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34B1 -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34B1
KR100901334B1 KR1020080055177A KR20080055177A KR100901334B1 KR 100901334 B1 KR100901334 B1 KR 100901334B1 KR 1020080055177 A KR1020080055177 A KR 1020080055177A KR 20080055177 A KR20080055177 A KR 20080055177A KR 100901334 B1 KR100901334 B1 KR 10090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il spring
hinge shaft
ten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필목
Original Assignee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05D7/105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with snap-fitt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본체를 조립한 후에 최종단계에서 간단하게 도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탈착작업이 가능한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텐션코일스프링과 원통형코일스프링이 결합된 힌지축;과,
이 힌지축을 수용하여 승강작동토록 하고,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도어의 개폐시 탄성을 부여하도록 조립하는 도어의 장착부;와,
사물함의 측판에 스프링의 연장부가 결합되고, 결합된 스프링의 연장부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와,
상기 장착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로 구성한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텐션코일스프링, 원통형코일스프링, 힌지축, 장착부, 보호커버부, 힌지장치

Description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Prefabricated the locker hinge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본체를 조립한 후에 최종단계에서 간단하게 도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탈착작업이 가능한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이 사용하는 백화점이나 대형매장, 기차역이나 전철역과 대중목욕탕, 수영장, 학교, 도서실 등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개인 사물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개인용 사물함은 통상적으로 목재를 이용한 사물함이 제작되어 설치되고 있는바, 목재의 특성상 습기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썩거나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물함을 통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도어의 힌지부분이 파손되어 도난사고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의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목재 사물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재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제작된 금속재 사물함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철판을 가공하여 제작된 사물함은, 철판 특유의 견고함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각 부분을 용접을 통하여 연결하여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작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어 결국 고가로 일반인에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이다.
특히, 본체를 제작한 후에 최종단계에서 도어를 용접작업을 통하여 본체에 고정하였던 바, 잦은 도어의 사용으로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사물함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더욱이, 종래 사물함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는, 도어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문을 닫아주지 않으면 열린 상태 그대로 방치되므로 도난의 위험도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각 부품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물함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되, 본체의 조립완료 후 최종단계에서 도어를 외부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사물함을 조립한 후, 최종적인 단계에서 도어를 장착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도어가 파손되었을 경우에 간단하게 도어 만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도어의 힌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된 도어를 사용자가 직접 닫지 않아도 자동으로 도어를 닫아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 일측에 장착하는 힌지축을 승강가능하도록 승강기능을 부가하여 줌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힌지축에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도어와 본체를 연결함으로써, 개방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도어의 파손시 간단한 공정으로 교체장착이 가능하므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므로, 항상 닫혀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텐션코일스프링과 원통형코일스프링이 결합된 힌지축;과,
이 힌지축을 수용하여 승강작동토록 하고,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도어의 개폐시 탄성을 부여하도록 조립하는 도어의 장착부;와,
사물함의 측판에 스프링의 연장부가 결합되고, 결합된 스프링의 연장부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와,
상기 장착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힌지축은 상단 힌지부와 하단을 "ㄴ"자형으로 절곡한 손잡이부로 구성하며, 상단 힌지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하로 연장편이 연장형성된 텐션코일스프링과 원통형코일스프링을 차례로 삽입하고, 고정와셔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소정의 위치는, 힌지축의 상단 힌지부가 하강하였을 때, 도어로 부터 이탈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 도어의 일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의 어느 한곳, 또는 두 곳 모두에 힌지 축을 장착하도록 하는 장착부는,
도어의 내측 모서리에 "ㄴ"자형의 차단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측을 횡단하는 격벽을 돌출형성하여 소정의 위치에 설치요홈을 요입 형성한다.
