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47B1 -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47B1
KR101956747B1 KR1020170055654A KR20170055654A KR101956747B1 KR 101956747 B1 KR101956747 B1 KR 101956747B1 KR 1020170055654 A KR1020170055654 A KR 1020170055654A KR 20170055654 A KR20170055654 A KR 20170055654A KR 101956747 B1 KR101956747 B1 KR 10195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hns
ship
recording
ca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216A (ko
Inventor
이문진
이은방
하민재
강원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5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47B1/ko
Priority to PCT/KR2018/004074 priority patent/WO2018199500A1/ko
Publication of KR2018012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NS 사고의 증가에 따라 HNS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NS 사고를 체계적으로 표현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해상 HNS 사고사례 표준코드를 개발한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상의 선박에서 발생한 HNS 사고 발생을 인지하는 사고발생단계; 상기 HNS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초기정보를 수집하는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사고초기정보에 따라 사고를 대응하는 사고대응단계; 및 사고발생단계, 상기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사고대응단계에 의한 결과를 조사하는 사고조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HNS에 의해 발생하는 재난에 보다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DESIGN METHOD OF STANDARD CODE FOR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ACCIDENTS AT SEA}
본 발명은 해상 위험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 HNS, 이하 HNS)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NS 사고의 증가에 따라 HNS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NS 사고를 체계적으로 표현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해상 HNS 사고사례 표준코드를 개발한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해상으로 운송되는 HNS 물동량은 증가추세에 있고, 이러한 HNS 물동량의 증가(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1)로 인해 HNS 사고의 개연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HNS 해양오염사고는 인명, 환경 또는 재산의 잠재적 피해를 유발하는 물질이 유출되어 발생되며, 유출에 따른 피해는 유출된 물질의 특성과 양, 그리고 유출 시간에 따라 확대될 수도 있다. 또한, 화재, 폭발, 독성, 감염, 반응, 부식, 방사능 등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피해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에는 2014년 여수에서 발생한 우이산호 사고시에 유출된 유해 나프타 성분으로 인해 방제작업에 투입된 주민의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5년 1월에는 울산항에서 혼합산이 적재된 선박 폭발 사고가 발생하는 등 HNS 유출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렇듯, HNS 물동량 증가와 빈번한 HNS 유출사고로 인하여 HNS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해양오염사고 대응체계는 기름유출 사고 중심으로 되어 있어 HNS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HNS 유출사고시 즉시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한 대비사항들은 잘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육상의 경우, 화학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화학물질 유출 사고시 대응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해상에서의 HNS 유출 사고 대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여 HNS 유출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여 대형 사고로 연결되고, 이후 방제가 미흡하여 지속적인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891 (발명의 명칭 : 인듐 주석 산화물 박막 센서를 이용한 해상 유류 및 위험유해물질 유출 감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HNS 사고를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단계적인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보다 편리하게 HNS에 대처할 수 있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은,
해상의 선박에서 발생한 HNS 사고 발생을 인지하는 사고발생단계;
상기 HNS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초기정보를 수집하는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사고초기정보에 따라 사고를 대응하는 사고대응단계; 및
사고발생단계, 상기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사고대응단계에 의한 결과를 조사하는 사고조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고수집단계는, 상기 HNS사고가 발생한 선박의 선종(①Type of Ship)을 구분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가 발생한 사고위치 및 일자(②Position & Date)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가 발생한 위치의 해양기상정보(③Weather Information)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의 사고유형(④Type of Accident)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유출물질(⑤Spilled HNS)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박의 선종을 분류하는 단계는,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를 이용하여 코드집을 적용하고 상기 코드집에 분류된 선박 중 하나의 선박을 선택하며,
