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084B1 - 무접점전력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접점전력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084B1
KR100900084B1 KR1020080131328A KR20080131328A KR100900084B1 KR 100900084 B1 KR100900084 B1 KR 100900084B1 KR 1020080131328 A KR1020080131328 A KR 1020080131328A KR 20080131328 A KR20080131328 A KR 20080131328A KR 100900084 B1 KR100900084 B1 KR 10090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ntactless power
terminal
power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길
국윤상
Original Assignee
정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13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84B1/ko
Application filed by 정춘길 filed Critical 정춘길
Priority to HUE09808926A priority patent/HUE039569T2/hu
Priority to CN201310042301.6A priority patent/CN103208847B/zh
Priority to EP09808926.1A priority patent/EP2357715B1/en
Priority to US12/674,948 priority patent/US9178376B2/en
Priority to ES09808926.1T priority patent/ES2687775T3/es
Priority to PL09808926T priority patent/PL2357715T3/pl
Priority to PCT/KR2009/002003 priority patent/WO2010067927A1/ko
Priority to PT09808926T priority patent/PT2357715T/pt
Priority to CN2009801002482A priority patent/CN101828320B/zh
Priority to US15/802,373 priority patent/USRE49300E1/en
Priority to DK09808926.1T priority patent/DK2357715T3/en
Priority to JP2011540588A priority patent/JP539380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84B1/ko
Priority to US13/344,741 priority patent/US9130395B2/en
Priority to JP2013191812A priority patent/JP5932743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 측의 수신코어인 2차측코어가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구비되어, 수신측의 코어의 부피가 작게 되어 수신장치의 전체 크기가 작게되어 휴대용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특성이 양호하도록 하고, 하나의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용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에 대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수신받고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충전된 전원이 휴대용장치(M)에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에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가 구비된 충전피씨비보드(71)(81)가 구비되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휴대용장치(M)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자접촉되기 위한 터미널단자부(58)가 구비되고, 터미널단자부(58)는 중앙에 위치된 중앙단자부(582), 좌측에 위치된 좌단자부(581), 우측에 위치된 우단자부(58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31328
무접점전력수신, 배터리팩, 컴퓨터, 휴대용장치, 터미널단자

Description

무접점전력수신장치{NON-CONTACT CHARGING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MISION}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 측의 수신코어인 2차측코어가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구비되어, 수신측의 코어의 부피가 작게 되어 수신장치의 전체 크기가 작게되어 휴대용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특성이 양호하도록 하고, 하나의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용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DMB단말기, MP3 또는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장치들은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 전원을 직접 꽂아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어, 일회용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장치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는 일 반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에 전원공급선 및 전원공급단자를 통하여 배터리팩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단자공급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충전기와 배터리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경우, 양측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서 단자부분에서 순간방전현상이 발생된다. 이로써 양측 단자들에는 점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이로 인해서 화재가 발생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또한 단자가 공기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습기 또는 먼지가 묻어 자연 방전될 수 있는 등, 충전기 및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접점 충전기가 개발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접점 충전기는 무접점충전기의 1차코일의 상부로,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내재된 단말기을 위치시키면, 배터리의 2차코일에 의하여 충전이 된다. 즉 1차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2차코일에서는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처럼 유도되는 전기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접점 충전기는 단지 휴대용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뿐, 다른 이용이 한정되어 있어 실용성에 제한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1차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대하여 금속이 놓이게 되면 자장의 변화로 인하여 1차코일에 전력손실이 상당하여 무접점충전기가 파손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2차측코일 및 배터리팩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현상이 일어나 결국 배터리팩이 과열로 인한 폭발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배터리팩에서의 효율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대부분의 1차측코어 및 2차측코어는 얇은 가닥의 전선을 다수개 꼬아서 하나의 굵은 코일로 만들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전선 재료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이와 같은 대부분의 코일들은 그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얇고 다수의 반도체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배터리팩에 장착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컨트롤러 및 부재들에, 열이나 자기장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폰, PDA, PMP, DMB단말기, MP3 또는 노트북 등의 분야별로, 제조회사 별로 배터리팩의 단자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배터리팩이 공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 측의 수신코어인 2차측코어가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구비되어, 수신측의 코어의 부피가 작게 되어 수신장치의 전체 크기가 작게되어 휴대용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특성이 양호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는 피씨비에 평면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면서 이와 함께 수신 특성도 양호하도록 하여, 전력수신 특성이 양호하면서 제작특성도 양호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에는 차폐 쉴드가 함께 구비되도록 하여 전력수신 효율이 양호하면서 다른 부재들이 자기장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하나의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접속단자가 다수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용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에 