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374B1 -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374B1
KR102407374B1 KR1020210136510A KR20210136510A KR102407374B1 KR 102407374 B1 KR102407374 B1 KR 102407374B1 KR 1020210136510 A KR1020210136510 A KR 1020210136510A KR 20210136510 A KR20210136510 A KR 20210136510A KR 102407374 B1 KR102407374 B1 KR 10240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damage
map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509A (ko
Inventor
이준우
이소희
박진이
김옥주
이동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3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3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원화된 정보전달·공유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상황 관리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지도 형태로 표출하여 상황공유를 가능케하기 위해 PC 내 설치된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며,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은 기관별 정보목록의 DB와 연결되어진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기관별 정보목록의 DB로부터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와, 피해현황 DB의 체계로 분석된 후 이를 토대로 정적, 동적 데이터 구축현황이 조성되고, 이는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에서 상황관리 및 피해현황 분석정보와 종합되어 재난분야에 대한 활용수단으로 제공됨으로써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가 구축되는 제1 단계와,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단계에서 도출된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와, 피해현황 DB의 체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가 도출된 후, 상기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에 대한 자동 동기화가 실현됨으로써,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DB 체계별 매핑 서비스가 제공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된 매핑서비스 기능을 기반으로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연계·표출 기능이 제공되고, 다음으로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 현장상황을 연계·표출하는 기능이 제공되며, 최종적으로는 통합적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연계·표출 기능이 제공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에서는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 피해현황 DB의 세가지 체계별 DB목록 현황이 조성되도록, 기관별 정보목록의 DB로부터 공간정보, 통계정보 및 피해현황에 대한 기관별 정보목록이 조성된 후, 상기 정보목록에 의해 재난 유형별, 정보 특성별 분류체계가 완성됨으로써 매핑콘텐츠 DB체계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본 발명은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원화된 정보전달·공유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현장의 활용성 강화를 위해 기존 텍스트 중심의 정보전달체계를 보완하여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상황 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여 실제 재난상황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 다양화로 발생 패턴이 불규칙해 지면서 정부의 재난대응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재난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전달되어 효율적인 상황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체계적인 재난현장의 상황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체계가 필요하다. 상황관리 측면에서 보면 재난발생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의사결정권자에게 전달되어 신속한 상황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 정보전달 체계는 현장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여 가독성, 신속성, 편의성 등 측면에서 신속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지역적 특성과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발생현장과 중앙 및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황관리 담당자 및 현장조사자 간의 일원화되지 못한 정보전달 체계로 인해 재난현장에 적합한 상황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원화된 정보전달·공유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정보전달체계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가시화된 정보전달 기술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의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상황 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여 실제 재난상황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국립 재난안전연구원 내 지도기반 상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까지 가능하도록 유연한 구조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7-00226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8-0114814호
본 발명에서는 매핑체계 구축 및 기능제공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제공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도 기반의 매핑콘텐츠를 활용하여 상황관리 역량강화 지원을 위한 재난현장 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정보전달 기술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서는;
재난상황 관리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지도 형태로 표출하여 상황공유를 가능케하기 위해 PC 내 설치된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며,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은 기관별 정보목록의 DB와 연결되어진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기관별 정보목록의 DB에서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와, 피해현황 DB의 체계로 구분된 정적, 동적 데이터들이 지도정보와 함께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에 입력되면, 상기 정적, 동적 데이터들이 상기 지도 위에 매핑되어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가 구축되며,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DB 체계별 매핑서비스가 제공되어지되 피해원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재난피해 매핑콘텐츠의 주제도가 도출되며,
동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재난 발생지점에 대한 정보 수집·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은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케하며, 텍스트 형태의 정보만으로 이해가 어려운 정보들에 대해 사진·영상 등을 첨부함으로써, 정보들이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기관별 정보목록의 공간정보 DB는 국토교통부에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되어 제공된 것이고, 경찰청, 국토교통부 등의 중앙부처와, 강원도, 경기도 등의 지자체와, 교통안전공단, 국립생태원 등의 공공기관에서 구축하여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는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와, 피해현황 DB로부터 도출되는데, 이와 같이 도출된 매핑정보는 재난상황관리에 필요한 시설(건축물, 시설물 등) 및 인명 피해의 관리를 위한 정보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서는, 매핑체계 구축 및 기능제공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제공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지도 기반의 매핑콘텐츠를 활용하여 상황관리 역량강화 지원을 위한 재난현장 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정보전달 기술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 구축,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 제공, 원내 지도기반 상황 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 제공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간/통계정보 및 피해현황 DB체계 분석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재난현장 활용성 중심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 구축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매핑콘텐츠 DB체계의 제1 예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매핑콘텐츠 DB체계의 제2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매핑콘텐츠 DB체계의 제3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매핑콘텐츠 DB체계의 제4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정부의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 정보전달을 위한 매핑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재난상황 관리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지도 형태로 표출하여 상황공유를 가능케하기 위해 PC 내 설치된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며,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은 기관별 정보목록의 DB에서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 피해현황 DB로 구분된 정적, 동적 데이터들이 지도정보와 함께 입력되도록 연결된다. (도 1 참조)
본 발명은 PC 내 설치된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 피해현황 DB로 구분된 정적, 동적 데이터들과 지도정보가 입력되어지면, 재난 피해 매핑콘텐츠의 주제도와 함께, 현장보고서 기능에 대한 동적데이터들이 함께 가시적으로 출력되게함으로써, 상황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을 강화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원활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전제되어야한다.
