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83B1 -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83B1
KR100282183B1 KR1019980005433A KR19980005433A KR100282183B1 KR 100282183 B1 KR100282183 B1 KR 100282183B1 KR 1019980005433 A KR1019980005433 A KR 1019980005433A KR 19980005433 A KR19980005433 A KR 19980005433A KR 100282183 B1 KR100282183 B1 KR 10028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transmitting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526A (ko
Inventor
이상문
이동률
Original Assignee
손상호
주식회사네비콤
이동률
주식회사세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호, 주식회사네비콤, 이동률, 주식회사세니온 filed Critical 손상호
Priority to KR101998000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83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자신에 관한 정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송수신단말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생성측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중앙감시국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로 송신하는 간이기지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구현하되 데이터생성측과 간이기지국 사이에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원하는 장소까지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전송매체다. 일반적으로 전송매체는 꼬임선(twisted wire),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그리고 공기(Air)등이다. 이중에서 공기를 매체로 데이터통신을 구현하는 것이 무선 데이터통신(Wireless Data Communication)이다. 무선 데이타통신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유선 데이터통신이라 부른다.
무선의 이용 형태를 보면, 무선전화기, 텔레비젼, 라디오, 각종 리모콘, 주파수 공용통신(Trunked Radio System), 위성을 이용한 각종 통신서비스 등이 있다. 무선통신의 범주에는 이동 통신, 위성 통신, 무선데이터통신, 방송 통신, 주파수 공용통신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에 대한 개념정의가 쉽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듣는 말중에 코드리스(Cordless)와 무선(Wireless)이 있다. 이들은 모두 무선이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 두가지가 의미하는 차이점은 코드리스의 경우, 제한된 좁은 영역에서 무선통신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예를 들어, 집에서 사용하는 무선전화나 무선 랜(LAN), 발신전용시티폰(CT-2) 등이 코드리스(Cordless) 통신에 해당된다. 반면, 무선 데이터 기술은 셀룰러처럼 넓은 영역의 무선통신을 대상으로 한다. 광의의 개념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은 코드리스(Cordless)나 무선을 모두 포함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이 두 가지 분리해 사용하기도 한다. 광의의 개념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기란 양이 너무 많다. 분류에 따라서 무선 개념을 협의의 무선 데이터통신이라 부르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가능한 협의의 무선 데이터통신에 대해 언급한다.
무선 데이터통신이 셀룰러와 다른 것은 음성 전송보다는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설계 됐다는 점이다. 무선 데이터통신은 무선 환경에 적합한 전송방식과 에러 복구를 위한 특별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오늘날과 같은 복잡한 사회 생활에서는, 생성된 교통정보 또는 보안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중앙감시국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수신받는 무선 데이터통신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광역망을 커버하는 무선통신은 셀룰러 전화망과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기술발전에 따라 발전하였으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는 한정된 주파수 자원의 재사용, 통신프로토콜의 효율성, 무선채널 연결의 신뢰성, 데이터 보안, 데이터 전송속도의 고속화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회의 복잡화, 교통난 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무선통신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해, 여러나라에서 자국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차세대 기술을 보유해 국민생활의 질을 높이는 차원에서 무선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데이터통신은, 데이터생성측 무선 송수신단말에 접속된 무선 안테나를 통해 가장 근접된 기지국(Base Station)에 생성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데이터생성측 무선 송수신단말기(Wireless Terminal)는 무선 모뎀이 장착된 무선 데이터통신 전용단말기이다.
각 지역 무선 데이터 기지국(Base Site Station)은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각 지역별 셀기지국으로써, 채널간 데이터 부하의 균등화, 프로토콜 변환 등을 통해 중앙감시국과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고유 송수신 주파수와 출력에 따른 통신 커버리지에 맞춰 지역별로 설치된다.
