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59B1 -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59B1
KR100893759B1 KR1020070039206A KR20070039206A KR100893759B1 KR 100893759 B1 KR100893759 B1 KR 100893759B1 KR 1020070039206 A KR1020070039206 A KR 1020070039206A KR 20070039206 A KR20070039206 A KR 20070039206A KR 100893759 B1 KR100893759 B1 KR 10089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ion
user
response
profi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000A (ko
Inventor
장민수
손주찬
조영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7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와 일정 거리 또는 위치에 있는 조응 대상 장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조응 장치와 상기 프로파일을 상호 교환하고, 교환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호간에 조응 여부를 판단하며, 조응 여부 판단 결과를 서로 교환하고, 교환된 조응 여부 판단결과를 조응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응 장치들을 통해 상호 조응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나 사물 간의 특정 속성들을 기반으로 상호 동질성을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조응장치, 프로파일, 조응 정책

Description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RRESPONDING BETWEEN USER DEVICES IN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a 내지 3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조응의 수행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조응 시 직접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조응 시 트리 기반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기반의 상호 조응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상호 조응 관계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람이나 사물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 간의 조응 관계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 결과를 발광 장치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데 적합한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친분이 있거나 서로 알게 된 가입자들끼리만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주고받으며, 서로 간에 문자 및 음성과 동영상 등으로 연락을 취하게 된다. 서로 모르는 사이인 경우는 이동 단말이나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공통의 주제나 목적으로 동호회를 결성하여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서로 간에 친분을 도모할 수는 있었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중매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중매 서비스에 가입 후 배우자에 대한 선호 정보를 사전설정하고, 서버는 사용자들의 선호 정보를 비교하여 중매 가능한 상대방을 선별한 후 중매 가능한 사용자들을 연결해 준다. 이 때, 사용자들의 위치 판별을 통해 사용자들이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 특정 신호를 전송하여 두 사람이 만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과 같이 이동단말을 이용한 만남 서비스에 있어서는,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가입이 필수적이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는 서버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 받아야 하는 중앙 집중적이며,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프로파일 및 조응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들 간의 상호 조응 관계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응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사용자 주변의 다른 사용자 기기를 조응 대상 장치로 선택하여 사용자 기기 사용자들과의 상호 조응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조응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와 일정 거리 또는 위치에 있는 조응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조응 장치와 상기 프로파일을 상호 교환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호간에 조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응 여부 판단 결과를 서로 교환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된 조응 여부 판단결과를 상기 조응 장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와 일정 거리 또는 위치에 있는 다수의 조응 대상 장치들이 서로 간에 대상이 되는 경우, 다수결에 의한 선택 또는 미리 선택한 조응장치를 대장 조응 장치로 선정하는 과정과, 모든 조응 장치들이 상기 대장 조응 장치로 프로파일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에서 수신한 모든 프로파일들을 종합하여 조응 여부 및 조응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에서 결정된 조응 여부 및 조응 표시 방식을 다른 프로파일 전송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를 포함한 모든 장치들이 결정된 조응 표시 방식에 따라 동일하게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다른 조응 대상 사용자 기기들과 유선 연결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통신부와, 조응 판단의 근거가 되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저장하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저장부와, 상기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저장부로부터 불러온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을 기반으로 타 조응장치와의 조응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조응 여부 결과에 대응하는 표시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표시 방식 판단 결과를 표시부로 전달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로부터 전달된 표시 방식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응장치 간의 상호 조응 관계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조응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사용자 주변의 다른 조응장치 사용자들과의 상호 조응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 결과를 조응장치에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호 조응 여부를 발광 매체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며, 상호 조응의 종 류와 강도는 사람들 간에 취향이나 가치관 등이 얼마나 유사한가에 따라 결정된다. 상호 조응장치 사용자는 각자 취향이나 가치관 등을 담은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조응 장치로 전송하여 조응 장치에서 사용자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조응 정책에 따라 조응 여부 및 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조응 여부 계산은 자체적으로 주변 장치들과 통신을 통하여 상호 조응 여부를 계산하나 특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응장치는 상호 조응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발광 장치의 발광 방식, 색상, 강도 변화 등을 변경하거나 문자 표시 장치에 일련의 문자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조응 여부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 사이의 조응 관계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를 자유로이 확장할 수 있으며, 조응 장치 내에 프로파일을 저장하여 조응 장치 스스로 조응 관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가입없이도 상호 조응 관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조응 관계를 즉각적이고 단순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응장치는 휴대용 기기나 이동통신 기능이 포함된 이동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상호 조응 흐름 수행에 필요한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조응장치는 판단부(100), 연결/통신부(102), 프로파일/조응정책 저장부(104), 표시부(106)를 포함하며, 여기 서 판단부(100)는 조응여부 판단부(108)와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110)를 포함한다.
