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78B1 -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78B1
KR100895678B1 KR1020070047232A KR20070047232A KR100895678B1 KR 100895678 B1 KR100895678 B1 KR 100895678B1 KR 1020070047232 A KR1020070047232 A KR 1020070047232A KR 20070047232 A KR20070047232 A KR 20070047232A KR 100895678 B1 KR100895678 B1 KR 10089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terminal
visited network
data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046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4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7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은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데이터 서비스, 과금, 로밍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 과금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data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and system for bi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방문망에서 홈망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망에 로밍 중인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책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1, 121 : 기지국 112, 122 : 무선망 제어기
113, 123 : SGSN 114, 124 : GGSN
115, 125 : 컨텐츠 서버 116, 126 : 과금 서버
117, 127 : 홈 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이동 통신 가입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영화, 음악, 사진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날씨, 뉴스, 증권 소식 등의 이벤트 정보나 디지털 컨텐츠를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단말기의 대기 화면 모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는 일반 통화료와는 별도로 과금이 책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에 정액제로 가입하거나,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량에 따른 추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한편, 국내 이동 통신 가입자가 타국으로 이동할 경우 국제 로밍 서비스를 통해서 자신이 사용하던 단말기를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국가마다 데이터 이용료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 중인 사용자가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 중임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과다한 과금이 책정될 수도 있다. 특히, 정액제로 가입한 데이터 서비스로 인하여 단말기가 자동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국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있어서,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효율적인 과금 책정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의 사용자와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국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과금 책정에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은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장치는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은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상기 방문망이 속한 국가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IP 주소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시스템은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상기 방문망이 속한 국가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IP 주소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방법은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되는 국가 코드를 상기 IP 주소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 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국가 코드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시스템은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되는 국가 코드를 상기 IP 주소에 매핑하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국가 코드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서 홈망(110)은 국내 이동 통신망에 대응되고, 방문망(120)은 해외 이동 통신망에 대응된다.
홈망(110)은 기지국(111),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112),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ing Node; SGSN, 113),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GGSN, 114), 컨텐츠 서버(115), 과금 서버(116), 및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117)를 포함한다.
방문망(120)의 구성은 홈망(11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양자 중 어느 한 망에 대한 설명은 다른 망에 대한 설명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지국(111)은 단말기(130)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3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RNC(112)는 기지국(111)을 제어하여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SGSN(113)은 단말기(130)와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세션을 형성하고 관리 할 수 있다. SGSN(113)은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및 인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망(120)의 SGSN(123)는 홈망(110)의 GGSN(114)과 연동하여 방문망(120)에 로밍 중인 단말기(130)가 홈망(110)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GGSN(114)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GGSN(114)은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단말기(130)와 세션을 형성한 SGSN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단말기(130)가 홈망(110)에 접속중인 경우 GGSN(114)은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홈망(110)의 SGSN(113)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기(130)가 방문망(120)에 접속중인 경우 GGSN(114)은 상기 데이터를 방문망(120)의 SGSN(123)에게 전송할 수 있다.
GGSN(114)은 단말기(130)에게 IP 주소를 할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GGSN(114)은 단말기(130)가 로밍한 방문망(120)이 속하는 국가에 따라서 단말기(130)에게 상이한 IP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GGSN(114)은 국가에 관계없이 단말기(130)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단말기(130)가 로밍한 방문망(120)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되는 국가 코드를 단말기(130)에게 할당한 IP 주소에 매핑해둘 수 있다.
한편, GGSN(114)은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과금 서버(116)에게 과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과금 정보는 단말기(130)에게 할당한 IP 주소나 단말기(130)가 접속한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의 국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5)는 데이터 서비스에 이용될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텐츠 서버(115)가 제공하는 데이터는 이미지, 플래시,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서버(115)가 제공하는 데이터는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이나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30)가 통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단말기(13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 중인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30)의 대기 화면에서 컨텐츠를 재생시키거나 뉴스, 날씨, 이벤트 소식 등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기 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일 예로 KTF의 팝업(pop up) 서비스나 SKT의 1mm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15)는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GGSN(114)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즉 컨텐츠 서버(115)가 데이터를 제공한 시간), 단말기(130)가 제공받은 데이터의 양 및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유형의 예로서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과금 서버(116)는 GGSN(114)에 의해 생성된 과금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30)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요금(과금)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금 서버(116)는 국가별 및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별 요율 정보를 포함하는 요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 서버(116)는 요율 데이터베이스에서 GGSN(114)으로부터 제공되는 과금 정보에 대응하는 요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요율 정보를 기초로 과금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기(130)는 국제 로밍이 가능한 이동 통신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30)는 홈망(110)의 가입자가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기(130)는 홈망(110)에서 기지국(111), RNC(112), SGSN(113), 및 GGSN(114)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방문망(120)으로 로밍한 경우, 단말기(130)는 방문망(120)의 기지국(121), RNC(122), 및 SGSN(123)와 홈망(110)의 GGSN(114)을 통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가 방문망(120)에서 홈망(110)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10)은 도 1의 기지국(121) 및 RNC(122)를 포함한다.