대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수신받고 배터리팩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충전된 전원이 휴대용장치(M)에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상기 배터리셀(53)의 상부면에 상기 2차측코어부(51)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에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가 구비된 충전피씨비보드(71)(81)가 구비되며,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의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휴대용장치(M)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자접촉되기 위한 터미널단자부(58)가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단자부(58)는 중앙에 위치된 중앙단자부(582), 좌측에 위치된 좌단자부(581), 우측에 위치된 우단자부(583)로 구비되며,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2차측코어부(51)와 연결되어 유도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블럭(52)(Rectifier block); 상기 2차측코어부(5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배터리팩제어부(54);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정류부블럭(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회로부블럭(55); 상기 배터리셀(53)의 충전정도를 감시하고 만충전 또는 방전 상태의 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로 전송하는 충전감시회로부(5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충전감시회로부(56)에는 상기 터미널단자부(58)의 상기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중 어느 한 단자부로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미널컨트롤러(56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상기 패턴코어(515)의 아래측으로 차폐부(6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차폐부는 차폐패널부(62), 차폐메쉬부(63), 금속박막부(64)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피씨비베이스(511)에 패턴코어(515)가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베이스(511)가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턴코어(515)는 평면나선형의 코어구조(PSCS, Planar Spiral Core Structure)로 하는 파워트랜스 평면나선코어(PT-PS Core, Power Transmission - Planar Spiral Core)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상기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에 결합된 선단결합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측부가장자리에 결합된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셀(53) 후단으로 하부케이스(72)(82)가 결합되고, 선단으로 선단케이스(73)(83)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셀(53)의 외부로 외부케이스(74)(84)가 결합되고, 선단형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는 선단케이스(73)와 선단피씨비케이스(75) 사이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는 상기 배터리셀(53) 측부에 결합되는 측부피씨비케이스(85)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인 측의 수신코어인 2차측코어가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구비되어, 수신측의 코어의 부피가 작게 되어 수신장치의 전체 크기가 작게되어 휴대용 장치에 장착되는 장착 특성이 양호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는 피씨비에 평면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면서 이와 함께 수신 특성도 양호하도록 하여, 전력수신 특성이 양호하면서 제작특성도 양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에는 차폐 쉴드가 함께 구비되도록 하여 전력수신 효율이 양호하면서 다른 부재들이 자기장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충전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하나의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접속단자가 다수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다수의 휴대용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대한 제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층구성 예시도 로, 중간에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단면 구조도에 대해서 상부로는 상측방향에서 보여지는 평면 형태에 대해, 하부에는 차폐부의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실시예시 사진으로, 도 3은 동 재질로 되어 사각 형상으로 하는 2차측코어부에 대한 실시사진이고, 도 4는 동 재질로 되어 육각 형상으로 하는 2차측코어부에 대한 실시사진이다. 도 5는 다수의 얇은 코일로 되는 평면단위코어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성능시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로, 상측에는 육각형상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되어 전류가 가해지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상측의 코어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기장에 대해서, 하측의 차폐쉴드가 구비되어 마련되는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에서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전압의 정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이러한 도 7 및 도 8은 도 3 및 도 4 등에서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로, 패턴코어가 동 재질로 되어 피씨비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다른 실 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로,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로, 도 12는 선단결합형 배터리팩에 대한 실시예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측부결합형 배터리팩에 대한 실시예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배터리팩제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시의 블럭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 및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전력제어순서도로, 도 15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서의 전력제어순서도이고, 도 16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서의 전력제어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대한 전력전송에 따른 효율 그래프로,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은 전력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전력전송 효율의 그래프이고, 도 18은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은 전력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경우에서의 전력전송 효율의 그래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되는 배터리팩이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위치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사진이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에 대하여, 무접점 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되고, 나아가 이러한 전원이 휴대용장치(M)에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처럼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는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이러한 유도전류에 의한 전력은 배터리셀(53)에 충전되는 것이다. 