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97B1 -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97B1
KR100901897B1 KR1020037004467A KR20037004467A KR100901897B1 KR 100901897 B1 KR100901897 B1 KR 100901897B1 KR 1020037004467 A KR1020037004467 A KR 1020037004467A KR 20037004467 A KR20037004467 A KR 20037004467A KR 100901897 B1 KR100901897 B1 KR 10090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vehicle
information
information signal
passeng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848A (ko
Inventor
마이클 제이. 바렛
Original Assignee
에어로샛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로샛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어로샛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3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4Aircraft used as relay or high altitude atmospheric platfo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이동 플랫폼과 연관된 승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원으로부터,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정보원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기로 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제1 이동 플랫폼상에 위치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제2 이동 플랫폼 상에 위치한 수신기에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플랫폼 및 상기 제2 이동 플랫폼 사이에 정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3 이동 플랫폼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신호 경로를 따라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 정보원과,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제1 이동 플랫폼 상에 위치한 송신기/수신기 유닛, 및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 목적지(destination)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2 이동 플랫폼 상에 위치해서, 상기 제1 이동 플랫폼 및 목적지 사이에 정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정보 신호를 수신 및 재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R1020037004467
플랫폼용 안테나, 이동 플랫폼, 경로국, 경로 제어국, 보조 통신 네트워크

Description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본 발명은 목적지와 관련된 승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종래의 통신 방법 및/또는 시스템에 의해서는 신호의 이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플랫폼(movable platforms)에 관심있는 통신 신호들을 제공하는 통신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연구(http://mobility.tamu.edu/study/PDFs/FinalReport.pdf)는 미국 주요 도로상에서의 차량 이용이 승객들에게 매우 심각한 시간 지체가 되는 것이 일반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연구는 또한 이러한 교통체증의 문제는 더 이상 대도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소도시에서도 중요 관심사로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많은 통근자들은 일터로 출퇴근하는 동안 그들이 겪는 교통 체증으로 인해 매일 수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현재 차량 내의 승객들과 통신하는 수많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 많은 방식이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 이 영역은 통상 넓으며 통상 "셀"이라고 하는 보다 작은 여러 지리적 영역으로 분할된다. 기지국은 통상 각각의 셀에 위치하며 그 셀 내의 각각의 가입자에게 신호를 제공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에 접 속되며 통상 기지국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기지국 콘트롤러는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걸쳐 기지국들의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데 요구되는 신호 처리 및 통신 처리를 제공한다.
현재의 지상 및 공중 모바일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지형학(topography of the terrain)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에 마련된 고정 전화(fixed phone) 가입자뿐만 아니라 이동 가입자에게로의 또한 이동 가입자로부터의 수많은 동시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수많은 이동 가입자들이 위치하고 있는 기존의 복잡한 경로 인프라스트럭쳐에 특별히 기반을 두고 있지는 않다. 셀룰러 기지국과 송신기들이 예를 들어, 시스템 셀 영역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최대화함으로써 고정 및 이동 사용자들 모두를 액세스하기 위해 상당히 높은 언덕이나 대형 빌딩의 옥상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러나, 지형은 종종 이동 사용자들의 통신 시역(sight communication)이 되는 셀룰러 기지국의 회선에 장애가 된다. 예를 들어, 지형은 신호를 차단하거나, 또는 페이딩을 야기하는 신호를 산란시킴으로써 신호 강도를 낮추거나 그 신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는 인공의 구조뿐만 아니라 언덕 및/또는 골짜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의 이동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신호 경로를 따라 간섭과, 페이딩 및 다경로 영향(multipath effects)을 겪을 수 있다. 페이딩은 상이한 여러 지세(features of terrain), 빌딩 그리고 기타 지형의 물리적 외양으로 인해 반사되는 신호로 인해 야기된다. 이러한 반사로 인해 차량은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동시에 받게 된다. 이동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는 신호는 서로 파괴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수신 품질을 저하시키게 될 수도 있는 위상 신호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송신 지연을 가지며 도달한다. 이동 플랫폼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셀룰러 기지국 및 송신기들이 중앙(central place)에 위치하는 경우, 주파수 페이딩이 발생할 수 있다. 송신기의 파워를 증대시킴으로써 페이딩을 극복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파워 증대 방식 또한 파워의 소모를 증가시키므로 배터리로부터 전화에 동력이 공급되는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역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셀룰러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간섭 증대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증대된 송신기의 파워는 방사의 영향에 따른 결과로서 이동 가입자를 보다 높은 개인적 위험에 처하게 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의 여러 형태들, 예를 들어, 위성 통신 네트워크 및 시스템들 또한 경로를 따라 위치한 이동 플랫폼들에서의 승객들을 위해 우선적으로 최적화되지는 않는다.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들의 또 다른 이슈는 이동 사용자들에게 송신되는 정보의 유용성이다. 예를 들어, 무선국들은 보편적인 교통 상태의 확인과 더불어 특정 정체 지점 및 사고 상황을 차량 내 승객에게 알려주는 교통보고를 방송할 수도 있다. 방송들은 때로는 대안적인 루트를 제안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며, 방송은 차량의 정확한 행선지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관계로 차량 내 승객에게 개별 통신을 통해 다른 길을 어드바이스(re-routing advice)하게 된다. 또한, 방송은 때로는 낮 시간대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교통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토대로 하고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통행 보고는 10분, 15분 또는 30분 간격의 방송일 수도 있다. 몇몇 방송은 정규 통근 시간 동안만 송신된다. 따라서, 이동 차량 내 승객은 시간에 맞지 않는 방송으로 인해 자신의 이동지를 재설정할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차량 내 승객은 대인적인 도로(alternate roadway)를 이용하는 옵션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대안적인 도로를 지날 때까지 교통량에 대한 조언을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셀룰러 폰은 교통 정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화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개개의 승용차와 그 위치에 대한 특정 응답을 항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는 신호 커버리지 영역이 정보원으로부터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signal of interest)를 제공하여 정보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보원에 위치한 송신기로 정보를 포함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이동 플랫폼상에 위치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에 위치한 수신기에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신호 네트워크가 목적지(destination)에 대해서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으로부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기로 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목적지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이동 플랫폼에 위치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목적지에 위치하고 있는 수신기에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는 신호 커버리지 영역이 정보원으로부터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있는 목적지에 또한 목적지로부터 정보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정보원에 위치하고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이동 플랫폼에 위치하고,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송신기/수신기 유닛과, 목적지에 위치하고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경로를 따라 이동 플랫폼에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 신호를 정보원으로부터 제1 이동 플랫폼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정보 신호를 제2 이동 플랫폼에 위치하고 있는 수신기에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 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 부분도.
