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30B1 -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 Google Patents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30B1
KR100894730B1 KR1020070066211A KR20070066211A KR100894730B1 KR 100894730 B1 KR100894730 B1 KR 100894730B1 KR 1020070066211 A KR1020070066211 A KR 1020070066211A KR 20070066211 A KR20070066211 A KR 20070066211A KR 100894730 B1 KR100894730 B1 KR 10089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edicine
blower
pipe
pump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667A (ko
Inventor
윤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종합큐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종합큐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종합큐엠씨
Priority to KR102007006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30B1/ko
Priority to US12/025,272 priority patent/US20090008473A1/en
Priority to PCT/KR2008/000878 priority patent/WO2009005204A1/ja
Publication of KR200900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01M17/002Injection of toxic gases or fluids into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약제나 입상비료의 살포도 가능하고 또한 액상 약제의 경우에는 고압으로 넓게 살포할 수 있는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풍압이 공급되는 관 접속부와 저장된 액상 약제의 출구로 되는 공급관이 구비된 액상약제통, 엔진으로 구동되는 송풍기, 상기 액상약제통과 엔진 및 송풍기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송풍기의 출력단으로 연통 되고 급기관을 통해 상기 액상약제통의 관 접속부로 풍압을 공급하는 엘보, 이 엘보에 연통 되고 상기 액상약제통에서 공급되는 약제를 무화 시키는 분사관, 입상비료나 분말 약제를 상기 분사관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엘보의 한쪽에 설치되고 손잡이 달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말 공급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장착되는 펌프, 상기 송풍기와 펌프 사이에서 클러치 레버에 연동하여 동력을 단속하도록 배치되는 클러치 수단, 상기 클러치 레버의 조작 경로를 안내하고 조작된 위치로 보전하여 주는 레버 가이드, 상기 분사관의 내측에서 부싱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보스를 포함한 날개 조립체로 된 것이다.
연무기, 무화기, 동력 살포기, 시비기, 분무기,

Description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PORTABLE MISTIC SPRAYERS FOR KILLING INSECTS HAVING MULTIPLE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농약 살포, 입상비료 살포, 해충 방제 등의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논과 밭, 과수원, 온실 등에서 행하는 영농이나 원예작업 중에 필요한 농약이나 비료, 살충제(이하 약제로 통칭함)를 살포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다양한 구조의 살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액상 약제를 무화 상태로 살포하는 연무기는 소량 살포로도 침투 효과가 우수하여 신속한 약효를 얻을 수 있고 농약 사용량을 대폭 낮춰주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공지된 연무기의 통상적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연무기는 작업자가 등에 멜 수 있도록 등받이와 멜빵이 달린 프레임(2)에 액상약제통(4)과 송풍기(6)가 상하로 장착되고, 또 송풍기(6)의 뒤쪽 중심으로 엔진(8)이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6)는 엔진(8)에 의해 구동되어 풍압을 일으키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풍압은 엘보(10)와 리듀서(12; reducer), 그리고 연장관(14) 등을 거쳐 말단의 분사관(16)으로 송풍 되면서 그 앞쪽에 설치된 날개 조립체(18)를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풍압의 일부는 엘보(10)에서 분지 된 급기관(20)과 급기 호스(22)를 경유하여 상기 액상약제통(4)의 관 접속부(24)를 통해 공급된다.
관 접속부(24)를 경유하여 액상약제통(4)으로 급기 되는 풍압은 저장된 액상 약제를 뒤섞어 기포상태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상약제통(4)의 내부에서는 공기압이 증가하면서 기포로 변한 액상 약제는 하측 양단에 마련된 공급관(26)과 약제호스(28) 및 말단관(30)을 통해 상기 분사관(16)의 내측으로 분사되고, 기포상태로 분사되는 액상 약제는 풍압에 의해 무화 된 다음 다시 날개 조립체(18)를 통과하면서 잘게 부숴져 미세한 입자로 무화 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리듀서(12)에 마련된 컨트롤 레버(32)로 엔진(8)을 감 가속하여 송풍기(6)에 의한 풍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연무 방제기는 액상 약제만 살포할 수 있을 뿐이므로 사용 용도에 한계가 있다. 즉 분말 약제나 입상비료 등의 살포는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 상술한 구성의 연무기는 액상 약제를 60~80 마이크로의 입자로 분무하는 것이지만 송풍기의 풍압을 이용하여 액상 약제를 분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액상 약제의 고압 분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과수나 가로수와 같이 높은 곳까지 약제를 분무해야 하는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어서 펌프로 압송되는 방식의 농약살포기를 따로 갖추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액상약제통의 내부에는 격판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메고 이동할 때 액상 약제가 출렁거리지 않게 하고 있으나, 상기 격판은 주둥이를 통해 액상약제통 안으로 조립되어야 하는 관계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격판은 액상약제통과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장치의 무게 증대를 초래하고 조립 수공의 번거로움을 준다.