이처럼 발생된 전력신호는 정류되어 충전되는 것으로, 수신되는 전력의 세기를 배터리팩제어부(54)에서 감지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측으로 감지데이터의 신호를 전송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충전되는 전력이 조절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충전되도록 하면서, 휴대폰, PDA, PMP, DMB단말기, MP3 또는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장치(M)들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휴대용 장치들과 별체로 분리구성되거나, 휴대용장치들에 장착되거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팩 또는 커버가 있는 세미배터리팩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휴대용장치들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휴대용장치(M)들의 전원공급부와 직결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2차측코어부(51)와 연결되어 유도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블럭(52)(Rectifier block)이 구비되고, 상기 2차측코어부(5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배터리팩제어부(54)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정류부블럭(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회로부블럭(55)(Charger Management Block)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셀(53)의 충전정도를 감시하고 만충전 또는 방전 상태의 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로 전송하는 충전감시회로부블럭(56)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팩제어부(54)(Power receiver controler)에서는 정류부블럭(52)(Rectification Block), 충전회로부블럭(55), 충전감시회로부블럭(56)(Protection Circuit control Module block), 게이지블럭(57)(Fuel Gauge Control Block) 등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부재들을 제어하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측으로 ID 데이터신호를 발생하고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호회로부블럭(56)(Protection Circuit control Module block, PCM)은 상기 충전회로부블럭(55)과 상기 배터리셀(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셀(53)에 충전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셀(53)의 충전상태 정보를 배터리팩제어부(54)로 전송하며 배터리의 과전압, 부족전압(Under voltage), 과전류, 단락 등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는 상기 2차측코어부(51)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을 감시하고, 수신되는 전력의 전압의 정도를 판별하여 안정적으로 수신되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에 수신되는 전력의 기준전압으로는 해당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선택 사양별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대체로 2 ~ 20V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휴대용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대체로 5V 정도로 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신되는 전력의 전압이 저전압으로 감지되는지, 그리고 수신되는 전력의 전압이 고전압으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비교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준전압에 대해 앞에서의 예시와 같이 5V를 예로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저전압 감지여부는 5V 보다 -1.5V 내지 -0.5V 정도가 감압된 정도로 감지되는 경우로 정하여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전압의 기준이 되는 전압의 정도는 5V를 예로하면, 대체로 5V 보다 +1.5V 내지 +0.5V 정도가 승압된 정도로 감지되는 경우로 정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감압 또는 승압된 기준치보다 낮거나 높은 전압으로 전력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팩제어부(54)에서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고유 ID데이터신호와 함께 전압보정의 정도에 대한 전송신호를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측으로 발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 측으로 유도자기장 신호를 발신하는 무접전전력전송장치(10)의 개략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메인컨트롤블럭(11)의 제어에 의하여 1차측코어(31)에서 유도자기장 신호가 발신되도록 구비되고,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전송받아 전원이 충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는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 측으로 무접점 방식으로 전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공진형컨버터(14) 및 메인컨트롤블럭(11)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컨트롤블럭(1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공진형컨버터(14)에 전력신호 발신을 위한 발진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게이트드라이버(15)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인컨트롤블럭(11)으로 전송하는 수신신호처리부(19)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무접점충전케이스(미도시됨)에는 전방으로 전원 온/오프스위치, 신호입력을 위한 입력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무접점충전 플레이트 및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엘씨디패널 및 충전상태엘이디 등의 표시부(1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3)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충전 플레이트에는 휴대폰, PDA, PMP, DMB단말기, MP3, UM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휴대용장치(M)에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팩(즉 탈부착되어 각각 충전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는 배터리팩을 세미이너팩이라 한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가 놓여지는 것이고, 이에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가 놓여지면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는 이를 감지하여 충전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전원공급부(13)의 전원은, 컴퓨터(C)의 USB포트의 전원, AC adapter, Cigar Jack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충전 과정 중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18)를 구비하여, 온도검출부(18)에서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과열되는 경우에는 충전작동이 정지될 수 있고,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전체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의 작동이 일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전원공급부(13), 게이트드라이버(15), 공진형컨버터(14) 또는 수신신호처리부(19) 등과 연결되어 각각 전류의 흐름을 감시하도록 전류검출부(17) 등과 같은 전류센싱부재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센싱부재에 의하여 해당 부재들이 과전류, 과전압 상태로 되면 충전 작동을 정지하거나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전류검출부(17)를 통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로부터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피씨비베이스(511)에 패턴코어(515)가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베이스(511)가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패턴코어(515)는 평면나선형의 코어구조(PSCS, Planar Spiral Core Structure)로 하는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 Power Transmission - Planar Spiral Core)로 구비되는 것이다. 