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725B1 - 보호벽 막 - Google Patents

보호벽 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725B1
KR100899725B1 KR1020067026570A KR20067026570A KR100899725B1 KR 100899725 B1 KR100899725 B1 KR 100899725B1 KR 1020067026570 A KR1020067026570 A KR 1020067026570A KR 20067026570 A KR20067026570 A KR 20067026570A KR 100899725 B1 KR100899725 B1 KR 10089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ursor
poly
chain
membran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592A (ko
Inventor
엘더트 렌스 모렌베르그
Original Assignee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25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97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filed Critical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07002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0Post-polymerisation treatment, e.g. recovery, purification,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4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 C08G75/045Polythioethers from mercapto compounds or metallic derivatives thereof from mercapto compounds and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12Polythioether-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존재 하에서 최소 2개 전구체들의 반응에 의해 획득할 수 있는 세포 폐색 막(cell- occlusive membrane) 및 상기 막(膜)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m과 n이 2보다 크면 전구체들의 각 축은 하나의 교차 연결점을 형성하고, m 이 2이면 그에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은 인접한 첫 번째 전구체 A의 축에 대응하고, n 이 2이면 그에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은 인접한 두 번째 전구체 B의 축에 대응하고, 그 인접한 교차 연결점들은 600개 원자들보다 적게 보유한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연결점들로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반응과, m은 2와 같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이고, n은 2와 같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이고, m+n은 5와 같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인 것이; 포함되는 상기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의 어느 하나에 부착된 컨쥬게이트 불포화그룹(conjugated unsaturated groups) 또는 컨쥬게이트컨쥬게이트 결합(conjugated unsaturated bond)를 가진 n 개 체인을 포섭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 첫 번째 전구체(precursor) A와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의 어느 하나에 부착된 티올(thiol) 그룹을 가진 m 개 체인을 포섭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 두 번째 전구체 B;를 포함하여, 물의 존재 하에서 최소 상기 2개 전구체들의 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구체, 세포 폐색 막, 교차 연결점

Description

보호벽 막{Barrier Membrane}
물의 존재 하에서 최소 2개 전구체들의 반응에 의해 획득할 수 있는 세포 폐색 막(cell- occlusive membrane) 및 상기 막(膜)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 치아의 부착을 턱뼈 속으로 위치하도록 삽입하는 티타늄 나사못(titanium screw), 뼈 속 삽입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이런 임플란트 작동은 임플란트를 하려고 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불충분한 뼈의 볼륨 및 뼈의 결손으로 방해받을 수 있다. 임플란트를 하려고 하는 위치에 뼈 형성을 촉진에 종종 적용되는 측정은 GBR(Guided Bone Generation, 유도된 뼈 생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뼈 형성의 원하는 위치는, 뼈 형성이 없는 소프트 조직 세포를 그 위치의 출입, 즉 뼈로 그것을 채울 골수로부터 세포 입출의 용인을 억제하는 보호벽 막(Barrier Membrane)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추가적으로, 재질를 채운 뼈형성 유도 뼈(osteoconductive bone)는 막 지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GBR 또는 조직 재생성의 영역에서 세포-폐색 막은 여러 정류가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세포-폐색 막은 이종 개체 그리고 합성 제조된 막 재질에 유래된 이종 막 재질로의 발생에 따라 그룹지어 분류될 수 있다.
이종 재질은 항상 감염 위험이 따른다. 막 재질의 대부분은 판 내에 딱딱하게 존재하고 소비되는 적절한 시간인 외과 시술에 의해 크기별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이런 과정에는 형태 매칭 때문에 여러 곤란한 점이 초래된다. 이종 재질의 한 예는, 친수성이 있고 미생물 분해 가능성이 있는 콜라겐이 그것이다.
합성 재질의 한 예로는 PETE(테프론, Teflon)이 그것이다. 상기 PETE 막은 소수성이므로 바이오 조직에 잘 부착되지 않아 종종 핀이나 나사못을 이용하여 접착시킨다. 더욱이 상기 재질은 미생물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시술 후 2차 치료에서는 그 재질을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미생물 분해성 물질은 선행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한 매트릭스 재질은, WO 01/92584 공보에, 콘쥬케이트(포합) 불포화 그룹(conjugated unsaturated groups)에 핵산선호 첨가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것이 공표되어져 있다. 약학적인 활성 성분은 바이오 재질에 공유적으로 부착되고, 그것은 순차적으로 인체에 방출될 것이다. 1 개월 내에 일반 생리 상태 하에서 그 미생물 분해성 물질은 사라진다.
WO 00/44808 공보에서는, 또한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에 핵산선호 추가 반 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메릭 바이오재질이 공표되어 있다. 그 획득된 하이드로젤은 접착제 또는 실란트로서, 그리고 조직공학 및 상처 수술의 접합제재로서 이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소위 이 하이드로젤은 일반 생리 상태에서 아주 신속히 소멸된다.
US 5,874,500 공보에서는, 2개 또는 그 이상 아미노 그룹들을 가지는 첫 번째 합성 폴리머에 공유 결합되는 다중 전기친화성 그룹들과 생물학적 활성 성분을 가지는 두 번째 합성 폴리머를 보유하는 교차 연결된 폴리머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폴리머 구성은 첫 번째 표면과 두 번째 표면 사이의 점착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세포 증대 효과, 그리고 외과적 점착의 형성을 방해하거나 합성 임플란트 표면에 도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단어로서, “polymerization(중합)" 과 ”cross-linking(교차 연결)"은 분자량에 관한 본질적인 증가의 결과를 초래할 상호 다른 전구체들의 연결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게다가 ”cross-linking(교차 연결)"는 전형적으로 폴리머 네트워크를 획득할 수 있는 결합(브랜칭)으로 표현된다.
“self selective(자가 선택)"는 첫 번째 전구체 A는, 반응부위에 있는 혼합물에 있어 다른 현존 구성물(compounds) 보다는, 두 번째 전구체 B에 보다 빨리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두 번째 전구체 B도, 반응부위에 있는 혼합물에 있어 다른 현존 구성물보다는, 첫 번째 전구체 A에 보다 빨리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물에는 다른 생물학 제재, 예를 들어, drugs, 펩타이드, 단백질, DNA, 세포, 세포 집합체, 그리고 조직 등이 포함될 것이다.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conjugated unsaturated bond)”는 C-C, C-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헤테로 원자 단일결합에 다중결합 등을 택일적으로 나타내고, 이런 결합들은 첨가 반응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conjugated unsaturated groups)”은 C-C, C-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헤테로 원자 단일결합에 다중결합 등을 택일적으로 포함하고, 추가반응이 진행될 수 있는 다중 결합을 가지는 분자 또는 분자의 영역을 의미한다.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의 여러 예들을 포함하나, 그러나 아크릴레이트(acrylates), 아크릴아미드(acrylamides), 퀴닌(quinines), 그리고 비닐피리디늄(vinylpyridiniums)(예컨대, 2- 또는 4-vinylpyridinium)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문제점은 감염을 잘 극복하고, 방어할 수 있는 위치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부드러운 조직이 둘러싸여지는 것을 방해하는 생분해성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는 청구항 1 발명의 구성에 따른 막 장애제재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7의 발명은 보다 구체적인 상세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기술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막은 최소 2개 또는 그 이상의 전구체 간의 반응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전구체들의 특성에 따른 조합, 즉 전구체들의 체인 수 뿐만 아니라 600 개 원자들 보다 적은 수로 이루어진 체인에 의해 연결된 인접한 교차 연결점들 때문에, 결과적으로 형성된 상기 막을 세포 폐색으로 생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막은 방어할 수 있는 위치에 상호작용으로부터 부드러운 조직을 둘러싸는 것을 방해한다. 이것은 뼈 손상 부분에서 신속한 뼈 생성한다.