이는 본원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본원발명 자체는 아니며, 다음과 같이 인간의 행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구축되는데, 우선적으로 정적·동적 데이터의 구축현황이 조사되고 공간정보·통계정보·피해현황 DB의 체계분석이 실시되고, 상황관리 및 피해현황 분석기술과 시스템 구현관련 기술동향 조사가 실시되며, 데이터 구축현황, 시스템 구현관련 동향 조사 결과가 종합되여 재난분야에 대한 활용방안이 분석되고, 마지막으로 활용방안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가 구축된다.
다음으로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간정보·통계정보·피해현황 DB의 체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가 도출된다.
상기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에서는 요구사항을 반영한 매핑서비스의 기능을 시범 구현되고, 구현된 매핑서비스는 사용자 대상의 기능검증이 실시되며, 사용자들의 매핑정보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안)이 상기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에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제공하는데, 매핑서비스 기능을 기반으로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연계·표출 기능이 제공되고, 다음으로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 현장상황을 연계·표출하는 기능이 제공되며, 최종적으로는 통합적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의 연계·표출 기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데,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은 재난상황 관리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지도 형태로 표출하여 상황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의 예시도로서, GIS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은 재난상황 발생상황시 활용할 수 있는 공통정보(기상, 수위, 교통, 주요시설물 등)와 재난유형별 재난상황 데이터세트(표준·실무·행동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재난상황정보)를 제공하여 재난의 예측과 상황판단 등 재난관리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양한 부처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와 재난관리포털, 재난상황관리시스템, 현장실시간정보 등을 통합하여 상황실, 국가위기관리센터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구현되는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에서는, 실시간 피해정보와, 피해 양상 및 피해 분석정보에 대한 통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재난 관련 피해정보 데이터를 민·관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이 구현되는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은, 다양한 부처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들을 통합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상황실, 국가위기센터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재난상황관리 시스템으로서,
침수 피해로 인해 발생되는 침수흔적 정보를 조사하고 재해지도를 작성하여 데이터를 관리 및 제공할 수도 있고,
화재현장에서는 피해현황 통계분석 정보, 원인별 분석 정보 등 화재와 관련된 다양한 피해분석정보들을 제공하는 실시간 화재상황 정보 제공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진피해 현장의 구조물의 위험조사를 실시할 시 드론을 활용한 이미지 촬영을 실시하고,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피해분석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손상율을 도출하는 등 드론과 이미지 피해분석 기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구현되는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에서는, 해외에서 제공된 데이터들도 취합하여 함께 제공될 수 있을 것인데,
*다양한 조직들 간에 보유 정보를 자동으로 변환하고, 부처별 시스템간의 중개 역할을 실시하며, 특히 다양한 기관에서 제작하는 동종 데이터들을 통합한 후 이종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지도화함으로써,
여러 조직이 수집한 재난피해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공통 상황도를 작성하여 재난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정부의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 정보전달을 위한 매핑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우선적으로 정적·동적 데이터의 구축현황이 조사되고 공간정보·통계정보·피해현황 DB의 체계분석이 실시되어야 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등 3가지 구분항목에 대한 DB목록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매핑콘텐츠 DB체계를 도출해야한다.
우선적으로 정부에서 국민에게 제공하는 DB목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GIS 기반 통합상황 관리시스템에서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등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기관별 정보목록을 조사된 다음, 정보목록을 바탕으로 재난 유형별, 정보 특성별 분류체계가 분석되어 매핑콘텐츠 DB체계가 도출된다.