연결/통신부(102)는 타 조응 대상 장치들과 연결하거나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의 경우는 연결 소켓을 통해 타 조응장치와 연결되는 형태가 될 것이며, 무선의 경우는 적외선,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등 다양한 통신 수단 및 프로토콜을 동원할 수 있다.
표시부(106)는 조응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것으로 발광 장치를 비롯하여 문자 및 동영상 표시가 가능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LED(Light Emitting Diode) 판넬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진동 발생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를 활용할 수 있다.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저장부(104)는 조응 판단의 근거가 되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저장하는 매체로서, 조응장치에 내장되거나 외부 메모리가 될 수 있다.
판단부(100)내의 조응 여부 판단부(108)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저장부(104)로부터 불러온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을 기반으로 타 조응 대상 장치와의 조응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110)는 조응 여부 판단부(108)에 의해 결정된 조응 강도, 종류 등에 따라 그 내용을 표시부(106)를 통해 어떻게 표시할 지 결정한다. 결정된 표시 방식은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110)에서 표시부(106)를 제어하는 근거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2단계에서 조응장치 사용자는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을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파일은 사용자 자신의 신상, 취향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 사물, 조직, 개념 등 세상 모든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은 조응 여부 판단의 근거 데이터가 된다. 조응 여부 판단은 다양한 정책(Policy)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프로파일에 기재된 내용 중 어느 부분을 더 중요하게 여길 것인지, 프로파일의 상호 유사도 판단 기준을 무엇으로 볼 것인지 등이 정책에 포함된다.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은 조응장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직접 편집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사전에 작성된 일련의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들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함으로써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한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은 204단계에서 조응장치에 직접 저장하거나 조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조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버를 기반으로 조응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에 활용된다.
사용자는 조응장치, 즉 조응기능이 내장된 사용자 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며, 206단계에서 유선 연결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조응 평가 대상을 결정한다. 여기서 평가 대상은 다른 조응 대상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거나, 무선통신 방식을 통하여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다른 조응 대상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 경우 이를 조응장치 상에서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208단계에서 조응 대상이 된 장치들은 상호간에 프로파일 정보를 교환한 후 210단계에서 조응 여부를 판단한다. 조응 여부 판단은 조응장치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조응장치에 위임할 수도 있으며 서버에 요청할 수도 있다. 조응 여부 판단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응 정책을 적용하여 판단하며, 212단계에서 판단된 결과는 상호간에 교환한다.
214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조응 판단 결과와 상대방의 조응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조응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조응 여부 표시는 발광 장치, 문자 디스플레이, 진동 장치 등 다양한 표시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조응은 대표적으로 종류와 강도라는 두 속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조응의 종류로는 애정 조응, 취미 조응, 직업 조응 등과 같이 조응하는 분야나 측면을 가리킨다. 조응의 강도는 얼마나 강력하게 조응하는가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조응의 속성에 따라 표시 방법이 변화된다.
이때, 강하게 조응하는 두 장치는 상호 동기화된 방식으로 조응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조응 종류는 애정이고 강도가 최고이면 발광 장치를 진붉은 색으로 경쾌한 반복 리듬으로 발광하도록 표시하되 두 조응장치가 동일한 리듬으로 반복 발광하도록 하는 식이다. 이와 같은 단순한 발광 표시를 통해 사용자는 풍부한 감성적 자극을 받게 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강하게 반응하는 조응장치를 소유한 사람들은 일종의 동질감, 애정감, 소속감 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강한 동질감의 경우는 각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표시방식으로 표시하거나, 그 수치를 백분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216단계에서 사용자가 조응 여부 표시를 더이상 지속시키기 원치 않을 때는 조응장치를 리셋하고, 218단계에서 다른 조응 대상 장치를 선택할 것이라면 206단계로 복귀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하게 된다. 또는 216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연결되었던 조응장치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조응 장치를 리셋하여 206단계에서 새로운 조응 파트너를 찾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조응장치들을 이용한 상호 조응 방식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보이는 장치의 형태,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의 데이터 구조, 조응 판단 및 표시 방법 등은 본 발명의 구성 범위 내에서 실시 가능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도 3a 내지 3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응장치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조응 장치 1(302)과 조응 장치 2(304)의 발광부(306)는 조응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형태로 발광할 수 있는 장치이며, 연결부(308)는 두 조응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소켓이다. 또한 연결선(310)은 연결부(308)에 접속되어 두 조응장치(302, 304)를 연결하는 신호선이다.