상기 막은 동물이 아닌 것으로부터 기원되었기 때문에 동물 병원균의 감염이나 전이의 위험이 적다. 게다가, 상기 막은 생분해성이 뛰어나, 2차 외과시술을 피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막은 예후되는 치료 결과는 외과 시술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임플란트 베드(bed) 손상에 효과적인 뼈 재생성을 위한 완벽한 치료 시간동안, 방해제재 기능을 유지할 정도로 충분한 안정성이 있다. 상기 막은 약 6개월 이내 자연적으로 생분해되어 소멸하고, 그 소멸 생산물들은 용이하게 배출되며 독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막은 원래 위치에서 적용되는데, 이 의미는 의사 및 환자의 요구에 따라 신속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막의 응용 모드 때문에 아래 위치한 표면에의 형태에 적용이 되어, 최적의 규격화되고 고정된다. 이러한 막의 고정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후 추가의 구강구조 맞춤측정을 회피해도 용이하게 시술 작업이 가능하다. 완벽한 규격 맞춤 때문에 원하지 않은 미세 이동의 위험성이 의미 있게 더 적어졌다.
첫 번째 전구체 A는 체인의 마지막 20개 원자에 부착된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bond) 또는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에 n 체인들을 포섭하는 축(코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술된 상기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 또는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은 터미널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는 탄소나 질소 원자와 같은 단일 원자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유니트, 설탕, 다기능 알코올(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또는 올리고 글리세린, 헥사글리세롤과 같은 작은 분자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선형 폴리머(linear polymers) 또는 선형 또는 브랜치된 알킬 체인(alkyl chains)들로 (선택적으로 헤테로 원자, 아미드 그룹, 또는 에스테르 그룹을 포함하는)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체인들의 코어는 추가적으로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이나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을 가지지 않는 선형 또는 브랜치된 알킬 잔기(residues)와 폴리머로 대용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첫 번째 전구체 A는 2개 내지 10개의 체인을 가지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4 개 내지 8개의 체인을 가진다. 그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s), 아크릴아미드(acrylamides), 퀴닌(quinines), 그리고 비닐피리디늄(vinylpyridiniums)(예컨대, 2- 또는 4-vinylpyridinium)과 Ia 또는 Ib 구조의 이타코네이트 에스테르)(itaconate esters)(R1과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을 가지고, R3는 선형 또는 브랜치된 C1 내지 C10 탄화수소(hydrocarbon) 체인,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1
두 번째 전구체 B는 체인 말단에 마지막 20개 원자들에 부착된 티올(thiol) 그룹을 가지는 m 체인들, 그 각자를 포섭하는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시스테인 잔기는 상기 체인에 합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티올 그룹이 터미널(말단) 구조가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코어는 단일 원자(탄소나 질소 원자와 같은) 또는 작은 분자(에틸렌 옥사이드 유니트, 설탕, 다기능 알코올(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또는 올리고 글리세린, 헥사 글리세롤과 같은)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선형 폴리머 또는 선형 또는 브랜치된 알킬 체인들로 (선택적으로 헤테로 원자, 아미드 그룹, 또는 에스테르 그룹을 포함하는) 구성되어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번째 전구체 B는 2개 내지 10개의 체인을 가지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8개의 체인을 가진다.
첫 번째 전구체 A 화합물은 2 개의 체인 또는 그 이상인 구조로 되어 있는 n 체인들을 가진다. 그리고 두 번째 전구체 B 화합물도 2 개의 체인 또는 그 이상인 구조로 되어 있는 m 체인들을 가진다. 첫 번째 전구체 A 및/또는 두 번째 전구체 B는 작용되지 않는 더 많은 체인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전구체 A 와 두 번째 전구체 B들의 합(m+n의 의미)은 5 개의 체인 또는 그 이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n의 합은 조밀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얻기 위해 8 이거나 이 보다 더 큰 것이 좋다.
전구체들의 각 코어들은 m과 n, 둘 모두 2보다 크면 하나의 교차 연결점을 형성한다. 두 번째 전구체 B가 선형으로 표시하는, m이 2이면, 그에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은 인접한 첫 번째 전구체의 코어에 상응된다. 그리고 첫 번째 전구체 A가 선형으로 표시하는, n이 2이고, 그에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은 인접한 두 번째 전구체 B의 코어에 상응된다. 상기 인접한 교차 연결점들은 600 개 원자들 보다 적게 보유한 체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600 개 원자들은 체인의 백본에 존재하는 원자들만을 의미한다. 그 의미는 셀 수 있는 원자의 치환기나 수소 원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인접한 교차 연결점 사이의 원자의 수는 약 330 개 원자 수들보다 적은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자수 30 개와 120 개가 좋다. 그러므로, 이 결과에 의해 초래된 3차원 네트워크의 메쉬는 세포 치수(하나 세포의 치수는 1μm 내지 100μm이다)보다 작은 크기의 여러 개의 배열구조, 세포 폐색 막으로 된다.