상기 코드집은 여객선(A_passenger Ship), 벌크선(B_Bulk Dry), 목재 운반선(C_Timber Carrier), 기타 액체운반선(D_Other Liquids Tanker), 건화물선(E_Dry Cargo), 긴급호출선박(F_Hot Call Ship), 냉동창고선(G_refrigerated Cargo Ship), 일반화물선(H_General Cargo Ship), 컨테이너선(I_Container Ship), 유조선(J_Oil Tanker), 유류운반선(K_Product Carrier), 화학운반선(L_Chemical Tanker), LPG LNG 운반선(M_LPG LNG Carrier), 어선(N_Fish Catching Vessel) 및 기타 활동선박(O_Other ACtivities Ship)으로 분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고위치 및 일자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GPS 데이터(A_GPS Data), 사고 영역(B_Accident Site) 및 사고 날짜(C_Accident Date)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양기상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날씨(A_Weather), 온도(B_temperature), 강수 여부(C_rainfall), 풍향(D_wind direction), 풍속(E_wind speed), 파고(F_wave height) 및 가시거리(G_visibility)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을 기록하는 단계는, 충돌(A_Collision), 좌초(B_Stranding or grounding), 접촉(C_Contact ; 선박이 아닌 다름 물질과의 부딪힘), 화재 또는 폭발(D_Fire or explosion), 선체 결함(E_Hull Failure), 기계적인 손상(F_Machinery damage), 선박 또는 장비의 결함(G_Damage to Ship or equipment), 캡사이징 또는 리스팅(H_Capsizing or listing), 실종(I_listing), 생명을 구하는 장비로 인한 사고(J_Accidents with life-saving appliance), 오염(K_Polution), 그 외(L_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출물질을 기록하는 단계는, 화합물(C_CAS No. ; chemical abstracts service number), 물질 계층(G_Material Class), 무해 계층(H_harmfulness Class), 환경적 행동(M_Environmental Behavior), 물질 상태(S_Material Condition) 및 수량(Q_Quantity)을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고대응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 대응 내용을 기록하는 사고대응(⑥Response) 기록단계; 및
상기 사고대응 기록단계에 의해 대응하여 결과로 나온 피해복구 내용(⑦Restoration)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고대응 기록단계는,
손상 제거(A_Damage Removal), 인명 보호(B_Life Protection), 소개(C_Evacuation) 및 그 외(X_Other)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해복구 내용을 기록하는 단계는, 인명 보호(A_Life Protection), 치료(B_Remediation), 기타(C_etc.) 및 그 외(X_Other)를 그 외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고조사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원인(⑧Cause)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피해상황(⑨Damage)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해역의 영향(⑩Effect on sea)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고원인을 분류하는 단계는,
승무원(A_Crew), 선장 또는 항해사(B_Pilot), 구조적인 원인(C_Structure Cause), 기술적인 원인(D_Technical Cause), 수화물(E_Cargo), 그 외 선박(F_Other Ship), 주변 환경(G_Environment), 항해 구조(H_Navigation Structure), 범죄(I_Crime), 그 외(J_Other), 미확인(K_Unknow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해상황을 분류하는 단계는, 사망자(A_Death), 실종자(B_Missing), 부상자(C_injury) 및 재산 손실(D_Property Loss)을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해역의 영향을 분류하는 단계는,
대양(A_Ocean), 민물(B_FreshWater), 육지(C_Land), 그 외(X_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은 HNS 사고를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단계적인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보다 편리하게 HNS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HNS에 의해 발생하는 재난에 보다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를 표준코드에 따라 설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를 표준코드에 따라 설계하는 것을 나타낸 포맷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의 선택항목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를 표준코드에 따라 설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S202단계에서 해상의 선박에서 발생한 HNS 사고 발생을 인지한다. 사고 발생의 인지는 선박에 설치된 시스템에서 인지할 수 있다.
S204단계에서 상기 HNS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초기정보를 수집한다.
S206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사고초기정보에 따라 사고를 대응한다.
S208단계에서 전술한 단계들에 의해 발생한 사고 결과를 조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박에 설치된 선박 시스템, 선박의 시스템에 연결된 PC(Personal Computer), 프로세서 및 육상에서 선박과 통신하는 육상의 시스템 또는 육상의 시스템과 연결된 PC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를 표준코드에 따라 설계하는 것을 나타낸 포멧도이다.
이는 HNS 사고사례 표준코드는 코드 생성체계에 따라 먼저 10개의 대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대분류 하에 중분류와 소분류를 단계적으로 구분ㅇ세분화하여 코드를 구성하였다.
먼저, 사고수집단계는 5개의 대분류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사고 수집단계는 선박의 선종(①Type of Ship), 사고위치 및 일자(②Position & Date), 해양기상정보(③Weather Information), 사고유형(④Type of Accident) 및 발생한 유출물질(⑤Spilled HNS)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HNS사고가 발생한 선박의 선종(①Type of Ship)을 구분하여 기록하고, HNS 사고가 발생한 사고위치 및 일자(②Position & Date)를 기록하며, HNS 사고가 발생한 위치의 해양기상정보(③Weather Information)를 기록하고, HNS 사고의 사고유형(④Type of Accident)을 기록하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유출물질(⑤Spilled HNS)을 기록하는 5개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1) 대분류 1 : 선종(Type of ship)
대분류 1은 선종을 분류한 것으로,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이용 코드집을 적용하였고, 15개의 중분류 항목과 50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 대분류 2 : 사고위치, 일자(Position, Time of accident)
대분류 2는 사고위치와 일자를 분류한 것으로, IMO 해양 사고조사코드(부속서2)와 제품 제조일자에 이용되는 코드화된 정보를 적용하였고, 3개의 중분류 항목과 10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대분류 3 : 해양기상정보(Weather information)
대분류 3은 해양기상정보를 분류한 것으로, 미국 NRC 기상코드와 세계기상기구 해상기상코드를 적용하였고, 3개의 중분류, 59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4) 대분류 4 : 사고유형(Type of accident)
대분류 4는 사고유형을 분류한 것으로, IMO 해양사고조사 코드를 적용하였고, 12개의 중분류로 구성하였다.
