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243B1 -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243B1
KR100899243B1 KR1020070060982A KR20070060982A KR100899243B1 KR 100899243 B1 KR100899243 B1 KR 100899243B1 KR 1020070060982 A KR1020070060982 A KR 1020070060982A KR 20070060982 A KR20070060982 A KR 20070060982A KR 100899243 B1 KR100899243 B1 KR 10089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aster
damage
feng shui
disaste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098A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정성은
박서진
박서연
박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은, 박서진, 박서연, 박인영 filed Critical 정성은
Publication of KR2008002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는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 과거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재해상황자료서버; 및 상기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장래의 피해를 예측하는 재해상황분석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수해, 재해재난, 태풍, 호우, 방재, 분석, 재해 상황 분석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Disaster state analy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태풍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상황 분석방법의 흐름도.
도 4는 태풍에 따른 피해 위험도 지역의 조정을 위하여 태풍 피해등급을 입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5는 GIS 상에 과거 태풍 현황 표출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6은은 과거 가장 유사한 태풍의 정보를 토대로 현재 태풍의 예상경로를 산정하여 GIS 상에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7은 선택된 과거 유사한 태풍을 통해서 지역별 예상 피해 현황 자료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8은 태풍에 따른 피해위험 지역범위 산정화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9는 태풍에 따른 피해위험 지역범위 산정화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0은 지역별 과거 피해유형 및 피해규모를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 하여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은 표준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인명피해 심각지역 도식화 및 지역 현황 파악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2는 표준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피해액 심각지역 도식화 및 지역 현황 파악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3은 표준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상에 피해액과 인명피해 현황 비교의 비교를 통한 복합 위험 지역 산출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4는 위험지역별 피해현황 통계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5는 표준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상에 지역별 호우현황을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16은 기상특보를 발령할 지역을 표준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17은 기상특보지역의 피해자료를 함께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18은 특정지역의 과거 인명피해현황을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19는 지역별 피해현황을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20은 강우에 의한 재해 발생확률 및 예상 피해를 표시한 화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재해 상황 분석 서버 20 :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
30 :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 40 : 재해상황자료서버
41 : 지역별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
43 :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서버
45 : 복구비 데이터베이스서버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바탕으로 재해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과 유사한 과거 재해패턴 및 재해상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발생된 재해상황에 대한 방재 및 지원에 대한 결정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재해상황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한반도 지역은 적도지역에서 발생한 태풍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고, 매년 정부는 발생한 태풍의 예상경로와 태풍의 규모를 발표하며, 태풍의 경로에 위치한 지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재해재난에 대한 적절한 지원 방안 및 지원 상태는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후 복구하는 형태로써, 실제로 발생한 피해규모나, 재난 방지에 대한 예방책을 적절히 제시하고 있지 못하여, 동일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재해재난에 대한 신속한 피해복구 및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태풍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평균 이상의 강한 강우 강도를 가지는 지역성 호우도 최근 들어 빈발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예보 및 대책마련도 과거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 지역별 발생하는 재해재난에 대한 재해대책자료가 지자체별 및 유관부서별로 작성되고는 있으나, 각 부서간 혹은 지자체간 시스템 연계가 없으며, 정보공유가 어려워 재해대책 자료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복된 예산의 집행으로 인하여 많은 세금이 비능률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자료 형태인 문서는 재해재난에 대한 즉각적인 분석을 통한 대책 수립이 어려우며, 문서의 수작업으로 인한 예산 낭비가 심하고 수작업에 의한 오류 발생확률이 커 재해재난 예방 대책에 신뢰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로서는 연도별 피해 현황 비교가 어려우며, 행정구역 변화에 따른 기존 자료 재수정 및 재분석으로 인한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고, 문서자료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자료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거 