게다가 격판의 조립 설치를 위하여 액상약제통의 주둥이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뚜껑까지 커지게 되어 단지 뚜껑의 생산에 소요되는 금형비용도 비싸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약제를 초미립자로 무화 시켜 분무하는 연무기이면서도 분말 약제나 입상비료까지 살포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개량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하여 높은 곳까지 별 어려움 없이 액상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개량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상 약제의 살포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량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판을 액상약제통에 일체로 부가하여 상기 격판의 별개 설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개량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등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멜빵이 부착된 프레임에 액상약제통, 송풍기, 엔진이 소정 위치로 탑재되고, 상기 송풍기의 출력단에는 리듀서와 연장관 및 분사관이 연통 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액상약제통에는 상기 엘보의 급기관을 통해 풍압이 공급되는 관 접속부와 저장 된 액상 약제가 풍압에 의해 밀려나오는 공급관이 구비된다.
또, 엘보에 연통 되는 분사관의 내부에는 상기 액상약제통에서 공급되는 액상 약제를 무화시키기 위한 날개 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 엘보는 급기관의 한쪽으로 분말 공급관을 더 구비하고, 이 분말 공급관의 내부 통로에는 밸브가 배치되어서 외부의 손잡이에 의해 개폐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분말 공급관은 별도 제공되는 분말 약제 저장통에서 공급되는 분말 약제를 엘보의 내측으로 흘려 주는 것이며, 이렇게 공급되는 분말 약제는 풍압을 타고 분사관으로 이송되어 주변으로 살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펌프를 장착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송풍기와 함께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송풍기와 펌프 사이에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이 배치되어야 한다.
클러치 수단은 프레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클러치 레버로 작업자가 원격 조작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클러치 레버의 조작 경로와 조작 위치는 레버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고 보전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클러치 수단은 송풍기 축에 고정되는 마찰판과, 대응하는 펌프 축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찰판에 밀착되는 전달판을 갖춘 중공축과, 상기 클러치 레버로 연동하는 가동 캠과, 이 가동 캠에 대응하고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캠과, 상기 중공축과 가동 캠 사이로 개재되는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러치 수단은 마찰판에 N극 자석을 부착 고정하고, 전달판에 S극 자석을 부착 고정하는 한편, 이들 사이로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평상 시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치하고 있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클러치 수단은 오일이 채워진 유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대향 하는 펌핑 휠과 터빈 휠을 각각 송풍기 축과 펌프 축으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클러치 레버에 연동하여 펌프 축을 제동하는 밴드 브레이크를 설치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약제통은 측면에 수직 홈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격판이 안쪽으로 돌출 배열되어 저장되는 액상 약제의 출렁거림을 막아주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약제통의 상측에 마련되는 관 접속부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가 내부 통로에 배치되어서 소경관을 지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사관에 배치되는 날개 조립체는 부싱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회전되는 1쌍의 보스에 의해 2장의 날개가 동축 배열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송풍기의 출력단에 연통 되는 엘보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말 공급관을 더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분사관을 통하여 분말 약제까지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중앙으로 펌프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면 액상약제통에 저장된 액상 약제를 고압으로 멀리 까지 압송시킬 수 있어서 과수나 가로수 꼭대기, 또는 하수구 깊숙한 곳까지 액상 약제를 분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러치 수단으로 송풍기와 펌프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간편하게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약제통은 안쪽으로 격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격판의 조립 수공을 생략할 수 있고, 액상약제통의 뚜껑 크기도 작게 할 수 있어서 금형 비용의 낭비요인이 없다.