즉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평면나선형태의 코어가 피씨비베이스(511) 상에 구비되어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2차측코어부(51)의 패턴코어(515)는, 평면의 원형나선코어 형태의 원형코어구조, 평면의 타원형나선코어 형태의 타원형코어구조, 평면의 삼각형나선코어 형태의 삼각형코어구조, 평면의 사각형나선코어 형태의 사각형코어구조, 평면의 오각형나선코어 형태의 오각형코어구조, 평면의 육각형나선코어 형태의 육각형코어구조, 평면의 다각형나선코어 형태의 다각형코어구조 중 어느 한 형태의 평면나선코어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에서와 같이 두껍게 이루어지는 코어에서와 같이 많은 작업공정이 필요없어도 되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전선이 소요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평면 나선형 코어구조로 이루어지는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는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7 및 도 8 등에서와 같이 피씨비베이스(511)에 동 재질의 패턴코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PT-PCB Core, Power Transmission - Printed Circuit Board Core)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의 다른 실시로는 도 5 및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코어베이스(515) 상부로 패턴코어(516)가 형성되는 일종의 리쯔코어와 같은 코어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패턴코어(516)는 다수 개의 얇은 코일들이 수평방향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접착부재(518)에 의하여 결합되어 평면단위코어(517)를 이루고, 이와 같은 평면단위코어(517)가 평면상의 나선형 형태로 감 겨져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선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의 제1실시예인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PT-PCB Core)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피씨피(CCL,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d)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피씨비)로 되는 피씨비베이스(511) 상에, 단일층 또는 복수 층으로 하여 동재질로 된 평면 나선형 코어인 패턴코어(512)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2차측코어부(51)의 패턴코어(512)는 평면상의 나선형 형상의 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피씨비베이스(511) 상에 동 재질로 되어 평면 나선형 형상으로 되는 패턴코어(512)가 위치되며, 상기 패턴코어(515) 상부로 피에스알코팅층(513, PSR Coating Layer)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피에스알코팅층(51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 재질로 되는 2차측코어부(51)의 패턴코어(512)가 손상됨을 방지하게 되어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의 다른 실시로는 패턴코어(512)가 동 재질로 이루어져 평면 나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이러한 상기 패턴코어(512)에 무전해금도금층(514, Electroness Gold Plating Layer, EGPL)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무전해금도금층(51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 재질로 되는 2차측코어부(51)의 패턴코어(512)가 손상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1차측인 무접점전력전송장 치(10) 측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의 수신효율이 향상되어, 전체적으로 전력 충전효율이 양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5 및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코어베이스(515) 상에 마련되는 패턴코어(516)가 평면나선형의 코어구조(PSCS, Planar Spiral Core Structure)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패턴코어(516)는 얇은 코일이 여러가닥으로 하여 하나의 평면단위코어(517)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평면단위코어(517)는 여러가닥의 얇은 코일이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나열된 상태에서, 접착부재(518)에 의하여 굵은 단일 단위의 코어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평면단위코어(517)는 도 10, 도 11 등에서와 같이 수회를 걸쳐 감겨진 상태로 하나의 커다란 코어를 이루어 패턴코어(516)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패턴코어(516)는 평평한 상태의 평면단위코어(517)가 중앙으로부터 외향으로(또는 반대방향으로) 감겨져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턴코어(516) 전체의 형상도 평평한 평면나선코어 형태를 갖도록 하는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 Power Transmission - Planar Spireal Core)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평면단위코어(517)가 감겨져 하나의 평면나선코어 형태인 피티피에스코어(PT-PS Core)로 되는 패턴코어(516)는 그 전체 형상이 평평한 상태로, 상하두께가 얇게 되기 때문에, 배터리팩 처럼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 등과 같이 얇게 되도록 하는 무선장치 및 장비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체 배 터리팩 등과 같은 충전, 방전 부재들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어, 이와 결합되는 다른 부재들의 탑재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제품의 크기도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상기 패턴코어(512)(516)의 아래측으로 차폐부(61)(HPES : Hanrim Postech Electro-magnetic shield)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차폐부(61)(HPES : Hanrim Postech Electro-magnetic shield)는 차폐패널부(62), 차폐메쉬부(63), 금속박막부(64)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차폐패널부(62)는 센더스트 55 ~ 75 중량부에 대하여 25 ~ 55 중량부의 폴리우레탄이 포함되어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센더스트(sendust)는 알루미늄, 규소, 철 등으로 조성되는 것으로, 고투자율 합금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폐성능이 탁월한 센더스트와 폴리우레탄을 함께 조성하여 전송차폐패널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센더스트가 55 중량부 이하이면 차폐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반면 75 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투여되는 양에 비하여 성능이 향상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패널 형태로 이루면서 센더스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차폐패널(62)에 의하여 2차측코어부 부분에서 자기장이 효과적을 차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폐메쉬부(63)는 유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대한 와 전류를 저감하게 되는 부재로, 망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터에 와전류저감조성물이 도금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와전류저감조성물은 니켈 55 ~ 65 중량부에 대하여 35 ~ 45 중량부의 아연이 포함되어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는 와전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와전류는 와전류저감부재인 차폐메쉬부(63)에 의하여 소멸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니켈과 아연으로 되는 와전류저감조성물이 폴리에스터의 표면에 도금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차폐메쉬부(63)는 금속망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와전류(일명 "맴돌이전류")가 와전류저감부재인 금속망의 메쉬에 의하여 소용돌이효과로 감소되도록 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회로가 보호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와전류저감부재의 금속망의 메쉬에 의하여, 많은 수의 금속망 메쉬별로 맴돌이전류가 감소되도록 하기 때문에, 배터리팩 전체적으로는 자기장에 의한 맴돌이 전류가 감소되는 것이다. 이에 와전류저감부재는 금속망형상으로 100 메쉬 내지 200 메쉬 정도의 금속망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금속박막부(64)는 알루미늄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차폐부(61)(HPES : Hanrim Postech Electro-magnetic shield)의 제일 하측에서 최종적으로 자기장을 차단하여, 회로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나선형 코어구조(PSCS, Planar Spiral Core Structure)의 피티피에스 코어(PT-PS Core, Power Transmission - Planar Spiral Core)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의 구성에 대해서, 패턴코어(512)에 피에스알코팅층(513)이 형성된 경우와 무전해금도금층(514)이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코어인 리쯔코어로 구비되는 경우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되는 패턴코어(512)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효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리쯔코어와의 비교표)
항목 리쯔 코어 PSR PTPCB core EGPL-PTPCB core
소재 동(99.99%) 동(70㎛)+PSR 코팅 동(70㎛)+무전해금도금(0.03㎛)
두께 0.35mm 0.4mm 0.4mm
형태크기 32X32mm 32X32mm 32X32mm
형태 사각 평면사각형 평면육각형
턴수 20(리쯔형태) 24/(1Layer) 24/(2Layer)
가닥수/(1턴) 7 1 1
와어어 굵기 0.15Ф 1mm/2oz. 1mm/2oz.