도 3a에서 각 조응장치의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조응장치에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을 저장하며, 예를 들어, 프로파일에 각자의 문화적 취향을 기록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각자의 조응장치(302, 304)를 연결선(308)을 통해 연결한다. 연결이 이루어지면 조응장치 1(302)과 조응장치 2(304)는 저장하고 있는 프로파일을 상대 장치로 전송한다. 각 장치는 자신의 프로파일과 상대방의 프로파일을 입력받아 조응 여부를 판단한다. 각 장치는 서로 다른 조응 정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동일 한 프로파일을 입력하더라도 조응의 결과는 장치마다 서로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응 장치 1(302)의 프로파일은 {영화(M1, M2, M3), 감독(D1,D2), 배우(A1,A2)} 이고, 조응 정책이 {1순위=영화, 2순위=감독,3순위=배우}일때, 조응장치 2(304)의 프로파일이 {영화(M1,M2,M5), 감독(D3,D4), 배우(A1,A3)}이고, 조응 정책이 {1순위=배우, 2순위=영화, 3순위=감독}인 경우, 조응장치 1(302)은 조응장치 2(304)의 프로파일을 받아 자신의 조응 정책에 따라 조응 여부를 판단한다.
간단한 점수 매기기 방법을 통해 볼 때 1순위인 영화 영역은 두 개가 일치하므로 200점을, 2순위인 감독 영역은 일치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0점을, 3순위인 배우 영역은 한 개가 일치하므로 1점을 배정한다고 하자. 총점은 201점이다. 반면 조응장치 2는 1순위인 배우 영역에서 100점, 2순위인 영화 부문에서 20점, 3순위인 감독 부문에서 0점을 매겨 총 120점을 결과로 낸다. 만약 문화 취향 조응의 발광 색상이 푸른색이라고 가정할 때, 조응장치 1(302)은 201점에 해당하는 짙은 푸른색과 경쾌한 박동으로 조응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조응장치 2(304)는 120점에 준하는 보다 엷은 푸른색과 느린 박동으로 조응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은 발광 강도와 패턴을 통해 추상적이고 감성적인 수준의 상호 교감을 감지한다.
도 3b에 도시한 실시예는 각 조응 장치들(312,314)의 일대일관계로 적외선(Infra-red, 이하 IR이라 한다)통신을 통한 상호 조응을 수행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 3a와 같이 발광부(316)를 포함하며, 각각 내장된 IR부(318)를 통하여 프로파일 및 조응정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c에 도시한 실시예는 조응 장치들이 다대다의 무선연결을 통하여 상호간 에 조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조응장치들은 무선 통신 수단을 내장한다.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무선 송수신부(328)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브로, 이동통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조응장치1(320)는 각 무선 송수신부(328)의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조응장치들(322,324)과 통신 연결을 맺는다. 통신 연결은 상황에 따라 대상이 무작위로 정해지게 되고, 연결이 맺어진 조응장치는 상호간에 프로파일을 교환하여, 조응 여부를 판단한 후 발광부(326)를 통하여 판단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조응장치1, 2, 3(320, 322, 324)이 각각 다음과 같은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조응장치 1(320)
- 프로파일: {스포츠(S1,S2), 영화(M1, M2, M3), 감독(D1,D2), 배우(A1,A2)}{성별=여}
- 조응 정책: 종류=애정, 영역={1순위=스포츠,2순위=영화, 3순위=감독,4순위=배우}
조응장치 2(322)
- 프로파일: {영화(M1, M2, M3), 감독(D1,D2), 배우(A1,A2)}{성별=남}
- 조응 정책: 종류=동호인, 영역={1순위=감독, 2순위=영화,3순위=배우}
조응장치 3(324)
- 프로파일: {영화(M1, M2, M3), 스포츠(S1,S2)}{성별=남}
- 조응 정책: 종류=애정, 영역={1순위=스포츠, 2순위=영화}
이때, 조응장치 1(320)과 2(322)가 연결된다면, 프로파일 일치 점수로는 매우 높은 조응 강도가 결정되지만 서로 원하는 조응의 종류가 장치 1(320)은 애정이고, 장치 2(322)는 동호인으로서 서로 다르므로 상호 조응되지 못한다. 이 경우 조응장치 1(320)과 2(322)는 각자 조응 판단 결과를 교환하여 서로 조응되지 못한 것을 인지한다.