도면2 .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2
첫 번째 전구체 A 와 두 번째 전구체 B들 (m+n)의 체인 수는 최소한 5개이고, 첫 번째 전구체 A의 코어(축)와 두 번째 전구체 B의 코어(축) 사이의 거리는 작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 물성분이 감소되어지고, 그 결과 생체조건하에서 안정성이 더 연장된다. 그러나, 물의 존재는 작은 분자량의 수송이 증가된다. 즉, 세포로부터 분리된 배출 물질이 수송될 수 있고, 영양분도 세포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전구체 A 와 두 번째 전구체 B 간의 반응은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 또는 첫 번째 전구체 A의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과 두 번째 전구체 B의 티올 그룹의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 사이에 마이클 타입 촉매화된 첨가 염기에 의거 염기화되는 것이 좋다.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3
이로 인한 연결구조는 물과 접촉하여 가수분해 된다. 가수분해 반응의 비율은 온도와, 최적의 조직 내 pH 7.4인, pH 값에 의존한다. 몇 개 결합의 가수분해 후 교차 연결된 네트워크는 불안정한 연결의 가수분해 때문에 감소되거나 파괴된다.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4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첫 번째 전구체 A의 체인 수 및/또는 두 번째 전구체 B의 체인 수들은 선형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릭 산), 폴리(에틸렌-코-비닐-필로리돈), 폴리(에틸록사졸린, ethyloxazoline), 폴리(비닐-필로리돈), 폴리(말레익 산), 폴리(에틸렌-코-말레익 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코-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드로 구성되어 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상기 폴리머들은 또한 코폴리머들, 블록 폴리머들, 그래프트(graft) 코폴리머들, 또는 임의(random) 코폴리머들이 될 수 있다. 친수성 폴리머들의 말단에 중합(폴리머)화된 블록들은 예컨대, 락틱 산(젖산), 글리콜릭 산, ε-카프로락톤, 락틱-코-글리코릭 산 올리고머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안하이드리드(anhydrides), 그리고 아미노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구체 분자들의 체인 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들(이하, PEG라 함)이다. PEG는 고도의 수용성이고, 높은 품질과 다양한 다른 구조로 유용하다. 더구나 PEG는 비독성이고 인체의 구강 그리고 국소부위 적용 및 주사제로 FDA 승인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첫 번째 전구체 A는 8 개의 체인과 약 2k(kg/mol=kDa)의 분자량을 가진 PEG-아크릴레이트(acrylate)이다. 그 분자량은 대략 ±20%의 유의차에 의거 변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5
두 번째 전구체 B는 4 개의 체인과 약 2k(kg/mol=kDa)의 분자량을 가진 PEG-티올(thiol)이다.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6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점성 개량 에이전트는 겔화되기 전 유출 용액을 방지하기 위해 전구체에 첨가될 수 있다. 가능한 점성 개량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CMC 또는 산탄(Xanthan)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첫 번째 전구체 A에 자가-폴리머(중합)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안정제를 첨가될 수 있다. 가능한 안정제는 좋은 안정성을 있는 메텔렌 블루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막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구체들을 물(바람직하게 인체 생리 또는 거의 인체 생리와 유사한 pH 상태로 버퍼화된 물)의 존재 하에서 함께 혼합한다. 모노머들은 전적으로 물속에서 수용성일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교차 연결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즉, 10 초에서 15 분간)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외과 수술부위는 상대적으로 수술 진행 완전성이 곧 폐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막을 생성하는 혼합은 여러 수단에 의해 일어날 수 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첫 번째 전구체 A는 첫 번째 버퍼와 혼합되고, 두 번째 전구체 B는 두 번째 버퍼와 혼합된다. 2개 혼합물에 적용에는, 2개 실링(syringes)에 부착된 고정 믹서기의 의해 혼합되고, 이로 인한 혼합물은 원래대로 적용된다.
상기 혼합은 공기분무에서 두 전구체 용액 각각의 미세 방울 간에 일어날 수 있다. 하나의 용액은 2개 전구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나, 단지 pH 존재 하에만은, 예컨대, 상기 반응은 진행할 수 없거나 단지 느리게 진행할 뿐이다. 이전-혼합된 전구체 용액의 진행단계 이후, pH는, 예를 들어, 산과 염기의 혼합에 의해, 또는 산이나 염기를 생성하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또는 산 또는 염기의 확산에 의해, 화학반응이 적절하게 진행할 할 수 있는 종료 전구체에서 종료 조건에 적응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접근은 단지 온도 조건하 만에서는, 종료 전구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나, 그러한 조건하에서 반응은 진행할 수 없거나 단지 느리게 진행할 뿐이고, 반응의 활동에너지 또는 온도- 민감 특성을 지닌 버퍼에, 또는 상기 둘 모두에 관련되어 있다. 종료 적응 온도(e.g., 주입 후 인체온도)에 대한 따뜻함 또는 참(가장 유용적인 따뜻함)의 조건하에서, 종료 전구체 용액에서 그런 조건들은 진행할 화학 반응을 위해 적절하게 적응될 것이다.
첫 번째 전구체 A 그리고 두 번째 전구체 B는 상호 각각 독립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구체들은 첫 번째 전구체 A 그리고 두 번째 전구체 B, 상호 각각 분리되어진 전구체를 포함한 키트 형태로 함께 판매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구체들은 두 개의 실링(syringes), 두 개의 구획된 공간이 있는 컨테이너, 또는 2 개의 다른 콘테이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전구체 A 그리고 두 번째 전구체 B, 상호 각각 분리되어진 버퍼 용액에서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1 : PEG - 티올 2k
A.) PEG-테트라알릴에테르(tetraallylether) 2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7
4-연결가지(arm) PEG 2k의 20.3g(Mn = 2323 g/mol, 35.7 meq OH)은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테트라 하이드로푸란 20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물 성분이 200ppm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분자체(molecular sieves) 위에서 환류하는 솔벤트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후, 그것은 상온에서 냉각되었고, 미네랄 오일(67mmol)에서 60% NaH 현탁물 2.69 g 을 첨가하여 15분 동안 반응시켰고, 그 후 알릴브로마이드(73.3 mmol) 8.75 g 을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물은 환류시키며 밤새 저어 주었다. 냉각 후, 셀라이트 545 약 1cm 에 통과시켜 여과하여, 엷은 노란색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솔벤트 및 잉여 알릴브로마이드는 순환 증발에 의해 제거를 하였고, 남은 오일은 물 200ml에서 다시 용해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현탁액을 디에틸 에티르 50ml 분량으로 3번 수세하고, NaCl 20 g 에 용해된 투명하고, 엷은 노란색 용액을 얻었다. 상기 생산물은 디클로로메탄 50ml 분량으로 3회 추출하였고 컨쥬게이트 유기층은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순환 증발에 의해 솔벤트의 제거로 엷은 노란색 오일 21. 3 g(98%)를 수득하였다. 1H NMR로 상기 생산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B.) PEG-테트라(thioacetate) 2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8
PEG-테트라 알릴에테르 19.7g(Mn = 2483 g/mol, 31.7 meq 알릴(allyl))과 AIBN 1.70 g(10.4 mmol)는 테트라 하이드로푸란 없는 안정제 150ml에서 용해되고 상기 용액은 Ar으로 배출 및 불순물 제거의 4회 반복으로 가스를 제거하였다. 상기 용액은 20시간 한 기간 이상 환류시켰다. 테트라 하이드로푸란 21ml에서 가스가 제거된 티오 아세틱 산 용액 9.0 mml(135 mmol) 의 10ml 분량으로 3회 첨가하였다. 마지막 첨가 전, AIBN 0.53 g(3.3 mmol)을 첨가하였다. 추가 4시간 동안 환류 하에서 저은 후, 상기 생산물은 이미 기술된 A.)의 조건으로 분리하여, 맑은 노란색 오일 22.2 g(100%)을 얻었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 및 알릴 그룹의 완전한 변환은 1H NMR로 확인하였다. 그것은 약 95%의 기능 수위를 보여주었다.