인덕턴스 7.7uH 11uH 7.8uH
Q(no shield) 27 9 20
DCR(내부저항) 230mΩ 850mΩ 350mΩ
효율 @2.5W(5V x 500mA) 61% 53% 60%
Temp. @2.5W(5V x 500mA) 40 42 40
인덕턴수 변화율 1.5% 0.5% 0.5%
동작 주파수 100~250kHz 100~250kHz 100~250kHz
Cost Middle (설비투자 필요) Low Middle (설비투자 불필요)
성능 보통 보통 우수
(표 1)에서 동 재질의 코어에 PSR코팅된 일실시예에 대한 것과, 동 재질의 코어에 무전해금도금된 일실시예를 보인 것을 표기하였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수치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수치로 하여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표 1)에서 효율과 온도는 1차측인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유도자기장 발생을 위하여 입력되는 파워에 대하여, 2차측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 수신되는 출력 파워의 비( '2차측 DC Output Power' / '1차측 DC Input Power' )로 되는 효율(또는 온도)을 나타낸 것이고, 2.5W의 부하가 2차측에 걸렸을 때의 효율(또는 온도)을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동 재질로 하여 PSR코팅되거나 또는 무전해금도금층을 형성하여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하여 2차측코어부(51)를 형성하기 때문에, 효율은 기존의 리쯔코어와 유사하게 나오더라도 코어 자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양이 적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도 단순하게 제조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 설치도 용이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나아가 유도자기장에 대한 전력신호 수신 효율에 있어서 코어에서는 인덕턴스 변화율이 안정적이어야 하나, 종래의 리쯔코어에서는 인덕턴스변화율이 높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의 평면나선형 코어구조로 되는 경우에는 인덕턴스변화율이 안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전력신호의 수신효율이 안정적이고 향상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되는 패턴코어(512)에서는 피씨비 상부로 구비되는 동 재질의 코어에 있어서, PSR 코팅되는 경우와, 무전해금도금되어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서 표 1에서와 같이 그 성능에 대해서 각각 살펴본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의 효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코어의 내측지름을 Din이라고 하고, 외측지름을 Dout이라 할때, 우선 인덕턴스 L의 계산값은 current sheet apporximation 방식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식1)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2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3
이다.
또한 Q(quality factor)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식2)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5
이라고 했을 때, 보통 리쯔코어의 경우 Q값이 표 1과 같이 20 ~ 50의 범위의 값을 갖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평면나선형 코어구조(평면 PCB winding core)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낮은 Q값(예 20 이하)을 갖을 수 있다. 이는 낮은 DCR값에 기인하는데, DCR 값을 개선할 수 있도록 FCCL(Flexible Copper Clade Laminate) 등을 포함하는 평면 피씨비코어에 PSR(Photo Solder Resist) 잉크를 이용한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PSR 잉크는 부식을 방지하고 절연을 하기 위한 코팅제로, 이러한 방식을 이용했을 경우에 DCR 값이 높아서 낮은 Q값을 얻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FCCL을 포함하는 평면 피씨비코어 상의 동 재질의 코어에 무전해금도금(0.03㎛)을 하여 DCR값을 1/3로 낮추고 가격을 비슷하게 하면서 성능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 시험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인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PT-PCB Core)에 더하여, 유도자기장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쉴드가 구비되어 시험을 하였다.
(차폐쉴드가 구비된 코어에서의 효율)
구분 단층 평면 PCB 코어 복층 평면 PCB 코어
Q(with Shield) 12 27
효율(@2.5W) 58% 67%
상기 표1과 표2에서와 같이, 차폐부(6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차폐부(61)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보다 효율이 향상된다. 즉 단일층의 코어로 구비되는 경우에, 표 1에서와 같이 차폐부 쉴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Q가 9이고 효율이 53%으로 되는 반면, 차폐부 쉴드가 함께 구비되는 단일층의 코어의 경우 표 2에서와 같이 Q가 12로 58% 효율을 보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복층으로 평면 PCB 코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차폐부 쉴드가 구비되지 않은 표 1에서는 Q가 20으로 효율은 60%인 반면, 차폐부 쉴드가 함께 구비되는 경우에는 표 2에서와 같이 Q가 27이고 효율이 67%로 향상된 효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인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PT-PCB Core)에 대한 특성시험에 대한 것이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동일 형태로 구비되는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로, 일측의 코어에서는 일정 전류를 흐르게 하여 유도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고, 다른 코어에서는 이러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것이다.(d : 이격거리, 본 시험에서는 대략 3mm를 예로 하여 측정함).
여기서 차폐부가 구비된 경우에 대한 유도전압의 수신 효율(SE, Shield Efficiency)는 차폐부가 구비된 경우의 평균 전압값(Vrms without Shield)과 차폐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평균 전압값(Vrms with 3Layer Shield)으로 하여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ms = root mean square).
(식3)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6
으로 계산될 수 있다.