먼저, 단말기(130)는 UTRAN(10)에게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210), URTAN(10)는 이를 SGSN(123)에게 전송한다(S215).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PDP 타입, PDP 주소, 접속 포인트 네트워크(Access Point Network; APN)등을 파라미터로 포함할 수 있다. PDP 주소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패킷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단말기(130)의 주소를 나타낸다. PDP 컨텍스트는 GTP(GPRS Tenneling Protocol) 터널의 각종 정보들을 포함하고, PDP 타입은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GTP 터널의 종류를 나타낸다. GTP 터널의 종류로는 IP(Internet Protocol), 포인트 대 포인트 프로토콜(PPP: Point to Point Protocol), 및 모바일 IP(Mobile IP) 등을 들 수 있다.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GSN(123)는 UTRAN(10)에게 무선 접속 베어러 셋업(Radio Access Bearer Setup) 메시지를 전송하여 UTRAN(10)과 무선 접속 베어러를 설정하고(S220), UTRAN(10)은 단말기(130)에게 무선 접속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기(130)와 무선 접속 베어러를 설정한다(S225). SGSN(123)과 UTRAN(10) 사이 및 UTRAN(10)과 단말기(130) 사이에 무선 접속 베어러가 설정된다는 것은 무선을 통한 데이터 패킷 전송에 필요한 자원(resource)이 할당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UTRAN(10)과 무선 접속 베어러가 설정된 상태에서 SGSN(123)는 홈망(110)의 GGSN(114)에게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 SGSN(123)은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었던 APN을 이용하여 GGSN(114)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GGSN(114)은 PDP 컨텍스트 생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방문망(120)의 SGSN(123)에게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S235). 이를 통해서 SGSN(123)과 GGSN(114) 간에 GTP 터널이 생성될 수 있으며, GTP 터널 생성으로 인해 실제 데이터 패킷 전송이 가능해진다.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SGSN(123)은 UTRAN(10)에게 PDP 활성화 허용(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를 전송하고(S240), UTRAN(10)은 이를 단말기(130)에게 전송한다(S245). 단말기(130)가 PDP 컨텍스트 활성화 허용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기(130)와 UTRAN(10) 사이에 무선 채널(radio channel)이 생성되며, 결과적으로 UTRAN(10), SGSN(123) 및 GGSN(114) 사이에 GTP 터널이 생성 완료될 수 있다.
그 후, GGSN(114)은 단말기(130)가 사용할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S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GGSN(114)은 단말기(130)가 로밍중인 방문망(120)이 속하는 국가에 따라서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기(130)가 로밍중인 방문망(120)이 어떤 국가의 이동 통신망인지는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SGSN(123)의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30)가 로밍중인 방문망(120)의 국가를 확인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GSN(114)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IP 주소 풀(pool)을 관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GGSN(114)은 단말기(130)가 로밍중인 방문망(120)의 국가에 대응되는 IP 주소 대역에서 단말기(130)에게 할당할 IP 주소를 선택할 수 있다.
[표1]
국가 IP 주소 대역
A a1 ~ aN
B b1 ~ bN
C c1 ~ cN
표1에서 a1, b1, c1은 각 IP 주소 대역의 첫번째 IP 주소이고, aN, bN, cN은 각 IP 주소 대역의 마지막 IP 주소이다.