5) 대분류 5 : 유출물질(Spilled HNS)
대분류 5는 유출물질을 분류한 것으로, 법적 중점관리 HNS 물질별 특성현황을 반영하여 적용하였고, 6개의 중분류, 18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전술한 사고대응단계는, 2개의 대분류로 구분하였다. 즉 사고대응단계는 사고대응(⑥Response) 및 피해복구 내용(⑦Restoration)을 포함한다.
즉, 사고대응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 대응 내용을 기록하는 사고대응(⑥Response) 기록하고, 상기 사고대응 기록단계에 의해 대응하여 결과로 나온 피해복구 내용(⑦Restoration)을 기록하는 2개의 대분류 단계를 포함한다.
6) 대분류 6 : 사고대응(Response)
대분류 6은 사고대응 내용을 분류한 것으로, EC MARS의 응급조치 부분을 적용하였고, 4개의 중분류, 11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7) 대분류 7 : 피해복구(Damage restoration)
대분류 7은 피해복구 내용을 분류한 것으로, EC MARS의 응급조치 코드와 미국 NRC 복원활동정보 항목을 적용하였고, 4개의 중분류, 10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사고조사단계는, 3개의 대분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고조사단계는 사고원인(⑧Cause), 피해상황(⑨Damage) 및 주변해역의 영향(⑩Effect on se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고조사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원인(⑧Cause)을 분류하고,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피해상황(⑨Damage)을 분류하며, 주변해역의 영향(⑩Effect on sea)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의 선택항목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의 선종을 분류하는 단계는,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를 이용하여 코드집을 적용하고 상기 코드집에 분류된 선박 중 하나의 선박을 선택하며,
상기 코드집은 여객선(A_passenger Ship), 벌크선(B_Bulk Dry), 목재 운반선(C_Timber Carrier), 기타 액체운반선(D_Other Liquids Tanker), 건화물선(E_Dry Cargo), 긴급호출선박(F_Hot Call Ship), 냉동창고선(G_refrigerated Cargo Ship), 일반화물선(H_General Cargo Ship), 컨테이너선(I_Container Ship), 유조선(J_Oil Tanker), 유류운반선(K_Product Carrier), 화학운반선(L_Chemical Tanker), LPG LNG 운반선(LPG LNG Carrier), 어선(N_Fish Catching Vessel) 및 기타 활동선박(O_Other ACtivities Ship)으로 분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고위치 및 일자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GPS 데이터(A_GPS Data), 사고 영역(B_Accident Site) 및 사고 날짜(C_Accident Date)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양기상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날씨(A_Weather), 온도(B_temperature), 강수 여부(C_rainfall), 풍향(D_wind direction), 풍속(E_wind speed), 파고(F_wave height) 및 가시거리(G_visibility)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을 기록하는 단계는, 충돌(A_Collision), 좌초(B_Stranding or grounding), 접촉(C_Contact ; 선박이 아닌 다름 물질과의 부딪힘), 화재 또는 폭발(D_Fire or explosion), 선체 결함(E_Hull Failure), 기계적인 손상(F_Machinery damage), 선박 또는 장비의 결함(G_Damage to Ship or equipment), 캡사이징 또는 리스팅(H_Capsizing or listing), 실종(I_listing), 생명을 구하는 장비로 인한 사고(J_Accidents with life-saving appliance), 오염(K_Polution), 그 외(L_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출물질을 기록하는 단계는, 화합물(C_CAS No. ; chemical abstracts service number), 물질 계층(G_Material Class), 무해 계층(H_harmfulness Class), 환경적 행동(M_Environmental Behavior), 물질 상태(S_Material Condition) 및 수량(Q_Quantity)을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고대응 기록단계는,
손상 제거(A_Damage Removal), 인명 보호(B_Life Protection), 소개(C_Evacuation) 및 그 외(X_Other)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해복구 내용을 기록하는 단계는, 인명 보호(A_Life Protection), 치료(B_Remediation), 기타(C_etc.) 및 그 외(X_Other)를 그 외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고원인을 분류하는 단계는,
승무원(A_Crew), 선장 또는 항해사(B_Pilot), 구조적인 원인(C_Structure Cause), 기술적인 원인(D_Technical Cause), 수화물(E_Cargo), 그 외 선박(F_Other Ship), 주변 환경(G_Environment), 항해 구조(H_Navigation Structure), 범죄(I_Crime), 그 외(J_Other), 미확인(K_Unknow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해상황을 분류하는 단계는, 사망자(A_Death), 실종자(B_Missing), 부상자(C_injury) 및 재산 손실(D_Property Loss)을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해역의 영향을 분류하는 단계는,대양(A_Ocean), 민물(B_FreshWater), 육지(C_Land), 그 외(X_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NS 사고사례 표준코드 항목의 분류 기준은 UN 국제표준산업분류방식에 기초한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적용하였고, 항목간 구분표시는 ICS(국제분류표준) 코드 체계를 준용하였다.
