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447B1 -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447B1
KR100895447B1 KR1020070018463A KR20070018463A KR100895447B1 KR 100895447 B1 KR100895447 B1 KR 100895447B1 KR 1020070018463 A KR1020070018463 A KR 1020070018463A KR 20070018463 A KR20070018463 A KR 20070018463A KR 100895447 B1 KR100895447 B1 KR 10089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nformation
screen
search
broadca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390A (ko
Inventor
이현지
김준환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4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검출된 방송 정보를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및,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며,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관련된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방송수신장치, 키워드, 컨텐츠

Description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search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지정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컨텐츠 검색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컨텐츠 검색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연결부 17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 경우, 방송수신장치는 화면상에 출력되는 방송 정보를 배너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출력되는 방송에 대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온 스크린 키보드(On Screen Keyboard)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컨텐츠 검색은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되며, 글자 수가 많을 경우 키워드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송수신장치는 컨텐츠 검색시, 방송 신호에 대한 검색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검색 영역이 협소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정확하고 세부적인 검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 적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관련된 컨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검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및,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며, 상기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리스트 상에서 관련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검색 대상임을 알릴 수 도 있다.
한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인터넷 상에서 상기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내외부 저장매체 및 인터넷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시간 정보, 채널 정보,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명 정보, 스탭 정보, 출연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은, (a)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c)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며, 상기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리스트 상에서 관련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검색 대상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내외부 저장매체 및 인터넷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연결부(160)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한다.
검출부(1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한다. 이 경우, 방송 정보란, 방송 시간 정보, 채널 정보,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명 정보, 스탭 정보, 출연자 정보 등과 같은 방송 관련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방송 정보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EPG 정보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30)는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방송 정보를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출력한다. 이 경우, 방송 정보는 화면의 일 영역 상에 배너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화면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를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40)는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검색 명령 및 선택 명령은 방송수신장치(100) 본체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로는 음악, 영화, 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내부 저장매체로 하드 드라이버가 될 수 있다.
연결부(16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매체와 연결되어, 외부 저장매체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외부 저장매체로는, USB 메모리,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일 영역에 출력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배너 형태로 출력되는 방송 정보 각각에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을 키워드로 지정함으로써,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 블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명령에 따라 방송 정보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면,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검출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EPG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 또는, 제어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20)는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를 통해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통해 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방송 신호,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입력부(140)를 통해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 각 매체로부터 동시에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방송신호,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등을 통한 관련 컨텐츠 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화면상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상기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면,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한다. 이 경우, 세부 컨텐츠에 대한 추가 검색 역시, 방송 신호, 내부 저장매체, 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컨텐츠의 추가 검색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상기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면, 해당 관련 컨텐츠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검색 및 실행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지정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블럭 형태의 키워드 지정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 전체 화면상(200)에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색된 방송 정보가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된다. 화면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방송은 채널 6번이고, '김승현 정은아의 좋은 아침' 프로그램이며, 방송 시간은 9시 30분부터 10시 40분까지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상에 채널 정보, 프로그램 명 정보, 방송 시간 정보만이 출력되고 있지만, 방송 정보로는 방송국 정보, 스탭 정보, 출연자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100) 본체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검색 명령을 입력할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화면 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해당 방송 정보가 검색 대상임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방송 시간 정보 각각에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을 키워드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블럭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김승현 정은아의 좋은 아침"의 경우, 조사를 제외하여 각 단어를 분리함으로써, 단어 별로 블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최상위에 표시된 채널 정보 블럭이 하이라이트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컨에 구비된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방송 정보에 해당하는 블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각 블럭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형태 외에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블럭 및 글자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글자체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는, 각 블럭을 점멸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블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줌으로써, 선택 블럭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블럭이 "정은아"인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정은 아"라는 키워드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 경우, 컨텐츠 검색은, 방송신호, 즉, EPG 정보를 통해 검색될 수 있으며,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접속을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화면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여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b는 설정 창 형태의 키워드 지정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 전체 화면(300)상에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색된 방송 정보가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된다. 이 경우, 최초 방송 정보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너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된 방송 정보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방송 신호는 채널 6번이고, 프로그램 명은 '김승현 정은아의 좋은 아침'이며, 방송 시간 정보는 9시 30분부터 10시 40분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100) 본체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검색 명령을 입력할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화면 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310)을 생성하여 각 키워드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리모컨의 상/하 버튼을 이용하여 리스트 형태로 나열된 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블럭이 "정은아"인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정은아"라는 키워드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화면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여 관련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컨텐츠 검색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화면상에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400) 형식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정은아"를 선택하였을 경우, "정은아"에 대한 관련 컨텐츠가 검색된다. 이에 따라, 리스트(400)에는 "정은아"와 관련된 프로그램 명, 인물 정보, 기사 등이 검색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검색 컨텐츠를 통해 추가 검색을 하고자 할 경우, 리스트(400) 상에 나열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추가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리스트(400) 중 "3. 경제 비타민"을 선택하였을 경우, "경제 비타민"과 관련된 컨텐츠를 추가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관련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입력할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해당 관련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 경제 비타민"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입력하였을 경우, "경제 비타민"의 웹 페이지 이동 또는 다시 보기 등을 실행하여, 해당 컨텐츠의 실행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방 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한다(S400). 이 경우, 방송 정보란, 방송 시간 정보, 채널 정보,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명 정보, 스탭 정보, 출연자 정보 등과 같은 방송 관련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송 정보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EPG 정보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전체 화면상에 방송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된 방송 정보를 배너 형태로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출력한다(S410).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일 영역 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한다(S420). 이 경우, 방송 정보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는 것은,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S430). 이 경우, 관련 컨텐츠 검색은 방송신호,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검색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컨텐츠 검색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한다(S500).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출된 방송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S510). 구체적으로, 전체 화면상에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된 방송 정보를 배너 형태로 화면 일 영역 상에 출력한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S520), 화면 일 영역 상에 출력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한다(S530). 구체적으로,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배너 형태로 출력되는 방송 정보 각각에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다른 예로는,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방송 정보 각각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방송수신장치(100)는 키워드로 지정된 방송 정보의 일 영역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S540),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한다(S550). 이 경우, 선택된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접속을 통해 검색할 수 있다.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방송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화면 일 영역 상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S560).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리스트 상에 표시된 관련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S570),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하여 출력한다(S580). 이에 따라, 추가 검색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자세한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는 1차 검색에 의한 관련 컨텐츠 또는 추가 검색에 의한 세부 컨텐츠가 화면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어느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S590), 해당 컨텐츠를 실행시킨다(S600).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영화 제목 인 경우, 영화를 재생시켜 출력하거나, 영화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해당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키워드를 지정하여, 키워드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되며,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할 필요없이 화면상에 출력되는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키워드 지정에 따른 소요 시간이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송신호, 내/외부 저장매체 및 웹서버 등과 같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함으로써 보다 많은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추가 검색을 실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자세한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및,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며, 상기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일 부분의 방송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선택된 일 부분의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검색 대상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리스트 상에서 관련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방 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인터넷 상에서 상기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외부 저장매체 및 인터넷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시간 정보, 채널 정보, 방송국 정보, 프로그램 명 정보, 스탭 정보, 출연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0. (a)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화면 일영역 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c)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며, 상기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된 일 부분의 방송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신호를 화면상에 출력하면서, 선택된 일 부분의 방송 정보에 대한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검색 대상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관련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리스트 상에서 관련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 컨텐츠에 대한 세부 컨텐츠를 추가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키워드로 지정하고 각 키워드를 나열한 검색 대상 설정 창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검색 대상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내외부 저장매체 및 인터넷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KR1020070018463A 2007-02-23 2007-02-23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89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63A KR100895447B1 (ko) 2007-02-23 2007-02-23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63A KR100895447B1 (ko) 2007-02-23 2007-02-23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90A KR20080078390A (ko) 2008-08-27
KR100895447B1 true KR100895447B1 (ko) 2009-05-07