재해자료를 바탕으로, 재해대책 상황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및 관련 업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거 및 현재 재해 자료를 지아이에스(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으로 표준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객관적이며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게 하여주며, 그에 따라 가장 적절한 재해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하여주는 재해상황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지역별 재해자료에 대한 통계 및 분석을 실시하고, 실시한 분석자료를 각 부서간 및 지자체간 공통으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자료의 활용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동일지역에 대한 상이한 분석자료를 배제하여, 적절한 재해대책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해상황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상황 분석방법은 풍수해에 관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과거 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현재의 기상개황자료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재해상황자료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재해상황자료를 바탕으로 재해상황 분석서버가 지역별 재해상황 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상의 구획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풍수해는 태풍 및 호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GIS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풍수해가 태풍인 경우에, 현재의 태풍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중심기압, 현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 강우량 및 최대풍속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태풍을 선택하고, 상기 풍수해가 호우인 경우에 현재의 호우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시간당 강우량, 강우지역 및 강우지속기간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호우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역별 재해상황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는, 풍수해 상황에 따른 지역적 특성파악,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풍수해상황 분석평가, 풍수해에 따른 지역별 피해유형 분석, 지역별 풍수해 피해현황조회, 풍수해에 따른 재해상황의 패턴분석, 의사결정을 위한 재해발생 경향분석 중 1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해상황 분석시스템은,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는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 과거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재해상황자료서버; 및 상기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장래의 피해를 예측하는 재해상황분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GIS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는 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복구를 위하여 투입되었던 물자, 장비, 인원, 시간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며, 해당 자료 는 매년 또는 매 재난 발생시 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서버는 LAN 또는 WAN과 같은 정보통신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석에 사용할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는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한 기상상황자료를 검색하여, 현재의 태풍 또는 호우의 상황과 가장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 자료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재해는 태풍, 집중호우 뿐만 아니라, 폭설, 산불화재 및 강풍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태풍 및 집중호우를 재해상황의 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재해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분석시스템은,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는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20), 과거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30), 상기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재해상황자료서버(40) 및 상기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장래의 피해를 예측하는 재해상황분석서버(1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들은 LAN 또는 WAN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라 함은, 풍수해 중 태풍에 관하여서는 발생일자, 발생지, 명칭, 중심기압, 현위치, 이동경로, 강우량, 최대풍속, 이동속도 등의 태풍특성에 관한 자료를 말하고, 호우에 관하여서는 시간당 강우량, 강우지역, 강우지속기간 등의 자료를 말한다. 상기 기상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20)는 기상청의 기상정보 관리서버일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관리서버에서의 필요한 기상정보만을 획득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있는 제2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풍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분석한 후, 그러한 분석자료를 입력받아 태풍특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자료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과거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라 함은 풍수해의 유형인 태풍이나 호우 등으로서 현재의 재해상황 이전에 발생하였던 것들의 이력 자료를 말한다. 저장되는 정보의 항목은 상기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에서와 유사하고, 그러한 자료는 현재의 재해와 유사한 과거의 태풍 또는 호우를 찾아 그 피해규모, 지역 내지 특성을 판단하게 해주는데 활용되게 된다.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40)는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41) 및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45)를 포함한다.