우리나라의 공간정보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19조에 따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본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관리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통해 공간정보의 주체를 국토교통부로 통합 관리하게되어있으므로,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구축하고 있는 공간정보를 표준화하고, 연계·통합한 국가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가 공간정보포털에서는 중앙부처 13개 기관, 지자체 18개 기관, 공공기관 29개 기관 등 총 63개 기관의 국가공간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1
예를 들어본다면 국가공간정보포털에 중앙부처 13개 기관이 등록한 DB는 총 7,091개이고,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로 구분되어 있으며,
경찰청의 경우 지리적프로파일링시스템 및 교통사고관리시스템 등 2개의 시스템과 통합노드링크 DB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총 16개 DB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2
경찰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간 DB 분석 결과 재난피해 발생지역의 통제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DB는 경찰청관할 경계, 관서위치, 지구대관할경계, 파출소관할경계 등 4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 및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국토정보시스템, 국가교통정보센터, 수치지도관리시스템 등 20개 시스템의 총 5,867개 DB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3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4
국가공간정보포털 상에서 5,867개의 DB를 공개구분에 따라 공개/공개제한/비공개되고 있는데, 그 중 공개제한/비공개되고 있는 DB를 제외하고, 공개되고 있는 DB를 대상으로 검토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중복되는 DB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DB를 활용하기 위하여 풍수해·지진 재난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DB를 도출해야하는데, 도출한 DB는 재난상황관리시 필요한 시설(건축물, 시설물 등) 및 인명 피해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해시설 정보를 표출하기 위하여 풍수해 및 지진재난의 피해 통계 정보 등에서 활용되는 국토정보, 건축물 정보, 시설물 정보 등과 같은 정보들을 분류하였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재난 시 피해집계에 활용되거나 상황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CCTV정보 등 정적·동적 데이터를 분류하였고,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71종의 DB가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5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 농지정보시스템 등 4개 시스템의 총 10개 DB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6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간 DB 분석 결과 재난 발생에 따른 2차 피해 예상지역 정보에 활용될 수 있는 매몰지 정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의 전염병 등으로 인해 매몰된 가축 매몰지 정보는 홍수 발생으로 인하여 가축의 침출수가 유출되는 형태로의 추가 피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을시 활용 가능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 공간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총 16개 DB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7
문화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간 DB검토 결과 재난 발생에 따른 2차 피해 예상지역 정보에 활용될 수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 보호구역 정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발생 가능한 2차 피해 예상지역 정보는 문화재의 위치정보, 문화재 정보 등을 기반으로 재난에 의한 문화재 피해 정보, 문화재를 주제로 하는 재난 예측·피해지도 작성 등 활동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청에서는 산림공간정보시스템, 산림항공 안전운항정보시스템, 산불위험예보 시스템, 산사태정보시스템 등 4개의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20여개의 공간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기타 100여개의 DB를 구축·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8
산림청에서 생성·수집·관리하고 있는 공간정보DB의 등록현황을 기준으로 가로수, 경영계획구, 경제림육성단지 등 재난상황관리와 비교적 연관성이 적은 DB를 제외하였다. 그 외에 재난상황관리를 지원하기위해 활용될 수 있는 DB로 시군구별산불위험등급(실시간), 사방댐, 산사태위험지도, 산사태취약지역, 토석류 위험 예측지도 등 재난과 연관이 있거나 지형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29종의 데이터를 도출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는 항만지하시설물 정보시스템, 연안관리정보시스템, 종합해양 정보시스템, 해양사고 조사/심판 업무관리시스템 등 8개의 시스템에서 약 238개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관리하고 있다. 항만과 해안, 해양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내용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09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사고, 해양환경, 해양과 관련된 정보들을 공간정보화 하여 보유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재난상황 관리에 활용 가능한 DB로는 교통안전특정해역, 격자형 수심, 수치해도, 시내·외 통신지하관로, 소화전 등 약 23개의 공간정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에서는 국가주소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61종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관리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0
행정안전부에서는 2014년 1월 1일부로 도로명주소를 전면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국가주소정보시스템에서 최초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로명주소를 기준으로 공간정보DB를 구축·관리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국가환경지도시스템, 환경공간정보서비스, 국립습지센터 습지지리 정보시스템,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금강수계토지매수관리시스템 5개의 서비스 및 시스템에서 약 122개의 공간정보를 구축·관리하고 있는데, 그 중 재난상황관리에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DB로는 하수처리시설, 폐기물 발생 및 처리, 산업단지 화학물질 배출량, 지역별 화학물질 배출 및 이동량 등이 있다.
112개의 공간정보 중 지역별 종량제봉투 가격, 하수도요금 현실화율 등과같이 재난과 연관성이 적은 데이터를 제외 한 결과 62개의 DB가 재난의 피해정보, 상황관리 등의 활동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된 DB는 다음에서와 같이 대부분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 등을 취급하는 정보를 다루는 정보들로 구성된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1
위 설명은, 국민에게 제공되는 DB목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공간 통계정보 및 피해현황 DB를 조사하는 단계 중에서도 중앙부처로부터 제공된 DB를 조사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서,
중앙부처에는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경찰청, 산림청 등의 기관이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각 부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간정보들은 부처 소관의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와, 사고관리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구축·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에게 제공되는 DB목록들은 상기 중앙부처 외에도 지방자치단체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는데, 공간정보포털에서 조사한 지자체의 공간정보 데이터는 현재 우리나라의 11개 시도와 109개의 시군구에서 구축·관리하고 있고, 공간정보 정보는 약 38,942개로 조사되며, 그중 다양한 재난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음과 같이 34개의 시스템에서 1,635개의 공간/통계 DB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2