상기 측벽의 상측부에는 고정홈을 관통 형성하고, 도어의 측벽 일단에는 요입부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힌지공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요입부는 힌지축의 진출입을 제어하도록 입구를 협소하게 구성한다.
상기 장착부의 차단벽 하단에는 커버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체결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부는, 사물함 측판의 측벽 상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소폭의 간격을 이격하여 보호커버를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어의 장착부에는 커버가 결합되는데, 이 커버는 상단에 고정편을 절곡 형성하고, 하단에는 받침부를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며, 측면부에는 상부로 절곡되는 체결돌기부를 돌출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되는 조립식 사물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장착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장착하고, 커버로서 보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4B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본체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조립식 사물함(1)의 전면부 도어(2) 일측 상단 또는 하단 모서리에 장착되는 힌지축(10)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0)은 상단 힌지부(11)와 하단을 "ㄴ"자형으로 절곡한 손잡이부(12)로 구성함, 상단 힌지부(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돌기(13)를 형성하고, 상,하로 각각 상부연장편(17)과 하부연장편(18)이 길게 연장형성된 텐션코일스프링(16)과 원통형코일스프링(15)을 차례로 삽입하고, 고정와셔(14)를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13)가 형성되는 소정의 위치는 힌지축(10)의 상단 힌지부(11)가 하강하였을 때, 도어(2)로 부터 이탈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 도어(2)의 일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의 어느 한 곳, 또는 두 곳 모두에 힌지축(10)을 장착하는 도록 하는 장착부(20)는,
도어(2)의 내측 모서리에 "ㄴ"자형의 차단벽(21)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측을 횡단하는 격벽(22)을 돌출형성하며, 강기 격벽(22)의 소정의 위치에는 설치요홈(23)을 요입 형성한다.
상기 설치요홈(23)은 전면부가 개방되고, 입구가 협소하게 구성된다.
상기 차단벽(21)의 상측부에는 고정홈(24)을 관통 형성하고, 도어(2)의 측벽(3) 일단에는 요입부(25)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힌지공(26)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장착부(20)의 차단벽(21) 하단에는 커버(40)가 결합되는 결합홈(28)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체결홈(27)을 형성한다.
사물함(1) 측판(30)의 측벽(31) 상측에는 삽입홈(32)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소폭의 간격을 이격하여 보호커버(33)를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도어(2)의 장착부(20)에는 커버(40)가 결합되는데, 이 커버(40)는 상단에 고정편(41)을 절곡 형성하고, 하단에는 받침부(42)를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며, 측면부에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돌기부(43)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텐션코일스프링(16)과 원통형코일스프링(15)이 결합된 힌지축(10)을 도어(2)의 장착부(20)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장착부(20)의 내측에서 힌지축(10)을 힌지공(26)에 삽입하고, 하단의 격벽(22)에 형성된 설치요홈(23)에 상기 힌지축(10)의 하단을 강제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설치요홈(23)은 입구가 협소하게 제작되어 있어, 힌지축(10)이 강제로 결합 된 후에는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어(2)의 상단으로 힌지축(10)의 힌지부(11)가 노출되도록 결합하고, 텐션코일스프링(16)의 상부연장편(17)을 장착부(20)의 차단벽(21)에 관통된 고정홈(24)에 삽입하여 그 끝을 상측으로 절곡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텐션코일스프링(16)의 하부연장편(18)을 도어(2)의 측벽(3)에 요입형성된 요입부(25)를 통과하여 측판(30)의 측벽(31) 상측에 형성된 삽입홈(32)으로 끼워 넣는다.
이때, 삽입홈(23)으로 삽입된 텐션코일스프링(16)의 하부연장편(18)은 보호커버(33)의 하부로 진입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힌지축(10)을 도어(2)결합한 후, 힌지축(10) 하단의 손잡이부(12)를 손으로 잡고 하단으로 당겨 상단의 힌지부(11)가 장착부(20)이 내부로 진입되도록 한 다음, 사물함의 상판(5)에 형성된 힌지결합공(6)과 일치하도록 도어(2)의 위치를 조정한 후, 힌지축(10)의 손잡이를 놓으면, 원통형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힌지축(10)의 힌지부(11)가 상기 힌지결합공(6)에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힌지축(10)의 조립이 완료된 후, 커버(40)를 장착부(20)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40)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고정편(41)을 도어(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7)에 끼워 밀어올리면, 상기 고정편(41)이 체결홈(27)에 결합됨과 동시에 장착부(20) 차단벽(21)의 결합홈(28)에 커버(40) 하단 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부(43)가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도어를 열었을 때, 텐션코일스프링(16)의 탄성으로 자동으로 닫히려고 하는 탄성을 얻게 되고, 힌지축(10)이 장착된 장착부(20)가 커버(40)에 가려지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힌지장치는 조립식 사물함에 국한되지 않고 도어가 장착된 소형의 상자 및 책장이나 서류함, 가구, 주방가구 등의 도어에 적용가능하며, 그 사용처와 관계없이 본원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되는 조립식 사물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장착부의 확대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장착하고, 커버로서 보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본체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사물함 2 : 도어
3 : 측벽 5 : 상판
10 : 힌지축 11 : 힌지부
12 : 손잡이부 13 : 고정돌기
14 : 고정와셔 15 : 원통형코일스프링
16 : 텐션코일스프링 17 : 상부연장편
18 : 하부연장편 20 : 장착부
21 : 차단벽 22 : 격벽
23 : 설치요홈 24 : 고정홈
25 : 요입부 26 : 힌지공
27 : 체결홈 28 : 결합홈
30 : 측판 31 : 측벽
32 : 삽입홈 33 : 보호커버
40 : 커버 41 : 고정편
42 : 받침부 43 : 체결돌기부

