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235B1 -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235B1
KR100899235B1 KR1020080134535A KR20080134535A KR100899235B1 KR 100899235 B1 KR100899235 B1 KR 100899235B1 KR 1020080134535 A KR1020080134535 A KR 1020080134535A KR 20080134535 A KR20080134535 A KR 20080134535A KR 100899235 B1 KR100899235 B1 KR 10089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powder
weight
wall finis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조성휘
이효민
황진연
이홍민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102008013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8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from specific plants, e.g. hemp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VEM 수지 3-7중량%, PVC 합성수지 40-50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뽕잎 분말 15-25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벼겨 분말 3-7중량%, 제올라이트 분말 5-15중량%, 음이온 발생 분말 5-7중량%, 항균제 분말 2-4중량%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PVC 벽지 또는 비닐 벽지, 기타 레자 벽지, PVC 부직포 시트에 코팅, 분사, 인쇄, 혼합, 배접 가공 또는 열처리 가공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PVC 부직포 시트, 뽕잎, 벼겨, 분말, 제올라이트, 항균 탈취, 음이온 방사, 비닐 벽지, 도포, 배접.

Description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PVC-BASED FUNCTIONAL FINISHING COMPOSITION FOR WALL HAVING REDUCED HARMFUL COMPONENTS BY ABSORPTION}
본 발명은 벽지 또는 벽 마감재로서 PVC 합성수지 바인더 분말 및 VEM(vinyl Acetate Monomer) 접착성 수지 분말의 용매 바인더에, 원료로서 뽕잎 분말, 벼겨 분말, 그리고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발생 분말, 항균제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벽(벽지 포함) 마감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VC 등의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벽지, 레자(합성 피혁) 등에 있어서, 대부분 이러한 제품의 성형시 가소제, 안정제 등의 첨가제의 사용으로 인한 유해물질 발산 및 환경 저해 요소를 야기한다.
특히, 주거시설에 있어서 다양하게 내장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시멘트 벽체, 가공 합판재, 섬유소재 내장재, 페인트, 미장 벽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원료성분을 일부 천연소재로 사용하더라도 내구성 향상 등을 위해 일부 합성 재료의 사용이 필연적이고, 시멘트 벽, 포르말린이 검출되는 합판, 포르말린 함유 풀, 유기 용제에 노출된 미장 벽지 등을 통해 실내 환경을 마감할 때 이러한 내장재료에서 휘 발성 유기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등이 필연적으로 방출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주고 각종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등을 야기한다.
한국 특허 등록 공보 10-0675833호에는 유해성 및 환경 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VC 대체 재료로서 PE, PP 등을 이용한 합성 피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 공보 10-0633243호에는 PVC 겔화된 벽지 원지 위에, 천연 복합광물을 포함하는 충전제와 친환경 바인더를 사용한 액상형 혼합물을 탑 코팅 인쇄하는 친환경 기능성 벽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PVC 합성 수지의 함유량을 저감하고, 밭, 논에서 버려지는 뽕잎, 벼겨 분말 등을 활용한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건축물의 내부 80%이상을 차지하는 벽 마감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감 처리했을 때,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 기능 및 유해물질 흡착 기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VEM 수지 3-7중량%, PVC 합성수지 40-50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뽕잎 분말 15-25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벼겨 분말 3-7중량%, 제올라이트 분말 5-15중량%, 음이온 발생 분말 5-7중량%, 항균제 분말 2-4중량%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VEM 수지 분말 3-7중량% 및 PVC 합성수지 분말 40-50중량%를 80℃- 85℃(게이지 온도 기준 )의 고온에서 1000 메쉬 입자로 분쇄한 뽕잎 분말 15-25중량% 및 1000 메쉬 입자로 분쇄한 벼겨 분말 3-7중량%와 1-2시간 정도 혼합하는 단계,
1시간 반응 후 음이온 발생 분말 5-7중량%을 함침하고 400rpm 으로 상온에서 교반하는 단계,
1시간 반응 후 제올라이트 5-15중량%를 함침 및 교반하여 반응 후 저온숙성 하는 단계,
항균제 분말 2-4중량%를 넣어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원료 및 첨가제들이 배합된 조성물을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챔버에서 압축 가공 처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PVC 벽지 또는 비닐 벽지, 기타 레자 벽지, PVC 부직포 시트에 코팅, 분사, 인쇄, 혼합, 배접 가공 또는 열처리 가공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PVC 부직포 시트에 배접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밭, 논에서 버려지는 뽕잎, 벼겨 분말, 합성수지를 활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건축물의 내부 80% 이상 차지하는 벽 마감재로 사용하여 마감 처리하였을 때,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 기능 및 유해물질 흡착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벽 마감제 조성물은 일반 벽 마감재에 비해 견고하고 유용성이 강한 특징을 갇는다. 게다가, 뽕잎, 벼겨를 산업에 활용함으로써 환경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유연성이 좋아서 부직포와 혼합하거나, 부직포의 이면에 코팅, 배접을 위해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벽 마감제 조성물은 PVC 합성수지 바인더 분말 및 VEM 접착성 수 지 분말의 용매 바인더에, 원료로서 뽕잎 분말, 벼겨 분말, 그리고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발생 분말, 항균제 분말을 포함한다.