C.) PEG-테트라티올(tetrathiol) 2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09
PEG-테트라(thioacetate)2k 10.9g(Mn = 2787 g/mol, 15.7 meq thioacetate)는 물 10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Ar으로 배출 및 불순물 제거의 4회 반복으로 가스를 제거하였다. 그런 후, 가스가 제거된 0.4 M NaOH 수용액 100ml, 그리고 상기 획득 용액에 대해 다시 가스제거를 하였다. 상온 하에서 2 시간 동안 저은 후, 2.00 M KHSO4 수용액 12.7 ml을, 수득하는 pH 6.5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생산물은 이미 기술된 A.)의 조건으로 분리하였고, 그 진행 동안 Ar 분위기를 유지하였고, 노란 오일 10.1 g(98%)을 얻었다. IR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카르보닐 그룹이 없음이 감지되었고, 1H NMR로 그 생산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시예2 : 선형 PEG-디티올(dithiol) 3.4k
A.) α,ω- 비스 -알릴( bis - allyl )- PEG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0
α,ω-비스-하이드록시-PEG 34.0g (Mn = 3391 g/mol, 20.1 meq OH)는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25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물 성분이 100ppm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분자체 위에서 환류하는 솔벤트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후, 그것은 약 50℃온도로 냉각되었고, 알릴브로마이드(73.3 mmol) 4.0 ml을 첨가 후, 미네랄 오일(42 mmol)에서 60% NaH 현탁물 1.68 g 을 첨가하여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현탁물은 환류시키며 밤새 저어 주었다. 냉각 후, 그것은 셀라이트 545 약 1cm 에 통과시켜 여과하여, 엷은 노란색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솔벤트 및 잉여 알릴브로마이드는 순환 증발에 의해 제거를 하였고, 남은 고형물은 물 200ml에서 재용해 하였다. 상기 수득한 현탁액을 디에틸 에티르 50ml 분량으로 2번 씻어 20 g NaCl에 용해된 투명하고 엷은 노란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은 클로로포름(chloroform) 50ml 분량으로 3회 추출하였고, 컨쥬게이트 클로로포름 층들은,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고, 약 80 ml에 이르기까지 순환 증발하여 여과 및 농축하고, 찬 에틸 에테르 1.2 L 에서 침전, 이어서 여과 및 수득한 33.3 g (96%)흰 파우더를 진공 오분 60℃ 하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로 확인하였다. 그것은 약 97%의 기능 수위를 보여주었다.
B.) α,ω- 비스 (3- 티오아세틸프로필 )- PEG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1
α,ω-비스알릴-PEG 31.7 g(Mn = 3471 g/mol, 18.3 meq 알릴) 및 AIBN 1.02 g(10.4 mmol)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없는 안정제의 20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Ar으로 배출 및 불순물 제거의 4회 반복으로 가스를 제거하였다. 상기 용액은 21시간 한 기간 이상 환류시켰다. 21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티오아세틱 산 9.0 mml(135 mmol)의 가스제거된 용액의 10ml 분량으로 3회 첨가하였다. 마지막 첨가 전, AIBN 0.53 g(3.3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 5시간 동안 환류 하에서 저은 후, 상기 생산물을 이미 기술된 A.)의 조건으로 분리하여, 흰 파우더 30.8 g(93%)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 및 알릴 그룹의 완전한 변환은 1H NMR로 확인하였다. 그것은 약 97%의 기능 수위를 보여주었다.
C.) α,ω- 비스 (3- 메르캅토프로필 ) - PEG 3.4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2
α,ω-비스(3-티오아세틸프로필)-PEG 8.5 g(Mn = 3623g/mol, 4.7 meq 티오아세테이트)는 가스가 제거된 0.20 M NaOH 수용액 70ml에서 용해되었고, Ar가스 분위기 하의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저었다. 그런 후, 2. 00M KHSO4 수용액을 pH 6이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이미 기술된 A.)의 조건으로 분리하였고, 그 진행 동안 Ar 분위기를 유지하였고, 흰 파우더(분말가루) 6.4 g(76%) 을 얻었다. IR 스펙트로스코프에 의해 카르보닐 그룹(시그널 1690 cm-1에서)이 없음이 감식되었고, 1H NMR로 그 생산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시예3 : PEG -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3
4-arm PEG 2k 12.7g(Mn = 2323 g/mol, 21.9 meq OH)는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25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물 성분이 100ppm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분자체 위에서 환류하는 솔벤트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후, 그것은 상온으로 냉각되었다. 트리에틸아민 2.81g이 첨가되었고, 30℃ 이하를 유지된 반응 혼합물의 온도로 건조한 디클로로메탄 25ml 속에 acryloylchloride 2.51g 용액을 상기와 같은 비율로 적절하게 방울로 첨가되었다. 수득한 상기 현탁액을 셀라이트 545의 약 1cm 을 통과시켜 여과하였고, 획득한 엷은 노란색 투명한 용액에 MEHQ 44g을 첨가하였다. 솔벤트는 순환 증발에 의해 제거를 하였고, 남은 오일은 물 150ml에서 재용해되었고, NaHCO3는 pH 8이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상기 수용액은 디에틸 에테르 15ml로 3번 씻어 내었고, 15 g NaCl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상기 생산물은 디클로로메탄 50ml 분량으로 5회 추출하였다. 상기 컨쥬게이트 유기층은 황산나트륨(Na2SO4)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순환 증발에 의해 솔벤트의 제거로 노란색 오일의 12. 9 g(93%)를 수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로 확인하였다. 그것은 약 95%의 기능 수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4 : PEG - 옥타아크릴레이트 2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4
8-arm PEG 2k(Mn = 1985 g/mol)로부터 시작과 전술한 실시예 3의 과정에 따라, 약 94%의 기능 수위를 보유한 PEG-옥타아크릴레이트 2k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 PEG -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5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5
4-arm PEG 2k의 12.08g(Mn = 14861 g/mol, 3.3 meq OH)는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15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용액은 물 성분이 100ppm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분자체 위에서 환류하는 솔벤트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후, 그것은 상온으로 냉각되었다. 트리에틸아민 0.78g(7.7mmol)이 첨가되었고, 30℃ 이하를 유지된 반응 혼합물의 온도로 건조한 디클로로메탄 25ml 속에 acryloylchloride 2.51 용액이 상기와 같은 비율에서 적절하게 방울로 첨가되었다. 수득한 현탁액을 셀라이트 545의 약 1cm 을 통과시켜 여과하여, 수득한 엷은 노란색 투명한 용액에 MEHQ 44 g을 첨가하였다. 솔벤트는 순환 증발에 의해 제거를 하였고, 남은 고형물은 물 150ml에서 재용해되었고, NaHCO3는 pH 8이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상기 수용액은 디에틸 에테르 15ml로 2번 씻어 내었고, NaCl 10 g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상기 생산물은 디클로로메탄 50ml 분량으로 4회로 추출하였다. 상기 컨쥬게이트 유기층은 황산나트륨(Na2SO4)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수득한 엷은 노란색 용액에 MEHQ 30mg을 첨가하였고, 순환증발에 의해 약 35ml으로 농축시켰다. 찬 디에틸 에테르 0.8 L에서 침전, 이어서 여과 및 수득된 11.5 g 흰 파우더를 진공 오븐 60℃하에서 건조,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로 확인하였다. 그것은 약 97%의 기능 수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6 : PEG - 옥타아크릴레이트 10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6
8-arm PEG 10k(Mn = 9468 g/mol)로부터 시작과 전술한 실시예 5의 과정에 따라, 약 95%와 100% 사이의 기능 수위를 보유한 PEG-옥타아크릴레이트 10k을 수득하 였다.