서울특별시에서는 재난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재난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은 위의 3개 외에도 교통안전시설자료관리시스템, 제설현장관리시스템, CCTV통합관제센터 GIS시스템, 도로관리시스템, 지반정보통합 관리시스템 등의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데, 그 정보로는 사고다발지역, 재난감시카메라, 민방위 대피소, 빗물펌프장, 홍수흔적 등 다양한 재난관련 DB를 구축·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특별시 외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도 조사해본 결과, 다양한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한 재난관련 DB를 구축·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자체는 대부분 도시관리 및 재난관리를 위하여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었으며, 해당 지자체의 구역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을 구축·운영 중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은 재난으로 인한 1차, 2차 피해 예측, 재난상황시 재난관리활동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민에게 제공되는 DB목록들은 상기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외에도 공공기관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는데, 현재 국가공간정보포털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 국토연구원, 한국가스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22개의 공공기관에서 877건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 DB를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산하기관 및 위원회의 분류로 등록되어있는 광해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는 갱구위치, 광구도, 광미장, 등 14건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3
광해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 중 재난상황관리에 활용 가능한 정보로는 갱구위치, 광미장 위치, 광산, 노천광산영역, 침하지 등 13종의 정보가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는 광산개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재난이나 지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붕괴사고 등의 재난의 피해현황 정보를 관리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지하수정보시스템을 통하여 국내의 지하수자원과, 토지, 등에 관한 정보를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다. 전국의 단층, 대수층, 잠재오염원, 지질구조밀도, 토양도 등 약 40종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다음과 같이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4
수자원공사에서 등록한 공간정보 중 단층(정밀), 잠재오염원(정밀), 지하수 오염 취약성(정밀) 등의 공간정보는 지진재난이나 유해물질 유출사고 같은 재난상황관리 활동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한 정보로 판단되며, 이외에도 다음과 같이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의 공공기관에서 재난상황시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5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등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기관별 정보목록을 조사해야하며, 이후에는 재난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체계 분석단계"가 연결되어진다.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체계 분석단계"는 재난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피해현황 정보를 검토하고 피해원인 분석을 통하여 공간통계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예를 들어, 풍수해 피해현황정보는 매년 행정안전부에서 재난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정보를 통계한 재해연보로서, 행정안전부 산하 기관인 국립방재연구소(現,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재난피해 발생시 재난피해 현장을 조사하여 피해원인 분석 등을 실시하고 기록한 피해 현장조사 보고서를 분석하여 주요 인명피해 원인 및 피해 발생시설을 도출하였는데, 재해연보 상에서 인명피해의 경우 사망, 실종, 부상 등의 수치 통계로만 관리되고 있어, 인명피해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제시하고 있지 않다.
과거 국립방재연구소에서는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발생한 피해의 원인분석과 피해 조사·분석을 실시하였고, 태풍으로 인해 발생한 호우피해, 산사태, 하천범람 등의 재난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현장조사보고의 조사내용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고서의 조사결과 풍수해 인명피해는 하천급류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았으며, 산사태, 침수, 하천범람, 매몰 등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6
풍수해 발생에 따른 피해시설을 분석하고 피해시설에 대한 매핑콘텐츠를 도출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난통계 자료인 재해연보를 분석하였고, 대상 기간으로는 최근 10년간(’09년~’18년)의 풍수해 피해통계를 활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풍수해 피해시설 통계의 경우 각 항목별 단위가 상이하여 피해금액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하천시설이 12.7%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비닐하우스(9.9%), 기타공공시설(9.8%), 소하천(8.5%), 사방(8.0%), 도로(7.4%)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7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체계 분석단계"는 재난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피해현황 정보를 검토하고 피해원인 분석을 통하여 공간통계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위에 설명한 "풍수해 피해현황 분석"외에도 다음과 같은 "재난피해 원인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여기에서는 재난피해 현황과 영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시 피해의 유발원인을 분석한 후, 피해원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재난 피해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도출을 실시한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한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의 피해조사의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풍수해로 인한 피해시설과 인명피해 유발의 원인을 제시한 단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시하였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8
전술한 "풍수해 피해현황 분석" 단계에서 도출한 풍수해 피해현황 분석 결과 발생하는 주요 피해항목으로는 인명(사망, 실종), 하천, 소하천, 도로, 건축물(주택, 비닐하우스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의 태풍 루사 피해현장 조사결과와 2003년 태풍 매미의 피해현장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피해원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주요 풍수해 피해원인으로는 하천 미정비(하천구조물 설계오류, 월류방지시설 부족 등), 산사태·토사유출이 있었으며, 기상적 요인, 지형적 요인(저지대, 급류지역), 제방의 유실 및 붕괴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피해 조사보고서의 주요 피해 시설은 하천시설, 건축물, 교량 등의 도로 시설이 있었고, 주요 하천피해시설은 제방붕괴·유실, 보 붕괴 등이 있었으며, 건축물의 경우 도시침수, 전력시설 피해로인한 정전피해 등이 있었다.
또한 교량 등의 도로시설의 경우 하천급류에 의하여 도로가 유실·파괴 되는 피해사례와 유송잡물에 의한 교량 붕괴, 하상세굴에 의한 교량붕괴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고, 건축물의 주요 피해 대상은 주택, 비닐하우스였으며, 주요 피해 유형으로는 전파/반파, 매몰, 침수가 주요 피해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에 따른 주요 피해원인으로는 하천급류, 산사태/토석류, 급류지역, 하천시설물 과소설계 등이 원인이 되어 시설물 피해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 조사"와, 재난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체계 분석"이 이루어져야하고, 이후에는 DB현황 조사내용을 기반으로 DB의 활용현황 및 분석을 실시하여 재난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정적·동적 데이터 구축현황 조사 및 재난분야 활용방안 분석"이 이루어져야한다.
