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44B1 - 락수단을 갖는 박스 - Google Patents

락수단을 갖는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44B1
KR100895644B1 KR1020080035860A KR20080035860A KR100895644B1 KR 100895644 B1 KR100895644 B1 KR 100895644B1 KR 1020080035860 A KR1020080035860 A KR 1020080035860A KR 20080035860 A KR20080035860 A KR 20080035860A KR 100895644 B1 KR100895644 B1 KR 10089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x
handle
locking mean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봉길
Original Assignee
(주)대성인쇄지기
황봉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인쇄지기, 황봉길 filed Critical (주)대성인쇄지기
Priority to KR102008003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락수단을 사용하여 임의적인 개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박스는 임의 개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의 덮개에 단순한 끼움방식이나 걸이방식을 사용하여 락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락수단이 쉽게 해제되어 덮개가 임의적으로 개봉되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박스의 덮개의 기능을 갖게 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할 경우에는 박스의 연장된 측면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에 맞물림되도록 걸이홈을 형성하여 락수단의 제공은 물론 덮개의 기능과 손잡이의 고정수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손잡이를 하방으로 조금만 힘을 가하게 될 경우에는 아주 쉽게 락수단이 해제되어 덮개가 개봉되어지거나 손잡일 잡고 있을 경우에는 박스가 하방으로 처짐에 의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연장된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이 접어지게 되면서 덮개과 맞물림되어지면서 끼움토록 함으로서 접어진 부분을 인위적으로 당김치 아니할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박스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락수단. 박스. 손잡이. 임의개봉방지.