입력측 전류가 0.5A일 경우, Vrms without Shield 일 경우 170mV로 측정되었으며, 반면 차폐부 쉴드가 구비된 Vrms with 3Layer Shield 에서는 0.5mV로 측정되어,
Figure 112008087956007-pat00007
의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40dB 이상의 특성일 경우 평균적 수치인데, 대략 50dB 정도의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차폐부 쉴드의 구비에 따른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제어 흐름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도 2, 도 19 등에서와 같이, 메인컨트롤블럭(11)의 제어에 의하여 1차측코어부(31)에서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 측으로 고유ID 신호를 요청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를 탐색하기 위한 스텐바이단계(S01)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고유ID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해당 고유ID에 해당하는 신호가 ID신호검출부(19)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인컨트롤블럭(11)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텐바이단계(S01)에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로부터 고유ID 신호가 수신되어 감지하는 것으로, ID신호검출부(19)에서 신호처리하는 ID신호검출단계(S02)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ID신호검출부(19)에서 검출된 신호가 메인컨트롤블럭(11)에 전송되고, 검출된 신호가 정상적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로부터 전송된 고유 ID신호인지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단계(S03)가 수행된다.
상기 신호판별단계(S03)에 의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가 정상적인 장치로 판별되는 경우에, 전력전송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하는 전력신호전송단계(S04)가 수행된다.
따라서 전력신호전송단계(S04)가 수행되는 과정 중에, 전력제어알고리즘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하고 이후 완충전되게 되면 전력전송이 중지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로부터 유도자기장 신호에 의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 전력신호를 수신받는 도중에, 요동에 의하여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1차측코어(31)에 대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2차측코어부(51)에서의 자기장의 세기가 달라지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2차측코어부(51)를 통한 전송전력의 세기가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의 1차측코어부(31)의 중앙으로 2차측코어부(51)가 이동하게 되면, 수신전력이 세어지고, 반면 1차측코어부(3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신전력이 약하게 될 것이다. 이에 수신되는 전력신호에 대하여 전송된 전력의 세기에 따른 전력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안정적으로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5, 도 16 등에 의한 전력제어 알로리즘에 따른 제어 순서에 의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 수신되는 전력이, 2차측코어부(51)가 외향으로 이동으로 인하여 4.5V 이하로 수신되거나 또는 외측에 있다가 중앙으로 이동되어 5.5V 이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력전송보상에 대한 신호를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10)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는 보상된 신호로 하여 유도자기장 신호가 발신되도록 하고, 이에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서는 보상되어 안정된 일정한 정도의 전력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도 17는 전력전송보상 알고리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전력전송효율 그래프에 대한 것이고, 도 18은 전력전송보상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전력전송이 이뤄질 경우에 있어서의 전력전송 효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에 도 18에서와 같이 전력전송보상 알로리즘이 적용된 경우에 더욱 안정적이고 일정한 전력전송 효율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도 2,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에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가 구비된 충전피씨비보드(71)(81)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의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휴대용장치(M)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자접촉되기 위한 터미널단자부(58)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터미널단자(58)에는 다수의 단자(P+, P-, ID 등)가 구비되는 것으로, 무접점전력전송장치(50)의 전원이 휴대용장치(M)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호송수신을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와 휴대용장치(M) 간에 정보전송의 데이터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터미널단자(58)에 의하여, 충전정도 및 전력전송에 대한 세부 데이터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 및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를 중개 매체로 하여, 컴퓨터(C)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휴대용장치(M) 측으로 전송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휴대용장치(M)의 충전작동과 함께, 인터넷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C) 등을 통하여 업그레이드 등과 같은 데이터자료를 전송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셀(53) 후단으로 하부케이스(72)(82)가 결합되고, 선단으로 선단케이스(73)(83)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셀(53)의 외부로 외부케이스(74)(84)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상기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에 결합된 선단결합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측부가장자리에 결합된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선단형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는 선단케이스(73)와 선단피씨비케이스(75) 사이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는 상기 배터리셀(53) 측부에 결합되는 측부피씨비케이스(85)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2차측코어부(51)와 연결되어 유도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블럭(52)(Rectifier block); 상기 2차측코어부(5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배터리팩제어부(54);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정류부블럭(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회로부블럭(55); 상기 배터리셀(53)의 충전정도를 감시하고 만충전 또는 방전 상태의 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로 전송하는 충전감시회로부(56)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배터리셀(53) 상부로 구비되는 2차측코어부(51)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는 충전피씨비보드(71)(81)에 구비되는 정류부블럭(52)에서 정류된 후,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셀(53)의 단자를 통하여 충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은 배터리팩제어부(54), 충전회로부블럭(55) 등에 의하여 터미널단자부(58)을 통하여 휴대용장치(M) 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단자부(58)는 중앙에 위치된 중앙단자부(582), 중앙단자부(582)에 대해서 좌측에 위치된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에 대해서 우측에 위치된 우단자부(583)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의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에는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그리고 우단자부(583)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의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를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장치(M)에 적용하더라도, 결합되는 휴대용장치(M) 전력단자의 위치에 따라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또는 우단자부(5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터머널단자부(58)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휴대용장치(M)와 결합되어도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를 