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986B1 -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986B1
KR100897986B1 KR1020090012289A KR20090012289A KR100897986B1 KR 100897986 B1 KR100897986 B1 KR 100897986B1 KR 1020090012289 A KR1020090012289 A KR 1020090012289A KR 20090012289 A KR20090012289 A KR 20090012289A KR 100897986 B1 KR100897986 B1 KR 10089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cylinder
outer diameter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알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알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알비
Priority to KR102009001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9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조 완료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롤러 콘베어와 상기 롤러 콘베어를 통해 이송중인 파이프가 진입할 수 있도록 관통형으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주변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으로 진입한 파이프의 성형 및 용접시 발생한 인장응력을 압축응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서로 분리 가능한 파이프 사이즈별 다이스를 적층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유압실린더 4개를 작동시켜 상기 다이스에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성형 및 용접시 발생한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파이프의 불특정부위를 절단하여도 파이프 진원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4개의 가압 다이스를 장착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4-WAY방식 응력 제거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12289

피딩유닛, 터닝유닛, 공급유닛, 교정유닛, 업다운장치, 프레싱장치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ller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finished pipe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main frame formed in the through-type so that the pipe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roller conveyor can enter and enters the hole In order to convert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during the forming and welding of the pipe into a compressive stress, dies for each pipe size which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a stacked manner, and the four hydraulic cylinders are operated to apply pressure to the die to apply pressure to the pipe to form And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elimination correction device, which is a technology that is equipped with four pressure dies as a technology to reduce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during welding so that the pipe origin does not change even when cutting unspecified positions of the pipe. Removed (4-WAY stress relief) Ball.

Figure R1020090012289

Feeding unit, turning unit, supply unit, calibration unit, up-down device, pressing device

Description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파이프를 성형한 후, 성형된 파이프에 잔류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파이프의 절단 사용시 단면의 변형을 없애고 파이프의 진원도 및 진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ghtening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pipe stress, and more particularly, after forming a pipe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tensile stress remaining in the molded pipe is reduced to eliminate deformation of the cross section when the pipe is cut and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to improve the roundness and straightness.

통상적으로 파이프는 인발 가공방법과 포밍 가공방법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통해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pipe is generally formed through any one of a drawing method and a forming method.

후자의 포밍 가공방법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26241 호(자동 파이프 성형기)(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the latter forming process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6241 (automatic pipe mold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상기 선행기술은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 급된 소재가 성형기에 투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이송부와, 상기 소재이송부에서 이송된 소재가 좌, 우 비틀림없이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세팅하는 소재세팅부와, 상기 소재세팅부에서 세팅된 소재를 포밍부가 순차적으로 절곡시키면서 소망하는 형태의 파이프 모양으로 성형하는 소재포밍부와, 상기 소재포밍부에서 성형된 소재의 형태 유지 및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매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롤러가 구비되는 이음매압착부와, 소재의 이음매 부위를 자동용접기로 접합시키는 용접부와, 완성된 파이프를 성형기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ior art provides a material supply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a material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material supply unit can be fed into the molding machine, and the material conveyed from the material conveying unit is fixed without twisting left and right. A material setting part for setting to be transported to a position, a material forming part for molding the material set in the material setting part into a pipe shape of a desired shape while sequentially bending the forming part, and a shape of the material formed in the material forming part A seam crimping unit including a roller for crim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eams formed in the holding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but each other, a welding part for joining the seam parts of the material with an automatic welding machine, and a discharge pipe for transporting the finished pipe to the outside of the molding machine. Consists of part.

한편, 상기한 과정을 거쳐 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된 파이프는 용접머신으로 이송된 후, 그 양단부에 형성된 홈부를 용접으로 접합 처리하여 가용접된 파이프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용접 접합방식은 파이프를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고정 상태의 용접기구로 통과시켜 가며 파이프의 홈부를 순차적으로 용접 접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welding machine, and then the grooves formed at both ends are welded to produce a welded pipe. At this time, the welding joint method continuously moves the pipe horizontally and passes through the fixed welding device, and sequentially welds the grooves of the pipe.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되는 파이프는 성형과정에서 그 외경을 따라 응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됨으로서 부분적인 왜곡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파이프를 성형하는 생산공장에는 원통 형상으로 파이프를 성형한 후, 성형된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However, the pipe formed in the above manner is partially stressed by the stress is continuously applied along the outer diameter during the forming process, and thus the pip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production plant for forming the pipe, then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correct distortion distor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a pipe.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성형 및 용접 공정을 통하여 제조 완료된 파이프는 성형 및 용접시 발생한 응력이 잔류하고 있어 작업 현장에서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시에 파이프에 내재된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변형이 일어나 서로 연결 작업시 단면이 일치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있어 품질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따라서 응력을 제거하고 직진도 교정 및 진원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고안하여 개발된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manufactured through the forming and welding process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tress generated during forming and welding remains so that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residual stress inherent in the pipe when the pipe is cut at the work site. Due to difficulties in cross section mismatch when connecting to each other, it is emerging as a quality problem. Therefore, a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stress of four-way accumulator pipe was developed to remove stress, improve straightness and improve roundness. In provid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는 프레싱 장치를 파이프의 센터상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4 각 구조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동시 구동하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토록 한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ultaneously drive the pressing device for pressur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n a quadrangular structure so as to radially spread on the center of the pipe, and the four-way accumulating pipe residual stress to pressuriz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t is to provide a calibration device for remov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상관없이 파이프의 진원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roundness of the pipe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있어서, 업다운장치의 구동으로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승, 하강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구비한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플레이트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켜 파이프에 형성된 용접부를 정위치시키는 터닝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의 동작으로 이송된 파이프의 좌, 우면을 가압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클램핑된 파이프를 수평 이동시키는 대차로 구성되어 파이프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공급된 파이프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통과구멍으로 공급된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교정하는 프레싱장치로 구성한 교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싱 장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출 동작하는 램과,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램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여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교정시키게 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위라이너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실린더의 외부에는 키커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키커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가압실린더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램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램에 연결되어 있는 단위라이너를 파이프의 외경에 접촉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a feeding unit having a driving roller for moving up and down by rotating the power of the drive source, the feeding unit is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pe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device; A turn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turning unit to rotate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tilting plate, and rotating the pipe to position the weld formed on the pipe; A supply unit configured to clamp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pipe conveyed by the operation, a bogie that horizontally moves the pipe clamped to the clamp, and a step-by-step movement of the pipe;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ousing. And a calibration unit configured as a pressing device for mounting a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pipe supplied to the through hole, the pressing device including a pressure cylinder and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cylinder. The ram is drawn out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pressure cylinder, the pressurizing table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bar and pres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ram to At least two unit liners for correc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the outside of the pressurized cylinder is mounted on the kicker cylinder, the rod of the kicker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ram in the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ressurized cylinder The unit liner connected to the ram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t shall be.