실시예 7 : PEG - 옥타아크릴레이트 20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7
8-arm PEG 20k(Mn = 19770 g/mol)로부터 시작과 전술한 실시예 5의 과정에 따라, 약 96%와 100% 사이의 기능 수위를 보유한 PEG-옥타아크릴레이트 20k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 PEG - 트리스아크릴레이트 ( trisarylate ) 15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8
3-arm PEG 15k(Mn = 14763 g/mol)로부터 시작과 전술한 실시예 5의 과정에 따라, 약 97%의 기능 수위를 보유한 PEG-트리아크릴레이트 15k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 트리스(2-[4- 메르캅토 - 부티릴아미노 ]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6093218823-pct00019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4.7 g (32mmol)과 ψ-티오부티로락톤 10.3 g (101 mmol)은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클로로포름 10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환류하에서 24시간 동안 저었고, 상온으로 냉각되었고, 그리고 디에틸 에테르에서 2.0M HCl 16ml을 서서히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 후 가라 앉히고, 그 상청액의 웃물을 가만히 따르고 그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에서 재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에서 재침전시키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엷은 노란색 말랑한(waxy) 물질을 획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과 13C NMR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 트리스(2-[2-N- 아세틸아미노 -4- 메르캅토 - 부티릴아미노 ]에틸)아 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6093218823-pct00020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2.51 g (17.1mmol)과 N-아세틸호모-시스테인 티오락톤 8.54g (53.7mmol)은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클로로포름 5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환류 하에서 22시간 동안 저었고, 상온으로 냉각되었고, 그리고 디에틸 에테르에서 2.0M HCl 10ml을 서서히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 후 가라 앉히고, 그 상청액의 웃물을 가만히 따르고 그 침전물을 에탄올에서 재용해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에서 재침전시키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흰 분말가루 10.2g(90%)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과 13C NMR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 α,ω- 비스 (3- 메르캅토 - 부티릴아미노 ) - PEG 3.4k
Figure 112006093218823-pct00021
α,ω-비스아미노-PEG 1.27g (32mmol)(Mn = 3457 g/mol, 0.72 meq amine), ψ-티오부티로락톤 0.22g(2.1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미딘 20mg은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10ml에서 용해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환류 하에서 가온하여 32시간 동안 저었고, 그 후 상기 생산물은 찬 디에틸 에티르에서 2회 침전하는 과정으로 분리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흰 분말가루 1.23g(91%)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산물의 구조는 1H NMR로 확인하였다.
교화( Gelation )
실시예 12
실시예 2로부터의 생산물 7.0 mg(4.0 μeq 티올)과 실시예 8로부터의 생산물 20.0 mg(4.0 μeq 아크릴레이트)는 pH 8.0에서 트리에탄올아민/ HCl 버퍼 수용액 0.30 M의 동량에서 각각 용해시켰다. 두 용액은 0℃로 냉각시키면서 신속히 혼합하였고, 평행판 rheometer 판(plates)들 사이에 위치시켰다. 그 판들은 온도 37℃로 유지시켰고, 보관량(G')와 손실량(G'') 모듈은 10Hz의 프리퀀시에서 시간운영단위로 측정하였다. 겔 포인트는, G'와 G''의 교차점으로 정의하였고, 표 1과 같이 몇 개의 PEG농도들로 규정하였다.
표 1.
PEG (WT%) 겔(Gel) piont (S) G'30분에서 (at 30 min) (kPa)
9.2 632 2.9
10.8 486 4.3
12.3 316 8.4
14.9 289 9.6
실시예 13
실시예 1로부터의 생산물 41.9 mg(64.0 μeq 티올)과 실시예 3으로부터의 생산물 40.3 mg(63.5 μeq 아크릴레이트)는 pH 7.6에서 트리에탄올아민/ HCl 버퍼 수용액 0.050 M의 237 mg에서 용해시켰다. 두 용액은 0℃로 냉각시키면서 신속히 혼합하였고, 평행판 rheometer 판(plates)들 사이에 위치시켰다. 그 판들은 온도 37℃로 유지시켰고, 보관량(G')와 손실량(G'') 모듈은 10Hz의 프리퀀시에서 시간운영단위로 측정하였다. 겔 포인트는, G'와 G''의 교차점으로 정의하였고, 표 2와 같은 PEG농도로 규정하였다.
표 2.
PEG (WT%) 겔(Gel) piont (S) G'10분에서 (at 10 min) (kPa)
14.8 76 83.0
In vitro 분해
실시예 14
실시예 1로부터의 생산물 155.8 mg(238 μeq 티올)과 실시예 3으로부터의 생산물 150.6 mg(237 μeq 아크릴레이트)는 pH 7.4에서 트리에탄올아민/ HCl 버퍼 수용액 0.030 M의 0.59 g에서 각각 용해되었다. 두 용액은 0℃로 냉각시키면서 신속히 혼합하였고, 원통형 겔(70μl)들을 테프론 몰드(직경 6 mm)에 넣었다. 상기 겔들은 37℃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켰고, 37℃에서 10mM PBS(pH 7.4)에서 정치시켰다. 에스테르 연결의 가수분해로 부푸는 현상이 겔들의 무게에 의해 규칙적으로 관측되었다(도 1: 6개의 샘들의 평균값; 선은 로그 곡선으로 나타남). 상기 겔들은 약 64일이 지난 후 완전히 용해되었다.
실시예 15
티올 및 아크릴성분의 몇 개 다른 조합들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 14과정에 따라 겔화되었다. 겔들이 완전히 용해된 후 시간들은 표3에 예시된 바와 같다.
표 3.
