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458B1 - 퍼머용 헤어아이론 - Google Patents

퍼머용 헤어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458B1
KR100899458B1 KR1020070110533A KR20070110533A KR100899458B1 KR 100899458 B1 KR100899458 B1 KR 100899458B1 KR 1020070110533 A KR1020070110533 A KR 1020070110533A KR 20070110533 A KR20070110533 A KR 20070110533A KR 100899458 B1 KR100899458 B1 KR 10089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ressing
link
support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435A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102007011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4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헤어아이론의 중간 부분에서 모발가압수단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모발가압수단에 의해 모발을 가압할 때 더욱 보강된 가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퍼머가 도모되도록 개선된 퍼머용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부(11)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모발받침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모발받침부(12)에 모발가열수단(20)을 갖는 모발받침수단(10)과; 상기 모발받침부(12)와 대향되고 모발가열수단(20')이 설치되는 모발가압부(32) 및 상기 모발가압부(32) 후미에 가압누름부(31a)와 하강누름부(31b)를 가진 누름면부(31)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면부(31) 하측에 있는 힌지부(33)가 연결축부(40)에 의해 모발받침가열수단(10) 중간부의 내측보스부(13)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모발가압수단(30)과; 상기 연결축부(40)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모발받침부(12) 방향으로 모발가압부(32)가 회동되게 하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면부(31) 하측에 위치하는 모발받침수단(10)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부재(61)와, 상기 당김레버부재(61)와 누름면부(31)의 링크연결리브(34)에 레버부링크축(62)과 누름부링크축(63)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부재(64)를 구비하여 상기 당김레버부재(61)가 손잡이부(10)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부링크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링크부재(64)의 회동운동에 의해 누름면부(31) 후미부분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보강가압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Figure R1020070110533
헤어아이론, 퍼머용 아이론, 스트레이트퍼머용 헤어아이론

Description

퍼머용 헤어아이론{It ladles, me the hair child Rong}
본 발명은 퍼머용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아이론의 중간 부분에서 모발가압수단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모발가압수단에 의해 모발을 가압할 때 더욱 보강된 가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우 양호한 퍼머가 도모되도록 개선된 퍼머용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R 20-0297636 Y1 2002. 12. 12
[문헌 2] KR 10-0702659 B1 2007. 4. 2
일반적으로 헤어아이론은 크게 구분하여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과,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스트레이트 퍼머 및 퍼머넌트 웨이브처리를 위한 퍼머용 헤어아이론으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퍼머용 헤어아이론은 손잡이부와 열발생부를 갖는 복수개의 아암을 구비하여 후단부에 있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력부재의 탄력에 의해서 복수개의 아암이 항상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헤어아이론이 벌어지는 것을 개방동작이라고도 하고 오무려지는 것은 닫힘동작이라고도 설명하기도 한다.
따라서, 퍼머시술자(미용사)는 열발생부에 모발이 삽입된 상태에서 벌어져 있는 2개의 아암을 한손으로 잡고 오므려지게 가압함으로써 열에너지가 모발에 전달되게 하는 방법으로 퍼머 시술을 하였기 때문에 시술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직업적으로 시술작업을 하는 퍼머시술자에게는 매우 고된 퍼머시술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발이 열에너지를 전달받으면서 강력한 가압력으로 가압되어야 만이 양호한 퍼머 시술이 되는 것이나 직업적인 퍼머시술의 경우 한 손에 의해 반복적으로 2개의 아암을 가압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점차 가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모발과 열발생부의 접촉력이 저하되어 양호한 퍼머를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이는 고객의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평상시 2개의 아암이 오므려 든 상태를 유지하고 퍼머시에만 벌어지게 하는 헤어아이론이 개시되었으며,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7636호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개의 아암을 구비하고 그중에 하나의 아암의 후단부를 눌러서 벌어지게 되는 개방동작을 하고 다시 오므려 드는 닫힘동작시에는 스프링 탄력에 의해서 오므려 들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복수개의 아암 사이에 있는 모발이 스프링 탄력에 의해서만 가압되는 것이므로 모발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미약함에 따라 양호한 퍼머가 도모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02659호로 개시된 헤어아이론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아암중 하나의 아암 후단부가 누름되어 벌어지는 개방동작이 이루어지고 닫힘동작에 있어서도 스프링 탄력으로 닫힘동작이 됨에 따라 복수개의 아암 사이에 있는 모발이 스프링 탄력에 의해서만 가압되는 것이므로 모발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미약함으로써 양호한 퍼머가 도모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모발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스프링 탄력에만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 크기의 한계가 따르는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강력한 탄력을 갖는 스프링을 채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므로 강력한 가압력으로 모발을 가압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그로 인해 모발을 강하게 가압할 수 없기 때문에 양호한 퍼머를 시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품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발에 열에너지를 부여하면서 강력한 가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양호한 퍼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퍼머용 헤어아이론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퍼머시술자가 적은 손힘으로도 모발을 가압하는 강력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신뢰성 향상과 퍼머시술의 작업능률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모발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발받침부에 모발가열수단을 갖는 모발받침수단과; 상기 모발받침부와 대향되고 모발가열수단이 설치되는 모발가압부 및 상기 모발가압부 후미에 가압누름부와 하강누름부를 가진 누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면부 하측에 있는 힌지부가 연결축부에 의해 모발받침가열수단 중간부의 내측보스부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모발가압수단과; 상기 연결축부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모발받침부 방향으로 모발가압부가 회동되게 하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면부 하측에 위치하는 모발받침수단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부재와, 상기 당김레버부재와 누름면부의 링크연결리브에 레버부링크축과 누름부링크축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당김레버부재가 손잡이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부링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링크부재의 회동운동에 의해 누름면부 후미부분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보강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가열수단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판플레이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 으로 한다.
