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824B1 -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824B1
KR100894824B1 KR1020070095068A KR20070095068A KR100894824B1 KR 100894824 B1 KR100894824 B1 KR 100894824B1 KR 1020070095068 A KR1020070095068 A KR 1020070095068A KR 20070095068 A KR20070095068 A KR 20070095068A KR 100894824 B1 KR100894824 B1 KR 10089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ertion hole
insertion shaft
spo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215A (ko
Inventor
황용근
Original Assignee
황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근 filed Critical 황용근
Priority to KR102007009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8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 본딩기에 공급하기위한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와이어 드럼은 상기드럼의 회전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한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브러쉬와의 접촉부분이 접촉에의하여 마모되고 또한 마모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하여 불량제품이 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가 감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삽입홀에 상응하여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와이어 드럼과 같이 회전하도록 탄성 고정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드럼 고정편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돌출된 삽입축이 형성되는 스풀과, 와이어 본딩기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풀 삽입홀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스풀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삽입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어스로 이루어지는 방전부로 구성되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의 중심에는 회전 중심방향으로 관통된 제1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축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심에는 제2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삽입축에 장착되되, 상기 삽입축과 접하는 타측에는 그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캡과;
내경이 상기 고정캡의 외경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과;
내경이 상기 베어링의 외경에 상응하고, 길이는 상기 삽입축과 고정캡의 걸림부 사이 공간에 상응하고, 그 외경면에는 상기 브러쉬가 밀착되는 부싱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95068
와이어 본딩기

Description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The wire drum assembly for wire bon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장치에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브러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 또는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의 제조 공정중 반도체 칩과 리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본딩시키는 와이어 본딩기에서 와이어를 공급하는 건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점차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 와이어 본딩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공급카세트(101)에 다수의 기판(102 ;PCB)이 적층되어 있고 그 측면에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진 푸쉬바(103)가 하나씩 밀어 공급하여 주면 상기 와이어 본딩기(100) 내부의 공급 그리퍼(104)가 기판(102)을 물어서 스파크(105) 위치까지 이송하고,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106)에서 와이어(1)를 공급받은 상기 스파크(105)가 기판(102) 상면에 리드를 본딩시키고, 그 작업이 끝나면 우측의 수납 그리퍼(107)가 수납카세트(108)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106)의 구조는 도 4 종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5 종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의 구조는 와이어(1)가 감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되는 와이어드럼(2)과, 상기 삽입홀(21)에 상응하여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와이어 드럼과 같이 회전하도록 탄성 고정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드럼 고정편(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돌출된 삽입축(32)이 형성되는 스풀(3)과, 와이어 본딩기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삽입축(32)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풀 삽입홀(41)이 형성되는 브라켓(4)과, 상기 브라켓(4)의 스풀 삽입홀(41)을 관통한 상기 삽입축(32)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51) 및 상기 브러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어스(52)로 이루어지는 방전부(5)로 구성되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서 와이어(1)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정밀한 와이어 본딩의 작업에 주변의 정전기는 칩의 손상을 가져 오게 되므로 상기의 예와 같은 방전부(5)의 구성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브러쉬(51)는 상기 삽입축(32)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면서 회전에 따라 접촉 부분이 마모가 될 때 발생하는 미세분진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스파크 위치에까지 도달하여 불량품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러쉬와의 접촉부에서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가 감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삽입홀에 상응하여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와이어 드럼과 같이 회전하도록 탄성 고정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드럼 고정편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돌출된 삽입축이 형성되는 스풀과, 와이어 본딩기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풀 삽입홀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스풀 삽입홀을 관통한 상기 삽입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어스로 이루어지는 방전부로 구성되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의 중심에는 회전 중심방향으로 관통된 제1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축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심에는 제2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삽입축에 장착되되, 상기 삽입축과 접하는 타측에는 그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캡과;
내경이 상기 고정캡의 외경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과;
내경이 상기 베어링의 외경에 상응하고, 길이는 상기 삽입축과 고정캡의 걸림부 사이 공간에 상응하고, 그 외경면에는 상기 브러쉬가 밀착되는 부싱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의 방전부와의 접촉에 의한 분진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와이어(1)가 감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되는 와이어드럼(2)과, 상기 삽입홀(21)에 상응하여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와이어 드럼과 같이 회전하도록 탄성 고정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드럼 고정편(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돌출된 삽입축(32)이 형성되는 스풀(3)과, 와이어 본딩기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삽입축(32)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풀 삽입홀(41)이 형성되는 브라켓(4)과, 상기 브라켓(4)의 스풀 삽입홀(41)을 관통한 상기 삽입축(32)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51) 및 상기 브러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어스(52)로 이루어지는 방전부(5)로 구성되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서 와이어(1)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32)의 중심에은 회전 중심방향으로 관통된 제1 볼트 삽입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축(3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심에는 제2 볼트 삽입홀(6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62)에 의하여 상기 삽입축(32)에 장착되되, 상기 삽입축(32)과 접하는 타측에는 그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걸림부(63)가 형성되는 고정캡(6)과;
삭제
내경이 상기 고정캡(6)의 외경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7)과;
내경이 상기 베어링(7)의 외경에 상응하고, 길이는 상기 삽입축(32)과 고정캡(6)의 걸림부(63) 사이 공간에 상응하고, 그 외경면에는 상기 브러쉬(51)가 밀착되는 부싱(8)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고정캡(6)과 스풀(3) 및 와이어 드럼(2)은 동일한 회전 축에 의하여 같이 회전하되, 상기 베어링(7)에 의하여 부싱(8)은 동일하게 회전하지 않고 브러쉬(51)와 접촉만 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마모가 진행된다면 베어링(7)에서 진행되어야하나 베어링(7)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여도 마모에 의한 분진이 발생되지 않아 분진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7)도 고정캡(6)과 부싱(8) 사이 공간에 위치하므로 마모되어 분진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거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62)는 타측의 너트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볼트 삽입홀(33)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두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하면 그 효과도 동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발명발명발명발명 단면도
도 3은 종래 와이어 본딩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종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2 : 와이어 드럼
21 : 삽입홀
3 : 스풀
31 : 드럼 고정편 32 : 삽입축
33 : 제1 볼트 삽입홀
4 : 브라켓
41 : 스풀 삽입홀
5 : 방전부
51 : 브러쉬 52 : 어스
6 : 고정캡
61 : 제2 볼트 삽입홀 62 : 고정볼트
63 : 걸림부
7 : 베어링
8 : 부싱