예.# 티올 (Thiol) 아크릴레이트(Acrylate) 완료일
예.# 체인 체인길이 (g/mol) 예.# 체인 체인길이 (g/mol) 용해
15a* 2 2 1740 8 3 4980 11
15b 1 4 655 3 4 635 64
15c 1 4 655 6 8 1240 73
15d 1 4 655 4 8 302 121
15e 1 4 655 4 8 302 157
*비교예
실시예16 - 세포 폐색성
방법(Method)
건조 폴리비닐 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고(高)통기성 스폰지들을, 직경 3mm 및 5mm 크기, 실린더로 잘라 넣고, 탈이온화된 물에 부풀게 하고 곧이어 고온고압으로 살균처리 하였다. 이로 인해 살균된 원통형 스폰지들은 더 요구할 때까지 과잉 물을 제거하기 위해 냉동건조하여 살균 보존하였다.
표준 키트를 위한 것보다, 표준 피브린 접착(glue) 키트는 피브리노겐 성분의 종료 농도가 4개 겹쳐진 것보다 더 낮게, 그리고 트롬빈 성분의 종료 농도가 125개 겹쳐진 것보다 더 낮게 희석되어진다. 피브리노겐과 트롬빈 용액의 동량 부피는 혼합되어, PVA 구멍들 중 피브린 네트워크을 생성하는, PVA 스폰지로 흡수되어진다.
상기와 형성된 피브린-PVA 스폰지들은 동물(+control)에 이식될 때 또는 세포 물질 속에 포획될 때까지 무균 페트리 접시에 보관된다.
4-arm PEG-티올 2k와 8-arm-acrylate 2k 뿐만 아니라 점성 개선제로서 CMC을 보유한 트리에탄올아민/HCl 버퍼의 같은(동량) 몰(equimolar) 양들을 함유하여 사용하는 막 키트들, 막 PEG 겔들은 상온에서 무균상태의 원통형 스데인레스 스틸 몰드(직경 7mm, 높이 7 mm)에 넣게 된다, 겔로 세팅하기 전, 피브린 스폰지는 각 막 겔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몰드는 살균한 10 mM PBS에 옮겨지고 37℃ 인큐베이터에 하루 밤 동안 저장된 후, 뚜껑을 덮고, 겔들은 약 1시간 정도 경화된다.
일반 시술과정에서, 14마리 암컷 성숙 쥐는 4개 등 피하부위 포켓 위에 무작위적으로 분매된 4개 임플란트(이식물)를 공여받았다. 상기 포켓들 중 3개에서 1개 막 임플란트가 정치(定置)되었고, 4 번째 포켓에서 피브린이 가득 찬 2개 스폰지에 긍정적인 실험구로 정치되었다. 시술부위는 스테이플에 의해 폐쇄하였다. 상기 동물들은 후(post) 시술적인 몇 개의 타임 포인트 후에 희생되었고, 상기 임플란트는 4% PFA/PBS에서 고정시켰다. 70, 90 및 100% EtOH로 탈수반응 연속은 RT에서 천천히 흔드는 동안 수행하였다. 지속된 24시간 각 탈수반응 후 그 용액은 한번 교환하였다. 탈수반응 후 생체 외식물은 침윤동안 2회 교환되는, 신선하게 촉매화된 히스토크릴(Histocryl) 용액에 36시간 침윤하였다. 그리고 나서, 각 샘플들은 젤라틴 캡슐(EMS, 크기 13)에 끼워 넣었다. 상기 끼워진 외식물은 칼(d 형, MICROM)로 순환 마이크로톰(MICROM)에서 구획되었다. 섹션들은 마이어 헤마톡실린(Merck)과 이오신 수용액(1%, SIGMA)으로 염색하였고, Mowiol에 고정시켰다.
PVA 스폰지들에 채워진 피브린으로 세포 잠입의 정도는 자동화된 이미지 분 석에 의해 조직 외식물의 36 내지 45 생물 조직 구도 섹션(4 μm 두께)들 속에 셀 수 있는 염색된 세포핵 DAPI에 의해 정량화된다.
결과( Results )
1개월 후 차폐된 임플란트 PEG는 기본적으로 세포가 없었는데 반하여 비차페된 임플란트 스폰지의 피브린 상에서는 조밀하게 쌓여진 세포에 의해 잠입되었다. 통계적인 분석은 샘플과 긍적적인 실험구 사이에 아주 중요한 차이(P=0.00004)를 보였다. 타임 포인트에 따라서, 긍정적인 실험구에서 관찰되는 세포 수의 필수적인 변화가 없었다. 실험구 샘플에 대한 평균 값(±SD)은 (1.3±0.3)·106 /mm3당(n=12)이다.
도2에서는 실험구 샘플(open circles)에서 평균 수의 퍼센티지로서 차폐된 스폰지의 각 PEG에서 발견된 세포 수를 보여준다. 각 타임 포인트에 대한 평균 퍼센티지는 십자표식으로 나타내었다. 1과 4 개월 사이 샘플에서 발견된 세포 수는 아주 약하게 증가되었다. 비록 세포 침윤에 뚜렷한 증가가 관찰된다 하더라도, 스폰지 대부분에서의 세포 수는 긍정적 실험구에서 1% 미만으로 여전히 유지되었다. 7 개월 후, 상기 PEG 막 대부분이 분해되었고, 상기 세포 수는 긍정적인 실험구에서 (2.8 ± 4.7)%로 증가되었다. 상기 타임 포인트에서 개개 샘플 간의 강한 변이 는 개개 PEG 막들 간에 완전 분해까지의 시간에 따른 약간 변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세포 폐색이 침윤할 1% 세포들보다 작게 허용되는 것으로 정의할 때, 상기 막들은 약 6 개월 동안에 세포 폐색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임플란트 시술시 문제점으로 지적된, 조직 내 생체 감염을 잘 극복하고, 방어할 수 있는 위치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부드러운 조직을 둘러싸는 것을 방해하는 생분해성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세포- 폐색 막은 동물이 아닌 것으로부터 기원되었기 때문에 동물 병원균의 감염이나 전이의 위험이 적다. 게다가, 상기 막은 생분해성이 뛰어나, 2차 외과 시술을 피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막은 예후되는 치료 결과는 외과 시술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임플란트 베드(bed) 손상에 효과적인 뼈 재생성을 위한 완벽한 치료 시간동안, 방해제재 기능을 유지할 정도로 충분한 안정성이 있다. 상기 막은 약 6개월 이내 자연적으로 생분해되어 소멸되고, 그 소멸 생산물들은 용이하게 배출되며 독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막은 원래 위치에서 적용되는데, 이 의미는 의사 및 환자의 요구에 따라 신속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막의 응용 모드 때문에 아래 위치한 표면에의 형태에 적용이 되어, 최적으로 규격화되고 고정된다. 이러한 막의 고정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후 추가의 구강구조 맞춤측정을 회피해도 용이 하게 시술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완벽한 규격 맞춤 때문에 원하지 않은 미세 이동의 위험성이 적어지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첫 번째 전구체 A는 두 번째 전구체 B에 티오에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에서
    첫 번째 전구체 A는 n 개의 체인을 수반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체인은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에 부착된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 또는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두 번째 전구체 B는 m 개의 체인을 수반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체인은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에 부착된 티올 그룹을 가지며,
    여기에서
    m은 2 보다 크거나 같고,
    n은 2 보다 크거나 같고,
    m + n은 5 보다 크거나 같으며,
    전구체들의 축 각각은 m과 n이 2 보다 크고, m이 2이고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이 이웃한 첫 번째 전구체 A의 축에 해당하며, n이 2이고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이 이웃한 두 번째 전구체 B의 축에 해당하면 전구체의 축 각각이 교차 연결점을 형성하고,
    이웃한 교차연결점들은 600 원자 이하의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여기에서
    첫 번째 전구체 A 및/또는 두 번째 전구체 B의 체인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 산), 폴리(에틸렌-코-아크릴 산)폴리(에틸렌-코-비닐-필로리돈), 폴리 에틸록사조린(poly-ethyloxazoline), 폴리(필로리돈), 폴리(말레 산), 폴리(에틸렌-코-말레 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코-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선형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연결점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의 세포 폐색 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첫 번째 전구체 A 및/또는 두 번째 전구체 B의 체인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첫 번째 전구체 A의 컨쥬게이트 불포화그룹 또는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는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퀴닌(quinine), 2-또는 4-비닐피리디늄 또는 이타코네이트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14. 제1항에 있어서,
    첫 번째 전구체 A는,
    Figure 112008007331017-pct00036
    Figure 112008007331017-pct00037
    Figure 112008007331017-pct00038
    Figure 112008007331017-pct00039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0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1
    상기 구조식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15. 제1항에 있어서,
    첫 번째 전구체 B는,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2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3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4
    Figure 112008007331017-pct00045
    상기 구조식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16. 세포 폐색 막을 형성하도록 물의 존재 하에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첫 번째 전구체 A와 두 번째 전구체 B의 혼합에 의해 청구항 1에 따른 세포 폐색 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버퍼된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 제조방법.