상기 업다운장치는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며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와,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랙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은 다른 업다운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랙에 맞물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down device supports the drive roller and moves up and down vertically by driving a cylinder, gu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and a rack install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guide; And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rack, wherein the pinion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a rack provided in another up-dow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The calibration device for four-way accumulating pipe residual stress reli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many effect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는 프레싱 장치를 파이프의 센터상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4 각 구조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동시 구동하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토록 함으로서 성형 완료된 파이프의 외경에 발생하는 왜곡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simultaneous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device for pressur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in a quadrangular structure so as to radially spread on the center of the pipe and by pres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the distortion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nished pipe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또한 본 발명은 피딩 유닛과 교정유닛 그리고 터닝유닛을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유동 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파이프의 진원도 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고가의 수입 장비를 대체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correct the roundness of the pipe produced in various sizes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by configuring the feeding unit, the calibration unit and the turning unit to be able to flow in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It has the effect of replacing expensive imported equip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sure reducing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100)는 피딩유닛(A)과, 상기 피딩유닛(A) 사이에 설치되는 터닝유닛(B) 그리고 상기 피딩유닛(B) 중간에 설치되는 교정유닛(C)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the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eding unit (A), the turning unit (B) and the feeding unit (B) installed between the feeding unit (A) It comprises a calibration unit (C) is installed in the middle.

상기 피딩유닛(A)은 교정유닛(C)으로 파이프(P)를 이송하고, 또한 상기 교정유닛(C)으로 이송시키는 유닛이고, 상기 터닝유닛(B)은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용접부를 교정유닛(C)의 프레싱 장치(36)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파이프(P)를 회전 구동시키는 유닛이며, 상기 공급유닛(C)은 피딩유닛(A)을 타고 이송된 파이프를 교정유닛(D)으로 공급하는 유닛이고, 상기 교정유닛(D)은 피딩유닛(A)의 동작으로 이송된 파이프(P)의 외경에 발생하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하는 유닛이다.The feeding unit (A) is a unit for transferring the pipe (P) to the calibration unit (C), and also to the calibration unit (C), the turning unit (B)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Is a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ipe (P) so that the welded part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pressing device (36) of the calibration unit (C), and the supply unit (C) corrects the pipe transferred through the feeding unit (A). A unit for supplying to the unit (D), the correction unit (D) is a unit for correcting the roundness by correcting the distortion distortion generat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conveyed by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unit (A).

하기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 유닛들의 상세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uni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는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구비되는 피딩유닛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eeding unit provided in the correction device for removing the residual pressure of the accumulator pipe.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유닛(A)은 언급한 바와 같이 일차 성형 완료된 파이프(P)를 교정유닛(B)으로 이송시키는 유닛으로서, 수평으로 누워 있는 베드상에 동일한 구조로 하여 다수개를 배치시켜 구성한다.As shown, the feeding unit (A) is a unit for transferring the primary molded pipe (P) to the calibration unit (B), as mentioned above, by placing a plurality of the same structure on the bed lying horizontally Configure.

하나의 피딩유닛(A)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피딩유닛(A)은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원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구동롤러(12)와, 상기 구동롤러(12)를 지지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상기 구동롤러(12)를 승, 하강시키는 업다운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Representing one feeding unit (A) structure, the feeding unit (A)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drive source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and the drive roller 12 ) Up and down device 14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riving roller 12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P) in a state of supporting.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피딩유닛(A)은 구동롤러(14)에 파이프(P)가 안치되면 구동원(13)의 동력으로 구동롤러(12)가 회전 동작하며 파이프(P)를 교정유닛(D)으 로 이송시키게 된다.In the feeding unit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pipe P is placed in the driving roller 14, the driving roller 12 rotate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13 and the pipe P is calibrated to the correcting unit D. Will be transferred to.

한편, 상기 업다운장치(14)는 다양한 직경크기로 제작되는 파이프(P)들이 교정유닛(D)의 통과구멍(78) 센터로 정확히 진입할 수 있도록 파이프(P)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파이프(P)의 높, 낮이를 조절시키는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down device 14 is a pipe (P)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P) so that the pipe (P) made of various diameter size can enter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78 of the calibration unit (D) exactly ) To adjust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상기 업다운장치(14)는 실린더(16)와, 상기 실린더(16)의 로드(18)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롤러(1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18)의 인출 및 인입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 이동하며 구동롤러(12)를 업다운시키는 승강대(20) 및 상기 실린더(16)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20)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22)에는 길이방향으로 랙(26)이 구비되고, 상기 랙(26)에는 피니언(28)이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가이드(22)의 상, 하 이동에 따라 랙(26)이 직선이동하면 상기 피니언(28)은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28)은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다른 피딩유닛의 업다운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랙에도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결합구조를 통해 각 업다운장치의 승강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up-down device 14 is coupled to the cylinder 16 and the rod 18 of the cylinder 16, and the up and down apparatus 14 supports the driving roller 12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peration of the rod 18. And a lift table 20 for vertically moving down and up and down the driving roller 12 and guides 2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16 to guid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ift table 20. . The guide 22 is provided with a rack 26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ack 26 is configured to engage the pinion 28 so that the rack 26 moves linearly as the guide 22 moves up and down. The pinion 28 then performs a rotation operation. The pinion 28 is also coupled to the rack provided in the up-down device of the other feeding unit, as shown in Figure 5 attach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is coupling structure can adjust the lifting height of each up-down device the same. .