재해상황자료서버(40)는 과거의 풍수해에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저장한다. 즉, 과거에 풍수해로 인하여 일어났던 재해에 있어서, 발생지역, 발생규모, 피해종류, 복구비용 등의 각종 해당정보를 저장한다.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는 지아이에스자료로서의 각 지역구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행정구획상으로 구분되는 각 지역의 행정구획별 구분, 산맥이나 하천 등의 구별에 따른 지리별 구분, 행정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도상을 매트릭스 형태로 나누는 평균적 구분을 포함한다. 또한, 해당 지역에 대한 특수환경 예를 들면, 비닐하우스 밀집, 과수재배, 공업지역, 해안 접안 지역 등 지역별 특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참고로 지아이에스 자료로서 입력되어 관리되고 있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는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는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즉 국가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하여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말한다. 상기 NGIS라 함은 전 국토공간의 지상과 지하에 관련된 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수치지도로 작성하는 등 지역별 공간정보를 정량화하고, 재해관리, 국토공간관리, 대민서비스 등 국가정책 및 행정, 공공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NGIS에는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각종 행정정보,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분포, 이동 등의 인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디지털화되는 각종 지리정보는 그 종류와 범위의 한계가 없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추가정보들의 부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상의 자료는 물론 기타 서버들에 있어서의 자료들도 상기 NGIS의 표준에 맞도록 새로이 변환하여 생성하게 되면 다른 지리정보와 연관성 및 호환성을 가지도록 관리되는 지아이에스 자료가 되는 것이다. 현재 국내의 NGIS는 건설교통부가 총괄하여 국가적인 통합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나, 상기 NGIS의 특성상 건설교통부가 정보의 입력 및 관리를 모두 관장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정보를 관리하는 각개 부처가 NGIS를 구성하는 각 Layer의 지아이에스 자료를 생성하면, 건설교통부가 통합관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즉, 상기 Layer들이 모두 모여 국가지리정보로서 역할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지아이에스 자료의 개념은 단지 본 발명의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상의 자료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개념적인 실체로서 일정한 표준을 따르기만 한다면 기타 모든 서버에 있어서의 자료도 지아이에스 자료로서 자유롭게 연동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렇게 표준화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이 된다.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41)는 과거 태풍이나 호우로 인하여 지역별로 발생하였던 피해의 종합적인 자료를 저장한다. 그러한 자료로서는 재산피해액, 인명피해규모, 사회간접시설 유실규모, 피해의 빈도수, 피해의 유형, 지역별 피해특성 등의 정보 및 이력정보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표준데이터 항목들로는 이재민, 인명, 침수, 건물, 선박, 농작물, 농경지, 공공시설, 사유시설 등을 들 수 있다.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45)는 특정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복구를 위하여 투입되었던 물자, 장비, 인원, 시간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며, 해당 자료는 매년 또는 매 재난 발생시 이력을 저장한다. 구체적인 자료로는 기간별-시도별 복구비 지원내역, 복구액, 국고지급액, 의연금지급액, 지방비지급액, 융자지급액, 자부담지급액, 자체복구지급액, 복구비 관련 시군구별 제원현황, 시군구별 재정력지수, 예방투자율, 기금확보율, 노력지수 등을 들 수 있다.
재해상황분석서버(10)는 상기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20),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30) 및 재해상황자료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기초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하며, 지역별/재해유형별 예상 피해현황을 결과로 산출하고, 피해지역 및 과거 태풍이동경로, 태풍예상경로를 지아이에스로 도식화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출력한다. 즉, 과거의 재해상황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과거 재해상황자료를 바탕으로 현재의 재해상황이 앞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관한 예측작업을 실시한다.
재해상황분석서버(10)의 상기와 같은 분석작업은 특히 재해상황자료서버(40) 중에서는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 및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41)의 자료를 참고하여 실행되며, 피해예방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를 출력하기 위하여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45)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의사 결정의 예로는, 시군구별 위험도 결정 및 피해우려 시도에 재난상황대응계획서 제출 요구, 중앙대책본부 가동 여부 및 비상근무단계 결정, 현장상황관리관 파견(지역별 담당자 사전 지정), 국가위기경보 발령 및 재난사태 선포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해상황분석서버(10)는 지아이에스표준에 의한 자료들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를 결과로서 출력할 때 표준화된 지아이에스지도상에 도식화할 수 있다. 즉 태풍의 이동에 따른 크기 변화나, 과거태풍과 현재태풍의 경로 비교, 영향권의 반경, 피해지역의 색깔구분에 의한 표시, 피해유형의 다각적인 표시방법, 피해등급의 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넓거나 좁아지는 피해지역의 범위, 호우량의 많고 적음에 따른 해당 지역별 색구분, 기타 피해유형의 지역적 특성 등을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10)는 재해상황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석에 사용할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과거의 재해와 관련한 기상상황데이터를 검색하여, 현재의 태풍 또는 호우의 상황과 가장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 자료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모듈을 바탕으로 현재 재해의 규모 또는 특성과 가장 근사한 과거의 태풍, 호우 등의 케이스를 찾아냄으로써 과거자료를 기반으로 가까운 미래의 피해상황을 가늠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이 풍수해 피해를 예측하는 과정과 지아이에스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의 흐름도 및 관련화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분석에 사용할 조건을 입력받는 모듈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분석조건을 기준으로 수행되게 된다. 상기 분석조건은, 예를 들면, 두 가지 종류의 풍수해, 즉 태풍과 호우 중 어느 것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라든가, 어느 정도의 피해규모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영향을 받을 지역을 등급화 할 것인지 피해규모의 기준을 선택하는 것 등을 말한다.(도 4)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우선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조건을 바탕으로 태풍에 관한 분석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호우에 관한 분석을 실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00)