그리고 액상약제통의 관 접속부에 실시할 수 있는 스페이서와 소경관의 2중 구조는 상기 소경관을 통해 공급되는 풍압이 액상 약제를 뒤섞어 기포상태로 되게 하는 효과와,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공급되는 풍압으로 기포 상태의 액상 약제가 공급관을 통해 밀려나가게 하는 약제공급효과를 동시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관에 적용한 날개 조립체는 2장의 날개가 동축 배열된 구성이므로 회전되는 날개에 액상 약제 입자가 충돌하여 무화 되는 과정이 2단계로 되어 무화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 예를 통해 예시하는 본 발명의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서 도 13을 참조한 종래의 연무기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서 프레임(2)에는 액상약제통(4)과 송풍기(6) 및 엔진(8)이 소정의 위치로 조립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의 중앙에는 펌프(34)가 장착되고, 그 위로는 도시 생략한 등받이가 씌워지고 멜빵이 부착된다.
액상약제통(4)의 측면에 다수 형성된 수직 홈(36)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안쪽으로 돌출되어 격판(38)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이 격판(38)은 액상약제통(4)에 수용된 액상 약제가 출렁거리지 않게 막아주는 것이다.
또, 관 접속부(24)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통로 상에 복수 개의 스페이서(40)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스페이서(40)의 중심에는 소경관(42)이 지지 되어서 액상약제통(4)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급기 호스(22)에서 관 접속부(24)로 공급되는 풍압은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가 소경관(42)을 통해 액상약제통(4)의 바닥으로 분출되면서 저장된 액상 약제를 뒤섞어 기포로 변하게 하고, 또 일부는 스페이서(40)를 경유하여 액상 약제의 상측을 가압함에 따라 저장된 액상 약제는 약제호스(28)를 통해 말단관(30)으로 압출된다.
상술한 구조는 스페이서(40)와 소경관(42)을 고융점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놓고, 다음에 이것을 브로어 금형에 인서트하고 상기 관 접속부(24)를 포함한 액상약제통(4) 전체를 저융점 수지로 브로어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말단관(30)에는 둘로 갈라진 Y형 분사관(44)이 접속된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직선 형태의 분사관(16)과 교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앞쪽에도 날개 조립체(18)가 장착된 것이다. 또 멀리 까지 분무할 수 있도록 다른 연장관(14)이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연장관(14), 분사관(16), Y형 분사관(44) 등은 서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도 4의 도시와 같이 한쪽 관체에는 쌍으로 나란히 돌기(46)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다른 관체에는 상기 돌기(46)가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직각 채널(48)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직각 채널(48)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46)에 일치하는 형태로 돌출 홈(50)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 돌기(46)는 직각 채널(48)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진 다음 원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돌출 홈(50)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므로 두 개의 관체는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 연결된 관체는 돌기(46)를 역순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에 설치된 날개 조립체(18)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말단관(30)에 연통 된 노즐(52)을 보유하고, 이 노즐(52)의 중심에서 앞쪽으로 연장된 축(54)에 1쌍의 보스(56)가 동축으로 부싱(58)에 의해 간격 유지된 채로 배치되어서 1쌍의 날개(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연장관(14)의 내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와류 생성날개(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리듀서(12)를 통해 공급되는 풍압은 와류로 되면서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으로 공급된다.
도 5에 있어서, 와류 생성날개(62)가 일으키는 와류는 점선 화살표로 도시하고, 또 말단관(30)을 통해 노즐(52)로 공급되는 기포상의 액상 약제는 실선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노즐(52)로 공급된 기포상의 액상 약제는 노즐 공(64)에서 날개(60)를 향해 분사되고, 와류에 의해 쪼개져 무화 된다. 한편, 1쌍의 날개(60)는 와류를 타고 고속 회전하게 되고, 상기 무화 된 액상 약제는 다시 고속회전하는 날개(60)를 통과하면서 그 표면과 여러 번에 걸쳐 충돌하여 더욱 작은 입자로 쪼개져 무화 되고, 이러한 작용은 2회 반복되므로 본 발명의 연무 방제기는 종래 방제기에서 얻을 수 없는 초미립화 된 액상 약제를 분무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연무 방제기에서, 송풍기(6)로부터 연장되어 리듀서(12)와 연통 되는 엘보(10)의 한쪽에는 분말 공급관(66)이 마련되어서 외측의 손잡이(68)로 개폐된다.