첨부된 도 6은 일 예로 직경이 작게 제작된 파이프(P1)를 교정유닛의 투입구멍 센터로 정확히 진입시키기 위한 업다운장치(2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up-down apparatus 20 for accurately entering a pipe P1 manufactured with a small diameter into an insertion hole center of a calibration unit as an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업다운장치의 실린더(16)를 구동시키게 되면 로드(18)는 인출 동작하며 승강대(20)를 수직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20)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레일(12)은 직경이 작게 제작된 파이프(P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원(13)의 동력으로 구동하며 파이프(P)를 교정유닛(D)의 투입구 멍(78)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한편, 승강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2)에 장착되어 있는 랙(26)은 직선 운동하며 피니언(28)을 회전시키게 되는 데, 이때 피니언(28)은 다른 업다운장치의 랙과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서 각 업다운장치의 승강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driving the cylinder 16 of each up-down device, the rod 18 is pulled out and moves the platform 20 vertically, thereby driving rail 12 supported by the platform 20. )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13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1) made small diameter and enters the pipe (P) into the inlet hole 78 of the calibration unit (D). On the other hand, the rack 26 mounted on the guide 2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20 rotates the pinion 28 in a linear motion, wherein the pinion 28 is engaged with the rack of another up-down devic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in the st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fting height of each up-down device the same.

첨부된 도 7과 도 8은 터닝유닛(B)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urning unit (B).

도시된 바와 같이, 터닝유닛(B)은 피딩유닛(A)을 타고 교정유닛(D)으로 이송중에 있는 파이프(P)의 용접부(W)가 한쪽으로 틀려져 있을 경우, 파이프(P)를 회전시켜 파이프(P)의 용접부(W)를 정위치시킬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As shown, the turning unit B rotates the pipe P when the welding portion W of the pipe P being transferred to the calibration unit D is fed to the calibration unit D by the feeding unit A. It is a mean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ositioning the welding portion (W) of the pipe (P).

상기 터닝유닛(B)은 실린더(30)의 동력으로 일측에 설치된 힌지(32)를 기점으로 틸팅 동작하는 틸팅플레이트(34)와, 상기 틸팅플레이트(34)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6), 상기 틸팅플레이트(34)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모터(36)와 벨트(38)로 연결 구성되어 구동모터(36)의 동력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축(40) 및 상기 구동축(40)의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플레이트(34)의 틸팅 동작에 따라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되는 터닝롤러(4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turning unit (B) is a tilting plate (34) for tilting operation from the hinge (32) installed on one side by the power of the cylinder 30, and the drive motor (36)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ilting plate (34) The drive shaft 40 and the drive shaft 4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lting plate 34 and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6 and the belt 38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6. It is coupl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ilting plate 34 is configured to include a turning roller 42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operation.

상기한 구성을 가진 터닝유닛(B)의 동작은 도 9에서와 같이 실린더(30)를 구동시키게 되면 틸팅플레이트(34)는 힌지(32)를 기점으로 위쪽으로 틸팅 동작하며 터닝롤러(42)를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시키게 되고, 이어서 구동모터(36)를 구동시켜 구동축(40)을 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되어 있는 터닝롤러(42)는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하며 파이프(P)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용접부(W)를 정위치시키게 된다.In the operation of the turning unit B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cylinder 30 is driven, the tilting plate 34 is tilted upward from the hinge 32 and the turning roller 42 is moved.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driving motor (40)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shaft (40), the turning roller (42)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40) is the bottom of the pipe (P). By driving in contact with the to rotate the pipe (P) to position the weld (W) in place.

첨부된 도 10과 도 11은 공급유닛(C)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10 and 11 are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unit (C).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닛(C)은 피딩유닛(A)을 타고 교정유닛(D)으로 이송된 파이프(P)를 교정유닛(D) 내부로 일정길이(본 발명에서는 250mm)씩 간헐적(단계적)으로 공급시키는 유닛이다.As shown, the supply unit (C) is intermittently (stepwise) by a predetermined length (250 mm in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calibration unit (D) the pipe (P) transferred to the calibration unit (D) by the feeding unit (A) ) Is a unit to supply.

상기 공급유닛(C)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에 설치된 레일(54)을 타고 전, 후 왕복 이동하는 대차(52)와, 상기 대차(52)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기대(56, 58)와, 상기 기대(56, 58)에 지지되는 클램핑실린더(60, 62), 상기 클램핑실린더(60, 62)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핑실린더(60, 62)의 동력을 전달받아 파이프(P)의 외경을 클램핑하는 클램프(64, 66), 상기 기대(56, 58)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실린더(68, 70), 상기 이송실린더(68, 70)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교정유닛(D)의 하우징(76)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송실린더(68, 70)로 공급되는 유압에 따라 상기 이송실린더(68, 70)를 당기거나 밀어내며 상기 이송실린더(68, 70)가 고정되어 있는 기대(56, 58) 및 대차(52)를 전, 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로드(72, 7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supply unit (C) is a carriage 52 which is reciprocated before and after riding the rail 54 installed at the rear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nd the bases 56 and 58 install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cart 52. And, the clamping cylinder (60, 62) supported on the base (56, 58), coupled to the rod of the clamping cylinder (60, 62) and receives the power of the clamping cylinder (60, 62) pipe (P)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lamps 64 and 66 clamp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s 56 and 58 and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and the other end is a calibration unit ( It is fixed to the housing 76 of D) is pulled or pushed out the transfer cylinder (68, 70)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transfer cylinder (68, 70) and the transfer cylinder (68, 70) is fixed It comprises a drive rod 72, 74 for reciprocating the base 56, 58 and the trolley 52 before and after.