단말기(130)가 어떤 국가의 방문망(120)에 로밍중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단말기(130)에게 상이한 IP 주소를 할당한다는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당된 IP 주소는 SGSN(123)과 UTRAN(10)을 거쳐서 단말기(130)에게 전송되며(S255, S260, S265), 단말기(130)는 자신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사용하여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270, S275, S280, S28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망(1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단말기(130)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이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은 사용자가 단말기(130)를 조작하여 직접 요청할 경우에 트리거링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서 자동으로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망(110)에서 단말기(130)에게 데이터의 수신을 준비하라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기(130)의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거나, 단말기(13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말기(130)가 자체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면(S310), 단말기(130)는 자신이 방문망(120)에 접속해 있는지 판단한다(S3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에서 이용할 수 있는 IP 주소 대역이 국가별로 상이하게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30)는 자신에게 할당된 IP 주소나 SGSN(123)의 IP 주소를 참조하여, 방문망(120)에 접속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30)는 홈망(110)에서 방 문망(120)으로 로밍할 경우 로밍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으며, 로밍 정보를 통해서 현재 자신이 방문망(120)에 로밍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로밍 정보의 저장을 위해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가 사용될 수 있다.
과정 S320의 판단 결과 방문망(120)에 접속해 있다면, 단말기(130)는 방문망(120)에 접속해 있다는 정보와 함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30). 질의 정보는 방문망(120)의 데이터 서비스 요율이 홈망(110)의 데이터 서비스 요율과 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정보는 텍스트나 아이콘 형식으로 단말기(130)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질의 정보는 알람음과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질의 정보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방문망(1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단말기(130)에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13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340).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면, 단말기(130)는 컨텐츠 서버(115)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50). 이 때, 데이터는 홈망(110)의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홈망(110)의 GGSN(114)과 방문망(120)의 UTRAN(10) 및 SGSN(123)를 거쳐서 단말기(130)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과정 S330의 판단 결과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부정 응답이 입력되면 단말기(130)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취소할 수 있다(S360).
한편, 과정 S320의 판단 결과 단말기(130)가 홈망(110)에 접속해있다면, 사 용자의 확인이 없더라도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50). 여기서 단말기(130)는 홈망(110)의 UTRAN(기지국(111)과 RNC(112)를 포함한다), SGSN(113), 및 GGSN(114)를 통해서 컨텐츠 서버(11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정 S330에서 단말기(130)는 방문망(1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적용될 요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요율 정보는 사전에 홈망(110)으로부터 획득하여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모든 과정 또는 도 3의 과정 S320부터 그 이후의 과정들은 도 2의 과정 S265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의 과정 S310 내지 S340은 도 2의 과정 S21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 3의 과정 S350은 도 2의 과정 S270 내지 S28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30)가 방문망(120)에 로밍한 상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과금 서버(116)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책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망(120)이 속하는 국가별로 상이한 IP 주소나 코드를 할당하여 과금 책정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망(120)에 로밍 중인 단말기(130)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책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방문망(120)을 통해서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컨텐츠 서 버(115)는 GGSN(114)에게 단말기(130)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단말기(130)에게 제공한 데이터의 양, 데이터 제공 시간, 데이터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30)가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을 완료한 때에, 누적된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가 한꺼번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제공되면, GGSN(114)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와 단말기(130)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S420), 이를 과금 서버(116)에게 전송할 수 있다(S430).
과금 서버(116)는 GGSN(114)으로부터 전송된 과금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30)에게 부과될 과금을 산출한다(S440). 즉, 과금 서버(116)는 과금 정보에 포함된 IP 주소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요율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요율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요율 정보를 통해 과금을 책성할 수 있다. 결국, 과금 서버(116)는 방문망(120)에 로밍 중인 단말기(130)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홈망의 경우와 차별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방문망(120)에 로밍한 단말기(130)에게 방문망(120)이 속하는 국가에 따라서 IP 주소를 달리 할당된 경우 적용될 수 있는 과금 책정 과정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GGSN(114)은 단말기(130)의 IP 주소를 할 당할 경우, 단말기(130)가 로밍중인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단말기(130)에게 할당한 IP 주소에 매핑시켜둘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과정 S420 및 과정 S430에서 GGSN(114)은 단말기(130)의 IP 주소에 매핑시켜둔 국가 코드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과금 서버(116)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과금 서버(116)는 과금 정보에 포함된 국가 코드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요율 정보를 통해 단말기(130)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기(130)는 사용자 입력부(510), 오디오 입출력부(520), 디스플레이부(530), 무선 통신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510)는 사용자가 단말기(130)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1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520)는 음성을 포함하는 각종 음향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오디오 입출력부(520)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0)는 통화 상태, 컨텐츠 재생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등, 단말기(130)의 각종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530)는 LCD, 유기 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4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WCDMA(Wideband CDMA)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망에서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컨텐츠 재생,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기타 데이터 처리 등 단말기(13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될 경우, 단말기(130)가 홈망(110)과 방문망(120) 중 어느 망에 접속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30)가 방문망(120)에 접속해 있다면, 제어부(550)는 방문망(120)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속행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질의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3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단말기(130)의 구성요소간 동작 과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단말기(13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 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의 사용자와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해외 이동 통신망에 로밍중인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국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과금 책정에 효율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9)

  1. 국제 로밍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으로서,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제 1 질의 정보와 상기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제 2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의 정보는 홈망과 상기 방문망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율이 상이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국가별 요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게 할당된 IP 주소, 통신 가능한 서빙 GPRS 지원 노드의 IP 주소, 및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보유한 로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상기 방문망에 로밍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상기 방문망에 로밍 중인 경우 상기 제 1 질의 정보 및 상기 제 2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방법.
