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방법은 컨텐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장치는 컨텐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사용 범위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라이센스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100),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시스템(200) 및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시스템(300)과 같은 다양한 컨텐트 보호 시스템과 이것들에 의한 보호를 받는 다수의 디바이스들(21-23)로 구성된다.
DRM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의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 템이다. HDCP 시스템(200)은 DVI(Digital Video Interface)와 같은 고 대역폭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DTCP 시스템(3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을 따르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서 전송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컨텐트 보호 시스템 이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컨텐트 보호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M 시스템(100)은 종래의 복사 제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import)하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재-임포트(re-import)란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가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임포트 타입에 기초하여 새롭게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파일이란 컨텐트 및 이것에 대한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파일을 말한다. 특히, 컨텐트 파일이란 용어는 단순히 컨텐트란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수신부(101), 검출부(102), 사용 범위 결정부(103),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 사용 규칙 결정부(105),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 암호화부(107), 제 1 암호화부(1071), 제 2 암호화부(1072), 전자 서명부(108), 라이센스 생성부(109),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 저장부(111), 스토리지(112) 및 송수신부(113)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는 인공 위성, 지상 기지국 등의 무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의 유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출부(102)는 수신부(101)에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UCI, Usage Constraint Information)를 검출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는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고, 종래의 HDCP 시스템(200) 또는 DTCP 시스템(3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다만,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가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되기 위해서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하여야 한다.
사용 제한 정보의 예로는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 카피 원스, 카피 노모어 및 카피 네버가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가 있다.
그런데, 카피 노모어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일회 복사됨에 따라 발생된 복사 제어 정보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최초로 수신하는 컨텐트 보호 시스템으로서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복사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이 어 느 하나의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복사하고, 이것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에 의한 컨텐트 보호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DRM 시스템(100)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0)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또는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usage bind)를 결정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복사 제어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device bound)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domain bound)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그러나,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컨텐트의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로 결정될 경우,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은 이들간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복사가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왜냐하면,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은 당연히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디바이스들이 어떤 도메인을 구성하는 지에 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는 사용자 범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사용 제한 정보에 위반되는 경우에만 결정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컨텐트 사용 권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Content Control Information)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제어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제어 정보의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 임포트 필드(42), 사용 범위 필드(43) 및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로 구성된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는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포트 필드(4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가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4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규칙 필드(44)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제어 정보가 기록된다.
특히, 사용 제한 정보 필드(43)에 기록된 값들 중 "도메인 아이디"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이 도메인 아이디를 참조하여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이 도메인 아이디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등록되어 있으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3)에 기록된 값들 중 "임포트-시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가 생성될 시점, 즉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이 임포트 시점을 참조하여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한 멤버십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이 임포트 시점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한 멤버십의 유효 기간 내에 있으면, 멤버십이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3)에 기록된 값들 중 "임포트-타입"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사용 범위, 즉 사용 제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이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되고, 이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로부터 재-임포트되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재-임포트하는 경우에 이 임포트 타입을 참조하여 새로운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는 임포트 타입이 도메인 범위를 나타내면,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로부터 재-임포트되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usage rule)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규칙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규칙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 임포트 필드(52), 사용 범위 필드(53) 및 사용 규칙 필드(54)로 구성된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는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포트 필드(5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가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5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규칙 필드(54)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규칙이 기록된다.
특히,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올(all)"은 컨텐트에 대한 모든 종류의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M"은 컨텐트의 이동(Move)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이동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이 디바이스로부터 삭제됨과 동시에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됨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S"는 컨텐트의 스트리밍(Streaming)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스트리밍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다른 디바이스로 잠시 출력되나, 원래 디바이스에서 컨텐트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P"는 컨텐트의 재생(Play)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재생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컨텐트를 재생함을 의미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올"이 기록된다. 반면,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가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M, S, P"가 기록된다.
컨텐트의 사용 예들로는 상기된 이동, 스트리밍, 재생 이외에도 복사 등이 있다. 컨텐트의 복사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컨텐트 복사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한다면 2 회의 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는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하도록 허용할 수는 없다. 이것이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 사용 규칙 필드(54)에 "M, S, P"만이 기록되는 이유이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올"이 기록된다.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암호화부(107)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암호화한다. 즉,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인 경우나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경우에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컨텐트를 임포트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부(107)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지 않는다. 암호화부(107)는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부(1071) 및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부(1072)로 구성된다.
제 1 암호화부(107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로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디바이스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도메인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컨텐트 키들의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제 1 암호화부(107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들을 복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선별하여 이 컨텐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이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또는 도메인만이 컨텐트 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면 된다. 다만,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떤 디바이스와 어떤 암호화 키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한 정보는 도메인 관리자(미 도시) 등과 같은 서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제 2 암호화부(1072)는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한다.
전자 서명부(108)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전자 서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서명은 문서 또는 메시지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이 변조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제 1 암호화부(107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는 컨텐트 아이디(61), 암호화 된 컨텐트 키(62),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으로 구성된다.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컨텐트 아이디(61)를 참조하여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바와 같이 식별된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암호화된 컨텐트 키(62)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컨텐트 키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암호화된 컨텐트 키(62)를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복호화에 의해 복원된 컨텐트 키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호화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는 암호화된 형태의 컨텐트이기 때문이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이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이 변조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사용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사용 제어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아이디, 임포트 시점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해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에 포함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것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은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에 삽입된다. 즉,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7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다만,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7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는 하나로 패키징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패키징될 수도 있다.
저장부(111)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스토리지(112)에 저장한다.
송수신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 디바이스로 스토리지(112)에 저장된 컨 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송수신부(111)는 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 카드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하여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 생성 방법에도 적용된다.
70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70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1 단계에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한다.
70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70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705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707 단계로 진행한다.
7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70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70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70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709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710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711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712 단계로 진행한다.
71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71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 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71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5 , 707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706, 708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에 전자 서명을 한다.
71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9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711, 712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