도 2는 동일한 주 이동 방향(primary direction of travel)을 따라 평행한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signal routing)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일 및/또는 반대의 주 이동 방향을 갖는 평행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수직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들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례를 예시하는 기능도.
도 5는 평행 및/또는 수직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평행 및/또는 수직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추가적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평행 및/또는 비스듬한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평행 및/또는 비스듬한 경로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추가적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 차량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례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 차량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또 다른 실례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승객용 항공기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사례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경로 제어국(pathway control station), 경로국(pathway stations)을 포함하며, 복수의 경로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이동 플랫폼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의 기능도.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정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정보원과 목적지 사이에 정보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목적지는 다른 통신 신호들이 목적지에 유효한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 간에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정보원에 위치하고 있는 송신기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 신호를 목적지에 위치하고 있는 수신기에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은 이동 플랫폼에 위치하고 있다. 방법은 또한 정보원과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추가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신호를 수신 및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송신기/수신기 유닛들 중 어느 것이나 이동 플랫폼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들 송신기/수신기 유닛들 중 일부는 고정 플랫폼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에게 관련 신호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 있는 이동 플랫폼에 연결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에 있는 이동 플랫폼에 연결된 수신기에 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이동 플랫폼이 이동하는 신호 경로를 따라 이동 플랫폼에 연결된 임의의 수의 추가 송신기/수신기로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이동 플랫폼은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그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에게 제시한다. 이동 플랫폼은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플랫폼은 지상, 공기 중, 또는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가능한 임의의 종류의 이동 플랫폼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플랫폼의 몇몇 특정한 예는 열차, 기동차, 보트, 비행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스케이트보드, 휠체어, 골프 카트, 트럭, 트랙터-트레일러, 버스, 경찰차, 구급차, 소방차, 건설차, 배, 잠수함, 수중익선(hydrofoil), 바지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다. 관련 신호(10)는 정보원으로부터 송신되고 경로(52)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20)에 의해 수신된다. 이동 플랫폼(20)에는, 이동 플랫폼(20)에 관련된 승객(26)이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수신하고, 경로(52)를 따라 및/또는 평행 경로(54)를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21)가 설치되어 있다. 경로(52 및 54)에 대한 주 이동 방향은 화살표(89 및 99)에 의해 도시된다. 이동 플랫폼(20)은 신호(10)를 수신하고 동일한 경로(52)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30)으로 신호(12)를 송신한다. 이동 플랫폼(30)에는, 이동 플랫폼(30)에 관련된 승객(36)이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수신하고, 및/또는 경로(52)를 따라 및/또는 평행 경로(54)를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플랫폼(30)은 신호(12)를 수신하고 평행한 경로(54)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40)으로 신호(14)를 송신한다. 이동 플랫폼(40)에는, 이동 플랫폼(40)에 관련된 승객(46)이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수신하고, 및/또는 경로(52)를 따라 및/또는 평행 경로(54)를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4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플랫폼(30 및 40)은, 모두 관련 신호(10)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내는 경계선(1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된 관련 신호(10)의 소스의 범위 밖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플랫폼(20, 30, 및 40)은 동일한 주 이동 방향을 갖는 평행한 경로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로서 작용하도록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2A-2H는 동일한 주 이동 방향을 갖는 평행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하여 신호 소스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로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의 라우팅의 추가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관련 신호가 유효한 영역 내에 있는 경로(72) 상에 위치하는 제1 이동 플랫폼(50)을 포함한다. 이 이동 플랫폼은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갖는 신호 전달(도시 안됨)을 수신하고 동일한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제2 이동 플랫폼(60)과 관련되는 제2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16)를 재송신한다. 이 예에서, 제2 이동 플랫폼(60)은 최초 관련 신호(original signal of interest)가 유효한 영역 내에 있지 않다. 제2 이동 플랫폼(60)은 최초 관련 신호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고 동일한 주 이동 방향을 갖는 평행한 경로(74)를 따라 위치하는 제3 이동 플랫폼(70)에 관련 신호(18)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임의의 수의 추가 이동 플랫폼으로부터 그리고 이 이동 플랫폼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B-2H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으로 추가 신호 라우팅 가능성을 도시한다.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경로(72) 상의 제1 이동 플랫폼(50)에서 인접하는 또는 동일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송신된 신호(16)로서, 그리고 이동 플랫폼(60)에서 도 2A 내지 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랫폼(60)에서 동일한 또는 평행한 경로 상의 추가 이동 플랫폼(70)으로 송신된 신호(18)로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에서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지 않고 평행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2B, 2D, 및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서 제2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으로, 제1 경로 상의 다른 이동 플랫폼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재송신된 신호(17, 18)를 통해 도 2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72) 또는 평행한(74)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이동 플랫폼(70, 80)에 수신된 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내지 2H는 평행한 경로를 따라 동일한 방향에서 이동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통신 송신 경로의 몇몇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3A-3I는, 반대의 주 이동 방향을 갖는 평행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하여, 소스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라우팅의 추가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경로(72)를 따라 위치하고 관련 신호가 유효한 영역에 있는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관련 신호(도시 안됨)를 수신하고, 동일한 경로(72)를 따라 위치하고 최초 관련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있는 제2 이동 플랫폼(60) 상에 위치하는 제2 송신기/수신기에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관련 신호(16)를 재송신하는 제1 이동 플랫폼(50)을 나타낸다. 