상기한 구성의 공급유닛(C)은 도 12에서와 같이, 피딩유닛(A)의 동작에 따라 교정유닛(D)의 투입구멍(78)으로 파이프(P)가 이송되고 나면, 파이프(P)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클램프(64, 66)는 클램핑실린더(60, 62)의 구동에 따라 파이프(P)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어서, 이송실린더(68, 70)로 유압이 공급되면 구동로드(72, 74)는 교정유닛(D)의 하우징(76)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이송실린더(68, 70)를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실린더(68, 70)가 고정되어 있는 기대(56, 58)와, 상기 기대(56, 58)가 설치되어 있는 대차(52)는 수평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클램프(64, 66)에 클램핑되어 있는 파이프(P)는 대차(52)의 수평거리 만큼 교정유닛(D)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2, the supply unit C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pipe P after the pipe P is transferred to the input hole 78 of the calibration unit 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unit A. Clamps 64 and 66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lamp clamp the pipe P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clamping cylinders 60 and 62. Subsequent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the driving rods 72 and 74 pull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in a fixed relationship to the housing 76 of the calibration unit D. As a result, the bases 56 and 58 on which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are fixed and the trolleys 52 on which the bases 56 and 58 are installed are moved horizontally, thereby clamping the clamps 64 and 66. The pipe (P) is to be supplied into the calibration unit (D) by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cart (52).

한편, 위와 같이 한번의 공급작업이 완료되면 클램프(64, 66)는 파이프(P)를 언클램핑한 후, 처음상태로 복귀한 다음, 다시 언급한 동작들을 반복 수행하며 파이프(P)를 교정유닛(D) 내부로 단계적으로 공급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supply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lamps 64 and 66 unclamp the pipe P, return to the initial state, repeat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and repeat the pipe P and calibrate the pipe P. (D) It is fed in stages.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는 교정유닛(D)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13 to 15 are views showing an extra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ion unit (D).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유닛(D)은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으로서, 외곽틀을 구성하며 중앙으로는 파이프(P)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78)이 형성되는 하우징(76)과, 상기 하우징(76)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프레싱장치(80)들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the correction unit (D) is a means provided for correcting the roundness by correc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constitutes the outer frame to pass the pipe (P) to the center It comprises a housing 76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78 fo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devices 80 ar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76.

상기 프레싱 장치(80)들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다수개, 본 고안에서는 4개의 프레싱 장치(80)들을 하우징(76)의 통과구멍(78) 주연부를 따라 90도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각 프레싱 장치(80)에 구비되는 가압대(90)들이 상기 통과구멍(78)의 센터를 향하도록 하우징(76)상에 고정 설치한다.The pressing apparatuses 8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pressing apparatuses 80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78 of the housing 76. The pressing table 90 provided in each pressing device 8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ousing 76 so as to face the center of the passage hole 78.

상기 프레싱 장치(80)들은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상태에서 동시 동작하며 파이프(P)의 외경을 가압하여 파이프(P)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프레싱 장치(80) 의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토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apparatuses 80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state of being manufactured in the same structure and pres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o correct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o correct the roundness. In the following, the structure of one pressing device 80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싱 장치(80)는 가압실린더(82), 키커실린더(84), 가압대(90) 그리고 다수개의 단위라이너(96)들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5, the pressing device 80 includes a pressure cylinder 82, a kicker cylinder 84, a press table 90, and a plurality of unit liners 96.

상기 가압실린더(8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으로 가압대(90)를 가압시키는 수단으로서 내부에는 램(88)이 구비된다. 상기 램(88)은 전술한 키커실린더(84)의 구동으로 가압실린더(82) 외부로 밀려나며 가압대(90)를 밀어 상기 가압대(90)에 지지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를 파이프(P)의 외경에 접촉시키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가압실린더(82)로 공급되는 유압의 압력으로 상기 가압대(90)를 가압시키게 된다. 상기 램(88)의 외측에는 슬라이더(92)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92)는 하우징(76)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레일(94)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며 가압대(9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The pressure cylinder 82 is a means for pressing the pressing table 90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with a ram 88. The ram 88 is pushed out of the pressure cylinder 82 by the above-mentioned driving of the cylinder cylinder 84 and pushes the pressure zone 90 to pipe the unit liner 96 supported by the pressure zone 90. It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P), and to press the pressing table 90 by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pressure cylinder (82). A slider 92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ram 88, and the slider 92 slides on the rail 94 fixed to the housing 7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table 90. do

상기 키커실린더(84)는 가압실린더(82)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키커실린더(84)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86)는 상기 가압실린더(82)를 관통한 상태에서 램(88)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로드(86)는 키커실린더(84)의 구동에 따라 가압실린더(82) 내의 램(88)을 밀어내며 가압대(90)에 지지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들을 파이프(P)의 외경에 접촉시키게 된다.The kicker cylinder 84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cylinder 82, the rod 86 is provided in the kicker cylinder 84 to the ram 88 in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cylinder 82 Be sure to lock in place. The rod 86 pushes the ram 88 in the pressure cylinder 82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kicker cylinder 84 and moves the unit liners 96 supported on the pressure table 90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Contacted.

상기 가압대(90)는 상기 램(88)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램(88)의 동작으로 파이프(P)의 외경에 접촉하고 있는 단위라이너(96)를 가압하게 된다. The pressing table 9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88, by pressing the unit liner 96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by the operation of the ram (88).

상기 단위라이너(96)는 다수개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압대(90) 의 압력을 파이프(P)의 외경으로 전달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단위라이너(96)들은 각각 서로 다른 폭으로 제작되며, 또한 그 단면 형상은 가압대(90)의 압력을 파이프(P) 외경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파이프(P)의 외경 형상에 맞추어 왜곡지게 형성한다.The unit liner 96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table 90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unit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unit liners 96 are each made of different width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it liners 96 is distorted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so as to uniformly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table 90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Form.