바인더 재료는 PVC 합성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며, VEM 수지가 접착성 수지로서 포함되어 용매 바인더를 형성하며, 원료로서 식물성 뽕잎 및 벼겨가 1000 메쉬 분말로서 사용되고,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발생 분말, 항균제 분말이 또한 첨가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PVC 합성수지 용매 바인더에 자연 원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감제 벽지 조성물에 관련되고, 마감용 또는 배접 벽 마감제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올라이트는 규소(Si)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결정체로서,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제올라이트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여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시킨다.
본 발명의 벽 마감제 조성물에서는 제올라이트는 모데나이트에 나트륨(Na) 양이온을 치환시킨 활성 모데나이트를 타일러 표준체에 의한 메쉬 크기로 3000 메쉬로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음이온 발생 분말은 토르말린 분말, 견운모 분말, 음이온 발생 희토류 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토르마린(Tourmaline)은 '전기석'으로도 불리는데, 사이클로 붕규산염의 결 정구조를 갖고 있어서 토르마린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인체에 유익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토르마린은 자연 상태에서 1cc당 2000개의 음이온을 발생한다고 한다. 인체에 흡수되는 음이온은 호흡기로부터 약 18%, 피부로부터 약 82%의 비율로 흡수된다. 이러한 음이온은 활성산소를 무독화하고, 체액을 약알카리화 하며, 공기를 청정화한다. 이러한 음이온은 자연 중 또는 오염된 공기 중에서 약 1cc당 250개를 방출하며, 삼림욕장 등의 숲속이나 폭포수 근처에서는 약 2500~3800개/cc를 방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르마린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발생하며, 탈취효과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수질정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목재 펄프지와의 결속력도 강하다. 따라서, 토르마린은 화장품, 칫솔, 섬유 및 건축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견운모(sericite)는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이상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음이온 발생 분말로서 희토류 원소, 즉 란탄 계열의 금속을 함유한 광물질의 분말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토르마린, 견운모 및 희토류 광물질의 평균입도는 이들 광물질이 조성물 중에 치밀하고 고르게 분산되기 위하여 600 내지 1000 메쉬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1000 메쉬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0 메쉬를 초과하면 일부 광물질의 다공질이 분해하여 탈취, 흡착 등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토르마린, 견운모 및 희토류 광물질 중에서 선택 되는 음이온 발생 분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7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음이온이 너무 적게 방출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음이온이 너무 많이 발생되어 오히려 인체에 좋지않은 영향을 준다.
항균제는 각종 무기 항균제 또는 유기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항균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은이온 치환 무기 항균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이는 제품명 BACTOCIDE-200Z (아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제품)로서 시중 구입된다.
본 발명의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인더인 PVC 합성수지 분말을 먼저 VEM 접착성 수지 분말과 혼합한다. PVC 합성수지 분말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40-50중량%를,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3-7중량%의 VEM 수지와 혼합하여 용매 바인더 혼합물을 제조한다. 바인더 수지와 접착성 수지와의 비가 40 내지 50 : 3 내지 7로 하여 용매 바인더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 조성물의 결합력 및 점착력을 부여하기에 알맞다. 바인더 수지에 대한 접착성 수지의 비율이 이보다 작으면 조성물의 점착성이 부족하고 이보다 과잉의 접착성 수지는 조성물의 성형성을 떨어뜨린다.