상기 누름면부의 가압누름부는 연결축부의 수직중심선을 중심으로 모발가압부 방향쪽으로 배치되게 하고 하강누름부는 손잡이부 방향쪽으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면부 선측부에 전원 온,오프 식별을 위한 램프투광부재와 상기 램프투광부재 내측으로 설치되는 엘이디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축부는 모발받침수단의 내측보스부 및 모발가압수단의 힌지부를 관통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머리부와 반대방향에서 체결되는 이탈방지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력수단은 모발받침수단의 내측보스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그 일단부는 모발받침수단의 바닥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모발가압수단의 누름면부 하측부분에 걸림되게 하여 모발가압부 쪽으로 탄력이 작용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레버부재는 모발받침수단의 하우징에 뚫린 가이드공 외측으로 노출되는 당김부와 내측으로 돌출되는 기립편을 구비하고 상기 기립편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부가 하우징 내면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발받침수단에 있는 모발이 열에너지를 전달 받으면서 모발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력을 받는데 있어 보강가압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강력한 보강압력으로 최종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모발가열수단의 판플레이트와 모발 간에 강력한 밀착력이 작용 됨으로써 매우 양호한 퍼머상태로 시술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피시술자인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받침수단 중간부에서 간단한 누름조작 및 누름해지 행위에 의해서 개방동작 및 닫힘동작이 될 뿐만 아니라 가압조작에 있어서도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가압누름부를 누르게 되면 검지손가락이 당김레버부재를 자연스럽게 당겨지게 되는 것이므로 조작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고, 적은 힘에 의해서도 강력한 모발 가압력이 발생되므로 퍼머시술작업이 힘들지 않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간편하고 힘들지 않게 퍼머 시술작업을 할 수 있게 하므로 시술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게 하고 모발을 강한 가압력으로 가압 가능하게 되어 매우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되게 하므로 제품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측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일측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여 모발(h)이 얹혀지게 놓여지는 모발받침수단(10)과, 상기 모발받침수단(10)에 놓여 진 모발(h)을 가압하는 모발가압수단(30) 및 상기 모발가압수단(30)에 강력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보강가압수단(60)으로 구성된다.
모발받침수단(10)은 손잡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모발받침부(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모발받침부(12)에는 전선(1)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히터(21)와 상기 히터(21)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판플레이트(22)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발가열수단(20)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발(h)은 상기 판플레이트(22)에 얹혀지게 놓여져서 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퍼머가 되는 것이다.
모발가압수단(30)은 상기 모발받침부(12)와 대향되고 모발가열수단(20')이 설치되는 모발가압부(32)를 구비한다.
상기 모발가열수단(20')은 전선(1)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히터(21)와 상기 히터(21)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판플레이트(2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상기 판플레이트(22)가 모발받침부(12)에 있는 판플레이트(22) 위에 놓여 진 모발(h)을 가압함으로써 열에너지가 전달되면서 그 가압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모발(h)이 일직선 상태로 곧게 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퍼머를 스트레이트퍼머라고 명칭하고 있다.