분석 대상이 태풍인 경우에는 현 태풍의 기상개황자료를 획득하는 단계로 진행되며(S101), 이어서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30)로부터 독출된 과거 태풍정보를 바탕으로 현 태풍과 유사한 과거의 태풍을 판단하여 선택하게 된다.(S105) 분석대상이 호우인 경우에는 현재 호우의 기상개황자료를 획득하고(S107),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30)로부터 독출된 과거 호우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호우 상황과 유사한 과거의 지역별 호우 데이터를 판단하여 선택한다.(S109)
상기에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바탕으로 특징지어지는 현재의 풍수해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풍수해가 태풍인 경우에는, 현재의 태풍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중심기압, 현위치, 이동경로, 강우량 및 최대풍속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태풍을 선택한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풍수해가 호우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우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시간당 강우량, 강우지역 및 강우기간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호우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분석시스템은, 현재의 풍수해로부터 발생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피해규모 및 지역을 예측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바,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예상피해가 어느 지역에 얼마만큼 영향을 줄 것인가를 분석해 내는 것을 주 분석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에서처럼 현재의 풍수해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 자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과거의 풍수해, 즉 과거의 태풍이나 호우가 영향을 미쳤던 지역이 현재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개황자료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역과 근접한 것인가가 우선순위가 높은 비교자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태풍의 경우에는 위치 및 이동경로 데이터를 기준으로 과거의 유사태풍을 먼저 검색하고, 경로가 비슷한 태풍이 복수로 검색되는 경우에는 다시 강우량이나 최대풍속 등의 자료를 통하여 현재의 태풍과 규모가 비슷한 과거 태풍의 사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의 위치 및 이동경로는 매 시간단위 마다의 위도/경도 값 변화를 통하여 상호 비교가 가능할 것이며, 강우량이나 최대풍속은 계측된 값을 기준으 로 비교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비교기능을 하는 모듈은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10) 내에 포함되어 구동되게 될 것이나, 상기와 같은 비교의 방법을 따른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해당 모듈을 개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현재 계측되고 있는 풍수해와 유사한 활동을 보였던 과거의 태풍 또는 호우자료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과거의 태풍 또는 호우데이터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재해상황자료서버(40)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1) 즉, 상기 선택된 과거의 태풍 또는 호우가 어떠한 지역에 어느 정도 규모의 피해를 입혔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40)는 과거의 재해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별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41),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43),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45)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상기의 구분은 물리적인 구분에 의한 것은 아니고,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정보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지아이에스데이터로서 상호 연관성 있게 관리되면서 물리적으로는 한 개의 서버에 보관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획득된 재해에 관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해상황 분석서버는 분석을 수행하고 그 분석결과를 표준화된 지아이에스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S205) 즉, 상기의 과거 재해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풍수해가 영향을 미칠 지역을 표시하거나, 해당 지역의 예상 피해규모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러한 결과 는 도표로 나타나게 하거나 지도상에 색구분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시각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도 9 내지 도 14 참조)