VEM 계의 수지는 온도가 적어도 60-65℃ 또는 그이상의 고온에서 결속력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좋아 혼합이 잘 된다.
VEM 계의 수지는 접착성이 우수하고 VOC 방출량 0.4mg/㎡·h 이하, 저온방출시 HCHO 방출량이 0.125mg/㎡·h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제조된 용매 바인더 혼합물은 60℃- 95℃, 바람직하게는 80℃- 85℃(게이지 온도 기준 )로 가온한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1000 메쉬 입자로 분쇄한 뽕잎 분말 20중량% 및 1000 메쉬 입자로 분쇄한 벼겨 분말 5중량%과 혼합한다. 혼합시간을 1-2시간 정도로 충분히 혼합하는 것이 뽕잎 및 벼겨 분말의 고른 분산을 위해 바람직하다.
뽕잎과 벼겨 분말은 미세입자로 1000 메쉬 입자 크기로 분말화한 것을 25℃-27℃에서 10 내지 24시간 숙성하여 가공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뽕잎과 벼겨 분말은 상기 용매 바인더 혼합물과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반죽하고, 교반 과정에서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음이온 발생 물질인 토르말린 및/또는 견운모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되게 한 후 항균제를 함침시켜 혼합물에 균일하게 섞이게 된다.
제올라이트 및 음이온 발생 물질은 혼합이 용이하게 되지 않아 각각 분리하여 혼합한 후, 항균제 분말을 나노혼합공정에 의해 고속나노분쇄하여 입자를 분산시킨다.
뽕잎과 벼겨 분말을 함침시킨 분산 혼합물을 1시간 정도 숙성하도록 둔 후 토르말린 및/또는 견운모 분말 5-7중량%를 함침하고 400rpm의 교반 속도로 상온에서 교반한다.
1시간 반응 후 제올라이트 5-15중량%를 함침 및 교반하여 반응 후 저온숙성한 다음, 항균제 분말 2-4중량%를 넣어 혼합하여 교반한다.
이와 같이 혼합 교반된 조성물은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챔버에서 열처리 압축 가공 처리하여 PVC 기능성 벽 마감재로 제품화한다.
상기 열처리 및 숙성 저온 처리된 뽕잎, 벼겨 분말,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발생 분말이 혼합된 벽제 조성물은 혼합물을 저온처리하는 단계의 동안에 이온치환된다. 종래의 벽지는 도배 후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 PVC 벽 마감제 조성물을 벽지에 도포시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PVC 벽지 또는 비닐 벽지, 기타 레자 벽지, PVC 부직포 시트에 코팅, 분사, 인쇄, 혼합, 배접 가공 또는 열처리 가공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PVC 부직포를 추가로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 벽 마감재로 제조할 수 있다.
즉, PVC 부직포를 용매 바인더 혼합물에 혼합한 다음, 뽕잎 및 벼겨 분말과 첨가제들을 함침시키는 공정을 거쳐, 이와 같이 혼합 교반된 조성물은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챔버에서 압축 가공 처리하여 PVC 부직포 함침 기능성 벽 마감재로 제품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PVC 부직포 시트에 코팅 또는 배접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간략한 뽕잎, 벼겨, 제올라이트 분말을 PVC 합성수지 바인더 혼합물에 함침시킨 후,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분말, 음이온 발생 분말, 항균제 분말을 합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이들 성분을 그대로 200-230℃의 고온에서 2 중량%의 부직포를 합지하여 압축하여 그라 디언트 벽지로 제형한 PVC 벽 마감 벽지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로, 배합된 원료 및 첨가제 혼합물을 열처리 챔버에서 열처리 압축 가공 처리하여 제조된 PVC 기능성 벽 마감재에 2중량% PVC 부직포 시트를 200-230℃의 고온에서 열 용융 접합하여 압착처리함으로써 배접된 PVC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PVC 또는 폴리에틸렌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종류의 통상의 합성수지의 부직포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은 음이온 발생 분말 5-7중량%, 항균제 3중량%를 포함하여, 항균성, 탈취율이 우수하며, 음이온 방사로 인해 유해물질의 발생을 차단 및 흡착 분해하여 제조한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PVC 벽 마감제 조성물은 겔화, 교반, 숙성, 저온의 단계로 제조된 벽제 조성물로서, 벽지 제조 후 발생되는 유기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이소부틸벤젠, 에틸벤젠 등의 통상의 도료, 수지 등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화합물질을 본 발명의 나노혼합공정 과정에서 항균 탈취 및 흡착됨으로써 유해물질 분해된 벽 마감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벽 마감제 조성물은 인공적인 성분을 흡착 산화 분해하여 얻은 물질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유기 화합물,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이 저감된다.