코드체계는 '대분류(숫자) + 중분류(알파벳) + 소분류(숫자)'순으로 생성하고, 항목간의 구분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대표적인 HNS 사고사례를 코드화하기 위해 표 1과 같이 내용을 구성하여 HNS 사고코드를 생성해 보았다. 표 1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42285968-pat00001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육상에서 선박과 통신하는 육상의 시스템 또는 육상의 시스템과 연결된 선박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이하, HNS)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박에서 발생한 HNS 사고 발생을 인지하는 사고발생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HNS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초기정보를 수집하는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집된 사고초기정보에 따라 사고를 대응하는 사고대응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사고발생단계, 상기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사고대응단계에 의한 결과를 조사하는 사고조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초기정보 수집단계는,
    상기 HNS사고가 발생한 선박의 선종(Type of Ship)을 구분하여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가 발생한 사고위치 및 일자(Position & Date)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가 발생한 위치의 해양기상정보(Weather Information)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의 사고유형(Type of Accident)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유출물질(Spilled HNS)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고위치 및 일자를 기록하는 단계는,
    GPS 데이터(A_GPS Data), 사고 영역(B_Accident Site) 및 사고 날짜(C_Accident Date)가 기록되도록 하는 것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선종을 분류하는 단계는,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를 이용하여 코드집을 적용하고 상기 코드집에 분류된 선박 중 하나의 선박을 선택하며,
    상기 코드집은 여객선(passenger Ship), 벌크선(Bulk Dry), 목재 운반선(Timber Carrier), 기타 액체운반선(Other Liquids Tanker), 건화물선(Dry Cargo), 긴급호출선박(Hot Call Ship), 냉동창고선(refrigerated Cargo Ship), 일반화물선(General Cargo Ship),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유조선(Oil Tanker), 유류운반선(Product Carrier), 화학운반선(Chemical Tanker), LPG LNG 운반선(LPG LNG Carrier), 어선(Fish Catching Vessel) 및 기타 활동선박(Other ACtivities Ship)으로 분류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해양기상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날씨(Weather), 온도(temperature), 강수 여부(rainfall), 풍향(wind direction), 풍속(wind speed), 파고(wave height) 및 가시거리(visibility)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유형을 기록하는 단계는,
    충돌(Collision), 좌초(Stranding or grounding), 접촉(Contact), 화재 또는 폭발(Fire or explosion), 선체 결함(Hull Failure), 기계적인 손상(Machinery damage), 선박 또는 장비의 결함(Damage to Ship or equipment), 캡사이징 또는 리스팅(Capsizing or listing), 실종(listing), 생명을 구하는 장비로 인한 사고(Accidents with life-saving appliance), 오염(Polution), 그 외(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유출물질을 기록하는 단계는,
    화합물(CAS No. ; chemical abstracts service number), 물질 계층(Material Class), 무해 계층(harmfulness Class), 환경적 행동(Environmental Behavior), 물질 상태(Material Condition) 및 수량(Quantity)을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대응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 대응 내용을 기록하는 사고대응(Response) 기록단계; 및
    상기 사고대응 기록단계에 의해 대응하여 결과로 나온 피해복구 내용(Restoration)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사고대응 기록단계는,
    손상 제거(Damage Removal), 인명 보호(Life Protection), 소개(Evacuation) 및 그 외(Other)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복구 내용을 기록하는 단계는,
    인명 보호(A_Life Protection), 치료(B_Remediation), 기타(C_etc.) 및 그 외(X_Other)를 그 외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조사단계는,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사고원인(Cause)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의 피해상황(Damage)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HNS 사고에 의해 발생한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해역의 영향(Effect on sea)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원인을 분류하는 단계는,
    승무원(Crew), 선장 또는 항해사(Pilot), 구조적인 원인(Structure Cause), 기술적인 원인(Technical Cause), 수화물(Cargo), 그 외 선박(Other Ship), 주변 환경(Environment), 항해 구조(Navigation Structure), 범죄(Crime), 그 외(Other), 미확인(Unknow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피해상황을 분류하는 단계는,
    사망자(Death), 실종자(Missing), 부상자(injury) 및 재산 손실(Property Loss)을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주변해역의 영향을 분류하는 단계는,