상기 단위라이너(96)들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단위라이너(96)는 상기 가압대(90)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대(90)의 압력을 아래에 적층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들로 전달하게 되고, 최하층에 위치하는 단위라이너(96)는 파이프(P)의 외경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대(90)의 압력을 전달받아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눌러주며 진원도를 교정시키게 된다.The unit liners 96 position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unit liners 96 are configured to unite pressures of the press table 90 under the direct contact with the press table 90. The unit liner 96 located at the lowermost layer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zone 90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and presses the distortion strain form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he roundness will be corrected.

상기 단위라이너(96)들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플레이트(98)들이 볼트(99)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98)는 상, 하로 배치되는 두개의 단위라이너(96)를 서로 연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볼트(99)의 체결해지 동작에 따라 두개의 단위라이너(96)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라이너(96)들의 전면에는 고정플레이트(98)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다수개의 키이(100)들이 볼트(101)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키이(100)는 고정플레이트(98)와 같이 두개의 단위라이너(96)를 서로 연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볼트(99)의 체결해지 동작에 따라 두개의 단위라이너(96)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A plurality of fixing plates 98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unit liners 96 by bolts 99. The fixing plate 98 separates the two unit liners 96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bolt 99 while fixing the two unit liners 96 arranged up and down. In addition, a plurality of keys 100 are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nit liners 96 on both sides thereof with the fixing plate 98 interposed therebetween. The key 100 separates the two unit liners 96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isengagement operation of the bolt 99 in a state in which two unit liners 96 are fixed to each other like the fixing plate 98.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98) 및 키이(100)의 체결 및 체결해지 동작에 따라 다수개의 단위라이너(96)들을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파이프(P)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각 단위라이너(96)들의 개수를 증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unit liners 96 are separately detachable according to the fastening and disengaging operations of the fixing plate 98 and the key 100. Each unit liner 96 is adapted to the diameter of the pipe P.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예를 들어, 도 16에서와 같이 큰 직경크기로 제작된 파이프(P2)의 진원도를 교정할 때에는 해당 파이프(P2)와 단위라이너(96)들 사이에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때에는 해당 파이프(P2)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일부의 단위라이너(96)들을 분리시킴으로서 파이프(P2)와 단위라이너(96)간의 간섭됨 없이 큰 직경크기로 제작된 파이프(P)의 외경으로 단위라이너(96)들을 면접촉시켜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calibrating the roundness of the pipe P2 manufactured to a large diameter size as shown in FIG. 16, an interference phenomenon may occur between the pipe P2 and the unit liners 96. By separating some of the unit liners 96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pe (P2) unit liner (96)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made of a large diameter size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P2) and the unit liner (96) ) Can be calibrated by surface contact.

상기한 구성으로 제작된 프레싱 장치(90)는 공급유닛(C)의 동작으로 하우징(76)의 통과구멍(78)으로 파이프(P)가 일정길이 공급되고 나면 키커실린더(84)를 구동시켜 가압대(90)에 결합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를 파이프(P)의 외경에 접촉시키게 되며, 이어서 가압실린더(82)의 구동으로 램(88)이 가압대(90)를 가압토록 함으로서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sing device 90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essurized by driving the kicker cylinder 84 after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pipe P is supplied to the through hole 78 of the housing 76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C. The unit liner 96 coupled to the table 9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hen, the ram 88 drives the pressure table 90 by the driving of the pressure cylinder 82 so that the pipe ( By correc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P)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rrection work.

한편, 상기 교정유닛(D)의 타측에는 반출유닛(E)이 더 설치된다. 상기 반출유닛(E)은 교정유닛(D)을 통과한 파이프(P)를 일정길이씩 단계적으로 반출시키는 유닛으로서, 이러한 반출유닛(E)의 구성은 전술한 공급유닛(C)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port unit (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libration unit (D). The discharging unit E is a unit for discharging the pipe P passing through the calibration unit D step by step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ischarging unit 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supply unit C. As it is produc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16.

본 발명의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기본 공정은 피 딩공정과 교정공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파이프의 교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 basic process of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calibration process of the pipe repeatedly performing the feeding process and the calibration process.

먼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성형 완료된 파이프(P)를 피딩유닛(A)의 구동롤러(12)에 안치시킨 다음, 구동원으로 전원을 인가해 구동롤러(12)를 동작시키게 되면 파이프(P)는 상기 구동롤러(12)를 타고 이동하며 교정유닛(D)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중인 파이프(P)는 교정유닛(D)인 하우징(76)의 통과구멍(78) 센터로 정확히 진입해야 하는 데, 만일 파이프(P)의 직경이 너무 작게 제작된 경우에는 구동레일(12)을 승강시켜 이를 보정토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피딩유닛(A)에 구비되어 있는 업다운장치(14)인 실린더(16)를 구동시키게 되면 로드(18)는 인출 동작하며 승강대(20)를 수직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대(20)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레일(12)은 직경이 작게 제작된 파이프(P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원의 동력으로 파이프(P1)를 교정유닛(D)의 투입구멍(78) 센터로 정확히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2)에 장착되어 있는 랙(26)은 직선 운동하며 피니언(28)을 회전시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피니언(28)은 다른 업다운장치의 랙과 맞물린 상태에서 다른 업다운장치의 랙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서 각 업다운장치의 승강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pipe P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s placed in the driving roller 12 of the feeding unit A. Then, when the driving roller 12 is oper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source, the pipe P ) Moves on the driving roller 12 and is transferred to the calibration unit (D). At this time, the pipe P being transferred should enter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78 of the housing 76 which is the calibration unit D. If the diameter of the pipe P is made too small, the driving rail 12 ) To raise and lower it. That is, when driving the cylinder 16, which is the up-down device 14 provided in the feeding unit (A) as shown in Figure 6 the rod 18 is pulled out to move the platform 20 vertically, accordingly The driving rail 12 supported by the lifting platform 20 has the diameter of the pipe P1 driven by the driving source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1 having a small diameter. To enter the center correctly. At this time, the rack 26 mounted on the guide 2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20 rotates the pinion 28 while linearly moving. In this process, the pinion 28 is connected to the rack of another up-down devic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ack of the other up-down device in the engaged state, the lifting height of each up-down device can be adjusted equally.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이프(P)를 교정유닛(D)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파이프(P)의 용접부(W)가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터닝유닛(B)인 실린더(30)를 구동시키게 되면 틸팅플레이트(34)는 힌지(32)를 기점으로 위쪽으로 틸팅 동작하며 터닝롤러(42)를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시키게 되고, 이어서 구동모터(36)를 구동시켜 구동축(40)을 회전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되 어 있는 터닝롤러(42)는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하며 파이프(P)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용접부(W)를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lding portion (W) of the pipe (P)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ipe (P) to the calibration unit (D) as described above, driving the cylinder 30 that is the turning unit (B) When the tilting plate 34 is tilted upward from the hinge 32, the turning roller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and then the driving motor 36 is driven to drive the shaft 40. When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roller 42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40 is drive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to rotate the pipe (P) to position the weld (W) in place. It becomes possible.