또한, 제조공정 중 숙성, 열처리, 저온과정을 거치므로 벽 마감재의 항균 및 탈취작용 뿐만 아니라 제품화된 벽지의 내구성 향상 및 음이온 발생, 항균 탈취성의 내구성이 높아진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백분율은 모두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원료 및 첨가제
전체 조성물 100%를 기준으로 하여,
원료 1-1> VEM 접착성 수지 분말 5% 및 PVC 합성수지 분말 50%를 혼합하여 용매 바인더 혼합물을 준비한다.
원료 1-2> VEM 접착성 수지 분말 5% 및 PVC 합성수지 분말 48% 그리고 부직포 직물 2%를 혼합하여 용매 바인더 혼합물을 준비한다.
원료 2 > 10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뽕잎 분말 20%
원료 3 > 10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벼겨 분말 5%
원료 2 및 원료 3을 25℃-27℃에서 10 내지 24시간 숙성 가공하여 준비한다.
첨가제 1> 제올라이트(활성 모데나이트) 분말 10%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1
첨가제 2> 10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견운모 분말 7%
첨가제 3> 항균제 분말 3%
은계 무기 항균제로서 제품명 BACTOCIDE-200Z (아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제품)
성분: * 캐리어 - 제올라이트( M2/nO-Na2O-Al2O3-2SiO2-XH2O)
* 활성 성분 - M : Ag+, Zn+ 이온
성상: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2
실시예 2- 제조방법 공정 1
VEM 수지 분말 5% 및 PVC 합성수지 분말 50%(원료 1-1)를 80-85℃(게이지 온도 기준 )의 고온에서 뽕잎 분말 20%(원료 2), 벼겨 분말 5%(원료 3)와 1-2시간 정도 교반 혼합한다.
1시간 반응 후 견운모 분말 7%(첨가제 2)을 함침하고 교반하되 교반속도는 400rpm 상온에서 한다. 1시간 정도 반응 후 제올라이트 10%(첨가제 1)를 함침 및 교반하여 반응 후 저온(25℃-27℃)숙성하여 항균제 분말 3%(참가제 3)를 넣어 혼합하여 교반한다.
상기 원료 및 첨가제들이 배합된 조성물을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챔버에서 압축 가공 처리하여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방법 공정 2
VEM 수지 분말 5%, PVC 합성수지 분말 48% 및 부직포 직물 2%(원료 1-2)를 80-85℃(게이지 온도 기준 )의 고온에서 뽕잎 분말 20%(원료 2), 벼겨 분말 5%(원료 3)와 1-2시간 정도 교반 혼합한다.
1시간 반응 후 견운모 분말 7%(첨가제 2)을 함침하고 교반하되 교반속도는 400rpm 상온에서 한다. 1시간 정도 반응 후 제올라이트 10%(첨가제 1)를 함침 및 교반하여 반응 후 저온(25℃-27℃)숙성하여 항균제 분말 3%(참가제 3)를 넣어 혼합하여 교반한다.
상기 원료 및 첨가제들이 배합된 조성물을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챔버에서 압축 가공 처리하여 부직포 함침 PVC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조방법 공정 3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PVC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조하되, 열처리 챔버에서 열처리 공정 전에 2% PVC 부직포에 합지하여 200-230℃의 고온에서 열처리 압축 가공하여 그라디언트 PVC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조방법 공정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벽 마감재를 2% PVC 부직포시트에 배접하여 200-230℃의 고온에서 열 용융 접합 가공하여 PVC 기능성 벽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벽 마감제 조성물의 탈취 성능을 탈취 시험 방법인 KICM-FIR-1085에 의거하여 암모니아(NH3) 탈취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3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탈취 기능이 우수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벽 마감제 조성물을 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 시험(KICM-FIR-1002 시험방법) 결과, 자연 소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벽 마감제 조성물은 99.4%의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4
※ 사용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실험예 3 (음이온 방출량)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벽 마감제 조성물의 음이온 방출량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5
실험예 4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벽 마감제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실험한 결과 그 방출량은 검출불가한 수준이었다.