변형하지 않아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장적용범위와 활용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휴대용장치(M)로 휴대폰, PDA, PMP, MP3P, DMB 등은 각각 다수의 개별 제조회사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각각의 배터리팩인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와 접촉되는 전원단자가 제조회사별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휴대용장치(M)에 대해서도 항상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등으로 하여 다양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항상 어느 휴대용장치(M)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충전피씨비보드(71)(81)의 터미널단자부(58)인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등의 위치와 대응되는 선단피씨비케이스(75)와 측부피씨비케이스(85)에는 좌단자통공(751)(851), 중앙단자통공(752)(852), 우단자통공(753)(853) 등이 각각 형성되어, 휴대용장치(M)의 전원단자와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등과 각각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단자통공(751)(851), 중앙단자통공(752)(852), 우단자통공(753)(853) 등에는 각각의 통공과 결합되는 통공커버(585)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터미널단자부(58)의 해당 통공만 개방되어 이용되도록 해당 통공의 통공커버(585)만 개방하여 이용되도록 하고, 이용되지 않는 터미널단자부의 통공과 결합된 통공커버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닫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하여 사용되지 않는 통공으로 이물질, 수분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기기이상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감시회로부(56)에는 상기 터미널단자부(58)의 상기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중 어느 한 단자부로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미널컨트롤러(561)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중 휴대용장치(M)의 전원단자와 대응되는 단자 측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터미널컨트롤러(561)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충전감시회로부(56)에 구비됨을 예시하였다. 그리하여 휴대용장치(M)의 전원단자(미도시됨)와 대응되는 터미널단자부(58)로,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중 해당 단자부가 휴대용장치(M)의 전원단자와 연결되도록, 해당 단자의 통공커버(585)를 제거하게 되고, 이후 휴대용장치(M)와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가 결합되게 되면, 휴대용장치(M)와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서로 단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해당 연결된 단자를 통하여 전기접속되었음을 배터리팩제어부(54)에서 판별하게 되고, 이에 배터리팩제어부(54)에서는 터미널컨트롤러(561)를 통하여 해당 단자로 전원연결되도록 스위칭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반면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터미널컨트롤러(561)에서는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두 단자는 전원연결되지 않도록 하도록 차단하는 스위칭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 등이 묻어도, 사용되지 않는 단자가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 및 휴대용장치(M)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대한 제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상세구성에 대한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실시예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성능시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2차측코어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배터리팩제어부에 대한 블럭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 및 무접점전력수신장치의 전력제어순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대한 전력전송에 따른 효율 그래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전송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전력수신장치로 되는 배터리팩이 무접점전력전송장치에 위치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시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접점전력전송장치 50 : 무접점전력수신장치
51 : 2차측코어부 52 : 정류부블럭
53 : 배터리셀 54 : 배터리팩제어부
55 : 충전회로부블럭 56 : 충전감시회로부
58 : 터미널단자부
61 : 차폐부 62 : 차폐패널부
63 : 차폐메쉬부 64 : 금속박막부
71 : 선단충전피씨비보드 75 : 선단피씨비케이스
81 : 측부충전피씨비보드 85 : 측부피씨비케이스
511 : 피씨비베이스 512 : 패턴코어
561 : 터미널컨트롤러

Claims (5)

  1. 무접점전력전송장치(1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 신호에 대하여,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2차측코어부(51)에서 유도자기장에 의한 전력신호를 수신받고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전원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충전된 전원이 휴대용장치(M)에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상기 배터리셀(53)의 상부면에 상기 2차측코어부(51)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에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가 구비된 충전피씨비보드(71)(81)가 구비되며,
    선단가장자리 또는 측부가장자리의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휴대용장치(M)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자접촉되기 위한 터미널단자부(58)가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단자부(58)는 중앙에 위치된 중앙단자부(582), 좌측에 위치된 좌단자부(581), 우측에 위치된 우단자부(583)로 구비되며,
    상기 충전피씨비보드(71)(81)에는 상기 2차측코어부(51)와 연결되어 유도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블럭(52)(Rectifier block);
    상기 2차측코어부(5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배터리팩제어부(54);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정류부블럭(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셀(53)에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회로부블럭(55);
    상기 배터리셀(53)의 충전정도를 감시하고 만충전 또는 방전 상태의 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제어부(54)로 전송하는 충전감시회로부(5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감시회로부(56)에는 상기 터미널단자부(58)의 상기 좌단자부(581), 중앙단자부(582), 우단자부(583) 중 어느 한 단자부로 전력전송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미널컨트롤러(56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상기 패턴코어(515)의 아래측으로 차폐부(6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차폐부는 차폐패널부(62), 차폐메쉬부(63), 금속박막부(64)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코어부(51)는 피씨비베이스(511)에 패턴코어(515)가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베이스(511)가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의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턴코어(515)는 평면나선형의 코어구조(PSCS, Planar Spiral Core Structure)로 하는 파워트랜스 평면나선코어(PT-PS Core, Power Transmission - Planar Spiral Cor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전력수신장치(50)는 상기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선단가장자리에 결합된 선단결합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가 상기 배터리셀(53)의 측부가장자리에 결합된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셀(53) 후단으로 하부케이스(72)(82)가 결합되고, 선단으로 선단케이스(73)(83)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셀(53)의 외부로 외부케이스(74)(84)가 결합되고,
    선단형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선단충전피씨비보드(71)는 선단케이스(73)와 선단피씨비케이스(75) 사이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측부결합형으로 구비되는 측부충전피씨비보드(81)는 상기 배터리셀(53) 측부에 결합되는 측부피씨비케이스(85)에 내재되어 배터리셀(53)의 단자 및 2차측코어부(51)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전력수신장치.