국내에서 활용중인 정적·동적 데이터의 활용 현황조사를 통하여 재난상황관리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국내에서 활용중인 정적·동적 데이터를 상황에 맞도록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재난현장 상황관리 지원을 위한 매핑콘텐츠를 구성할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정부 및 민간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정적·동적 데이터로 구분하였고, 매핑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해 국내에서 구축·활용 되고 있는 데이터 중 재난분야에 활용한 데이터 선별, 데이터가 제공하는 정보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에서 활용 중인 정적 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현황을 조사 및 검토하였다.
건물 데이터를 예로 들자면, 국내 정부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건물의 공간정보 데이터의 경우 대표적으로 행정안전부가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 주소건물DB’가 있으며, 국토교통부의 국가공간정보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GIS건물 일반정보조회서비스’가 있다. 우선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의 건물객체의 경우 ‘국가주소정보시스템’에서 최초로 생성되어 관리되고 있는 건물 DB이다.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일/월 단위로 변동자료를 갱신하고 있으며, 특정지자체의 정보만 필요로 하는 경우 지자체의 승인을 받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지자체의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아 무료로 제공받아 활용이 가능한 DB이다.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의 건물DB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는 건물명, 주소, 지상· 지하 층수, 건물용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19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는 국가주소정보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도로명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건물공간정보이다.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매 월말 기준의 도로명주소 자료와 일/월의 변동자료를 갱신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공개 여부는 사용자의 본인인증과 데이터를 취득하고자하는 지자체의 승인을 받아야 취득이 가능하다.
2개 이상의 지자체의 데이터를 취득하고자 할 경우에는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의 개방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국토에 대한 전담기관인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건물 공간정보의 경우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의 건축물 대장과 GIS건물통합정보의 일반건물 융복합 정보이다.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연 2회로 반기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갱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는 시도 단위로 국가공간정보포털을 통하여 개방되며, 데이터의 공개 여부는 국가공간정보포털의 회원가입을 통하여 무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개방데이터이다.
GIS건물통합정보를 건축행정시스템과 융복합하여 더욱 다양한 건물에 대한 정보를 GIS건물일반정보조회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 데이터로 GIS건물일반정보조회서비스를 행정안전부의 건물 데이터와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였다. GIS건물일반정보조회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건물DB의 제공정보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0
위 내용들은 "정적,동적 데이터 구축현황 조사 및 재난분야 활용방안 분석"에서 "국내 정적 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것이었고, "국내 동적 데이터 구축 및 활용 현황"에 관한 것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동적 데이터란 실시간 정보나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데이터로서, 동적 데이터는 기존에 구축되어 고정되어있는 데이터가 아닌 현장의 상황·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현장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도에 표현하거나 가시화된 정보를 구축하는 형태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예를 들어, 2019년 전라북도에서는 태풍 내습 시 도내 지역자율방재단을 통해 재난 및 피해상황을 공유하는 ‘현장정보 수집반’을 시범운영하는데, ‘현장정보 수집반’은 태풍 등 광범위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 발생할 경우 공공의 대응인력만의 정보수집 능력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민관협력의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체계를 시범구축 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재난현장에 대한 정보 수집·제공과 정보공유를 위해 현장정보 수집을 위한 ‘현장조사보고서’ 시스템을 제공하였는데, 현장조사보고서 시스템은 모바일을 활용하여 현장조사 사진·영상 정보를 공유하고, 보고서 작성기능이 탑재된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현장조사 업무가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현장조사 보고서를 통해 조사한 데이터는 지도상에 포인트 형태의 정보로 표출이 되는 정보공유·동적데이터 구축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1998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Injaka Bridge를 시공하던 중 교량 붕괴 사고가 발생한 이래로 건축 분야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교량에 대한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 중인데, 특히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SHM 시스템)은 건축물의 초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시스템 적용이 확산되고 있다. SHM시스템은 구조물의 건전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건축물이나 구조물 설치시 계측센서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구조거동, 센서계측을 통한 구조물들의 정량적인 손상평가,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매핑콘텐츠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그중 현재 우리나라의 건축물 현황정보를 활용한 콘텐츠를 도출하고, 기본데이터 베이스로 건물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조사한 두 기관의 건물정보를 비교 검토 하였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두 기관에서 제공하는 건물공간정보의 제공 정보를 검토한 결과 두 데이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1
GIS건물일반정보서비스의 건물 데이터의 제공정보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건물데이터의 제공정보와 다수 일치하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도로명 주소전자지도에서 제공하지 않는 데이터 중, 건축물 구조 정보, 건축물 허가일자 및 사용승인일자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지진재난의 콘텐츠 도출시 건축물의 노후도나 건축물의 구조파악 등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고, 건축물의 노후도나 건축물의 건축구조파악이 가능하면 현장조사를 실시하기 전이나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상황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를 사전에 준비가능하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긴급위험도평가나 위험주제도 도출시 활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GIS건물 일반정보서비스의 건물데이터를 활용하기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2
동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재난 발생지점에 대한 정보 수집·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은,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가 가능하며, 텍스트형태의 정보만으로 이해가 어려운 정보들에 대하여 사진·영상 등을 첨부하는 기능을 활용가능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피해정보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가시적인 형태의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데이터 구축현황, 시스템 구현관련 동향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재난분야에 대한 활용방안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활용방안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재난현장 활용성 중심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 구축"해야하는데,
재난피해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를 도출하고, 매핑정보를 활용한 풍수해 및 지진에 대한 주제도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공간/통계 정보 및 피해현황 DB조사"에서 피해현황 및 영향 분석결과를 통해 재난 상황관리 시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매핑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제34조의 5에 따라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재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 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 문서이자, 실무자들이 활용하게 될 위기관리 실무 매뉴얼의 작성 기준이 되는 자료인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였는데, 2014년 소방방재청(現, 소방청)의 ‘풍수해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의하면 태풍 발생시 실시하는 상황관리 체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3
재난상황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재난상황보고 일지를 검토하였다. 재난상황보고일지는 정부와 각 기관들이 재난에 대하여 대응을 기록한 문서로,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실제 재난대응활동 사례를 활용하여 각 상황단계시 필요한 정보도출을 실시하고자 실제 상황관리 사례 중 2016년 발생한 제18호 태풍 ‘차바’의 일일상황보고 일지를 기반으로 필요정보를 도출하였다.