즉, 분말 공급관(66)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통로에 밸브(7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밸브(70)는 상기 손잡이(68)에 연동하여 개폐 조작된다.
또, 상기 분말 공급관(66)은 별도로 제공되는 분말 약제 저장통(72)의 공급 호스(73)가 접속된다.
분말 약제 저장통(72)에는 입상비료, 분말 약제 등이 저장되고, 이것은 상기 분말 공급관(66)을 통해 리듀서(12)로 공급되어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에서 살포된다.
입상비료나 분말 약제는 상황에 맞춰 무화 분사되는 액상 약제와 함께 살포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살포될 수 있는 것이며, 다만 액상 약제의 분무가 필요치 않은 경우는 개폐밸브(100)를 폐쇄하여 액상약제통(4)에서 말단관(30)으로 액상 약제가 공급되지 않게 하고, 또 분말 약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공급호스(73)를 상기 분말 공급관(66)에서 분리하여 연무 방제기를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는 것이 좋다.
도 1에 도시한 연무 방제기에서, 프레임(2)에 장착된 펌프(34)는 액상약제통(4)에 저장된 액상 약제를 과수나 가로수 높은 곳, 또는 하수구 깊숙한 곳까지 분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펌프(34)는 송풍기(6)에 동축 연결되어 엔진(8)의 동력으로 가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의 한쪽에 마련된 레버 가이드(74)에서 클러치 레버(76)의 조작 경로를 안내하고 조작된 위치로 보전하여 송풍기(6)와의 동력 연결이 단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송풍기 축(78)과 펌프 축(80)은 상호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는 클러치 수단(82)으로 연계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과 일체로 회전하는 마찰판(84), 이 마찰판(84)에 대응하는 전달판(86)을 보유하고 상기 펌프 축(80)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공축(88), 그리고 상기 클러치 레버(76)에 일체로 연결된 링상의 가동 캠(90)과 이것에 대응하여 프레임(2)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 캠(92), 및 상기 중공축(88)과 가동 캠(90) 사이로 개재되는 베어링(94)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축(88)은 펌프 축(80)과는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로 축 연결되지만 송풍기 축(78)에 대해서는 상호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지지할 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수단(82)은 사용자가 클러치 레버(76)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송풍기 축(78)과 펌프 축(80) 사이에서 중공축(88)의 전달판(86)이 마찰판(84)에 강하게 밀착되거나 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게 됨으로써 동력 연결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 수단(82)의 작용은 클러치 레버(76)가 레버 가이드(74)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가동 캠(90)이 회동하면서 고정 캠(92)과 접하고 있는 면에서 일으키는 캠 작용에 의해 중공축(88)이 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펌프(34)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 시에는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펌프(34)의 인렛(96)과 아울렛(98)은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술한 펌프(34)를 통해 액상 약제를 분무하는 경우는, 도 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약제통(4)의 한쪽 공급관(26)만 인렛(96)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한쪽 공급관(26)에 접속되었던 한쪽 약제호스(28)를 상기 펌프(34)의 아울렛(98)에 연통시키는 한편, 나머지 다른쪽 공급관(26)과 다른쪽 약제호스(28)는 펌프(34)와 연통 되지 않도록 컨트롤 레버(32)의 해당 개폐밸브(100)를 폐쇄하여 놓고 작업한다.