따라서, 모발가압부(32) 후미에는 상부 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면부(3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면부(31)는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선측부분에는 돌출된 가압누름부(31a)를 형성하고 후미부분에는 하강누름부(31b)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가압누름부(31a)는 연결축부(40)의 수직중심선(x)을 중심으로 모발가압부(32) 방향 쪽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하강누름부(31b)는 손잡이부(11) 방향 쪽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누름면부(31) 하측에는 힌지부(33)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33)는 연결축부(40)에 의해 모발받침수단(10) 중간부에 있는 내측보스부(13)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축부(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받침수단(10)의 내측보스부(13) 및 모발가압수단(30)의 힌지부(33)를 관통하는 메인샤프트(41)와 상기 메인샤프트(41) 의 머리부(42)와 반대방향에서 체결되는 이탈방지나사(43)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축부(40)에 의해서 모발받침수단(10)의 내측보스부(13)와 모발가압수단(30)의 힌지부(33)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축부(40)를 중심으로 힌지부(33)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축부(40)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모발받침부(12) 방향으로 모발가압부(32)가 회동되게 하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수단(5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력수단(5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받침수단(10)의 내측보스부(13)에 각각의 탄력수단(50)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그 일단부(51)는 모발받침수단(10)의 바닥에 지지되게 하고 타단부(52)는 모발가압수단(30)의 누름면부(31) 하측부분에 걸림되게 하여 모발가압부(32) 쪽으로 탄력이 작용되도록 설치 되어 있다. 상기 탄력수단(50)은 비틀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면부(31) 선측부에는 전원이 온(on),오프(off)된 것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램프투광부재(35)와 상기 램프투광부재(35) 내측으로 엘이디램프(36)가 전기에너지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엘이디램프(36)는 온도조절다이얼(S)의 조작에 의해서 점등 및 소등된다.
보강가압수단(60)은 누름면부(31) 하측의 모발받침수단(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누름면부(31) 하측에 위치하는 모발받침수단(10)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당김레버부재(61)를 구비한다.
상기 당김레버부재(61)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모발받침수단(10)의 하우징(10a)에 뚫린 가이드공(14) 외측으로 노출되는 당김부(61a)와 내측으로 돌출되는 기립편(61b)을 구비하고 상기 기립편(61b)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부(61c)가 하우징(10a) 내면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당김레버부재(61)의 기립편(61a)과 누름면부(31)의 링크연결리브(34)에는 레버부링크축(62)과 누름부링크축(63)에 의해 링크부재(64)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당김레버부재(61)가 손잡이부(11)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부링크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링크부재(64)의 회동운동에 의해 누름면부(31) 후미부분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모발가압수단(30) 약간 회동 됨에 따라 그 선측부에 있는 모발가압부(32)가 모발받침부(12)에 있는 모발(h)을 강력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더욱 이해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상태는 모발받침부(12)와 모발가압부(32)가 상호 평행상태를 갖게 되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상태는 탄력수단(50)의 탄력이 모발가압수단(30)에 항시 작용됨으로 모발가압부(32)는 강제적으로 개방동작되게 하지 않는 한 도 5와 같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퍼머를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면부(31)의 하강누름부(31b)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는 누름력에 의해서 연결축부(40)을 중심으로 모발가압수단(30)이 회전동작을 함에 따라 모발가압부(32)가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는 개방동작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탄력수단(50)은 탄력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링크부재(64)가 회동되면서 누름부링크축(63)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링크부재(64)가 당김레버부재(61)를 약간 선측부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당김레버부재(61)의 이동에 의해서는 아무런 연동 작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발가압부(32)가 개방동작 된 상태에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발받침부(12)의 판플레이트(22)에 모발(h)이 얹혀지게 놓여지도록 한 다음에 하강누름부(31b)를 누르고 있던 누름력을 해지하게 되면 탄력수단(50)의 탄력에 의해서 모발가압수단(30)은 연결축부(4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닫힘동작을 하게 됨으로 써 모발가압부(32)의 판플레이트(22)가 모발(h) 위쪽 부분과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는 손잡이부(11)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가압누름부(31a)에 위치하게 하면서 검지손가락은 당김레버부재(61)에 위치하게 하여 예컨대 방아쇠를 당기는 자세와 같이 있게 한다.