상기의 분석수행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태풍의 경우에는 선택된 과거 유사태풍의 재해자료를 기초로 하여 현재의 태풍에 의한 예상 피해규모를 산정하되, 이때 두 태풍 간의 크기, 풍속 등에 있어서의 규모차이가 있다면, 그러한 차이를 감안하여 예상피해규모를 산정하면 된다. 호우의 경우에 있어서도, 현재의 강우강도를 가진 과거의 유사 호우에 의하여 과거에 어떠한 피해가 발생하였는지를 기초로 하여 현재의 호우에 의한 예상 피해를 산정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규모의 과거 호우에 의하여 피해가 항상 일어난 것이 아니라면 발생확률을 계산해 낼 수 있음도 자명하다. 덧붙여, 태풍과 호우 모두에 있어서, 피해규모 뿐만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피해가 일어났는지 그 피해유형에 대하여도 과거의 데이터를 통하여 유추해 내는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20은 풍수해의 유형이 호우인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있는 화면들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태풍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20)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호우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의하여 과거 호우에 의한 재해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 기상특보를 내려야 할 지역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예상 피해정보를 함께 제시할 수 있다. 덧붙여, 같은 규모의 호우라도 지역별로 과거에 피해가 있은 적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면 해당 규모의 호우에 의하여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 즉 빈도를 계산 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풍수해의 활동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그러한 분석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조건을 입력받게 함으로써, 피해지역 내지는 피해의 영향 정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동일한 풍수해에 대한 예상 위험수준을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분석결과를 쉽게 도출할 수도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예를 들면, 예상 인명피해가 3명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등급화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여 본 후, 다시 예상 인명피해가 2명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등급화하여 분석결과를 새로이 도출하도록 하는 식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상 피해에 대한 자료를 보다 합리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석자료는, 담당기관으로 하여금 재해방지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예를 들면,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위험 지구, 해일 위험지구 등 지역별 위험지구 자료를 활용하여 피해유형에 따라 위험지역 특별 단속 등의 상황판단을 유도하게 한다. 특히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45)로부터 획득된 과거 지원실적을 참고하여 현재의 태풍이나 호우에 의한 피해를 복구하는데 어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되게 될 것인지를 추론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운용되는 본 발명의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재해대책 상황 판단 기준별 자료 관리 및 이력 관리를 통한 향후 상황 판단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이용되는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일정 표준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하며, 따라서 자료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과거 재해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현재 재해 재난에 대한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과거 자료 패턴 분석을 통한 지역별 대처방안 수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지아이에스상의 지역 현황 자료와 재해자료의 복합적 분석을 통한 대책방안 수립이 가능하며, 정보의 중복투자 방지가 가능하고, 사용된 재해대책 자료는 지자체별, 유관 부서별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어, 정보의 유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현재 태풍 또는 호우 등의 기상자료를 기초로 하여 과거 유사 기상 상황에서의 재해자료와 지역별 위험지구 및 위험 시설물 현황 등을 선택한 후, 예상되어지는 지역별 피해발생 유형을 다 각도로 분석하여, 재해대책 상황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및 관련 업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과거 및 현재 재해 자료의 비교에 있어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생성된 재해 분석 자료를 표준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적절한 재해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은, 각 지역별 재해에 대한 통계 및 분석을 실시하고, 실시한 분석자료를 각 부서간 및 지자체간 공통으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자료의 활용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동일지역에 대한 상이한 분석자료를 배제하여, 적절한 재해대책 상황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풍수해에 관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피해지역, 피해규모 및 피해유형을 예측하는 재해상황 분석방법으로서,
    재해상황분석서버가 풍수해에 관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재해상황분석서버가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접속하여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현재의 기상개황자료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
    재해상황분석서버가 상기 선택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재해상황자료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재해상황자료를 바탕으로 재해상황분석서버가 지역별 재해상황 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의 기상개황자료와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자료를 판단하여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풍수해가 태풍인 경우에, 현재의 태풍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중심기압, 현위치, 이동경로, 이동속도, 강우량 및 최대풍속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태풍을 선택하고,
    상기 풍수해가 호우인 경우에 현재의 호우에 대한 기상개황자료에 따른 시간당 강우량, 강우지역 및 강우지속기간을 기준으로 상기 과거의 풍수해자료와 비교하여 수치적으로 가장 유사한 호우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은 행정구역상의 구획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수해는 태풍 및 호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지역별 재해상황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는,
    풍수해 상황에 따른 지역적 특성파악,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풍수해상황 분석평가, 풍수해에 따른 지역별 피해유형 분석, 지역별 풍수해 피해현황조회, 풍수해에 따른 재해상황의 패턴분석, 의사결정을 위한 재해발생 경향분석 중 1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방법.