다음, 교정유닛(D)으로 파이프(P)가 이송되고 나면 공급유닛(C)이 동작하며 파이프(P)를 교정유닛(D)의 하우징(76) 내부로 일정길이씩 단계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클램핑실린더(60, 62)가 구동하면 파이프(P)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클램프(64, 66)는 상기 파이프(P)를 클램핑하게 된다.Next, after the pipe P is transferred to the calibration unit D, the supply unit C operates to supply the pipe P stepwis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housing 76 of the calibration unit D. That is, when the clamping cylinders 60 and 62 are driven, the clamps 64 and 66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ipe P clamp the pipe P.

이어서, 이송실린더(68, 70)로 유압이 공급되면 구동로드(72, 74)는 교정유닛(D)의 하우징(76)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이송실린더(68, 70)를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실린더(68, 70)가 고정되어 있는 기대(56, 58)와, 상기 기대(56, 58)가 설치되어 있는 대차(52)는 수평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클램프(64, 66)에 클램핑되어 있는 파이프(P)는 대차(52)의 수평거리 만큼 교정유닛(D) 내부로 공급되어 진다.Subsequently,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the driving rods 72 and 74 pull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in a fixed relationship to the housing 76 of the calibration unit D. As a result, the bases 56 and 58 on which the transfer cylinders 68 and 70 are fixed and the trolleys 52 on which the bases 56 and 58 are installed are moved horizontally, thereby clamping the clamps 64 and 66. The pipe (P) is supplied into the calibration unit (D) by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cart (52).

한편, 교정유닛(D)의 통과구멍(78)으로 파이프(P)가 일정길이 공급되고 나면, 프레싱 장치(80)들이 동작하며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 진원도를 교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ipe P is supplied to the through-hole 78 of the calibration unit 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pressing apparatuses 80 operate to correct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o correct the roundness. Calibrated.

즉, 교정유닛(D)인 하우징(76)의 통과구멍(78)으로 파이프(P)가 공급되고 나면 프레싱장치(80)를 구성하는 키커실린더(84)가 구동하게 되면 키커실린더(84)의 로드(86)는 가압실린더(82)내에 설치되어 있는 램(88)을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램(88)은 가압대(90)에 연결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를 파이프(P) 외경에 접촉시키게 된다.That is, after the pipe P is supplied to the passage hole 78 of the housing 76 which is the calibration unit D, when the kicker cylinder 84 constituting the pressing device 80 is driven, the kicker cylinder 84 The rod 86 pushes the ram 88 installed in the pressure cylinder 82. Accordingly, the ram 88 passes through the unit liner 96 connected to the pressure table 90.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다음, 가압실린더(82)의 구동에 따라 램(88)은 가압대(9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는 데, 이때 다수개의 단위라이너(96)들중 최하층에 위치하고 있는 단위라이너(96)는 파이프(P)의 외경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대(90)의 압력을 전달받아 파이프(P)의 외경을 가압하게 됨으로서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바로 잡는 교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Nex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essure cylinder 82, the ram 88 presses the pressing table 90 at a constant pressure. At this time, the unit liner 96 located at the lowermost layer of the plurality of unit liners 96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surface P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he pressure of the presser 90 is applied to pres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thereby correc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It will be done.

한편, 교정작업 과정에서 직경이 크게 제작된 파이프(P2)의 교정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파이프(P2)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일부의 단위라이너(96)들을 분리시킴으로서 단위라이너와(96)의 간섭됨 없이 직경이 크게 제작된 파이프(P2)의 외경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때 단위라이너(96)의 분리 작업은 단위라이너(96)들 전면에 볼트(99, 101) 체결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98) 및 키이(100)들의 체결을 해지시킴으로서 해당하는 단위라이너(96)의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calibration operation of the pipe (P2) having a large diameter in the calibration process, as shown in Figure 16, by separating some of the unit liners 96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P2)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2 having a large diameter can be effectively correc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nit liner 96. At this time,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unit liner 96 is to terminate the fastening of the fixing plate 98 and the key 100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unit liners 96 bolts (99, 101) of the corresponding unit liner 96 Separation can be done easily.