이러한 손가락 자세에서 엄지손가락으로 가압누름부(31a)를 가압하여 누름력이 작용되게 하면 모발가압부(32)가 모발받침부(12)에 있는 모발(h)를 가압하게 되는 동시에 엄지손가락에 누르는 힘을 부여하게 되면 신체 특성상 자동적으로 검지손가락에 힘이 실리게 됨에 따라 방아쇠를 당기는 것과 같이 검지손가락이 당김레버부재(61)를 손잡이부(11) 방향인 후미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즉, 엄지손가락의 누름력에 의해서 모발가압부(32)가 모발(h)를 가압하는 가압작용과 동시적으로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약간 이동됨에 따라 링크부재(64)와 모발가압수단(30)이 연동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여기서 가상선은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약간 이동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은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약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면 레버부링크축(62)은 당김레버부재(61)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레버부링크축(62)과는 달리 수평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는 누름부링크축(63)는 연결축부(40)를 중심으로 회동운동만 될 수 있기 때문에 레버링크축(62)이 실선도시와 같이 후미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링크부재(64)가 회절운동을 하게 되면서 누름부링크축(63)을 도 9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그러므로 누름부링크축(63)은 당김레버부재(61)가 후미방향으로 이동되기 전보다 이동된 후의 높이가 더 높은 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상승높이(k)를 갖게 됨에 따라 상기한 상승높이(k)만큼 누름면부(31)가 위치하는 모발가열수단(30)의 후미부분이 연결축부(40)를 중심으로 상승되게 회동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연결축부(40)를 중심으로 누름면부(31)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모발가압부(32)는 모발받침부(12)쪽으로 회동됨으로써 모발(h)에 강한 보강압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보강압력은 엄지손가락으로 가압누름부(31a)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검지손가락에도 당김레버부재(61)를 당기는 당김력을 계속 부여하게 되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의 누름력을 해지하지 않는 한 모발(h)에 부여되는 보강압력은 계속 유지된다.
상기 당김레버부재(61)의 이동에 따른 링크부재(64)의 링크운동에 의해서 머발가압수단(30)의 후미부가 약간 상부방향으로 들려지게 회동되어 발생되는 보강압력은 기구적인 운동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발생되는 보강압력이므로 그 보강압력은 강한 가압력이 되는 것이다.
가령,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는 누름력은 성인을 기준으로 최대한 누를 때 통 상적으로 약 10-15㎏/㎠ 정도이다. 이러한 누름력은 모발가압부(32)로 전달되는 과정에 상당한 압력이 상실되므로 엄지손가락 누름력만으로는 실제 모발가압부(32)가 모발(h)을 가압하는 압력은 약 5-7㎏/㎠에 불과하다.
또한, 예전과 같이 탄력수단(50)의 탄력만으로 모발(h)을 가압되게 할 경우에는 그 탄력이 모발가압부(32)로 전달되는 과정에 상실된 상태에서 실제로 모발(h)에 가압되는 압력은 약 2-3㎏/㎠에 불과한 매우 미약한 가압력이 작용될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강가압수단(60)에 의해서 기구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약 13-17㎏/㎠와 같이 매우 강한 가압력(보강압력)이 작용된다.
또한, 상기 보강압력은 상실되지 않고 모발가압부(32)에서 직접적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강한 가압력이 된다.
그러므로 모발받침부(12)와 모발가압부(32)의 판플레이트(22) 사이에 있는 모발(h)은 매우 강한 가압력을 받게 되므로 판플레이트(22)와 모발(h)의 밀착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매우 양호한 상태로 퍼머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퍼머시술자는 엄지손가락의 누름력에 의한 가압력 뿐만 아니라 검지손가락의 당김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강한 보강압력에 의해서 퍼머시술을 하기 때문에 예전에 단순히 강하게 가압해야 하였던 것보다는 적은 힘으로도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강한 가압력을 발생시켜 퍼머시술이 되는 것이므로 업소에서 직업적으로 하는 퍼머시술자의 경우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행위를 하게 됨으로써 점차 손힘이 약해져서 제대로 모발(h)이 가압되지 못하여 양호하지 못한 퍼머시술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되거나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11)를 잡은 상태에서 헤어아이론 중간부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면부(31)를 교대로 눌러서 조작하는 것이므로 매우 편리한 조작이 도모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모발(h)을 가압하는 가압조작시에도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신체 특성상 자연적으로 검지손가락이 당김레버부재(61)를 방아쇠 당기듯이 당겨지게 되는 것이므로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어아이론 중간부에서 모발가압수단(30)의 개방동작 및 닫힘동작이 조작되어 이루어지고 보강가압수단(60)을 구비하여 가압력을 얻기 위해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면부를 누르게 되면 동시적으로 검지손가락이 당김레버부재(61)를 당겨지게 되어 강한 보강압력이 발생되어 모발(h)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일측 단면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전체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Y-Y'선 확대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헤어아이론의 평상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헤어아이론이 개방동작 된 상태의 요부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헤어아이론이 개방동작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헤어아이론에 가압력이 부여되게 하는 것을 설명하는 요부 개략 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가압수단을 나타낸 개략 작용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발받침수단 12 : 모발받침부