각 조응장치는 상대편의 조응 판단 결과를 받아 자신의 조응 판단 결과와 비교한 후 조응 표시 강도와 패턴을 결정한다. 이에 조응장치 1(320)과 2(322)는 상호 조응 종류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프로파일 일치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조응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때, 조응장치 1(320)은 조응 여부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무시하고, 조응장치 2(322)는 프로파일 일치도는 높으나 조응 종류가 다르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패턴으로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응 장치내의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는 사용자나 장치 제조자가 사전 설정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조응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조응장치 1(320)과 조응장치 3(324)이 연결되어 조응 여부를 판단한다면 프로파일 일치도 뿐 아니라 조응 종류도 일치하므로 매우 높은 조응 강도를 보이게 된다. 이 때 각 장치(320, 324)는 상호조응 결과 교환을 통해 최종적으로 높은 강도로 조응 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발광부(326)에서 진붉은 색의 발광색과 경쾌한 반복 발광 패턴으로 작동되는 식이다.
또한, 조응 판단 결과에는 상대 기기로 요청하는 조응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응장치 1(320)은 (발광강도=10, 패턴=3)을 결 정하고, 조응장치 2(322)는 (발광강도=12, 패턴=2)를 결정했다고 하자. 이러한 정보는 조응 결과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대편 조응장치에 상호 전달된다. 이와 같이 조응 표시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두 장치는 조응 표시 방식을 동기화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조응장치 1(320)과 2(322)는 발광 강도에 있어서는 평균을 취하고 패턴은 무조건 낮은 숫자를 선택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장치(320, 322)는 공히 (발광강도=11, 패턴=2)를 결정하게 되는 셈이다.
동기화를 이루면 두 장치(320, 322)는 동일한 조응 표시 방식과 똑같은 패턴으로 두근거리는 두 개의 심장을 연상시키며 작동되는데, 이처럼 두 장치가 동일한 색상과 강도와 패턴으로 발광하면 조응장치를 공개해 두고 있는 경우 장치(320, 322)의 소유자 간에 보다 높은 감성적 일치감과 보다 높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3d에 도시한 실시예는,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각종 장치들에 부착하는 부속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로서, MP3 플레이어에 조응 장치를 부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조응장치는 조응 여부 판단을 수행하며, 조응 결과 표시는 MP3 플레이어로 음악/음성 신호로 전달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호스트 장치의 기능에 따라 부속형 조응장치의 기능 및 형태는 다양화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PMP 등 각종 장치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조응 시스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내장한 휴대전화기에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조응 여부 판단부,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탑재하고 휴대전화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진동 기능을 조응 결과 표시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기반의 상호 조응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실시예는, 컴퓨터 및 서버와 같은 비 휴대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조응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은 사용자의 컴퓨터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응 여부 판단부 및 조응 표시 방식 판단부 역시 사용자의 컴퓨터나 서버에서 작동되며, 이와 같은 비 휴대 장치들을 연결하는 매체를 유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이 사용된다. 또한 조응 결과는 컴퓨터를 통해 이미지 패턴, 문자, 소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상호 조응장치는 자체적으로 조응도를 계산함으로써 일대일 상호 조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다수의 사람들이 모인 커뮤니티에 대한 조응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커뮤니티 조응이라 부르며, 커뮤니티 조응에 있어 특이점은 조응장치들 중 하나의 대장(Master)조응장치가 선정되고 그 외의 장치들은 대장 조응장치에 속하는 부하(Slave) 조응장치들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조응의 수행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다수결에 의한 선택 또는 특정 장치를 미리 선택하며, 선택된 대장 조응장치는 404단계에서 부하 조응장치들에게 대장 조응장 치임을 통보한다. 이에 406단계에서 부하 조응장치들은 프로파일을 대장 장치로 전송하고, 408단계에서 대장 조응장치는 모든 부하 조응장치들의 프로파일을 종합하여 커뮤니티의 조응 여부를 판단하고 조응 결과 표시 방식을 결정한다. 이에 대한 조응 결과 및 표시방식으로는 같은 커뮤니티인임을 나타내는 표시방식이거나, 공지사항 등이 될 수 있다.