Description

락수단을 갖는 박스{a box}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제작이 가능한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구성요소를 사용치 아니하고 박스의 측면을 락수단으로 사용하여 박스의 덮개가 완전하게 펼쳐짐이 가능하면서 임의적인 개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동시에 구현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물품의 수납포장을 위한 박스는 내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본체에 덮여지는 덮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덮개는 박스본체에서 임의 개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본체와 덮개가 단순한 끼움방식이나 걸이방식을 사용하여 락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락수단이 쉽게 해제되어 덮개가 임의적으로 개봉되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락수단이 해제된 이후에도 덮개를 별도의 들어올림에 의하여 박스를 개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것들의 대부분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못하여 별도의 끈을 사용하여 손잡이를 구현한다는 것이고, 또한 개폐수단과는 별도로 덮개의 상면을 절첩가능하게 형성하여 손잡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덮개의 상면을 절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에는 별도 의 시트지를 사용하여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이 사용되어짐으로서 원가의 상승은 물론 제조상의 문제점과 이러한 시트지의 용이한 손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토록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또는 새로운 박스의 제공을 위하여 박스의 덮개의 기능을 갖게 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면서 락수단이 형성토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은 그 구성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00)를 구성하는 측면(110)을 연장하고 연장되어진 측면(120)에는 절개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21)에 맞물림되도록 덮개(130)는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도록 되면서 덮개에 연장되게 형성된 손잡이(140)의 양측단으로 걸이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걸이홈(141)이 절개홈(121)에 맞물림되어지면서 락수단을 제공하여 덮개의 기능과 손잡이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손잡이를 하방으로 조금만 힘을 가하게 될 경우에는 아주 쉽게 락수단이 해제되어 덮개가 개봉되어지거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있을 경우에는 박스가 하방으로 처짐에 의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이고 이러한 박스의 구성을 위하여는 반드시 박스본체의 바닥면에 조립되어지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 별도의 접착수단이 사용되어짐으로서 불필요한 원가상승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박스본체의 덮개가 양측으로 개봉되어져 박스의 내공간이 완전하게 개봉되어지면서 락수단이 박스본체를 구성하는 측면의 연장된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의 상측이 접어지게 되면서 접어지는 부분이 덮개의 내측으로 끼임되어지면서 맞물림과 끼임에 의하여 끼임되어진 부분(락면)을 인위적으로 외측으로 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박스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박스본체의 덮개가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도록 되고, 개봉되어지는 양측의 덮개의 선단은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되며 내측으로 접어진 부분에는 끼임을 위한 끼임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임절개홈에 끼임되어지도록 박스본체의 연장된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의 상측이 접어지게 되어 접어지는 부분이 덮개의 내측으로 끼임되어지면서 맞물림과 끼임에 의하여 끼임되어진 부분을 인위적으로 외측으로 당김치 아니할 경우에는 절대로 덮개의 개봉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덮개가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는 박스개 절대로 개봉되어짐이 없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형상의 박스를 제공함은 물론 손잡이도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의 락수단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이러한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는 덮개일 경우에도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덮개가 양측으로 개봉되어지는 것이고, 개봉의 단속을 위하여는 박스본체를 구성하는 측면의 연장되어진 부분이 접어지면서 인의적으로 락수단을 조작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박스본체(10)에는 내공간(11)을 형성하게 되고, 내공간(11)을 형성하는 정면(10a)과 배면(10b)은 직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덮개(20)가 형성되고, 각각의 덮개(20)의 선단은 내측으로 직각으로 접어져 서로 밀착되어지게 밀착면(21)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밀착면(21)은 접어지게 되는 접힘선(21a)을 중심으로 끼임절개홈(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임절개홈(22)과 밀착면(21)에 끼임되어지도록 측면(10c)에는 연장된 측면(10c-1)과 상기 연장된 측면(10c-1)에는 절개홈(12)과 상기 측면(10c)의 연장된 측면(10c-1)의 후방으로 락면(13)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면으로 절개홈이 연장되어 연장절개홈(1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연장절개홈(12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태로 절개토록 함으로서 락면(13)이 접힘되어짐을 용이토록 하면서 락면(13)이 접힘되어지면서 덮개(20)에 후방으로 형성된 끼임절개홈(22)에 끼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임절개홈(22)은 외측으로 더 절개되어져 락면(13)이 끼임절개홈(22)에 끼임되어진 이후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락면(13)의 해제를 위하여 당김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만곡되어진 절개면(22a)을 형성토록 하여 조립된 상태에서는 락면(13)이 노출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락면(13)이 끼임절개홈(22)에 끼임이 용이하도록 락면(13)의 하단으로는 절첩선(14)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좀더 용이한 절첩에 의하여 락면(13)이 끼임절개홈(22)에 끼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선단으로 연장되어진 밀착면(21)의 중앙으로 절개에 의하여 손잡이(23)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3)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박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에서 내공간(11)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d)이 평면상의 바닥면(10d)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정면(10a)과 배면(10b)을 측면(10c)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날개(15)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d)에 형성된 개구홈(16)에 끼임되어지도록 끼임돌기(17)를 형성토록 하거나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15)의 선단이 서로 중첩되어지게 걸림홈(18)을 형성토록 하여 서로 끼임토록 함으로서 내공간(11)을 확보토록 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덮개(20)가 덮여지면서 연장되어지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바닥면(10d)이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능하면 덮개(20)가 날개(15)의 외측을 덮어주면서 연장될 경우에 날개(15)를 덮어주면서 정면(10a)과 배면(10b)을 형성하게 되는 부분은 날개(15)가 접힘되어진 부분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박스본체의 상측을 덮어줄 경우에는 좀더 넓은 폭으로 덮어주도록 함으로서 박스본체(10)의 내공간(11)으로 이물질이 진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의 사용을 위하여는 내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날개를 고정토록 한 후 그 외측으로 덮개를 덮어 덮개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면이 서로 밀착토록 한 후 측면에서 연장되어진 락면을 끼임절개홈에 끼임토록 함으로서 절개홈과 끼임절개홈이 동시에 맞물림토록 됨으로서 많은 마찰면에 의하여 견고한 락수단이 제공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락수단은 절개면(22a)에 의하여 노출되어지는 락면(13)을 손가락으로 잡고 외측으로 당김토록 할 경우에만 개봉토록 함으로서 락수단의 기능이 완벽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러한 락수단의 제공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박스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본체의 바닥면이 조립되어지는 구성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평면상의 바닥면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조립된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개도.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전개도.
도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일실시예의 전개도.
도5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된 상태의 조립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내공간의 구현을 위한 날개의 일실시예의 전개도.
도7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날개가 조립되어지는 확대도
도9는 종래의 일반적인 박스에서 덮개의 락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박스본체 11: 내공간
12: 절개홈 13: 락면
14: 절첩선 15: 날개
16: 개구홈 17: 끼임돌기
18: 걸림홈
20: 덮개 21: 밀착면
22: 끼임절개홈 23: 손잡이