무선 데이터통신 중앙감시국은 각 지역의 무선데이터 기지국과 연결해 전체 무선통신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통신상황을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데이터 기지국에는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성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지능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이하 "ITS"라 한다)은 전체적인 교통 상황의 감지 및 제어를 통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화, 자동화하고 운전자의 편의 및 안전을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S가 효과적으로 구축될 경우, 교통 정체로 인한 운송 효율의 저하, 에너지 낭비, 대기오염, 주행 시간 증대에 의한 생산성 인력의 낭비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매년 수 천억원의 직접적인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ITS 기간망(infra-structure)의 구축 및 확산은 자동차, 전자, 통신 등 국가 기간산업에 거대한 시장을 새로이 제공하기 때문에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ITS 관련 시스템의 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ITS에서는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운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각종 서비스의 예를 들자면, 교통의 흐름에 따라 신호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운전자에게 각종 운전에 도움이 되는 정보(도로의 혼잡 상태, 공사 및 규제 상황, 날씨, 유효 주차장 정보 등)를 알려주거나 목적지까지 지체 구간을 피해 갈 수 있도록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해 주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요금 정산을 자동으로 함으로써 요금 정산소에서 정지/서행할 필요가 없게 하고, 상용 차량이나 대중교통 차량 등의 운행 스케쥴을 조절함으로써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 안전운행을 위하여 충돌 위험이아 전후방 장애물을 알려주기도 하고,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주행하는 무인 자동차를 구현하는 정도까지 예상하고 있다.
한편, ITS 관련 시스템을 구축할 때 통신망은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ITS에 있어서 통신망은 도로변 센서 및 송수신기와 각종 제어/정보센터간을 연결하는 유선망(고정망)과 이동성이 강조되는 차량 내의 단말과 도로변 기간망간을 연결하는 무선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원되는 통신 서비스는 음성은 물론 데이터, 화상, 영상, 각종 신호 등이 될 수 있으며, 차량용 단말뿐만 아니라 휴대용, 고정용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통신망의 설계는 각종 ITS관련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설계를 해야 하며, 정해진 구조하에서 서비스 사업자 및 시공자의 요구에 따라 일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통일성을 가지면서 논리적으로 정의한 시스템의 구조화된 골격은 ITS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간의 연결성에 대하여 명확한 사양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망 구축은 효율성 및 비용을 고려하여 기존 통신망과의 연계도 고려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무선 통신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ITS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는 교통 관리시스템은 주요 도로변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통해 교통소통 상황을 공중파 방송에 의해 운전자에게 전달하거나, 차량운행에 있어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 사용하도록 비상전화(emergency call box)를 마련한 정도가 고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쉽게 접목될 수 있을뿐 아니라 교통정보 또는 보안정보를 간이기지국을 통해 중앙감시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기술적 과제에 의해 달성되는 데이터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시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간이기지국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들, 도4는 본 발명의 간이기지국을 교통신호제어기에 연계 설치함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통신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자신에 관한 정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송수신단말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생성측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중앙감시국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로 송신하는 간이기지국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은 위성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GPS 신호를 해석하는 GPS 엔진과; 상기 GPS 엔진에 의해 해석된 GPS 신호를 자신에 관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수신단말용 연산처리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연산처리부에서 변환된 정보를 상기 간이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간이기지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간이기지국은 송수신에 적합한 신호상태로 처리하는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와;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로 출력하는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과; 상기 중앙감시국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는 간이기지국용 이동통신단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이기지국은 자신의 위치인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생성측은 자신의 위치인식수단과 자기식별정보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은 상기 중앙감시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페이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통신시스템은 차량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으로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운행 감지수단과,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교통신호제어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간이기지국은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에 수신된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상기 중앙감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감지국은 상기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교통신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통신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생성측에 