대장 조응장치는 커뮤니티 조응 여부 및 조응 표시 방식을 판단하여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410단계에서 부하 조응장치들로 전송함으로써, 412단계에서 커뮤니티 내 모든 조응장치들은 판단결과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결정된 조응 표시 방식에 따라 커뮤니티 내 모든 조응장치들이 일제히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뮤니티 조응은 동호회 등 각종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의 종합적인 동질성을 판단해 보는 감성 엔터테인먼트로 기능할 수 있다.
커뮤니티 조응을 위한 통신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으나 커뮤니티의 규모에 따라 규모와 모인 영역이 작은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장 조응장치(500)와 부하 조응장치들(502, 504, 506, 508, 510, 512)이 직접 통신 방식을 취하고, 규모가 크고 영역이 넓은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장 조응장치(600)와는 장치2(602), 장치6(610)이 연결되며, 장치2(602)에는 장치3(604)과 장치4(606), 장치4(606)에는 장치 5(608)가 연결되며, 장치 6(610)에는 장치7(612)과 장치8(614)이 각각 연결되는 트리 형태의 통신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의 실현을 위한 기술은 관련 전문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들을 활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도 7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호 조응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조응 장치들(700, 714)은 데이터 송신부인 등록 프로그램(702)을 통해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메신저 서버(706)에 등록한다. 이에 메신저 서버(706)는 메신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B)와 관련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의 조응 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조응 장치들(700, 714)에 실행중인 메신저 프로그램(704, 708)을 통하여 조응 결과를 통지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메신저 친구로 등록한 사용자들과의 조응 정도를 계산하여 통지하고 메신저 프로그램(704, 708)은 사용자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때 조응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색상, 폰트, 아이콘 등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조응 시스템은 사람 간의 조응 뿐 아니라 물리적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들 간의 상호 조응을 판단하고 즉각적으로 물리적인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건의 제조 일시를 프로파일로 생성하여 조응장치에 저장하고, 이들 조응 장치들을 물건에 부착한 다음 여러 물건들을 모아 놓으면 제조 일시가 일치하는 물건들끼리 유사한 패턴으로 조응 여부가 표시되는 식이다. 다양한 프로파일과 조응 정책을 설정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방식의 응용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응장치 간의 상호 조응 관계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조응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사용자 주변의 다른 조응장치 사용자들과의 상호 조응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판단 결과를 조응장치에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응 장치들을 통해 상호 조응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나 사물 간의 특정 속성들을 기반으로 상호 동질성을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대상, 다양한 속성, 다양한 동질성 판단 기준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엔터테인먼트, 중매, 교육, 장식 효과 등 활용가능 분야가 넓다. 특히, 사용자들 간에 조응장치를 이용한 상호 조응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간에 동질성, 커뮤니티 소속감 등을 즉각적으로 시험해보고 감성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복합 정보/감성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조응 시스템 사용자들의 경우 개인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보안 및 사생활 보호에 유리하고, 서비스 가입을 하지 않고도 상호 조응 관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조응 관계를 즉각적이고 단순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감성적인 교감과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유선 연결 소켓, 적외선, 지그비,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각자 취향 또는 가치관 정보이거나, 사물, 조직 개념의 범용적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과, 조응의 종류, 강도, 조응 결과 표시 방식과 같이 조응 여부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판단하는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에서 일정 거리 또는 위치에 있는 다른 사용자 기기를 조응 대상 장치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조응 대상 장치와 상기 프로파일을 상호 교환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된 프로파일에 상기 조응 정책을 적용하여 상호간에 조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응 여부의 판단 결과를 상기 조응 대상 장치와 서로 교환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된 조응 여부 판단결과에 포함된 상대 기기로 요청하는 조응 결과의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조응 여부 판단 결과로 결정된 조응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색상이나 진동 장치의 강도에 변화를 주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영상 및 소리에 변화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6. 유선 연결 소켓, 적외선, 지그비,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각자 취향 또는 가치관 정보이거나, 사물, 조직 개념의 범용적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과, 조응의 종류, 강도, 조응 결과 표시 방식과 같이 조응 여부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판단하는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기기와 일정 거리 또는 위치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이 서로 간에 조응 대상이 되는 경우, 다수결에 의한 선택 또는 미리 선택한 조응 대상장치를 대장 조응 장치로 선정하는 과정과,
    모든 사용자 기기들이 상기 대장 조응 장치로 프로파일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에서 수신한 프로파일들을 종합하여 조응 여부 및 조응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에서 결정된 조응 여부 및 조응 표시 방식을 상기 모든 사용자 기기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대장 조응 장치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 기기들이 결정된 조응 표시 방식에 따라 동일하게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대장 조응 장치의 조응 판단 결과로 결정된 조응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색상이나 진동 장치의 강도에 변화를 주거나, 영상 및 음향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및 소리에 변화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