  5. 방문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제 1 질의 정보와 상기 방문망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제 2 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질의 정보 및 상기 제 2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긍정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의 정보는 홈망과 상기 방문망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요율이 상이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의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국가별 요율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서비스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장치에게 할당된 IP 주소, 통신 가능한 서빙 GPRS 지원 노드의 IP 주소, 및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보유한 로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상기 방문망에 로밍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통신 장치.
  9.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국가별로 구별되어 구비된 IP 주소 중 상기 방문망이 속한 국가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IP 주소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단말기에게 제공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1.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국가별로 구별되어 구비된 IP 주소 중 상기 방문망이 속한 국가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할당된 IP 주소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단말기에게 제공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
  13.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국가별로 구별되어 구비된 국가 코드 중 상기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되는 국가 코드를 상기 IP 주소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국가 코드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 한 시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단말기에게 제공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5. 방문망에 로밍한 단말기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국가별로 구별되어 구비된 국가 코드 중 상기 방문망이 속하는 국가에 대응되는 국가 코드를 상기 IP 주소에 매핑하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상기 단말기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매핑된 국가 코드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서비스 이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금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금 시스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금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현재의 망이 상기 방문망임을 나타내는 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금 시스템.
KR1020070047232A 2007-05-15 2007-05-15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KR10089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32A KR100895678B1 (ko) 2007-05-15 2007-05-15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32A KR100895678B1 (ko) 2007-05-15 2007-05-15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46A KR20080101046A (ko) 2008-11-21
KR100895678B1 true KR100895678B1 (ko) 2009-05-07

Family

ID=4028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32A KR100895678B1 (ko) 2007-05-15 2007-05-15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4029B (zh) * 2009-01-16 2013-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费方法及装置、系统
CN101616387B (zh) * 2009-07-29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跨国漫游充值的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03A (ko) * 2002-12-16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시스템의 로밍 데이터 통신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03A (ko) * 2002-12-16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시스템의 로밍 데이터 통신 운용 방법
KR100524741B1 (ko) 2002-12-16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시스템의 로밍 데이터 통신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46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7638A1 (en)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6701155B2 (en) Network initialized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for multicast/broadcast services
CN101073283B (zh) 用于在基于分组数据的移动通信网络中的漫游终端设备的缺省订购简档
EP2523505B1 (en) An access implementing method and device for machine to machine core network
CN100486382C (zh) 通信系统中的时效处理设备和方法
CN100512294C (zh) 一种选择网关通用分组无线服务支持节点的方法
JP4589871B2 (ja) 国際ローミング対応型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利用システム
CN101151928A (zh) 在多运营商核心网络中协调cs和ps注册的技术
CN107925876A (zh) 用于处理无线设备的移动性过程的节点和方法
GB2373409A (en) Mobile IP service with roaming between GPRS packet networks
CN101345998A (zh) 接入网络切换方法、锚点管理设备、移动接入设备
CN109246654A (zh) 服务网络、时区和uci的报告
WO200601632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p2p communication
US20140323088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16000172A1 (zh) 网络设备及分配接入点名称的方法
US20140302812A1 (en) Access method,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user equipment
CN102651862B (zh) 一种wap网关ip地址配置方法及其设备
KR100895678B1 (ko)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와과금 방법 및 시스템
CN101945362A (zh) 网络消息处理方法、装置和通信系统
US1194383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PC5 V2X
KR100475481B1 (ko)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접속점 이름 변경장치 및 방법
JP4520768B2 (ja) パー・コール式双方向高速パケット・データ・アクティベーション
CN100438693C (zh) 一种分组域的业务接入方法
KR100982397B1 (ko) 특정 위치 정보에 기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4023319B2 (ja) モバイルip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トンネリング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