풍수해 상황관리 체계에서는 초기 상황판단 회의를 통하여 다가오는 태풍이나 호우 상태에 대한 현황정보를 파악하고, 기상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실시하는데, 해당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로는 기상현황정보, 상황판단 예측정보, 재난 대비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정부 및 각 기관들의 대응상황 준비를 위한 기초정보이므로 상황관리에 필요한 정보로 판단된다. 선행적으로 상황판단 및 예측정보를 기반으로 대비태세를 검토한 후, 미흡 보완사항 여부를 판단하고 보완하여 상황실에 중점 상황관리 분야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각종 지시사항, 주요 대처사항 등 정보이다. 선행 단계에서 비상단계가 발령이 되면, 상황근무를 실시하며, 재난담당 기관, 유관기관 등의 협업행정기능을 실시하고, 재난을 담당하는 과별 근무투입을 시작한다.
이 단계부터 상황보고서 작성, 인명피해 관리, 재난피해 관리, 재난상황 관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상황관리 단계에서는 신속·정확한 상황파악을 위해서는 정보공유가 매우 중요한데, 주요 공유 정보내용으로는 통제 및 피해상황 정보, 대피 정보, 각 기관별 주요 대처사항정보가 있으며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하여 신속한 현장상황 파악 등을 통해 현장상황관리를 지원한다.
다음은 태풍 ‘차바’가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정부대응과 대응시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태풍 ‘차바’의 사례에서 정부는 국토인접 4일전(2016.10.01.)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대응을 시작했는데, 긴급대책 회의 시에는 재난에 대한 정보수집·분석, 재난의 예측/분석 정보를 활용하여 예상되는 재난피해에 대한 대책마련과, 대 국민 재난방송 등의 활동이 실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토인접 3일 전(2016.10.02.)에는 국민안전처(現,행정안전부)의 비상근무실시, 인명피해·취약지구 등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 예찰활동 실시, 중앙재난대책본부 1단계 비상근무 실시 등이 정부의 주요한 대응활동이었다. 이러한 대응 시에는 예찰활동에 대한 추진실태, 각 부처/지자체의 주요대처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상황 관리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비상근무, 사전예찰활동 등의 활동을 위해서는 사전에 구축되어있는 기본적인 정보가 있어야 신속한 대응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토인접 2일 전(2016.10.03.)에는 태풍의 직·간접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긴급대책회의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관기관, 지자체 등의 대처상황 점검을 실시하고, 재난현장 지원을 위하여 현장상황관리관 파견, 대 국민 행동요령 전파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에서는 현장과 상황관리자의 현장 정보공유가 중요하며, 피해/대처사항에 대하여 파악이 가능해야 적합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현장정보, 시민들 제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언론정보, 여러 부처/지자체가 실시하는 협업업무 지원정보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부는 매체를 통하여 국민들에게 예·경보 상황에 대하여 전파가 가능하다.
태풍 ‘차바’의 국토인접 1일 전(2016.10.04.)에는 장관주재의 관계부처 및 지자체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긴급대책회의 실시, 태풍대비 상황판단회의 개최 및 대처상황을 총리에게 보고하였다. 이후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남해안 월파(폭풍해일) 피해 예상지역의 출입통제 및 대피를 지시하였다. 이러한 대응활동에서는 피해 예상지역에 대한 정보, 대피계획 및 현황 파악정보, 출입제한 정보, 인명 구조현황 정보, 육상/해상/항공 통제현황 정보 등 사회질서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정보가 상황관리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난피해 발생 전까지는 대부분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정보가 주로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풍이 국토에 인접한 당일(2016.10.05.)의 경우 정부에서는 태풍 영향권 지역의 비상근무 실시, 인명피해 대비 취약지구 등 예찰 및 안전조치 실시, 해안 저지대 안전관리 철저 지시 등 활동을 실시하였다.