보안감시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은 상기 보안감시장치에서 감지된 보안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안신호는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통하여 상기 중앙감시국으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데이터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은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과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 사이의 송수신이 DSMA(Pseudo Digital Sense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이기지국이 이동식인 것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어느 하나의 간이기지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이 서로 혼선되지 않도록, 상기 중앙감시국의 조정에 의해 상기 간이기지국들이 서로 다른 시분할 타임 스롯을 점유하게 하며, 시분할 타임 오프셋의 조정은 상기 중앙감시국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이러한 무선송수신단말을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안테나(10)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엔진(20)이 연결되어 있다.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는 안테나(10)를 통하여 수신되어 GPS엔진(20)에 의해 해석되며, 운영정보 및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연산처리부(30)가 이를 이용해 차량들의 운행에 관한 정보신호, 예컨대 등록된 차량의 위치, 측정시간 등에 관한 신호를 생성한다. GPS 신호의 처리에 있어서, 미국방성에 의한 SA(Selective Availability)의 영향으로 GPS 신호에 불가피하게 포함되어 있는 약 100m의 오차를 없애고, 차량의 운행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하기 위해 DGPS(Differential GPS)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알고 있는 위치(간이기지국)에서 각 위성의 측정치에 포함된 오차를 추정하고 이를 주위의 다른 수신기에 전파함으로써 SA, 전리층지연, 대류권지연 및 위성궤도의 오차를 상쇄시켜 수 m 이하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단말기에는 신호전송용 변환장치로서 변·복조기(40, 50)가 마련되어 있으며, 단말기에서 간이기지국쪽으로의 리버스(reverse) 채널이 대역을 적정수의 주파수 슬롯(slot)으로 나뉘어 여러 개의 주파수분할 채널로 구성되므로 이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기(6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기의 통신접속부(70)에는 페이저(80)가 마련되어, 간이기지국을 경유한 신호의 송수신이 단절되는 경우 중앙감시국으로부터 직접 신호를 수신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 무선송수신단말을 소정의 위치에 분산 설치하고 상황변화정보, 식별정보 등의 보안정보를 간이기지국을 통해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고, 중앙감시국으로부터의 지시를 다시 간이기지국을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나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진 보안감시장치(90)를 통신접속부(70)에 추가로 연결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간이기지국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무선송수신단말과 마찬가지로 안테나(11)에 GPS엔진(21)이 연결되어 있어 간이기지국의 위치, 이동속도 등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과 간이기지국은 변·복조기(41, 51)의 말단에 마련된 안테나(45, 55)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중앙감시국과 간이기지국 사이의 데이터송수신은 통신접속부(71)를 통해 연산처리부(31)에 연결된 이동통신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간이기지국의 통신접속부(71)에는 페이저(81)가 마련되어, 직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들이다.
도3a는 교통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데이터생성측 무선송수신단말(110)들이 각각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운행정보, 예컨대 위치, 속도, 측정시간,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간이기지국(120)에 송신하거나, 중앙감시국(130)으로부터 간이기지국(120)을 경유한 지시신호를 수신한다. 간이기지국(120)은 이동통신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하여 중앙감시국(130)에 차량의 운행정보를 송신하거나,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른 중앙감시국(130)의 지시를 수신한다.
도3b는 보안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데이터생성측 무선송수신단말(111)들이 보안감시를 해야할 시설물(115)에 분산 설치되어, 간이기지국(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간이기지국(120)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데이터생성측 무선송수신단말(111)에는 도 1에 설명된 보안감시장치(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기지국을 교통신호제어기에 연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차량의 운행상태는 교통신호제어기(200)에 설치된 감지수단인 차량검지용 루프코일(260), 속도·신호위반 차량감지기(272), 전용차선 감지기(274), 교통정보 감지기(276)에 의해 감지되며, 이 정보는 교통신호제어기(200)에 인접 설치된 간이기지국(210)에 전송되고 이동통신단말기(250)를 통해 중앙감시국으로 다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이기지국이 신호등마다 설치된 교통신호제어기와 연계되어 운용되고, 중앙감시국에서 이를 관리한다면, 차량의 주행안내, 배차간격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데이터통신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의 통신방법은 아래에 설명되는 "의사 DSMA(Pseudo Digital Sense Multiple Access)방식"에 따른다.
간이기지국과 다수의 데이터생성측 무선송수신단말 사이의 통신은 간이기지국쪽에서 볼 때 간이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쪽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포워드(forward)채널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리버스(reverse)채널로 구성하여 송수신채널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 때, 포워드채널은 한 개의 채널로 구성하며 리버스채널은 대역을 적정수의 주파수 슬롯으로 나누어 여러 개의 주파수분할 채널로 구성한다. 또한, 포워드채널에 대해서는 데이터생성측 무선송수신단말로의 데이터 송신시 인접한 타 간이기지국들간의 혼선에 대비하여 적정 개수의 타임 슬롯으로 시분할하여 구성한다.
간이기지국은 포워드채널을 통하여 리버스채널 중 사용가능한 채널을 무선송수신단말에게 알려주며, 무선송수신단말에서는 사용가능한 리버스채널 중에서 사용할 채널을 랜덤 시퀀스방식으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간이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간이기지국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레임오류수정(frame error correction)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가 정상이면 데이터를 해석하여 응용하고 동시에 포워드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무선송수신단말에게 알려준다.