제2 이동 플랫폼(60)은 반대의 주 이동 방향을 갖는 경로(74) 상에 위치하고, 최초 관련 신호(18)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의 제3 이동 플랫폼(70)에 관련 신호(18)를 재송신할 수 있다. 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임의의 수의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다중의 이동 플랫폼으로 관련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3A, 3B, 3D, 3E, 3F, 3G, 3H, 및 3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50)에서 반대의 주 이동 방향을 갖는 다른 인접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서 다른 인접하지 않지만 평행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3B, 3E, 및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72) 상의 제1 이동 플랫폼(50)에서 다른 경로(74) 상의 제2 이동 플랫폼(60)으로, 제1 경로 상의 제3 이동 플랫폼(70)으로 일어날 수 있다. 도 3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이동 플랫폼이 수신된 신호를 동일한 또는 다른 경로를 따라 복수의 이동 플랫폼에 재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도 3A 내지 3I는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반대의 방향에서 이동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통신 송신 경로의 몇몇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이동 플랫폼이 자동차로서 묘사되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 이외의 임의의 이동 플랫폼은 어떤 종류의 이동 플랫폼일 수 있고,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플랫폼의 몇몇 예는 상술된 임의의 종류의 이동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경로(52)의 주 이동 방향(89)에 수직인 주 이동 방향(99)을 갖는 경로(54) 상의 이동 플랫폼(30 및 40)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경로(52)를 따라 신호(10)가 유효하지 영역(11) 내에 위치하는, 제1 이동 플랫폼(20) 상의 승객(26)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21)으로 관련 신호(10)를 수신하는 제1 이동 플랫폼(20)을 포함한다. 제1 이동 플랫폼(20)은 최초 신호(10)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11) 내에 있지 않고 주 이동 방향(99)을 갖는 수직의 경로(54)를 따라 위치하는 제2 이동 플랫폼(30)과 관련된 제2 송신기/수신기 유닛(31)에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21)에 의해 수신된 관련 신호(12)를 재송신한다. 또한, 제2 이동 플랫폼은 이동 플랫폼(40) 상에 있는 승객(46)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초 신호(10)가 유효한 영역(11) 내에 있지 않고, 동일한 수직의 경로(54)를 따라 위치하는 제3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제3 송신기/수신기 유닛(41)에 관련 신호(14)를 재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평행 및/또는 수직한 경로를 따라 임의의 다중의 이동 플랫폼으로 관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5A-5F는, 수직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원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로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의 라우팅의 몇몇 예를 나타낸다.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5A, 5B, 및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로(72) 상의 제1 이동 플랫폼(50)에서, 동일한 경로 상의 제2 이동 플랫폼(60)으로, 수직의 경로(74) 상의 제3 이동 플랫폼(70)으로 일어날 수 있다.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5C, 5E, 및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에서, 평행한 경로(74)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수직의 경로(76) 상의 이동 플랫폼(70)으로 일어날 수 있다. 임의의 이동 플랫폼이, 도 5G 및 5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수직의 경로 상의 복수의 이동 플랫폼에 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도 5A 내지 5H는 평행 및 수직의 경로를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통신 송신 경로의 몇몇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6A-6E는 수직 및/또는 평행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로 제공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추가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6A는 제1 경로(72) 상에 관련 신호가 유효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1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관련 신호의 송신(도시 안됨)을 수신하고, 평행한 경로(74) 상에 최초 관련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플랫폼(60)과 관련된 제2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에서 수신된 관련 신호(16)를 재송신하는 제1 이동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이동 플랫폼(60)은 최초 통신 신호가 유효한 영역 내에 있지 않고 수직의 경로(76)를 따라 위치하는 제3 이동 플랫폼(70)에 관련 신호(18)를 재송신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통신 네트워크에서, 관련 신호는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평행 또는 수직의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임의의 수의 복수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6A, 6B 및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에서 평행한 경로(74)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수직한 경로(75) 상의 이동 플랫폼(70)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제1 및 제2 평행 경로의 주 이동 방향은 동일하거나 반대일 수 있고, 수직의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은 제1, 제2, 또는 제3 경로 중 하나의 교점으로부터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신호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으로부터 경로(74, 76, 및 78) 및 제1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60, 70, 80, 85 및 90)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동 플랫폼(80)과 같은 임의의 이동 플랫폼이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경로 상의 복수의 이동 플랫폼(85, 90)에 신호(17)를 재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도 6A 내지 6E는 평행한 경로 및/또는 수직의 경로를 다른 유사한 또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통신 송신 경로의 몇몇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7A-7G는 다른 경로에 대하여 비스듬한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하여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는 신호 라우팅의 몇몇 추가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제1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 관련 신호 송신(도시 안됨)을 수신하고, 최초 관련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에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제2 이동 플랫폼(60)과 관련된 제2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제1 송신기/수신기로 송신된 관련 신호(16)를 재송신하는 제1 이동 플랫폼(5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이동 플랫폼(60)은 제1 경로 및 주 이동 방향(89)에 대하여 비스듬한 경로(74)를 따라 위치하는 제3 이동 플랫폼(70)에 관련 신호(18)를 재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에서, 이동 플랫폼과 관련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평행 및 비스듬한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다중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라우팅은 예를 들어,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으로부터 제1 경로(72)의 주 이동 방향(89)에 대하여 비스듬한 제2 경로(74) 상의 이동 플랫폼(60)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라우팅은, 예컨대 도 7c 및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경로(72) 상의 이동 플랫폼(50)으로부터, 평행 경로(74) 상의 제2 이동 플랫폼(60), 제2 경로(74)에 대해 비대칭(skewed) 경로(76) 상의 이동 플랫폼(70 및 80)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의 라우팅은, 예컨대 도 7e 및 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으로부터, 다중의 경로, 즉 서로 평행 또는 비대칭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들로 일어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제공될 수 있는 평행 또 는 비대칭 경로 상의 이동 플랫폼에 대한 또 다른 신호 라우팅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7g 및 도 8a 내지 8d는 평행 및 비대칭 경로를 따라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동 플랫폼에 대한 신호 라우팅의 각종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로서 이동 플랫폼이 경로 상에 위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계선(11)으로 지시된 관련 신호가 유효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이동 플랫폼(20)은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21)에 의해 정보원으로부터 송신된 관련 신호(10)를 수신하고, 관련 신호(10)가 유효한 영역(11)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제2 이동 플랫폼(30)에 관련 신호(12)를 재송신한다. 