태풍이 본격적으로 국토에 도달하고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제주도 부근을 통과하여 거제도, 부산을 통과하여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며 공공 및 사유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으며,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가스/전기/유류/통신시설 등의 피해 파악, 피해지역의 긴급복구 현황정보, 이재민, 구호물자 등 정보, 부처별 재난피해 지원정책 정보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들을 재난피해 상황관리에 있어 중심적인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4
태풍 ‘차바’ 사례의 대처상황보고 자료를 검토한 결과 재난 상황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는 시간적 개념으로 구분하면 재난발생 전과 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난발생 전 단계에서는 피해에 대한 예측정보, 현황정보 등을 기반으로 재난에 대한 대비를 실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재난 발생 후 단계에서는 피해현황정보, 추가 피해발생 예상정보 등의 정보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문자나 음성형태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정보의 형태는 긴급한 상황 속에서 대량의 정보가 수집되기 때문에 인간의 판단력에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하는 상황판단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 관리 시 필요정보와 재난피해 유형 및 발생원인, 피해시설 및 인명피해 위치 분석결과 등을 고려한 매핑콘텐츠를 도출하였다.
재난발생 전 단계에서는 재난피해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피해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이나 상습침수 위험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사전구축·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는 2006년부터 실제 침수발생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침수흔적도를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침수흔적도를 기반으로 주요 피해 발생 위치, 원인 등의 정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침수피해 위험도, 지하시설 침수피해 위험도, 방재시설 침수피해 위험도 등의 콘텐츠를 도 4와 같이 예시하였다.
재난이 발생하고, 피해가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현장에서 생성·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파악을 통한 상황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가 필요한데, 기존의 상황관리는 음성, 문자와 같은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관리를 함에 있어 정확한 상황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도출한 가시화된 피해예측정보 매핑콘텐츠를 활용하여 현장 피해조사 계획을 수립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가시화하여 활용한다면, 현장 및 의사결정권자의 상황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진 재난현장 지원을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구축"에 대해서도 고려해본다면, 지진재난에 의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재난피해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지진재난은 예측하기 어렵고, 재난의 발생으로부터 동시다발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응이 사실상 어려운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지진재난이 발생하였을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중요시설, 피해위험도, 건축구조, 내진등급 등의 지진관련 콘텐츠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주지진의 사례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2016년 9월 12일 19시 44분경 경주시에서 규모 5.1의 전진 발생 후 20시 32분경 규모 5.8의 본진이 발생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진도의 규모가 매우 컸으며,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5
당시 정부의 대처상황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사유시설에서는 건물 균열, 지붕파손 등 건축물의 피해가 다수 발생하였다. 공공시설의 경우 도로와 같은 공공시설과 추가 피해 발생의 우려가 있는 발전소, 원전 등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에 대하여 조사가 신속히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에서 사용하는 위험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시 신속히 대처하여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 측면에서의 활동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주지역의 전진 및 본진의 진원지와 인접지역의 위험물 취급시설, 공장시설,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표기한 주제도를 도출하였다. (도 5 참조)
이러한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시설들의 지도를 작성하고 제공함으로 신속한 점검 등을 위한 조사활동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경주시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들의 위치 분포도는 도 5와 같다.
국민안전처(現,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한 9.12 지진백서에서는 경주 지진사례에서는 진원의 깊이는 15km로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5.0이상의 지진의 평균 심도인 8.16km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하였고, 지진의 지속시간은 약 5~7초이며, 강진지속 시간 1~2초로 매우 짧은 특성을 띄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경주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임에도 불구하고 진원의 깊이가 깊고 지속시간이 짧은 특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지 않았던 사례인 것으로 조사·발표 되었다. 다음으로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 발생 후 2018년도 2월 14일경 여진으로 인해 발생한 사례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지도기반의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시나리오의 구성은 피해발생 당시의 대처상황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하였는데, 2018년 2월 14일에 발생한 여진의 발생정보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117674418-pat00026
포항시 북구 약 8km지점에서 규모 5.4의 여진이 발생하였고, 2017년 11월에 발생한 포항지진의 여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진에 의해서 발생 가능한 피해로는 먼저 위험물 취급시설에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위험물 취급시설, 주유소, 공장 등의 정보를 지도에 표출하여 제공함으로, 위험시설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2차피해로 확산될 우려가 있는 시설을 표기하여 지진피해 발생시 선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2차 피해 위험시설 주제도이다. (도 6참조)
이러한 주제도를 제공함으로써 위험시설의 위치정보 파악이 용이해지며, 피해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도상에 표출한다면 피해확산 대응, 대비 등의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시설을 검토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DB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취약구조의 건축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건축물들의 건물구조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는데, 건물의 구조 중 지진피해에 취약한 구조를 도출하여 표출함으로써, 재난발생시 피해발생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 7 참조)
마지막으로 도 8은 지진재난에 있어 건축법상에서 명시하는 건축물의 안전시설을 명기하고, 관리하기 위한 보호시설지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시설 지도는 『건축법』 및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56조 2항의 별표 11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중요도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중요도 등급별로(특, 1, 2, 3) 표출하였는데, 이 피해지역에서의 의사결정 우선순위선정을 돕기 위한 주제도를 도출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서는, 매핑체계 구축 및 기능제공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제공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지도 기반의 매핑콘텐츠를 활용하여 상황관리 역량강화 지원을 위한 재난현장 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정보전달 기술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재난상황 관리와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지도 형태로 표출하여 상황공유를 가능케하기 위해 PC 내 설치된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며,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은 기관별 정보목록의 DB에서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 피해현황 DB로 구분된 정적, 동적 데이터들이 지도정보와 함께 입력되도록 연결되어진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적, 동적 데이터들이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에서 지도 위에 매핑된 다음,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GIS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DB 체계별 매핑 서비스가 제공되어지되, 피해원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재난 피해 매핑콘텐츠의 주제도가 도출되며,