Figure 112008089335617-pat00006

Claims (6)

  1. VEM 수지 3-7중량%, PVC 합성수지 40-50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뽕잎 분말 15-25중량%, 1000 메쉬 입자크기의 벼겨 분말 3-7중량%, 제올라이트 분말 5-15중량%, 음이온 발생 분말 5-7중량%, 항균제 분말 2-4중량%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 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은계 무기 항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음이온 발생 분말은 견운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5. 제 1 항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2중량% PVC 부직포를 합지하여 열처리 압축 가공한 그라디언트 PVC 기능성 벽 마감재.
  6. 제 1 항의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을 2중량% PVC 부 직포 시트에 배접하여 열 용융 접합 가공된 PVC 기능성 벽 마감재.
KR1020080134535A 2008-12-26 2008-12-26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KR10089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35A KR100899235B1 (ko) 2008-12-26 2008-12-26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35A KR100899235B1 (ko) 2008-12-26 2008-12-26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235B1 true KR100899235B1 (ko) 2009-05-26

Family

ID=4086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535A KR100899235B1 (ko) 2008-12-26 2008-12-26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2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79B1 (ko) 2011-07-19 2012-03-23 장순길 축열 기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비닐하우스용 보온재
KR101236336B1 (ko) 2010-10-25 2013-02-22 이상기 합성피혁을 이용한 단열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217A (ko) 2014-04-01 2015-10-12 김인욱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80526A (zh) * 2016-09-08 2017-01-04 合肥智慧殿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改性莲子壳环保膜及其制备方法及应用
CN106317936A (zh) * 2016-09-08 2017-01-11 合肥智慧殿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改性碧根果壳环保膜及其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98A (ko) * 2000-12-15 2001-03-05 김동훈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33243B1 (ko) 2006-07-24 2006-10-12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천연복합광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JP2007136933A (ja) 2005-11-21 2007-06-07 Kobo Naruse:Kk くん炭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6117A (ko) * 2007-01-11 2008-07-16 노명인 다기능성 도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98A (ko) * 2000-12-15 2001-03-05 김동훈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종이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136933A (ja) 2005-11-21 2007-06-07 Kobo Naruse:Kk くん炭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3243B1 (ko) 2006-07-24 2006-10-12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천연복합광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KR20080066117A (ko) * 2007-01-11 2008-07-16 노명인 다기능성 도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36B1 (ko) 2010-10-25 2013-02-22 이상기 합성피혁을 이용한 단열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8779B1 (ko) 2011-07-19 2012-03-23 장순길 축열 기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비닐하우스용 보온재
KR20150114217A (ko) 2014-04-01 2015-10-12 김인욱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80526A (zh) * 2016-09-08 2017-01-04 合肥智慧殿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改性莲子壳环保膜及其制备方法及应用
CN106317936A (zh) * 2016-09-08 2017-01-11 合肥智慧殿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改性碧根果壳环保膜及其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235B1 (ko)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제 조성물
KR101540754B1 (ko) 천연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0316B1 (ko) 유해물질의 흡착, 분해,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3009B1 (ko) 친환경 유해물질 차단 조성물
KR100977862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31848A (ko)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CN103755226A (zh) 一种具有综合功能的干粉型生态贝壳粉环保复合涂料
KR100977863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KR20150114216A (ko)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4580B1 (ko) 수용성 아크릴 수지계 친환경 벽지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10739B1 (ko) 벽 마감재 조성물
KR101093160B1 (ko) 벽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17688B1 (ko) 벽지의 제조방법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935B1 (ko)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826774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KR101168010B1 (ko)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918122B1 (ko) 벽지용 결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607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기능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도료 조성물
KR100790488B1 (ko) 로즈마리 향이 방출되는 공기 정화용 음이온 졸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859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항균성 양이온 교환 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6778B1 (ko) 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61663B1 (ko) 직물 코팅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