제2 이동 플랫폼(30)은 송신기/수신기 유닛(31)에 의해 수신한 관련 신호(14)를, 관련 신호(10)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3 이동 플랫폼(40)에 접속된 제3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재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에 있어서, 관련 신호(10)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임의의 개수의 이동 플랫폼들도 그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이동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승객(26, 36 또는 46)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본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 플랫폼 또는 임의의 특정 이동 플랫폼이 수신기 및/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이동 플랫폼이 경로 상에 위치하여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로서 동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이점으로는, 특히 하나의 이동 플랫폼으로부터 다른 이동 플랫폼까지의 거리가 짧은 트래픽 밀집 지역에서 비교적 전력이 낮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저전력의 신호는 고전력의 신호에 비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훨씬 덜 위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은, 특히 밀집 지역에서는 고가이고 경관을 해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구현이 어려운, 거대한 및/또는 다수의 기지국 또는 셀 타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관련 신호를 제공받는 이동 플랫폼이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플랫폼이 여객기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정보원(95)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여객기(81)는 제1 여객기(81) 상에 위치하는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의해 정보원으로부터 관련 신호(10)를 수신하고, 정보원(95)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제1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한 관련 신호(12)를 제2 여객기(82) 상에 배치된 제2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재송신한다. 제2 여객기(82)는 관련 신호(14)를, 최초 관련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여객기(83)와 같은 임의의 복수의 여객기에 재송신할 수도 있다. 이 복수의 여객기는 육상 또는 수상에 위치하는 평행한 비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에 있어서, 모든 여객기 또는 특정 여객기가 통신 시스템과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특정 여객기가 각각 동일한 고도에 위치하고 있도록 요구하고 있지도 않다. 예컨대, 여객기는 그 비행 경로에서 보다 위 및/또는 아래의 비행 경로 상에 위치하여, 그 경로가 층상 구조를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각 여객기가 고정된 경로 상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증강할 보조 통신 시스템(supplemental communication system)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경우에 따라서는, 위성 통신 시스템 또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플랫폼에 신호를 제공할 충분한 차량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플랫폼에 신호를 재송신할 송신기/수신기 유닛를 구비하고 있는 다른 이동 플랫폼이 충분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 플랫폼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차량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 플랫폼이 신호를 통신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예로는, 대양 상공의 비행 경로에 있는 여객기를 들 수 있는데, 이 여객기는 예컨대 위성 또는 선박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 플랫폼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관련 신호를 수신하며,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를 실현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여객기가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여객기는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공 또는 육상에 있는 다른 여객기에 신호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모든 상공 또는 수상의 이동 플랫폼 또는 특정 상공 또는 수상의 이동 플랫폼이 통신 시스템과 관련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모든 여객기 또는 특정 여객기가 수신기 또는 재송신기로서 동작하면서 이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의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이동 플랫폼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이동 플랫폼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상황 인식(Situation Awareness)을 생성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내의 이동 플랫폼 A는 그 경로 내의 사고를 관찰하여, 자신의 위치 및 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보고를, 그 경로 또는 인접한 경로를 따라 위치한 이동 플랫폼 B 및 C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 플랫폼 B 및 C는 그 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자신의 진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하는 상황 인식 정보의 다른 예로는, 기상 조건 또는 트래픽 혼잡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이 정보는 송신측 이동 플랫폼의 위치 정보와 함께, 다른 이동 플랫폼에서 이용됨으로써, 그 진로를 조정하여 매우 나쁜 기상 조건이나 트래픽 혼잡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에 대해 다수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다수의 신호들은 동일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1 신호에는 특정 이동 플랫폼에 전달될 결합된 통신 신호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목적의 이동 플랫폼과 만나게 되면, 제1 이동 플랫폼에 대해 의도한 내용을 제거하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이동 플랫폼에 제2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1 신호가 감소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임의의 개수의 이동 플랫폼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네트워크의 응용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가 공유 또는 제휴된 이동 플랫폼의 그룹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 이동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 내의 경로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그룹의 일부가 아니지만, 동일한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일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이동 플랫폼도, 그 그룹의 동적 경로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여 비제한 신호를 수신할 수는 있지만, 그 그룹 전용 목적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은 제한된다. 예컨대 확산 스펙트럼 프로세싱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비인증 사용자가 신호를 관찰하거나 복조할 기회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확산 스펙트럼 프로세싱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감소시키고 수신기에서 다른 신호와의 간섭 송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모든 이동 플랫폼이 관련 신호의 의도된 수신처이거나 액세스 권한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이동 플랫폼 중의 일부만을 이용하여 관련 신호를 다른 이동 플랫폼에 중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네트워크가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플랫폼에 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경로국과; 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되어, 관련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영역 내의 복수의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대응하는 송신기/수신기 유닛를 포함한다. 