  18. 첫 번째 전구체 A는 두 번째 전구체 B에 티오에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에서
    첫 번째 전구체 A는 n 개의 체인을 수반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체인은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에 부착된 컨쥬게이트 불포화 그룹 또는 컨쥬게이트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두 번째 전구체 B는 m 개의 체인을 수반하는 축(core)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체인은 체인의 마지막 원자 20개에 부착된 티올 그룹을 가지며,
    여기에서
    m은 2 보다 크거나 같고,
    n은 2 보다 크거나 같고,
    m + n은 5 보다 크거나 같으며,
    전구체들의 축 각각은 m과 n이 2 보다 크고, m이 2이고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이 이웃한 첫 번째 전구체 A의 축에 해당하며, n이 2이고 상응하는 교차 연결점이 이웃한 두 번째 전구체 B의 축에 해당하면 전구체의 축 각각이 교차 연결점을 형성하고,
    이웃한 교차연결점들은 600 원자 이하의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여기에서
    첫 번째 전구체 A 및/또는 두 번째 전구체 B의 체인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 산), 폴리(에틸렌-코-아크릴 산)폴리(에틸렌-코-비닐-필로리돈), 폴리 에틸록사조린(poly-ethyloxazoline), 폴리(필로리돈), 폴리(말레 산), 폴리(에틸렌-코-말레 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코-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선형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세포 폐색 막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버퍼된 수용액 및/또는 점성 개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폐색 막을 위한 키트(Kit).
  20. 삭제
  21. 삭제
KR1020067026570A 2004-06-16 2005-05-09 보호벽 막 KR100899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4072A EP1609491B1 (en) 2004-06-16 2004-06-16 Barrier membrane
EP04014072.5 2004-06-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062A Division KR100988391B1 (ko) 2004-06-16 2005-05-09 보호벽 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592A KR20070027592A (ko) 2007-03-09
KR100899725B1 true KR100899725B1 (ko) 2009-05-27

Family

ID=349253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062A KR100988391B1 (ko) 2004-06-16 2005-05-09 보호벽 막
KR1020067026570A KR100899725B1 (ko) 2004-06-16 2005-05-09 보호벽 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062A KR100988391B1 (ko) 2004-06-16 2005-05-09 보호벽 막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741427B2 (ko)
EP (1) EP1609491B1 (ko)
JP (1) JP4834892B2 (ko)
KR (2) KR100988391B1 (ko)
AT (1) ATE385423T1 (ko)
AU (3) AU2005253694B2 (ko)
CA (1) CA2563034C (ko)
DE (1) DE602004011660T2 (ko)
ES (1) ES2299776T3 (ko)
WO (1) WO2005123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36B1 (ko) 2004-12-21 2013-10-23 넥타르 테라퓨틱스 안정화된 중합체성 티올 시약
EP1820522B1 (en) * 2006-02-20 2012-05-16 Straumann Holding AG Granulate-matrix
EP2014256A1 (en) * 2007-07-12 2009-01-14 Straumann Holding AG Composite bone repair material
EP2185628A1 (en) * 2007-09-25 2010-05-19 SurModics, Inc. Durable swellable hydrogel matrix, method for preparation and method for encapsulation
EP2814520B1 (en) 2012-02-14 2016-11-02 Straumann Holding AG Bone repair material
WO2013120215A1 (en) 2012-02-14 2013-08-22 Straumann Holding Ag Bone repair material
US9861455B2 (en) 2013-07-30 2018-01-09 TI Intellectual Property Inc. Dental implant system
JP6325821B2 (ja) * 2014-01-08 2018-05-16 株式会社日本触媒 硫黄原子含有多分岐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
EP3304180A1 (en) 2015-06-08 2018-04-1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method for modifying a non-dioptric parameter of an optical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0218A1 (en) * 1990-12-06 1992-06-25 W.L. Gore & Associates, Inc. Implantable bioabsorbable article
US5368859A (en) * 1989-07-24 1994-11-29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system for regenerating the periodontium
EP1080700A2 (de) * 1999-08-28 2001-03-07 Lutz Prof.-Dr. Claes Folie aus resorbierbarem Polymer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Folie
WO2003080144A1 (en) * 2002-03-22 2003-10-02 Kuros Biosurgery Ag Composition for hard tissue aug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66444A (ko) 1960-06-29
US4021310A (en) 1972-12-22 1977-05-03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Method for inhibiting the 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or its esters
US3989740A (en) * 1974-04-22 1976-11-02 Celanes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polyalkylene glycol acrylates
ZA801654B (en) 1979-03-21 1981-10-28 M Embrey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JPS5918378B2 (ja) 1979-12-13 1984-04-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酸若しくはメタクリル酸又はそれらのエステル類の重合禁止方法
RO81794A2 (ro) 1981-10-29 1983-06-01 Institutul De Cercetari Produse Auxiliare Organice,Ro Procedeu de obtinere a dimetacrilatului de trietilenglicol
DD215699A1 (de) 1983-05-27 1984-11-21 Univ Schiller Jena Durch licht haertbare dentalmasse
US4804891A (en) 1987-10-16 1989-02-14 Gte Government Systems Corporation Photomultiplier tube with gain control
US4915873A (en) 1988-01-22 1990-04-10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Polymerization inhibitor composition for vinyl aromatic compounds
US4940737A (en) 1988-11-02 1990-07-10 W. R. Grace & Co.-Conn Chemically modified hydrophilic prepolymers and polymers
US6291158B1 (en) * 1989-05-16 2001-09-18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apping the immunological repertoire
US5410016A (en) 1990-10-15 1995-04-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hotopolymerizable biodegradable hydrogels as tissue contacting materials and controlled-release carriers
US5514379A (en) 1992-08-07 1996-05-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Hydroge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TE215106T1 (de) 1993-12-01 2002-04-15 Bioartificial Gel Technologies Inc Hydrogel auf basis von albumin