펌프(34)를 이용한 분무는 액상 약제를 20~30미터 이상의 먼 거리까지 압송할 수 있으므로 연장관(14)을 2개 이상 더 추가하여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을 더 멀리 연장시켜 놓고 분무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클러치 수단(82)은 본 발명에서 도 7에 예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의 도시와 같이 마찰판(84)과 중공축(88) 끼리 대향하고 있는 면에 각각 N극 자석(840)과 S극 자석(880)을 부착 고정하고, 양 사이에 스프링(102)을 개재시킨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클러치 레버(76)의 조작에 의해 중공축(88)이 스프링(102)에 저항하면서 축 방향으로 밀리면 S극 자석(880)이 마찰판(84)의 N극 자석(840)에 접근하여 자력으로 일체가 되는 것으로 동력 연결상태가 되고, 중공축(88)이 자유상태로 해방되면 스프링(102)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양 자석(840)(880) 사이를 떼어 놓음에 따라 동력 차단상태로 되어 소기의 클러치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연무 방제기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은 구조의 클러치 수단(82)이 응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과 펌프 축(80) 사이로 개재되는 유체 하우징(104)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하우징(104)의 내부에는 송풍기 축(78)에 고정된 펌핑 휠(106)과 펌프 축(80)에 고정된 터빈 휠(108)이 대향 배치된 유체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레버(76)는 프레임(2)에 부착되어서 상기 펌프 축(80)을 제동하는 밴드 브레이크(110)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에 고정된 펌핑 휠(106)이 항상 회전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 하우징(104)에 저장된 유체는 맴돌이 흐름과 회전 흐름을 동시에 행하여 원심력을 일으키게 되고, 이 원심력이 반대쪽 터빈 휠(108)에 작용하여 종동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밴드 브레이크(110)가 펌프 축(80)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동력 전달 상태로 되고, 상기 밴드 브레이크(110)가 펌프 축(80)을 제동한 상태에서는 동력 차단상태로 되어 소기의 클러치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밴드 브레이크(110)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2)에 고정된 축부(112)를 중심으로 상기 클러치 레버(76)에 연동 선회하는 간단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무 방제기는 도 12로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도 12는 핸드 카트 또는 동력 카트 등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필요하다면 송풍기(6)에 연통 된 엘보(10)의 방향을 180도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 액상약제통(4)과 함께 대형의 액상약제통이 병설된 구성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연무 방제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상약제통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액상약제통의 관 접속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리듀서, 연장관, 분사관 사이의 관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분사관의 날개 조립체에 관련된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엘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펌프와 송풍기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8은 펌프 사용 시에 본 발명의 연무 방제기의 변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클러치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클러치 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클러치 수단의 브레이크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연무 방제기를 카트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연무 방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임 4: 액상약제통
6: 송풍기 8: 엔진
12: 리듀서 14: 연장관
16: 분사관 18: 날개 조립체
22: 급기 호스 24: 관 접속부
26: 공급관 28: 약제호스
30: 말단관 32: 컨트롤 레버
34: 펌프 36: 수직 홈
38: 격판 40: 스페이서
42: 소경관 44: Y형 분사관
46: 돌기 48: 직각 채널
50: 돌출 홈 52: 노즐
54: 축 56: 보스
58: 부싱 60: 날개
62: 와류 생성날개 64: 노즐 공
66: 분말 공급관 68: 손잡이
70: 밸브 72: 분말 약제 저장통
73: 공급호스 74: 레버 가이드
76: 클러치 레버 78: 송풍기 축
80: 펌프 축 82: 클러치 수단
84: 마찰판 86: 전달판
88: 중공축 90: 가동 캠
92: 고정 캠 94: 베어링
96: 인렛 98: 아울렛
100: 개폐밸브 102: 스프링
104: 유체 하우징 106: 펌핑 휠
108: 터빈 휠 110: 밴드 브레이크
삭제
삭제
112: 축부 840: N극 자석
880: S극 자석

Claims (8)