도 12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로국(PS1 및 PS2), 이동 플랫폼(V1 내지 V9) 및 경로 제어국(CS1)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경로국(PS1, PS2 및 CS1)은 관련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터넷 또는 공중 전화 네트워크 등의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로는, 복수의 경로국 중의 적어도 하나, 예컨대 PS1으로부터 관련 신호(23)를 송신하고; 경로국(PS1)으로부터 관련 신호(23)를 입수할 수 있는 제1 영역 내의 대응하는 이동 플랫폼, 예컨대 이동 플랫폼(V1)에 접속된 복수의 송신기/수신기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최초 관련 신호(22)를 입수할 수 있는 제1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이동 플랫폼, 예컨대 이동 플랫폼(V2)에 접속된 제2 조의 수신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수신한 관련 신호(25)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은 관련 신호(27)를 수신하여, 최초 신호가 유효한 제1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들( V3 내지 V6) 중의 어느 하나에 관련 신호(27)를 재송신함으로써, 적절한 장비를 갖춘 각 이동 플랫폼이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장비를 갖춘 다른 이동 플랫폼에 관련 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각 경로국(PS1)이 로컬 경로를 따른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경로국에 신호를 중계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경로국(PS1 및 PS2)에 결합된 경로 제어국(CS1)도, 예컨대 인터넷 등의 공중 네트워크(100)로부터 신호(101)를, 최초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경로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이동 플랫폼에 제공하는데 이용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각 이동 플랫폼이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승객에게 그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 제어국(CS1)의 한가지 기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플랫폼과 다른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이들 통신 네트워크로는 예컨대 인터넷, 공중 전화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또는 기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경로국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송신기/수신기 유닛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신호의 재송신에 개입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동 플랫폼으로의/에서의 신호의 라우팅을 보조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각 경로국이 로컬 경로에서의 신호 및 이동 플랫폼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경로국이, 양방향 트랙킹 채널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장비를 갖춘 이동 플랫폼과 신호 통신을 트랙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로국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의 개수, 위치 및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경로국은 신호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이동 플랫폼 또는 신호 트래픽의 긴급한 문제를 경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경로국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플랫폼 및 신호의 모니터링을 보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경로국 및 이동 플랫폼의 최적의 이용을 판정하기 위하여,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제어국(CS1) 내의 프로세서(64)에 의해 실행되는 라우팅 소프트웨어와; 이동 플랫폼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경우에, 이동 플랫폼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까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동 플랫폼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로국 및 경로 제어국은 이동 플랫폼이 한 지역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이동 플랫폼과 신호를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최상의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한다. 예컨대, 이동 플랫폼이 경로에 진입하게 되면, 이동 플랫폼은 자신의 안테나와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통하여 신호를 위치 파악하여 취득하고 경로국에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경로국은 다중 안테나 또는 멀티빔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트랙킹하여 동시에 자신의 경로 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플랫폼과 신호를 통신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해당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경로에 진입하는 새로운 이동 플랫폼을 취득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경로당 한 경로국이 나타나 있지만, 약간의 경로국 중복성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경로국 사이의 부정적인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주파수 또는 극성 기술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에게 알려진 메커니즘을 각각 사용하는 몇 개의 경로국이 한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경로국이 과부하되거나,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 플랫폼 간의 과도한 통신으로 경로국이 과부하될 것 같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경로국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복 배치된 경로국이 하나 이상의 이동 플랫폼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국(CS1)은 이동 플랫폼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네트워크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경로국의 과부하 또는 고장이 임박한 것을 검출하는 계속적인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은 단일 이동 플랫폼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혼합 이동 플랫폼 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몇몇 이동 플랫폼은 관련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플랫폼에 연결된 수신기를 가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이동 플랫폼 또는 경로국은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지만, 각 이동 플랫폼이 송신기/수신기 유닛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임의의 차량 또는 경로국이 최초 신호의 소스 또는 목적지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에 설명된 경로는, 예를 들어, 상술된 임의의 이동 플랫폼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유지되는 임의의 도로, 수로 또는 항로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방법 및 네트워크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플랫폼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에 한정되지 않는 이동 플랫폼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은, 임의의 특정 경로 상의 차량의 사용 및 밀도가 계속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신호 라우팅은 원하는 이동 플랫폼 또는 경로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경로에서 경로 사이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신호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다. 