JPH08155024A (ja) 1994-12-02 1996-06-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生体活性セメント
US6458889B1 (en) 1995-12-18 2002-10-01 Cohesion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systems for forming crosslinked bio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ES2420106T3 (es) 1995-12-18 2013-08-22 Angiodevice International Gmbh Composiciones de polímeros reticulados y métodos para su uso
US20020064546A1 (en) 1996-09-13 2002-05-30 J. Milton Harris Degradable poly(ethylene glycol) hydrogels with controlled half-life and precursors therefor
US7009034B2 (en) 1996-09-23 2006-03-07 Incept, Llc Biocompatible crosslinked polymers
US6566406B1 (en) 1998-12-04 2003-05-20 Incept, Llc Biocompatible crosslinked polymers
AU4648697A (en) 1996-09-23 1998-04-14 Chandrashekar Pathak Methods and devices for preparing protein concentrates
US6258351B1 (en) 1996-11-06 2001-07-10 Shearwater Corporation Delivery of poly(ethylene glycol)-modified molecules from degradable hydrogels
DE19739685A1 (de) * 1997-09-10 1999-03-11 Eichel Streiber Christoph Von Monoklonale Antikörper zur Therapie und Prophylaxe von Erkrankungen durch Clostridium difficile
US6362276B1 (en) 1998-01-07 2002-03-26 Debio Recherche Pharmaceutique S.A. Degradable heterobifunctional poly(ethylene glycol) acrylates and gels and conjugates derived therefrom
ATE268609T1 (de) 1998-03-12 2004-06-15 Nektar Therapeutics Al Corp Polyethylenglycolderivate mit benachbarten reaktiven gruppen
ATE514729T1 (de) 1999-02-01 2011-07-15 Eidgenoess Tech Hochschule Biomaterialien die durch nukleophile reaktion auf konjugierten ungesättigten gruppen addiert sind
US20030206928A1 (en) 1999-04-07 2003-11-06 Pertti Tormala Bioactive, bioabsorbable surgical polyethylene glycol and polybutylene terephtalate copolymer composites and devices
US6312725B1 (en) 1999-04-16 2001-11-06 Cohesion Technologies, Inc. Rapid gelling biocompatible polymer composition
DK2093245T3 (da) 1999-08-27 2012-06-04 Angiodevice Internat Gmbh Biocompatible polymer device
EP1292709B1 (en) 2000-06-02 2012-01-18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Conjugate addition reactions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7291673B2 (en) * 2000-06-02 2007-11-06 Eidgenossiche Technische Hochschule Zurich Conjugate addition reactions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BR0213937A (pt) 2001-11-07 2004-10-26 Univ Zuerich Matriz sintética para encravamento celular controlado e regeneração de tecido
US7217294B2 (en) 2003-08-20 2007-05-15 Histogenics Corp. Acellular matrix implants for treatment of articular cartilage, bone or osteochondral defects and injuries and method for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859A (en) * 1989-07-24 1994-11-29 Atrix Laboratories, Inc. Biodegradable system for regenerating the periodontium
WO1992010218A1 (en) * 1990-12-06 1992-06-25 W.L. Gore & Associates, Inc. Implantable bioabsorbable article
EP1080700A2 (de) * 1999-08-28 2001-03-07 Lutz Prof.-Dr. Claes Folie aus resorbierbarem Polymer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Folie
WO2003080144A1 (en) * 2002-03-22 2003-10-02 Kuros Biosurgery Ag Composition for hard tissue augm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9491B1 (en) 2008-02-06
AU2008203066A1 (en) 2008-07-31
US20100105800A1 (en) 2010-04-29
US20080039577A1 (en) 2008-02-14
JP4834892B2 (ja) 2011-12-14
AU2005253694A1 (en) 2005-12-29
EP1609491A1 (en) 2005-12-28
US7741427B2 (en) 2010-06-22
KR20070027592A (ko) 2007-03-09
CA2563034A1 (en) 2005-12-29
JP2008502388A (ja) 2008-01-31
AU2008203062A1 (en) 2008-07-31
AU2008203062B2 (en) 2010-04-08
ATE385423T1 (de) 2008-02-15
AU2005253694B2 (en) 2008-07-10
ES2299776T3 (es) 2008-06-01
KR20080081210A (ko) 2008-09-08
CA2563034C (en) 2011-03-08
DE602004011660T2 (de) 2009-01-29
KR100988391B1 (ko) 2010-10-18
AU2008203066B2 (en) 2010-04-08
US8044172B2 (en) 2011-10-25
DE602004011660D1 (de) 2008-03-20
WO2005123156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725B1 (ko) 보호벽 막
Shin et al. In vivo bone and soft tissue response to injectable, biodegradable oligo (poly (ethylene glycol) fumarate) hydrogels
Gibas et al. Synthetic polymer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RU2393867C2 (ru) Саможелирующиеся альгинатные систем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ES2596707T3 (es)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la formación de armazones
KR100668046B1 (ko)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093749A1 (en) Bioactive polymer for bone regeneration
JP2008212683A (ja) 低膨潤性生体適合性ヒドロゲル
WO2009137715A2 (en) Versatile biodegradable elastic polymers featured with dual crosslinking mechanism for biomedical applications
EP2416811A1 (en) Hydrogel tissue adhesive having reduced degradation time
EP2042538A1 (en) Amphiphilic copolyme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polymers
KR101145175B1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 블록 공중합체
EP3270985B1 (en) Poly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23163361A (ja) 組成物、及び接着剤
Overstreet Temperature-responsive hydrogels with controlled water content and their development toward drug delivery and embolization applications
JP2005239860A (ja) 温度応答性ハイドロゲル
CA2637524C (en) Drug delivery system
Zhao et al. The Infliximab-Based Self-Healing Hydrogel Composite Scaffold Enhances Stem Cells Survival, Engraftment, and Function in Aiding Rheumatoid Arthriti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