  1. 풍압이 공급되는 관 접속부와 저장된 액상 약제의 출구로 되는 공급관이 구비된 액상약제통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송풍기와, 상기 액상약제통과 엔진 및 송풍기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액상약제통 내의 액상 약제를 기포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의 출력단으로 연통 되는 엘보와, 이 엘보에 한쪽이 연통 되고 반대쪽은 분사관으로 연통 되는 리듀서와, 상기 분사관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공급되는 액상 약제를 무화 시키는 날개 조립체를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엘보(10)의 한쪽에는 손잡이(68) 달린 밸브(70)로 개폐되는 분말 공급관(66)이 더 설치되어서 분말약제의 살포 시에 상기 분말 공급관(66)을 분말 약제 저장통(72)의 공급호스(73)에 연통하여 상기 분말 약제 저장통(72)에 수용된 입상비료나 분말 약제를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을 통해 살포할 수 있는 구성을 더 겸비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2. 풍압이 공급되는 관 접속부와 저장된 액상 약제의 출구로 되는 공급관이 구비된 액상약제통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송풍기와, 상기 액상약제통과 엔진 및 송풍기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액상약제통 내의 액상 약제를 기포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의 출력단으로 연통 되는 엘보와, 이 엘보에 한쪽이 연통 되고 반대쪽은 분사관으로 연통 되는 리듀서와, 상기 분사관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공급되는 액상 약제를 무화 시키는 날개 조립체를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중앙으로 장착되는 펌프(34)와, 상기 송풍기(6)와 펌프(34) 사이에서 클러치 레버(76)에 연동하여 동력을 단속하도록 배치되는 클러치 수단(82)과, 상기 클러치 레버(76)의 조작 경로를 안내하고 조작된 위치로 보전하여 주는 레버 가이드(74)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34)의 인렛(96)과 아울렛(98)을 상기 액상약제통(4)의 어느 한쪽 공급관(26)과 약제호스(28)에 떼고 붙일 수 있게 연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상약제통(4)에 저장된 액상 약제가 상기 펌프(34)에 의해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으로 압송되어서 말단관(30)을 통해 고압 분사될 수 있는 구성을 겸비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에 일체로 고정되는 마찰판(84)과, 펌프 축(8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쪽에는 상기 마찰판(84)에 대응하는 전달판(86)을 갖춘 중공축(88)과, 상기 클러치 레버(76)에 연동하는 링상의 가동 캠(90)과, 이 가동 캠(90)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캠(92)과, 상기 중공축(88)과 가동 캠(90) 사이로 개재되는 베어링(94)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에 일체로 고정되고 N극 자석(840)을 갖춘 마찰판(84)과, 펌프 축(8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찰판(84)에 대향 하는 면으로 S극 자석(880)이 부착된 중공축(88)과, 상기 마찰판(84)과 중공축(88) 사이로 개재되는 스프링(102)과, 상기 클러치 레버(76)에 연동하는 링상의 가동 캠(90)과, 이 가동 캠(90)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캠(92)과, 상기 중공축(88)과 가동 캠(90) 사이로 개재되는 베어링(94)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82)은 송풍기 축(78)에 고정되는 펌핑 휠(106)과, 펌프 축(80)에 고정되는 터빈 휠(108)과, 상기 펌핑 휠(106) 및 터빈 휠(108)의 주변을 외부로부터 격리하고 오일을 수용하는 유체 하우징(104)과, 상기 클러치 레버(76)에 연동하여 펌프 축(80)을 제동하는 밴드 브레이크(110)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액상약제통(4)의 측면에 다수 수직 홈(3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안쪽으로 격판(38)이 일체로 돌출 배열되는 구성을 더 구비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7. 삭제
  8. 상측에 풍압이 가해지는 관 접속부(24)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저장된 액상 약제의 출구로 되는 공급관(26)이 설치된 액상약제통(4)과;
    엔진(8)으로 구동되는 송풍기(6)와;
    상기 액상약제통(4)과 엔진(8) 및 송풍기(6)를 지지하는 프레임(2)과;
    분말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73)를 갖추고 별도 구비되는 분말 약제 저장통(72)과;
    상기 송풍기(6)의 출력단에서 생성되는 풍압의 일부를 상기 관 접속부(24)로 공급하는 급기관(20)과 상기 저장통(72)의 공급호스(73)에 연통 되어서 분말 약제를 공급받는 분말 공급관(66)이 일체로 형성된 엘보(10)와;
    한쪽이 상기 엘보(10)에 연통 되고 반대쪽은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에 연통 되는 리듀서(12)와;
    상기 분말 공급관(66)의 도중에 설치되고 외부의 손잡이(68)로 개폐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급호스(73)를 통한 분말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70)와;
    상기 프레임(2)의 중앙으로 장착되는 펌프(34)와;
    상기 송풍기(6)와 펌프(34) 사이에서 동력을 단속하도록 배치되는 클러치 수단(82)과;
    상기 클러치 수단(82)을 원격 조작하는 클러치 레버(76)와;
    상기 클러치 레버(76)의 조작 경로를 안내하고 조작된 위치로 보전하여 주는 레버 가이드(74)와;