20,20' : 모발가열수단 30 : 모발가압수단
31 : 누름면부 32 : 모발가압부
40 : 연결축부 50 : 탄력수단
60 : 보강가압수단 61 ; 당김레버부재
62 : 레버부링크축 63 : 누름부링크축
64 : 링크부재

Claims (7)

  1. 손잡이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모발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발받침부에 모발가열수단을 갖는 모발받침수단과, 상기 모발받침부와 대향되고 모발가열수단이 설치되는 모발가압부 및 상기 모발가압부 후미에 모발가압부가 벌어지게 하는 누름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면부 하측에 있는 힌지부가 연결축부에 의해 모발받침수단 중간부의 내측보스부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모발가압수단과, 상기 연결축부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모발받침부 방향으로 모발가압부가 회동되게 하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수단을 갖는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누름면부를 구성하되 상기 모발가압부가 벌어지게 가압하는 하강누름부는 연결축부의 수직중심선을 중심으로 손잡이부 방향에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모발가압부가 모발을 누르도록 가압하는 가압누름부는 연결축부의 수직중심선을 중심으로 모발가압부 방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압누름부를 가압하면 모발가압부가 모발을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누름면부의 가압누름부를 엄지로 가압하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모발받침수단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부재를 검지에 의해 손잡이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당김되게 하면 상기 당김레버부재와 누름면부의 링크연결리브에 레버부링크축과 누름부링크축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부재가 레버부링크축을 중심으로 회동운동 되어 누름면부 후미부분이 상부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서 모발을 가압하는 모발가압부의 가압력이 증강되게 하는 보강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아이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레버부재는 모발받침수단의 하우징에 뚫린 가이드공 외측으로 노출되는 당김부와 내측으로 돌출되는 기립편을 구비하고 상기 기립 편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부가 하우징 내면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헤어아이론.
KR1020070110533A 2007-10-31 2007-10-31 퍼머용 헤어아이론 KR10089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33A KR100899458B1 (ko) 2007-10-31 2007-10-31 퍼머용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33A KR100899458B1 (ko) 2007-10-31 2007-10-31 퍼머용 헤어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435A KR20090044435A (ko) 2009-05-07
KR100899458B1 true KR100899458B1 (ko) 2009-05-26

Family

ID=4085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533A KR100899458B1 (ko) 2007-10-31 2007-10-31 퍼머용 헤어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909A (ko) 2015-09-24 2017-04-04 푸시맨 주식회사 푸시 메시지 발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340A (en) * 1989-03-01 1990-07-03 Conair Corporation Moldable curling iron
US6354305B1 (en) * 1997-10-31 2002-03-12 Braun Gmbh Hair styling appliance and hair styling method
KR100702659B1 (ko) * 2005-09-29 2007-04-02 이만택 헤어 아이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340A (en) * 1989-03-01 1990-07-03 Conair Corporation Moldable curling iron
US6354305B1 (en) * 1997-10-31 2002-03-12 Braun Gmbh Hair styling appliance and hair styling method
KR100702659B1 (ko) * 2005-09-29 2007-04-02 이만택 헤어 아이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43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989B1 (ko) 락킹 플라이어
CN109311144A (zh) 工具头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KR100899458B1 (ko) 퍼머용 헤어아이론
WO2010102466A1 (zh) 一种用于固定杆状物的固定装置
CN109209084B (zh) 一种家用电器用的门盖锁止装置
KR200424066Y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N100407970C (zh) 压力锅开合盖安全装置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2008543392A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CN207362562U (zh) 一种带有锁扣固定机构的台式电熨斗
TWI771169B (zh) 釘槍
EP1338498B1 (en) Closure and securing mechanism for motorcycle panniers and the like
TWI709389B (zh) 滑動式開蓋握把裝置
CN209236259U (zh) 一种一次性外科钉合器
CN2901100Y (zh) 微波炉炉门的联锁机构
JP3183902U (ja) 柄が分離するお玉
CN201566225U (zh) 订书机
JP3639094B2 (ja) 竿後方側支持具
CN209328778U (zh) 一种园林工具的开关复位控制手把
JPS5823301Y2 (ja) 加熱調理器
WO2006042451A1 (fr) Bouton utilise pour un parapluie actionne avec une seule main
KR900009799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록킹 장치
KR100299561B1 (ko) 라이터
TWM648361U (zh) 剪具省力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