때때로 직접 라우팅이 정보원, 이동 플랫폼 및 목적지 사이에 사용될 수 있고, 다른 경우 보다 간접적인 라우팅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송신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및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동 플랫폼 및 경로국 간의 관련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송신기, 수신기 및 송신기/수신기 유닛에 연결된 지향성 안테나 또는 전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동 플랫폼에는 복수개, 예컨대 2개의 안테나가 장착되어, 하나는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하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 플랫폼은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른 한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와, 이 신호들을 동시에 재송신하는 예컨대 수개의 방향으로 정렬된 지향성 안테나와 같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동 플랫폼에는 복수개의 신호를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하나의 멀티빔 안테나가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에 있어서, 특정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하고, 또한 다중 안테나 또는 멀티빔 안테나의 각 빔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상이한 안테나 분극화(polarization)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빔들 또는 안테나들간의 원하지 않는 상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비동기식 송신 모드(ATM)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등과 같은 각종 공지의 네트워크 모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예컨대,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또는 코드분할 다중 접속(CDMA) 등의 각종 디지털 암호화 기술의 이용을 지원하여,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체적인 효율 및 주파수 스펙트럼의 이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플랫폼에 다중 채널 접속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에러 정정 코딩 및 효율적인 데이터 변조 타입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품질을 보장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방법 및 네트워크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다중 경로를 따라 데이터를 중복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및 중복 신호 루트의 형성을 포함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고 낮은 등급의 루트를 피하고 네트워크 내의 소정의 경로를 따른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적외선 신호, 레이저 빔, 마이크로웨이브 신호, 무선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이동 플랫폼, 소스, 목적지 및 기타 송신기/수신기 유닛으로부터 대상의 정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적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그 빔을 보는 경우에도 눈의 안전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손쉽게 각종 변형, 수정 및 개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수정 및 개량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기술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술된 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06)

  1. 정보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원(information source)으로부터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원으로부터의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추가 승객용 차량(additional passenger vehicles)에 위치한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재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경우 차후에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 상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경로국(pathway station)을 이용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과 정보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제1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소정 경로들은 평행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승객용 차량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소정 경로들은 평행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승객용 차량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소정 경로들은 교차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소정 경로들의 교차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소정 경로들은 교차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소정 경로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있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소정 경로들 중 하나에 위치하는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는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이용 가능한 승객용 차량들의 수가 불충분한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승객용 차량에 보조 통신 시스템(supplemental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정보원의 신호 커버리지(coverage) 영역 내의 제1 승객용 차량에 배치되며, 상기 정보원으로부터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재송신된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이 위치하는 경로들을 따라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국; 및
    인터넷, 전화 라인 및 위성 링크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공중 네트워크 및 상기 경로국에 연결되어, 상기 경로국과 상기 공중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경로 제어국
    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 제어국, 상기 경로국,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경로 제어국은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 중 하나의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경우 차후에 상기 하나의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 상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하나의 승객용 차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상기 제1 소정 경로와 교차하는 제2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상기 제1 소정 경로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상기 제1 소정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는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평행한 소정의 경로들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경로에서 벗어나 있는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는 시스템.
  27. 삭제
  28. 제15항에 있어서, 제3 승객용 차량에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승객용 차량들이 불충분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3 승객용 차량과 직접 통신하는 보조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9. 삭제
  30. 삭제
  3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지상 차량(ground vehicles)인 시스템.
  3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항공기(aircraft)인 시스템.
  3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자동차인 시스템.
  3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해양 운송 수단(marine vehicles)인 시스템.
  3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도로(roads)인 소정 경로들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3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해운 항로(shipping lanes)인 소정 경로들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3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공중 항로(flight tracks)인 소정 경로들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38. 정보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원으로부터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원으로부터의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재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경우 차후에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 상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결합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정보 신호를 멀티빔(multibeam) 안테나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은 상기 제1 소정 경로를 따르는 방법.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 신호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41. 삭제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정보에 따라 디지털로 인코드되는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1 정보 부분과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2 정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정보 부분을 재송신하는 단계는 포함하지 않는 방법.