    상기 분사관(16) 또는 Y형 분사관(44)의 내부에서 날개(60)가 부착된 1쌍의 보스(56)가 부싱(58)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날개조립체(1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KR1020070066211A 2007-07-02 2007-07-02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KR10089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11A KR100894730B1 (ko) 2007-07-02 2007-07-02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US12/025,272 US20090008473A1 (en) 2007-07-02 2008-02-04 Portable haze sprayer having multi-function
PCT/KR2008/000878 WO2009005204A1 (ja) 2007-07-02 2008-02-14 多機能を備えた動力噴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11A KR100894730B1 (ko) 2007-07-02 2007-07-02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67A KR20090002667A (ko) 2009-01-09
KR100894730B1 true KR100894730B1 (ko) 2009-04-24

Family

ID=4048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11A KR100894730B1 (ko) 2007-07-02 2007-07-02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7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41B1 (ko) * 2010-03-23 2012-03-23 박혁주 이앙기 장착용 비료 살포장치
KR101147384B1 (ko) * 2009-11-19 2012-05-23 변지연 비료살포기를 겸한 에어분사 농약살포기
KR101186596B1 (ko) 2012-07-20 2012-09-27 주식회사 그린환경 캐비닛형 탈취 및 방제장치
KR101235955B1 (ko) 2012-09-03 2013-02-22 이덕재 보행 운전형 농약분무기의 분무시스템
KR102218962B1 (ko) 2020-06-16 2021-02-23 이성구 농업용 약품 살포기
KR102274786B1 (ko) 2021-02-03 2021-07-08 이성구 연막 발생용 히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막 살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61B1 (ko) * 2012-04-09 2014-05-30 변지연 비료살포를 겸한 휴대용 농축산 방역기
KR101966027B1 (ko) * 2018-12-12 2019-04-04 김영조 원격지로부터 액제의 충전, 공급 및 반환이 가능한 농약분무용 휴대장치
KR102199729B1 (ko) * 2020-07-30 2021-01-07 박형탄 분말 농약 살포기
CN114225080B (zh) * 2021-12-11 2023-08-22 湖北鼎艾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动气溶胶喷雾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353Y1 (ko) * 2002-08-07 2002-11-18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353Y1 (ko) * 2002-08-07 2002-11-18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84B1 (ko) * 2009-11-19 2012-05-23 변지연 비료살포기를 겸한 에어분사 농약살포기
KR101124041B1 (ko) * 2010-03-23 2012-03-23 박혁주 이앙기 장착용 비료 살포장치
KR101186596B1 (ko) 2012-07-20 2012-09-27 주식회사 그린환경 캐비닛형 탈취 및 방제장치
KR101235955B1 (ko) 2012-09-03 2013-02-22 이덕재 보행 운전형 농약분무기의 분무시스템
KR102218962B1 (ko) 2020-06-16 2021-02-23 이성구 농업용 약품 살포기
KR102274786B1 (ko) 2021-02-03 2021-07-08 이성구 연막 발생용 히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막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67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730B1 (ko) 다기능을 갖춘 휴대용 연무 방제기
WO2009005204A1 (ja) 多機能を備えた動力噴霧装置
US11744171B2 (en) Ready-to-use hose end sprayer
US10342934B2 (en) Sprayer and spray control apparatus
KR101844488B1 (ko) 휴대식 초미세 분무기
WO2008053311A3 (en) A spraying device with liquid adjustment mechanism
TWI572309B (zh) 用於倒置的泡沫分配系統的泵
KR101778971B1 (ko)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20160017882A (ko)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KR20150140091A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102010503B1 (ko) 휴대용 전동 분무기
EP3446790A1 (en) Trigger sprayer valve body with pass through filling path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20090000501U (ko) 휴대용 연무 방제기에 적합한 클러치장치
CN202842193U (zh) 喷雾机扇形无缝喷雾装置
CN204799477U (zh) 一种液体物料雾化扩散引流装置
AU2018333393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spraying agent
KR200174079Y1 (ko) 연무, 분무 및 입제와 분제 살포가 가능한 휴대형 동력 살포기
CN113854267B (zh) 一种无人机用雾化喷洒装置
CN211020686U (zh) 一种农业种植喷药机械装置
CN218389509U (zh) 一种无人机用农药喷洒杆
US20240165646A1 (en) Atomizer assembly and system
CN104054685A (zh) 一种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