko) 알시안 블루를 이용한 시각화 방법
Hong et al. Deep NIR-II optical imaging combined with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al photothermal therapy for orthotopic bladder cancer
JP2006512942A5 (ko)
CN108587998A (zh) 一种外泌体、外泌体的制备方法及其在制备皮肤浅表性肿瘤的药物中的应用
Hua et al. 3-D neurohistology of transparent tongue in health and injury with optical clearing
Mikkelsen et al. Head holder and cranial window design for sequen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optical imaging in awake mice
Carvalho et al. Anxiolytic-like effects of substance P administration into the dorsal, but not ventral, hippocampus and its influence on serotonin
Maiorino et al. Longitudinal intravital imaging through clear silicone windows
Banan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murine model of lymphatic metastasis
Duckworth et al. Analysis of epithelial cell shedding and gaps in the intestinal epithelium
Han et al. The flow path of alcian blue from the acupoint BL23 to the surface of abdominal organs
Tognatta et al. In vivo two-photon microscopy protocol for imaging microglial responses and spine elimination at sites of fibrinogen deposition in mouse brain
van Grinsven et al. Two-photon intravital microscopy animal preparation protocol to study cellular dynamics in pathogenesis
Tanaka et al. Intravital imaging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preclinical models using two-photon laser scanning microscopy
Tang et al. A fluorescence assay for evaluating the permeability of a cardiac microvascular endothelial barrier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US20230270693A1 (en) Molecular Targets for Modulation of Dissociative and Associative States
US20120076869A1 (en) Methods of treating dementia using oment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