  44. 삭제
  45. 정보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원으로부터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원으로부터 제1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원으로부터의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재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재송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는 경우 차후에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 상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는 제2 주파수에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동작은 제2 경로국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과 정보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국의 과부하(overloading)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경로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 중 적어도 일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으로부터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에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로부터 상기 경로국에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4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상기 제2 승객용 차량과 동일한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동일한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5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승객용 차량과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5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제1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1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5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1 정보 부분과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2 정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재송신되는 정보 신호는 상기 제1 정보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시스템.
  5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은 항공기이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지상 차량(ground vehicles)인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2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5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멀티빔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은 소정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방향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은 상기 소정 경로를 따르는 시스템.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안테나는 제1 주파수에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주파수에서 제2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
  5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고, 상기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제2 주파수에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시스템.
  6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은 상기 소정 경로들을 따라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6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은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6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경로들을 따라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과 정보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경로국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승객용 차량, 상기 제2 승객용 차량 및 상기 추가 승객용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추가 경로국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63. 삭제
  6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교통량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6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66. 삭제
  67.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의 경로는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의 경로 아래에 배치되는 시스템.
  68. 소스로부터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소스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승객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승객용 차량과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과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한 수신기 간에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승객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승객용 차량과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1 정보 부분과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2 정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정보 부분의 재송신은 포함하지 않는 정보 제공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제1 경로를 따라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상기 제1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보 제공 방법.
  70. 삭제
  71.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정보 신호를 멀티빔 안테나로 복수의 방향으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은 상기 제1 경로를 따르는 정보 제공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를 복수의 방향으로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정보 신호를 제1 주파수에서 제1 방향으로 재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신호를 제2 주파수에서 제2 방향으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3.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동일한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 및 정보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승객용 차량들의 위치와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5.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정보 신호를 제2 주파수에서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6.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을 모니터링하는 경로국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7.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는 정보 제공 방법.
  78.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9. 삭제
  8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하나의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와 접속 해제되는 경우 차후에 상기 하나의 승객용 차량이 상기 정보 네트워크에 재접속될 때에 상기 정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1. 소스로부터 제2 승객용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며, 상기 소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상기 제1 승객용 차량과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승객용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제2 승객용 차량과 연관된 승객에 의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승객용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재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제1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1 정보 부분과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용으로 의도된 제2 정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제1 정보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고정 플랫폼에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제3 승객용 차량에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제1 경로 상에 위치하며,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신 시스템.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정보에 따라 디지털로 인코드되는 통신 시스템.
  86. 삭제
  87.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제1 경로 상에 위치하며,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는 통신 시스템.
  88.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객용 차량들은 교차하는 제1 및 제2 경로들 상에 각각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89.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은 경로에서 벗어나서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90.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승객용 차량들 사이의 상기 경로를 따라 송신되며, 상기 경로를 따라 송신된 정보 신호들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을 모니터링하는 경로국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은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의 위치 및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통신 시스템.
  92.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93.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국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 중 적어도 일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추가 경로국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승객용 차량에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승객용 차량들의 수가 불충분한 영역에 상기 제3 승객용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승객용 차량에 상기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보조 통신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승객용 차량들은 동일한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는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재송신하는 멀티빔 안테나이며,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은 상기 경로를 따르는 통신 시스템.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안테나는 제1 주파수에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주파수에서 제2 방향으로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98.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승객용 차량은 경로 상에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99.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은 항공기인 통신 시스템.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는 서로 위아래로 배치되는 경로들 상에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