Claims (5)

  1. 도어(2)의 모서리에 관통된 힌지공(26)에 삽입되는 텐션코일스프링(16)과 원통형코일스프링(15)이 결합된 힌지축(10);과,
    이 힌지축(10)을 수용하여 승강 작동토록 하고, 텐션코일스프링(16)의 상부연장편(17)을 결합하여 도어(2)의 개폐시 탄성을 부여하도록 조립하는 도어(2)의 장착부(20);와,
    사물함(1)의 측판에 텐션코일스프링(16)의 하부연장편(18)이 끼워지고, 끼워진 하부연장편(18)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부(33);와,
    상기 장착부(2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40);로 구성하되,
    상기 도어(2)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장착부(20)는,
    도어(2)의 내측 모서리에 "ㄴ"자형의 차단벽(21)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측을 횡단하는 격벽(22)을 돌출형성하여 측벽(3)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요홈(23)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21)의 상측부에는 고정홈(24)을 관통 형성하며, 도어(2)의 측벽(3) 일단에는 요입부(25)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힌지공(26)과 체결홈(27)을 관통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도어(2)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힌지축(10)은, 상단 힌지부(11)와 하단을 "ㄴ"자형으로 절곡하여 손잡이부(12)로 구성하고, 상단 힌지부(11)의 상단에서 소폭으로 이격한 지점에 고정돌기(13)를 형성하되, 이 고정돌기(13) 하측에 원통형코일스프링(15)과 상,하로 상부연장편(17)과 하부연장편(18)이 연장형성된 텐션코일스프링(16)을 차례로 삽입하여, 힌지축(10)의 상단 힌지부(11)는 도어(2)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공(26)에 삽입하고, 힌지축(10)의 중간부는 격벽(22)의 설치요홈(23)에 체결하여, 힌지축(10)에 삽입된 텐션코일스프링(16)의 하단부가 설치요홈(2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상단에 고정편(41)을 절곡 형성하고, 하단에는 받침부(42)를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고, 이 받침부(42)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부(43)를 형성하며, 이 체결돌기(43)를 도어(2)의 장착부(20)를 구성하는 차단벽(21)의 하측 결합홈(28)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5. 삭제
KR1020080055177A 2008-06-12 2008-06-12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KR10090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177A KR100901334B1 (ko) 2008-06-12 2008-06-12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177A KR100901334B1 (ko) 2008-06-12 2008-06-12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334B1 true KR100901334B1 (ko) 2009-06-09

Family

ID=4098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177A KR100901334B1 (ko) 2008-06-12 2008-06-12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12B1 (ko) * 2013-08-30 2015-03-10 (주) 크렌즈 자동 도어 닫힘 기능을 구비한 살균탈취건조장치
JP7339530B2 (ja) 2018-11-30 2023-09-06 株式会社イトーキ 収納家具、及び、家具用ヒン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64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64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12B1 (ko) * 2013-08-30 2015-03-10 (주) 크렌즈 자동 도어 닫힘 기능을 구비한 살균탈취건조장치
JP7339530B2 (ja) 2018-11-30 2023-09-06 株式会社イトーキ 収納家具、及び、家具用ヒン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1718C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KR100901334B1 (ko) 조립식 사물함의 힌지장치
KR100591881B1 (ko) 건축물 창문틀 내부잠금구조
KR200453259Y1 (ko) 슬라이드식 단자함 커버덮개
KR200415061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0847095B1 (ko)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KR20110010936U (ko) 출입문 안전장치
US20140048665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KR200423248Y1 (ko) 사물함
KR20100029730A (ko) 가구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KR20080027652A (ko)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KR200415681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JPS5915984Y2 (ja) 郵便受箱
KR100846009B1 (ko) 도어 잠금장치
CN220550995U (zh) 铰链结构及柜体
KR200437276Y1 (ko) 조립식 우편함
KR200326581Y1 (ko) 문틀
KR20180002452A (ko) 도어 고정장치
US8235476B2 (en) Closet top access box
KR200355666Y1 (ko) 도어
KR100623089B1 (ko) 유리패널 지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