KR1020080131328A 2008-12-12 2008-12-22 무접점전력수신장치 KR10090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28A KR100900084B1 (ko) 2008-12-22 2008-12-22 무접점전력수신장치
PT09808926T PT2357715T (pt) 2008-12-12 2009-04-17 Estação de carregamento sem contacto equipada com um núcleo ptps tendo uma estrutura de núcleo plana em espiral, aparelho de receção de energia sem contacto e método para os controlar
EP09808926.1A EP2357715B1 (en) 2008-12-12 2009-04-17 Contactless charging station equipped with a ptps core having a planar spiral core structure, contact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2/674,948 US9178376B2 (en) 2008-12-12 2009-04-17 Non-contact charging station with power transmission planar spiral core, non-contact power-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S09808926.1T ES2687775T3 (es) 2008-12-12 2009-04-17 Estación de carga sin contacto equipada con un núcleo de PTPS que tiene una estructura de núcleo en espiral plana, un aparato de recepción de energía sin contacto y un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misma
PL09808926T PL2357715T3 (pl) 2008-12-12 2009-04-17 Bezstykowa stacja ładująca wyposażona w rdzeń ptps mający płaską spiralną konstrukcję rdzenia, bezstykowe urządzenie odbierające energię, oraz sposób sterowania nimi
HUE09808926A HUE039569T2 (hu) 2008-12-12 2009-04-17 Érintkezésmentes töltõállomás sík spirál magszerkezetû PTPS maggal, érintkezésmentes energiát fogadó készülék, és eljárás annak vezérlésére
CN201310042301.6A CN103208847B (zh) 2008-12-12 2009-04-17 一种非接触充电站
CN2009801002482A CN101828320B (zh) 2008-12-12 2009-04-17 非接触充电站、非接触受电装置及其控制方法
US15/802,373 USRE49300E1 (en) 2008-12-12 2009-04-17 Non-contact charging station with power transmission planar spiral core, non-contact power-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K09808926.1T DK2357715T3 (en) 2008-12-12 2009-04-17 CONTACTLESS CHARGING STATION EQUIPPED WITH A PTPS CORE WITH A PLANAR SPIRAL NUCLEAR STRUCTURE, CONTACTless POWER RECEIVER, AND PROCEDURE TO CONTROL TOGETHER
JP2011540588A JP5393804B2 (ja) 2008-12-12 2009-04-17 平面螺旋形コア構造を備えた無接点電力充電ステーション、無接点電力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CT/KR2009/002003 WO2010067927A1 (ko) 2008-12-12 2009-04-17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피티피에스 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 무접점전력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3/344,741 US9130395B2 (en) 2008-12-12 2012-01-06 Non-contact charging station with planar spiral power transmission coi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3191812A JP5932743B2 (ja) 2008-12-12 2013-09-17 平面螺旋形コア構造を備えた無接点電力充電ステーション、無接点電力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28A KR100900084B1 (ko) 2008-12-22 2008-12-22 무접점전력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084B1 true KR100900084B1 (ko) 2009-05-28

Family

ID=4086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328A KR100900084B1 (ko) 2008-12-12 2008-12-22 무접점전력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7339A (zh) * 2009-10-09 2012-09-19 无线联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天线和功率转移线圈的便携式电子设备
KR101294530B1 (ko) 2011-08-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US9997292B2 (en) 2011-07-26 2018-06-12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34B1 (ko) 2006-10-24 2008-06-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KR100874837B1 (ko) 2007-07-09 2008-12-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634B1 (ko) 2006-10-24 2008-06-10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KR100874837B1 (ko) 2007-07-09 2008-12-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7339A (zh) * 2009-10-09 2012-09-19 无线联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天线和功率转移线圈的便携式电子设备
US8624545B2 (en) 2009-10-09 2014-01-07 Convenientpower Hk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and power transfer coil
CN102687339B (zh) * 2009-10-09 2015-01-07 无线联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天线和功率转移线圈的便携式电子设备
US9997292B2 (en) 2011-07-26 2018-06-12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294530B1 (ko) 2011-08-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8376B2 (en) Non-contact charging station with power transmission planar spiral core, non-contact power-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130395B2 (en) Non-contact charging station with planar spiral power transmission coi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651724B2 (ja) 無接点電力送信装置
JP5563501B2 (ja) 無接点充電用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233664B (zh) 充电效率变化减小的无线充电器
US102247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976158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수신장치
KR100928439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
JP2009136133A (ja) マルチ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425678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
CN102315699B (zh) 无线充电的实现装置
JP2009201344A (ja) 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20080081480A (ko) 복수의 코일 패드를 구비한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KR100900084B1 (ko) 무접점전력수신장치
KR100971714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복층형으로구비된 멀티무접점충전스테이션
KR101110282B1 (ko) 무접점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의 무접점 전력 전송 제어 방법
KR100915842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피티피에스 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998683B1 (ko) 멀티무접점전력충전이 가능한 무접점전력수신장치
CN207559614U (zh) 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