Family

ID=3988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63A KR100895447B1 (ko) 2007-02-23 2007-02-23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8406A (zh) * 2010-04-21 2011-11-09 日立民用电子株式会社 数字内容接收装置、接收方法和发送接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162A (ko) * 2009-05-25 201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통해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주문하는 방법 및 장치
EP2483861A1 (en) * 2009-09-29 2012-08-08 Intel Corporation Linking disparate content sources
KR101352938B1 (ko) * 2012-05-21 2014-01-23 (주)케이디엠티 방송신호 수신 장치
KR101579855B1 (ko) * 2013-12-17 2015-12-23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사용자 입력 제스처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64A (ko) * 1997-10-23 1999-05-15 전주범 인터넷 텔레비전에서의 검색어에 따른 접속제어장치
KR20010080653A (ko) * 1998-12-03 2001-08-22 암만 챨스 비. 관련 프로그램 서치 기능을 가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064A (ko) * 1997-10-23 1999-05-15 전주범 인터넷 텔레비전에서의 검색어에 따른 접속제어장치
KR20010080653A (ko) * 1998-12-03 2001-08-22 암만 챨스 비. 관련 프로그램 서치 기능을 가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8406A (zh) * 2010-04-21 2011-11-09 日立民用电子株式会社 数字内容接收装置、接收方法和发送接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90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82B2 (ja) 遠隔制御装置によるハイパーテキスト・オブジェクト間のナビゲーションが可能なウェブ・ブラウザ
JP4599898B2 (ja) 画面表示制御の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携帯情報機器
US20110289457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files
AU2010284736B2 (en) Metadata tagging system, image searching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for tagging a gesture thereof
US8243017B2 (en) Menu overlay including context dependent menu icon
KR101967036B1 (ko)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9880708B2 (en) User interface
US8522141B2 (en) Method for providing link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WO2009084185A1 (ja) 情報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90019401A1 (en) Method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offer a three-dimensional (3d) cylinderical menu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8681404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00020030A1 (en) Method of manag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95299A (ko) 계층적 메뉴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84747A (ko) 디스플레이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79007A (ko) 사용자 명령이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US20070198472A1 (en) Multimedia system for a vehicle
KR100895447B1 (ko) 컨텐츠 검색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302991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27357B1 (ko) 외부 기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탐색하는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 및 그의 정보 탐색 방법
JP6069927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2420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77424A (ko) 검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N102081499A (zh) 电子辞书装置以及电子辞书装置中的检索方法
CN105468254A (zh) 内容搜索设备和用于搜索内容的方法
JP2008252530A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20

Effective date: 200903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