이동 간이기지국을 포함하여 다수의 간이기지국들은 중앙감시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타임 오프셋(time offset)을 다운로드받아 서로 다른 시분할 타임 슬롯을 점유하여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인접한 몇 개의 간이기지국들의 영역이 겹치는 지역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단말들로 하여금 혼선을 피할 수 있게 하며, 간이기지국의 배치와 타임 슬롯의 개수를 적정하게 정함으로써 주파수 사용의 효율을 높이고 주파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시분할 타임 오프셋의 조정은 중앙감시국에서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며, 간이기지국 및 각 무선송수신단말간의 시각동기는 각각 내장하고 있는 GPS 수신기로부터 시각데이터를 수신하여 수행한다. 간이기지국은 포워드채널을 통하여 각 무선송수신단말에게 시각동기용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장 쉽게 접목될 수 있을뿐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간이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통신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화 같은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적합한 통신방법이 제공되므로 데이터송수신의 오류 및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자신에 관한 정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송수신단말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생성측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을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중앙감시국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로 송신하는 간이기지국을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은 위성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GPS 신호를 해석하는 GPS 엔진과; 상기 GPS 엔진에 의해 해석된 GPS 신호를 자신에 관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수신단말용 연산처리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연산처리부에서 변환된 정보를 상기 간이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간이기지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간이기지국은 송수신에 적합한 신호상태로 처리하는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와;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로 출력하는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과; 상기 중앙감시국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중앙감시국으로 송신하는 간이기지국용 이동통신단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으로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운행 감지수단과,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교통신호제어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간이기지국은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에 수신된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상기 중앙감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감지국은 상기 차량운행상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측은 보안감시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은 상기 보안감시장치에서 감지된 보안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안신호는 상기 간이기지국용 연산처리장치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통하여 상기 중앙감시국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1항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단말용 송수신수단과 상기 간이기지국용 송수신수단 사이의 송수신은 DSMA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기지국이 이동식인 것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인 경우, 어느 하나의 간이기지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생성측의 무선송수신단말이 서로 혼선되지 않도록, 상기 중앙감시국의 조정에 의해 상기 간이기지국들이 서로 다른 시분할 타임 스롯을 점유하게 하며, 시분할 타임 오프셋의 조정은 상기 중앙감시국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
KR1019980005433A 1998-02-20 1998-02-20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KR10028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33A KR100282183B1 (ko) 1998-02-20 1998-02-20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33A KR100282183B1 (ko) 1998-02-20 1998-02-20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26A KR19990070526A (ko) 1999-09-15
KR100282183B1 true KR100282183B1 (ko) 2001-02-15

Family

ID=6589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433A KR100282183B1 (ko) 1998-02-20 1998-02-20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1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26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429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US10728723B2 (en) User terminal, RSU, method and program
US202302922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communication based on parameters
US5218716A (en) Method for locating a communication unit within a multi mode communication system
EP3326301B1 (en) Satellite communication location reporting and paging
JP2792232B2 (ja) 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のための掲示板リソース
CA2346476C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for terrestrial and non-terrestrial communication
MXPA97001970A (en) Cellular system of arreglo mas
CN101023640A (zh) 用于实现ad hoc网状网络的方法和装置
RU2003135795A (ru) Многоре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 определением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JP2004531911A (ja) 移動プラットフォーム用の短尺、低コスト、高利得のアンテナおよびシステム
JP3359261B2 (ja) 公共業務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82183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WO2023177502A1 (en) Reputation score assignment for vehicle-based communications
JPH10178379A (ja) 衛星通信用の地上局取得システム
Singh et al. D2D and V2X communications
US7251223B1 (en)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JP2004128631A (ja) 衛星通信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移動局及びゲートウェイ局
JPH06318902A (ja) 衛星/陸上統合移動通信方式
JP2981881B1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CN215773120U (zh) 一种多模机载卫星调制解调系统
JPH0761177B2 (ja) 広域移動体通信方式
AU2021107240B4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Platform
JP200408058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
Li et al. 2-7 Development and Field Trial of D2D Networks for Local Area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