    대양(Ocean), 민물(FreshWater), 육지(Land), 그 외(Othe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KR1020170055654A 2017-04-28 2017-04-28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KR10195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54A KR101956747B1 (ko) 2017-04-28 2017-04-28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PCT/KR2018/004074 WO2018199500A1 (ko) 2017-04-28 2018-04-06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54A KR101956747B1 (ko) 2017-04-28 2017-04-28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216A KR20180121216A (ko) 2018-11-07
KR101956747B1 true KR101956747B1 (ko) 2019-03-11

Family

ID=6391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654A KR101956747B1 (ko) 2017-04-28 2017-04-28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6747B1 (ko)
WO (1) WO2018199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361A (ko) * 2020-02-13 2021-08-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사고 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분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5B1 (ko) * 2001-12-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100899243B1 (ko) * 2006-09-07 2009-05-27 정성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상황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9353B1 (ko) * 2008-09-12 2010-12-09 박정용 환경오염물질 관리서버의 환경오염물질 운송수단 감시방법
KR20100078993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도로공사 안전사고 위험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489891B1 (ko) 2013-10-16 2015-02-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듐 주석 산화물 박막 센서를 이용한 해상 유류 및 위험유해물질 유출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361A (ko) * 2020-02-13 2021-08-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사고 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102365392B1 (ko) 2020-02-13 2022-02-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사고 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분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500A1 (ko) 2018-11-01
KR20180121216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em et al. Analysing the risk of LNG carrier operations
Lee et al. Risk assessment and national measure plan for oil and HNS spill accidents near Korea
Ocampo et al. Can ship recycling be a sustainable activity practiced in Brazil?
Faisal et al. Rapid hull collapse strength calculations of double hull oil tankers after collisions
Häkkinen et al. Overview of maritime accidents involving chemicals worldwide and in the Baltic Sea
KR101956747B1 (ko) 해상 위험유해물질 사고 표준코드 설계 방법
Illiyas et al. Onshore preparedness for hazardous chemical marine vessel accidents: A case study
Eski et al. A combin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tributing factors to chemical spills in port areas during maritime dangerous cargo transport
Ventikos et al. The shipwrecks in Greece are going fuzzy: a study for the potential of oil pollution from shipwrecks in Greek waters
Hänninen et al. Transportation of liquid bulk chemicals by tankers in the Baltic Sea
Nivolianitou et al. Bayesian network to predict environmental risk of a possible ship accident
Mullai et al. Oil Spills in Öresund-Hazardous Events, Causes and Claims
Bogalecka et al. Chemical spill due to extreme sea surges. critical infrastructure chemical accident (spill) consequences. related to climate-weather change
Akyıldız Formal safety assessment of a fishing vessel
Fear et al. Ship-Source Spills–it's More Than Just Oil
Zisimopoulos et al. Synergy of Copernicus optical and radar data for oil spill detection
Mullai et al. Hazardous material incidents: Some key results of a risk analysis
Whittington et al. To remove or not to remove? Dealing with pollution risks from ship wrecks
Overfield et al. The use of the RUST database to inventory, monitor, and assess risk from Undersea Threats
Garland Small Developing Island Nations: The Need for Increased Financial Protection from Bunker Oil Spill Pollution
Brandao et al. Oil Spill Response Planning For Amazon Region–A Crude Carrier Study Case
Mansor et al. Risk assessment of marine accidents in Tanjung Pelepas port limit due to reclamation of Tanjung Piai maritime Industrial Park
Mrozowska LIST OF PREDICTED RISKS BASED ON NON-MILITARY THREATS IN SEA AREAS IN THE CONTEXT OF A PEACETIME CRISIS
Bogalecka Collision and Contact-Analysis of Accidents at Sea.
Dokubo Hazard Analysis Methods for Ice-class Crude Oil Tankers in the Arctic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