Claims (1)

  1. 와이어(1)가 감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된 삽입홀(21)이 형성되는 와이어드럼(2)과, 상기 삽입홀(21)에 상응하여 삽입되되 그 외주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와이어 드럼과 같이 회전하도록 탄성 고정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드럼 고정편(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돌출된 삽입축(32)이 형성되는 스풀(3)과, 와이어 본딩기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중앙에는 상기 삽입축(32)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풀 삽입홀(41)이 형성되는 브라켓(4)과, 상기 브라켓(4)의 스풀 삽입홀(41)을 관통한 상기 삽입축(32)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두 개 이상의 브러쉬(51) 및 상기 브러쉬(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어스(52)로 이루어지는 방전부(5)로 구성되어 와이어 본딩기 내부에서 와이어(1)를 공급하는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32)의 중심에는 회전 중심방향으로 관통된 제1 볼트 삽입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축(3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심에는 제2 볼트 삽입홀(6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62)에 의하여 상기 삽입축(32)에 장착되되, 상기 삽입축(32)과 접하는 타측에는 그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걸림부(63)가 형성되는 고정캡(6)과;
    내경이 상기 고정캡(6)의 외경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7)과;
    내경이 상기 베어링(7)의 외경에 상응하고, 길이는 상기 삽입축(32)과 고정캡(6)의 걸림부(63) 사이 공간에 상응하고, 그 외경면에는 상기 브러쉬(51)가 밀착되는 부싱(8)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KR1020070095068A 2007-09-19 2007-09-19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KR10089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8A KR100894824B1 (ko) 2007-09-19 2007-09-19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8A KR100894824B1 (ko) 2007-09-19 2007-09-19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215A KR20070110215A (ko) 2007-11-16
KR100894824B1 true KR100894824B1 (ko) 2009-04-24

Family

ID=3908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68A KR100894824B1 (ko) 2007-09-19 2007-09-19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46Y1 (ko) * 2012-11-22 2014-10-13 이관호 램프 테스팅장치
CN103413774B (zh) * 2013-07-23 2016-02-24 徐州云泰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陶瓷定位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873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패키지용 와이어 본딩 장치
KR19990042389A (ko) * 1997-11-26 1999-06-15 김규현 반도체패키지용 와이어본딩기의 와이어본딩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001151413A (ja) 1999-11-29 2001-06-05 Shinkawa Ltd ワイヤボンダにおけるスプールホルダ構造
KR100625938B1 (ko) 2005-07-21 2006-09-1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장비의 본드 완전성 테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873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패키지용 와이어 본딩 장치
KR19990042389A (ko) * 1997-11-26 1999-06-15 김규현 반도체패키지용 와이어본딩기의 와이어본딩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001151413A (ja) 1999-11-29 2001-06-05 Shinkawa Ltd ワイヤボンダにおけるスプールホルダ構造
KR100625938B1 (ko) 2005-07-21 2006-09-1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장비의 본드 완전성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215A (ko) 200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9766B2 (en) Shaft current control brush ring assembly
CA2488515C (en) Lightning protection means for a wind turbine
KR100894824B1 (ko) 와이어 본딩기의 와이어 드럼 어셈블리
CN112088254A (zh) 具有集成的电流消除功能的滚动轴承
KR101072830B1 (ko) 카본 브러시 및 회전 전기 기계
KR930001214Y1 (ko) 부러시지지장치
KR100517675B1 (ko) 회전전기장치의 브러시 어셈블리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브러시 지지용 지그 및 상기 브러시 지지용 지그를 이용한브러시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방법
US4378138A (en) Shaft brush for turbomachinery
KR101970274B1 (ko) 기판 이송용 샤프트에 사용되는 접지 장치
KR101874210B1 (ko) 케이블 락킹부재가 장착된 슬립링
CN110176701B (zh) 电滑环及其电刷连接环
US6439496B2 (en) Spool holder structure for a wire bonder
WO2021008623A1 (zh) 旋转传输信号机构以及无人机云台
GB2140984A (en) Slip-ring current collector assembly
GB2287135A (en) Dynamoelectric machine with brush having slanted core
CN208831996U (zh) 一种安装孔结构以及一种固定件
JP2018002321A (ja) 糸巻取装置
KR100939420B1 (ko) 와이어 스풀 홀더 조립체
US9419501B1 (en) Constant force shaft grounding brush holder
US11936254B2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a conductive layer
CN111293556B (zh) 电刷组件
CN217255941U (zh) 具有静电释放功能的电批
US11799258B2 (en) Rotary electronic component as slip ring
CN1149537C (zh) 旋转滚筒供电装置
JPH09201016A (ja) 回転電機用ブラシ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