상기와 같이 파이프(P)의 진원도를 교정하고 나면 피딩유닛(A) 및 공급유닛(C)을 다시 구동시켜 교정유닛(D)으로 파이프(P)를 일정길이 단계적으로 더 진입시키게 되고, 이어서 교정유닛(D)이 동작하며 파이프(P)의 진원도를 교정하는 방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파이프(P) 전체의 진원도를 교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fter the roundness of the pipe P is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the feeding unit A and the supply unit C are driven again so that the pipe P is gradually stepped into the calibration unit D in a predetermined length step, and then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The unit D operates and repeatedly performs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roundness of the pipe P, and performs the operation of correcting the roundness of the entire pipe P.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의 구성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2 shows the side of FIG. 1;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피딩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eeding unit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피딩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4 is a side view of the feeding unit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피딩유닛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feeding unit shown in FIG.

도 6은 피딩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eeding unit.

도 7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터닝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turning unit shown in FIG.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터닝유닛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the turning unit shown in FIG.

도 9는 터닝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urning unit.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급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upply unit shown in FIG.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급유닛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1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upply unit shown in FIG.

도 12는 공급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pply unit.

도 1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교정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13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calibration unit shown in FIG.

도 14는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교정유닛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alibration unit shown in FIG.

도 15는 도 14의 교정유닛에 설치되는 하나의 프레싱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one pressing device installed in the calibration unit of FIG.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프레싱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5;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피딩유닛 B: 터닝유닛A: Feeding Unit B: Turning Unit

C: 공급유닛 D: 교정유닛C: supply unit D: calibration unit

10: 베드 14: 업다운장치10: bed 14: up-down device

80: 프레싱장치 96: 단위라이너80: pressing device 96: unit liner

Claims (2)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에 있어서,In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업다운장치(14)의 구동으로 파이프(P)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승, 하강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파이프(P)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2)를 구비한 피딩유닛(A)과;A feeding unit (A) having a driving roller (12) which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size of the pipe (P) by the driving of the up-down device (14), rotates with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and conveys the pipe (P); 상기 피딩유닛(A)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플레이트(34)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P)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파이프(P)를 회전시켜 파이프(P)에 형성된 용접부(W)를 정위치시키는 터닝유닛(B)과;Located between the feeding unit (A) and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tilting plate 34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6 and rotates the pipe (P) A turning unit B which rotates to position the weld portion W formed on the pipe P; 상기 피딩유닛(A)의 동작으로 이송된 파이프(P)의 상, 하면을 가압하는 클램프(64, 66)와, 상기 클램프(64, 66)에 클램핑된 파이프(P)를 수평 이동시키는 대차로 구성되어 파이프(P)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C)과;Clamps (64, 66)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pe (P) transferred by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unit (A), and a bogi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ipe (P) clamped to the clamps (64, 66) A supply unit C configured to move the pipe P stepwise; 상기 공급유닛(C)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공급된 파이프(P)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78)이 형성되는 하우징(76)과, 상기 하우징(76)의 둘레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통과구멍(78)으로 공급된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교정하는 프레싱장치(80)로 구성한 교정유닛(D)을 포함하며;A housing 76 in which a through hole 78 for passing the pipe P gradually f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C is formed, and is mounte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76 and the through hole. A calibration unit (D) composed of a pressing device (80) for correc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supplied to (78); 상기 프레싱 장치(80)는;The pressing device (80); 가압실린더(82)와;A pressure cylinder 82; 상기 가압실린더(8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82)로 공급되 는 유압으로 인출 동작하는 램(88)과;A ram (88) for drawing out by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pressure cylinder (82)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pressure cylinder (82); 상기 램(88)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대(90)와;A pressing table (90) coupled to the end of the ram (88); 상기 가압대(9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램(88)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P)의 외경을 가압하여 파이프(P)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교정시키게 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위라이너(96)들을 포함하며;At least two or mo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ressing table 90 to pressuriz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ram 88 to correct the distortion deformation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Unit liners 96; 상기 가압실린더(82)의 외부에는 키커실린더(84)가 장착되며, 상기 키커실린더(84)의 로드(86)는 상기 가압실린더(8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램(88)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램(88)에 연결되어 있는 단위라이너(96)를 파이프(P)의 외경에 접촉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A kicker cylinder 84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cylinder 82, and the rod 86 of the kicker cylinder 84 is connected to the ram 88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cylinder 82. The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relief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acting the liner (96) connected to the ram (88)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업다운장치(14)는;The up-down device (14); 상기 구동롤러(12)를 지지하며 실린더(16)의 구동으로 상, 하 수직 이동하는 승강대(20)와;A lifting table 20 supporting the driving roller 12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by driving the cylinder 16; 상기 실린더(16)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20)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2)와;Guides 22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cylinder 16 and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20; 상기 가이드(2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26)과;A rack 26 installed in the guide 22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랙(26)과 맞물리며 상기 랙(26)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피니언(28)을 포함하며;A pinion (28) which meshes with the rack (26) and which rotates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rack (26); 상기 피니언(28)은 다른 업다운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랙에 맞물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The pinion (28) is a four-way accumulator pipe residual stress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rack provided in the other up-down device.
KR1020090012289A 2009-02-16 2009-02-16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KR100897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89A KR100897986B1 (en) 2009-02-16 2009-02-16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89A KR100897986B1 (en) 2009-02-16 2009-02-16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986B1 true KR100897986B1 (en) 2009-05-18