  8. 풍수해에 관한 현재의 기상개황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피해지역, 피해규모 및 피해유형을 예측하는 재해상황 분석시스템으로서,
    정보통신망;
    현재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는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
    과거의 풍수해에 관한 기상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된 재해상황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재해상황자료서버; 및
    상기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기상개황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기상개황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과거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상개황자료를 바탕으로 과거 유사한 풍수해자료를 판단하며, 상기 풍수해자료와 관련한 재해상황자료를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현재 풍수해로부터 기인할 장래의 피해를 예측하는 재해상황분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지아이에스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지역별 재난피해규모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상황자료서버는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비데이터베이스서버는 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복구를 위하여 투입되었던 물자, 장비, 인원, 시간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며, 해당 자료는 매년 또는 매 재난 발생시 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망은 LAN 또는 W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석에 사용할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상황분석서버는 과거의 풍수해와 관련한 기상상황자료를 검색하여, 현재의 태풍 또는 호우의 상황과 가장 유사한 과거의 풍수해 자료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KR1020070060982A 2006-09-07 2007-06-21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9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6101 2006-09-07
KR1020060086101 2006-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98A KR20080023098A (ko) 2008-03-12
KR100899243B1 true KR100899243B1 (ko) 2009-05-27

Family

ID=3939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982A KR100899243B1 (ko) 2006-09-07 2007-06-21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2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412B1 (ko) 2013-08-19 2014-05-27 한국전기안전공사 기상 데이터 및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전기고장 접수 건수 학습 및 산출 장치
KR101398413B1 (ko) 2013-08-19 2014-05-27 한국전기안전공사 기상 데이터 및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전기고장 접수 건수 학습 및 산출 방법
KR20160010797A (ko) 2014-07-18 2016-01-28 (주)지아이 방재력 비용지수 평가방법
KR101740783B1 (ko) * 2015-03-18 2017-05-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지진재해도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00B1 (ko) * 2011-05-30 2013-06-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태풍을 포함하는 저기압 접근 시 재해기상의 시공간적 분포 검색 시스템
KR101689794B1 (ko) * 2015-03-02 2016-12-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101956747B1 (ko) * 2017-04-28 2019-03-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KR101986224B1 (ko) * 2017-12-12 2019-06-0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Ict를 이용한 재난현장 긴급복구 시스템
KR102407374B1 (ko) * 2020-10-07 2022-06-10 대한민국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KR102417675B1 (ko) * 2020-12-29 2022-07-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0247B1 (ko)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재난 피해이력 시계열 시각화 방법
KR102527583B1 (ko) * 2022-10-14 2023-05-02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코드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시설 재난대응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코드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시설 재난대응 서버
CN116844309B (zh) * 2023-08-16 2023-12-29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气象数据实时监测多途径预警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223A (en) 1999-03-18 2000-02-08 Baxter, Jr.; John Francis Early warning detection and notification network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KR20040023393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텐코리아 재해 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223A (en) 1999-03-18 2000-02-08 Baxter, Jr.; John Francis Early warning detection and notification network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KR20040023393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텐코리아 재해 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412B1 (ko) 2013-08-19 2014-05-27 한국전기안전공사 기상 데이터 및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전기고장 접수 건수 학습 및 산출 장치
KR101398413B1 (ko) 2013-08-19 2014-05-27 한국전기안전공사 기상 데이터 및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전기고장 접수 건수 학습 및 산출 방법
KR20160010797A (ko) 2014-07-18 2016-01-28 (주)지아이 방재력 비용지수 평가방법
KR101740783B1 (ko) * 2015-03-18 2017-05-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지진재해도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98A (ko)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243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11560B2 (ja) 洪水リスクの自動化された位置に依存した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Montz et al. Flash flood mitigation: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Hawchar et al. A GIS-based framework for high-level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of critical infrastructure
Postance et al. Extending natural hazard impacts: an assessment of landslide disruptions on a national road transportation network
KR100755890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Sun et al. Integrated risk zoning of drought and waterlogging disasters based on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in Anhui Province, China
Jacob et al. Indicators and monitoring
Pourghasemi et al. Flood, landslides, forest fire, and earthquake susceptibility map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heir combination
Hsu et al. A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yphoon emergency response in Taiwan
Thongs Integrating risk perceptions into flood risk management: Trinidad case study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Zia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rban floods in lahore, pakistan using gis based integrated analytical hierarchy approach: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rban floods in lahore
An et al.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t the local scale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a case study in Da Nang City, Vietnam
Kubíček et al. Flood management and geoinformation support within the emergency cycle (EU example)
Davis et al. Post-Hurricane Michael damage assessment using ADCIRC storm surge hindcast, image classification, and LiDAR
Bola et al. Multi‐return periods, flood hazards, and risk assessment in the Congo River Basin
CN114664041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多传感器融合预警预测方法
Comes et al. Beyond early: Decision support for improved typhoon warning systems
Thi An et al.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t the local scale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a case study in Da Nang City, Vietnam
Mendis An Approach for Impact-Based Heavy Rainfall Warning, Based on the ECMWF Extreme Forecast Index and Level of Hazard Risk
Nolte et al. Adaptation of Railway Infrastructure to Climate Change
Eshtawi et al. Geo-spatial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Areas of the Gaza Strip Towards Preparedness and Humanitarian Response Planning
Kwon et al. RWIS network planning: Optimal density and location
KR102350247B1 (ko) 재난 피해이력 시계열 시각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