    동적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재난 발생지점에 대한 정보 수집·데이터 구축이 가능한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현장조사 보고서 기능은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 공유케하며, 텍스트 형태의 정보만으로 이해가 어려운 정보들에 대해 사진·영상 등을 첨부함으로써, 정보들이 가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기관별 정보목록의 공간정보 DB는 국토교통부에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되어 제공된 것이고, 경찰청, 국토교통부 등의 중앙부처와, 강원도, 경기도 등의 지자체와, 교통안전공단, 국립생태원 등의 공공기관에서 구축하여 제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재난유형별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는 공간정보 DB, 통계정보 DB와, 피해현황 DB로부터 도출되는데, 이와 같이 도출된 매핑정보는 재난상황관리에 필요한 시설(건축물, 시설물 등) 및 인명 피해의 관리를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36510A 2020-10-07 2021-10-14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KR10240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10A KR102407374B1 (ko) 2020-10-07 2021-10-14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74 2020-10-07
KR1020210136510A KR102407374B1 (ko) 2020-10-07 2021-10-14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174 Division 2020-10-07 2020-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509A KR20220046509A (ko) 2022-04-14
KR102407374B1 true KR102407374B1 (ko) 2022-06-10

Family

ID=8121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10A KR102407374B1 (ko) 2020-10-07 2021-10-14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697B1 (ko) * 2022-10-14 2023-05-26 대한민국 안전 신문고를 활용한 위험처리 우선순위 대상의 선정 시스템
KR102623123B1 (ko) * 2022-12-15 2024-01-10 대한민국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ko)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13150B1 (ko) 2018-12-12 2019-08-27 대한민국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43B1 (ko) * 2006-09-07 2009-05-27 정성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2205A (ko) * 2012-09-06 2014-03-14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KR101646967B1 (ko) * 2014-03-31 2016-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하정보 실시간 연계기반의 지진방재를 위한 통합정보 구축시스템 및 그의 구축 방법
KR101737815B1 (ko) * 2015-08-21 2017-05-29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24259B1 (ko) 2015-08-21 2017-04-07 대한민국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80114814A (ko) 2017-09-18 2018-10-1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ko)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13150B1 (ko) 2018-12-12 2019-08-27 대한민국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문섭 외 2명, 방재국토 구축을 위한 GIS 활용방안 연구(Ⅱ ),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12.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509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pathoma-Köhle et al. Elements at risk as a framework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communities to landslides
Bonazza et al. Safeguarding cultural heritage from climate change related hydrometeorological hazards in Central Europe
Radke et al. Application challeng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Implications for research, education, and policy for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KR102407374B1 (ko) 재난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의 구축방법
Pearson Early warning of disasters: Facts and figures
Nunes et al. Disaster risk assessment: The experience of the city of Rio De Janeiro in developing an impact scale for meteorological-related disasters
KR20220142320A (ko) 재난대응 업무기반 맵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Lara-Valencia et al. Integrating urban planning and water management through green infrastructure in the United States-Mexico border
Uchida et al. Countermeasures for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Japan using hazard maps
Uehara et al. Could the magnitude of the 3/11 disaster have been reduced by ecological planning? A retrospective multi-hazard risk assessment through map overlay
Aji et al. Assessment of vulnerability and community preparedness against flood disaster during COVID-19 pandemic period in semarang city
HARA et al. Post-disaster recovery linked with pre-disaster land development and damage density of Typhoon Yolanda: Toward better land-use planning in Tacloban City, the Philippines
Kulmesch Evaluation of the HAZUS-MH loss estimation methodology for a natural risk management case study in Carinthia, Austria
Rahayu et al. Good practices of enhancement early warning system for high populated cities: a case study for Jakarta flood
Amponsah Natural Hazards Governance in Ghana
Popoola et al. Indicators for Disaster Vulnerability to the Overflowing of the Niger River in Adjoining Settlements in the Confluence City of Lokoja, Nigeria
Ghimire Approach to multi-disaster risk assessment and policy recommendation for disaster resilient urban development: A study of Birgunj–Simara Corridor
Oguchi Contribution of Geography and Geospatial Technology to Cope with Hazards and Risks: Implications of GIS Development in Japan
Nakhapakorn et al. Geospatial Technology for Estimating the Physical Vulnerability of Building Structures to Natural Hazards
Zhang et al. Key Technologies of Marine Environment Safety
Pamungkas et al. Rapid Assessment for Emergency Infrastructures in Responding Flood related to Mining Activity: Case Study of Banjarasri and Kedungbanteng Flood, Sidoarjo, Indonesia
Hastings et al. Understanding modelled earthquake risks for British Columbia—Limitations and opportunities
Zhang et al. Study on Monitoring Problems and Solutions of South China Karst
Baki et al. Investiga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lanning model: problems and solution alternatives-coasts of sinop.
PROVINCE HERITAGE IMPACT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