  101.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객용 차량은 지상 차량이며 상기 제3 승객용 차량은 항공기인 통신 시스템.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은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전방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3.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은 지상 차량인 통신 시스템.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5.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교통량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6.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승객용 차량들 중 적어도 한 차량의 이동 방향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37004467A 2000-09-27 2001-09-27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KR100901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558500P 2000-09-27 2000-09-27
US23579600P 2000-09-27 2000-09-27
US60/235,585 2000-09-27
US60/235,796 2000-09-27
PCT/US2001/030195 WO2002028134A2 (en) 2000-09-27 2001-09-27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526A Division KR100914348B1 (ko) 2000-09-27 2001-09-27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848A KR20030036848A (ko) 2003-05-09
KR100901897B1 true KR100901897B1 (ko) 2009-06-10

Family

ID=269290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467A KR100901897B1 (ko) 2000-09-27 2001-09-27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KR1020087019526A KR100914348B1 (ko) 2000-09-27 2001-09-27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526A KR100914348B1 (ko) 2000-09-27 2001-09-27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321006B1 (ko)
JP (1) JP2004531911A (ko)
KR (2) KR100901897B1 (ko)
CN (1) CN100459753C (ko)
AT (1) ATE347236T1 (ko)
AU (1) AU2001293132A1 (ko)
CA (1) CA2423823A1 (ko)
DE (1) DE60124931T2 (ko)
ES (1) ES2276827T3 (ko)
SG (1) SG138465A1 (ko)
WO (1) WO20020281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2193A1 (en) * 2001-10-09 2004-09-30 Silvester Kelan C. Mobile signal relay for cellular transmission in remote areas
US6580981B1 (en) * 2002-04-16 2003-06-17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telematics store and forward messaging for peer-to-peer and peer-to-peer-to-infrastructure a communication network
JP3931860B2 (ja) 2003-07-30 2007-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
JP2007124483A (ja) * 2005-10-31 2007-05-17 Aisin Seiki Co Ltd 移動体通信装置
US8958743B2 (en) 2006-08-23 2015-02-17 Google Inc. 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nodes
CN100450217C (zh) * 2006-11-28 2009-01-07 苏信吉 海上求救位置记录系统
EP2188870A1 (en) * 2007-09-13 2010-05-26 Aerosat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with broadband antenna
US8085667B2 (en) * 2008-05-15 2011-12-27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relay method
TW200949751A (en) * 2008-05-30 2009-12-01 Hsin-Chi Su Maritime climat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maritime climate information
KR100899431B1 (ko) * 2008-08-26 2009-05-27 주식회사 한스웰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KR20120123899A (ko) * 2011-05-02 2012-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DE102012019064B3 (de) * 2012-09-28 2014-01-02 Audi Ag Verkehrs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kehrsüberwachungssystems
CN102917369B (zh) * 2012-10-18 2016-05-0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〇研究所 一种海上宽带无线通信系统
CN103781102A (zh) * 2014-01-17 2014-05-0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飞行器的无线信号覆盖质量检测系统与方法
US9215008B2 (en) * 2014-01-24 2015-12-15 Raytheon Company Low-latency, high-bandwidth long range communication system
US11243530B2 (en) 2018-11-23 2022-02-08 ANI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safety events
JP2023100298A (ja) 2022-01-06 2023-07-1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固体二次電池用正極及び固体二次電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909A (en) 1993-04-02 1996-06-25 Sextant Avionique Method for Radio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aircrafts as open transmission relays
EP1017188A2 (en) * 1998-12-30 2000-07-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data access from remote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7537A1 (de) * 1997-02-25 1998-08-27 Alsthom Cge Alcatel Verfahren zur Weitergabe von Informationen zwischen beweglichen Körpern und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364646B2 (ja) * 1997-05-30 2003-01-08 国土交通省 国土技術政策総合研究所長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5973647A (en) * 1997-09-17 1999-10-26 Aerosat Corporation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JPH11136748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DE19748681A1 (de) * 1997-11-04 1999-05-12 Innotech Gmbh Netzwerk zur Übertragung von Daten mit mobilen Datenübertragungseinrichtungen
US6285878B1 (en) * 1998-06-12 2001-09-04 Joseph Lai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d by commercial airlines
JP2000090395A (ja) * 1998-09-16 2000-03-31 Maruyasu Industries Co Ltd 車両間通信の送信装置及び方法
JP3668625B2 (ja) * 1998-11-24 2005-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車間通信方式およびその車載通信装置並びに路側通信装置
JP2000201103A (ja) * 1999-01-04 2000-07-18 Hitachi Ltd 車車間通信方式およびその車載通信装置
JP2000209651A (ja) * 1999-01-18 2000-07-28 Equos Research Co Ltd 情報送信システム
EP1058409B1 (de) * 1999-06-03 2008-10-01 Oerlikon Space AG Netz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Datenkommunikation mittels Flugrelaissation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909A (en) 1993-04-02 1996-06-25 Sextant Avionique Method for Radio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aircrafts as open transmission relays
EP1017188A2 (en) * 1998-12-30 2000-07-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data access from remote lo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3823A1 (en) 2002-04-04
ES2276827T3 (es) 2007-07-01
KR100914348B1 (ko) 2009-08-28
AU2001293132A1 (en) 2002-04-08
DE60124931T2 (de) 2007-09-20
EP1321006A2 (en) 2003-06-25
WO2002028134A3 (en) 2002-08-01
EP1321006B1 (en) 2006-11-29
DE60124931D1 (de) 2007-01-11
CN100459753C (zh) 2009-02-04
SG138465A1 (en) 2008-01-28
CN1623341A (zh) 2005-06-01
WO2002028134A2 (en) 2002-04-04
KR20080085904A (ko) 2008-09-24
ATE347236T1 (de) 2006-12-15
KR20030036848A (ko) 2003-05-09
JP2004531911A (ja)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97B1 (ko) 소형, 저비용, 고이득인 이동 플랫폼용 안테나 및 시스템
US7565105B1 (en) Carrier
US63397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deband communications to mobile users in a satellite-based network
CA2132180C (en) Massive array cellular system
US7483672B2 (en) Satellite system for vessel identification
JP2003528480A5 (ko)
US10624023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routing of D2D traffic
Wozniak et al. Broadband communication solutions for maritime ITSs: Wider and faster deployment of new e-navigation services
CN114026797A (zh) 来自高空平台的集成接入和回程
JP2002141856A (ja) 相補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無線受信方式およびその無線受信機
US7251223B1 (en)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US7200359B2 (en) Dual transmissio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CA3165615A1 (en) Method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devices
CN116915316B (zh) 基于无人机通信的海上移动网络广域覆盖系统
JP2006033545A (ja) 列車と地上との間の光通信システム
CN116915316A (zh) 基于无人机通信的海上移动网络广域覆盖系统
CN106506056B (zh) 一种卫星通信方法及装置
Raghunandan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User by analog LMR systems of
KR100282183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JP200408058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
AU2002342408A1 (en) Satellite system for vessel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