  8.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각자 취향 또는 가치관 정보이거나, 사물, 조직 개념의 범용적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과, 조응의 종류, 강도, 조응 결과 표시 방식과 같이 조응 여부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을 판단하는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조응 정책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저장부와,
    다른 조응 대상 사용자 기기들과 유선 연결 및 적외선, 지그비, 무선랜, 와이브로, 이동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간에 상기 프로파일 및 표시 방식 판단정보를 교환하는 연결/통신부와,
    상기 교환된 프로파일에 상기 조응 정책을 적용하여 다른 조응 대상 사용자 기기와의 조응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응 여부 결과에 대응하는 표시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표시 방식의 판단 결과 정보를 상기 연결/통신부로 전달하는 판단부와,
    상기 연결/통신부로부터 교환되어 전달된 표시 방식 판단 결과 정보 내의 상대 기기에게 요청하는 조응 결과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은,
    상기 판단부에서 생성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파일 및 조응 정책 정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응 판단 결과로부터 결정된 조응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색상, 강도 및 발광 반복 방식에 변화를 주는 발광장치와,
    일련의 문자 및 동영상에 변화를 주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다른 소리를 내거나 소리의 음량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장치.
KR1020070039206A 2007-04-23 2007-04-23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KR10089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06A KR100893759B1 (ko) 2007-04-23 2007-04-23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06A KR100893759B1 (ko) 2007-04-23 2007-04-23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00A KR20080095000A (ko) 2008-10-28
KR100893759B1 true KR100893759B1 (ko) 2009-04-20

Family

ID=4015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206A KR100893759B1 (ko) 2007-04-23 2007-04-23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28B1 (ko) * 2009-04-24 2011-07-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단거리 방송형 통신 시스템, 이를 이용한 단말기 간 프로파일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실시를 위한 단말기
KR101037148B1 (ko) * 2009-06-22 2011-05-26 이정석 이동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교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8938A1 (en) 2001-05-10 2002-11-14 Chin-Chi Cha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music playback in wireless ad-hoc networks
KR20040073803A (ko) * 2003-02-14 2004-08-21 한성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맞춤 이상형 검색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2075A (ko) * 2005-10-17 2007-04-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방법 및 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8938A1 (en) 2001-05-10 2002-11-14 Chin-Chi Cha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d music playback in wireless ad-hoc networks
KR20040073803A (ko) * 2003-02-14 2004-08-21 한성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맞춤 이상형 검색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2075A (ko) * 2005-10-17 2007-04-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방법 및 통신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scovery and Delay Analysis of ~", Chakraborty, D. et al.;,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Data Management, 2006. MDM 2006.,Page(s):114 - 114 (2006.05.1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00A (ko)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642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peripherals
KR101505060B1 (ko) 가상 현실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80346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personalized evolving avatars
US20180241864A1 (en) Wearable Devices
US10080969B2 (en) Match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matc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matching program
JP2016076078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7970716B2 (en) Method for expressing emotion and intention in remote interaction and real emotion system thereof
JP2012523629A (ja) 同期通信装置を備えた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
US20170192494A1 (en) Wearable interactive gaming device
KR100893759B1 (ko) 유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 간의 상호 조응 방법및 장치
AU2015101763A4 (en) A Method of Using a Computer System for Directing Participants During a Social Networking Event
JP2002312612A (ja) 仮想空間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9212334A (ja) プログラム、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制御方法
JP2018186326A (ja) ロボッ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51457A (ko) 사용자 기반의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 노래방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ortuem A methodology and software platform for building wearable communities
Brey New media and the quality of life
JP6814837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10229807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능동형 인공지능 영상 캐릭터 시스템
WO2013151824A1 (en) Amulet - an intelligent fashion piece
JP6229131B1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0102669A (ja) データ処理装置
CN104575340B (zh) 一种基于脉搏传感器的光立方控制系统及光立方控制方法
CN113055276B (zh) 一种基于智能手机的圈聊创建方法、显示方法及其系统
KR102227998B1 (ko) 가상현실 노래방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vr 노래방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