Family

ID=4086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289A KR100897986B1 (en) 2009-02-16 2009-02-16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986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48B1 (en) 2009-06-26 2011-02-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Tensile residual stresses reduction and removal method of welded pipes inside wall including different metal meterial
KR101288431B1 (en) * 2012-12-27 2013-07-22 주식회사 현대알비 Device for pipe correction
CN103386428A (en) * 2013-08-01 2013-11-13 安吉县鹏大钢管有限公司 Efficient vertical steel pipe straightener structure
CN104128395A (en) * 2014-07-29 2014-11-05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Horizontal type pressure straightening machine
KR101490200B1 (en) 2014-05-20 2015-02-05 주식회사 창원벤딩 Turning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KR101536641B1 (en) * 2014-07-01 2015-07-14 (주)재원산업기계 Apparatus for cutting off bead on welded steel pipe
KR101536968B1 (en) * 2014-05-20 2015-07-16 주식회사 창원벤딩 Charging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KR101536967B1 (en) * 2014-05-20 2015-07-16 주식회사 창원벤딩 Correction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CN105251859A (en) * 2015-07-13 2016-01-20 青岛大东自动化科技有限公司 Pre-embedded part numerical control punching production line
CN106270247A (en) * 2016-08-31 2017-01-04 安徽金星预应力工程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pring guider
KR20200098044A (en)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현대알비 Copander machine
KR102218070B1 (en) * 2020-12-18 2021-02-19 주식회사 현대알비 The tack welding bead cutting apparatus of pipe
CN113523028A (en) * 2020-04-13 2021-10-22 西南民族大学 Mechanical equipment for automatic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building pipes
CN114210774A (en) * 2021-12-17 2022-03-22 上海钧正机械设备有限公司 Elastic support for straightening machine
KR102538622B1 (en) 2022-12-14 2023-06-01 (주)재원산업기계 Pipe full body round calibration press/rcp machine
KR102640089B1 (en) 2023-08-31 2024-02-23 (주)재원산업기계 Mold changing apparatus for pipe calibration press/rcp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9874A (en) 1978-04-18 1979-10-30 Ragettli Christian Fixing and correcting device for in and out diameters of pipe piece by use of diameter device having constant die andoperation thereof
JPS62122780A (en) 1985-11-22 1987-06-04 Kubota Ltd Die stamper for end face of pipe
JP2000233230A (en) 1999-02-16 2000-08-29 Kawasaki Steel Corp Seam twisting preventing device
JP2003290849A (en) 2002-04-03 2003-10-14 Nakayama Kogyo Kk Cold diameter reduction press forming method for metallic pipe and metallic pipe formed there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9874A (en) 1978-04-18 1979-10-30 Ragettli Christian Fixing and correcting device for in and out diameters of pipe piece by use of diameter device having constant die andoperation thereof
JPS62122780A (en) 1985-11-22 1987-06-04 Kubota Ltd Die stamper for end face of pipe
JP2000233230A (en) 1999-02-16 2000-08-29 Kawasaki Steel Corp Seam twisting preventing device
JP2003290849A (en) 2002-04-03 2003-10-14 Nakayama Kogyo Kk Cold diameter reduction press forming method for metallic pipe and metallic pipe formed thereby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48B1 (en) 2009-06-26 2011-02-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Tensile residual stresses reduction and removal method of welded pipes inside wall including different metal meterial
KR101288431B1 (en) * 2012-12-27 2013-07-22 주식회사 현대알비 Device for pipe correction
CN103386428A (en) * 2013-08-01 2013-11-13 安吉县鹏大钢管有限公司 Efficient vertical steel pipe straightener structure
KR101490200B1 (en) 2014-05-20 2015-02-05 주식회사 창원벤딩 Turning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KR101536968B1 (en) * 2014-05-20 2015-07-16 주식회사 창원벤딩 Charging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KR101536967B1 (en) * 2014-05-20 2015-07-16 주식회사 창원벤딩 Correction device of correction for half-chord
KR101536641B1 (en) * 2014-07-01 2015-07-14 (주)재원산업기계 Apparatus for cutting off bead on welded steel pipe
CN104128395A (en) * 2014-07-29 2014-11-05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Horizontal type pressure straightening machine
CN105251859A (en) * 2015-07-13 2016-01-20 青岛大东自动化科技有限公司 Pre-embedded part numerical control punching production line
CN106270247A (en) * 2016-08-31 2017-01-04 安徽金星预应力工程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pring guider
KR20200098044A (en)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현대알비 Copander machine
CN113523028A (en) * 2020-04-13 2021-10-22 西南民族大学 Mechanical equipment for automatic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building pipes
KR102218070B1 (en) * 2020-12-18 2021-02-19 주식회사 현대알비 The tack welding bead cutting apparatus of pipe
CN114210774A (en) * 2021-12-17 2022-03-22 上海钧正机械设备有限公司 Elastic support for straightening machine
KR102538622B1 (en) 2022-12-14 2023-06-01 (주)재원산업기계 Pipe full body round calibration press/rcp machine
KR102640089B1 (en) 2023-08-31 2024-02-23 (주)재원산업기계 Mold changing apparatus for pipe calibration press/rcp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86B1 (en) 4-way type pipe stress reduction and correction machine
KR101555968B1 (en) Bending machine for pipe
US20130160514A1 (en) Bending-straightening machine for a long workpiece, device for feeding in and removing said workpiec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KR102241656B1 (en) A correcting apparatus for pipe-edge and straighteness
KR101288431B1 (en) Device for pipe correction
CN206047267U (en) A kind of full-automatic pipe screw thread mantle fiber production line
CN110142561B (en) Floating clamp for flexible sheet metal production line feeder
KR101439890B1 (en) Transfer method for material in progressive inner transfer die
KR20140114928A (en) An automatic forming equipment for pipe headrest frame
KR101519365B1 (en) Pipe T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of Pipe Thereof
CN113811099A (en) Full-automatic PIN mechanism of beating of high-efficient PCB board of high accuracy
US11110508B2 (en) Automatic precision clinching system for manufacturing sheet metal tubes
KR101729488B1 (en) Spacer automatic assembly device of form removal deck
KR102286046B1 (en) The tack welding apparatus for steel pipe
KR20090100767A (en) Device for pipe correction
KR101528623B1 (en) Copander machine
KR102204518B1 (en) Copander machine
KR101350443B1 (en) Pressed material supply method and apparatus
CN218800145U (en) Platform at bottom of sedan-chair for weldment work
CN108901134B (en) Copper plate assembling device
CN216151604U (en) Welding device for steel strip processing line
KR20090061740A (en) Twist correction method and its apparatus
KR10096692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adder
CN216801770U (en) Slender part processing device
CN213162708U (en) Stamping progressive die device for spherical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