Claims (7)

  1.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내공간(11)을 형성하게 되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에서 내공간(11)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10d)이 평면상의 바닥면(10d)으로 이루어져 정면(10a)과 배면(10b)을 측면(10c)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날개(15)의 선단이 서로 중첩되어지게 걸림홈(18)을 형성토록하고, 상기 내공간(11)을 형성하는 정면(10a)과 배면(10b)으로 연장되어지는 각각의 덮개(20)와, 상기 각각의 덮개(20)의 선단은 내측으로 직각으로 접어져 서로 밀착되어지게 형성되는 밀착면(21)과 상기 밀착면(21)의 중앙으로는 절개에 의하여 손잡이(23)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밀착면(21)이 접어지게 형성되는 접힘선을 중심으로 양단에 형성되는 끼임절개홈(22)과 상기 끼임절개홈(22)은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지면서 만곡된 절개면(22a)을 형성토록하고, 상기 끼임절개홈(22)과 밀착면(21)에 끼임되어지도록 측면(10c)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절개홈(12)과 상기 절개홈(12)의 상단으로는 원형의 연장절개홈(12a)이 형성되는 락면(13)과 그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10c-1)과 그 하단으로는 절첩선(14)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12)은 수직으로 상기 절첩선(14)이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락수단을 갖는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35860A 2008-04-18 2008-04-18 락수단을 갖는 박스 KR10089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60A KR100895644B1 (ko) 2008-04-18 2008-04-18 락수단을 갖는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60A KR100895644B1 (ko) 2008-04-18 2008-04-18 락수단을 갖는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644B1 true KR100895644B1 (ko) 2009-05-07

Family

ID=4086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60A KR100895644B1 (ko) 2008-04-18 2008-04-18 락수단을 갖는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129U (ko) * 1974-07-16 1976-02-02
JP2002104393A (ja) * 2000-10-03 2002-04-10 Rengo Co Ltd 中仕切付き手提げ紙箱
KR200398276Y1 (ko) * 2005-07-18 2005-10-12 김상희 물품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129U (ko) * 1974-07-16 1976-02-02
JP2002104393A (ja) * 2000-10-03 2002-04-10 Rengo Co Ltd 中仕切付き手提げ紙箱
KR200398276Y1 (ko) * 2005-07-18 2005-10-12 김상희 물품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59499A1 (ja) プラスチック箱
US11840381B2 (en) Child resistant lockable container
KR100895644B1 (ko) 락수단을 갖는 박스
KR100895643B1 (ko) 락수단을 갖는 치킨박스
KR200451037Y1 (ko) 문서 보관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홀더화일
JP2007168877A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包装箱
KR20150096635A (ko) 걸림손잡이를 구비한 종이포장상자
KR200452620Y1 (ko) 과자 포장용 종이 상자
JP6706879B2 (ja) 包装用箱
KR200477098Y1 (ko)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JP6234142B2 (ja) 包装箱
JP6214306B2 (ja) 包装箱
KR200465430Y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KR200477901Y1 (ko) 종이포장용기
JP6016436B2 (ja) シート収納用容器及びシート収納用容器のキャップ
JP3191651U (ja) 組立て紙箱の把手部の係止構造
KR102353124B1 (ko) 헤더부에 결합된 소포장백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KR101293773B1 (ko) 박스의 커버체결구조
JP2009107717A (ja) 段ボール箱
KR102192925B1 (ko) 포장박스
US20230234760A1 (en) Child resistant lockable container
JP3215847U (ja) フラップ付包装箱
JP5824745B2 (ja) 包装箱
KR101986559B1 (ko) 개폐식 플립형 케이스
JP5903323B2 (ja) シート収納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