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285B1 -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 Google Patents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85B1
KR100893285B1 KR20070095801A KR20070095801A KR100893285B1 KR 100893285 B1 KR100893285 B1 KR 100893285B1 KR 20070095801 A KR20070095801 A KR 20070095801A KR 20070095801 A KR20070095801 A KR 20070095801A KR 100893285 B1 KR100893285 B1 KR 10089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pipe
pump
landfill gas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471A (ko
Inventor
송효순
Original Assignee
송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효순 filed Critical 송효순
Priority to KR2007009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지의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에서 포집된 침출수를 수분이 부족한 건조 지역으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집적판, 태양광 콘트롤 판넬, 침출수 이송 펌프, 침출수 이송관, 침출수 공급관 등으로 구성되는 침출수 이송장치와, 배관장치, 무공관, 수중 펌프,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 유공관, 지지대, 침출수 포집관, 수위 측정기 등으로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을 이용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와 침출수를 동시에 포집하면서 침출수를 수분이 부족한 건조지역에 이송하여 공급하여 줌으로써 건조지역에서의 폐기물 분해반응을 향상시키고 매립가스의 생성량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매립가스, 침출수, 침출수 이송장치,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Description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Landfill Gas Collecting and Leachate Excluding System with Leachate Transfer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와 침출수를 동시에 포집하면서 침출수를 수분이 부족한 건조지역으로 이송하여 공급하여 줌으로써 건조지역에서의 폐기물 분해반응을 향상시키고 매립가스의 생성량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일반 폐기물 매립장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성상 중 약 60% 정도가 생활계 폐기물인 바, 외국의 폐기물에 비하여 급속 분해물질(Rapid Biodegradable Material)이 많이 존재하여 매립 초기에 매립가스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 폐기물 매립장의 입지여건 특성상 통상적으로 생활구역에서 멀리 이격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므로, 신속한 매립가스 포집 및 처리가 시행되지 못하 면, 매립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유발물질로 인해 주변 지역에 악취를 풍기게 되므로 민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매립가스의 포집 및 처리시설은 매립장 운영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시설이므로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에는 국내 폐기물의 높은 함수율(약 40~50% 내외)로 인하여 매립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의 흐름이 폐기물의 비균질성에 의하여 하부로 특정수로(Channel Flow)를 형성하여 흐르게 되고, 이 흐름은 상대적으로 투수계수가 작은 중간 복토층에 의하여 그 흐름이 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체 현상에 의하여 매립층의 특정 구간에 특정수위 형성층(Perched Layer)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국내 대부분의 매립장에서의 폐기물 매립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므로 매 단별로 특정수위가 형성되어, 매립장 체제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침출수 누출 잠재력이 높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다중 수위의 저감이 필요하였고, 국내 폐기물의 급속한 혐기성 분해에 따라 폭발적인 매립가스의 발생은 매립장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침출수 및 악취 유발물질의 누출 가능성을 높이게 되며, 매립가스 포집시설을 설치하더라도 침출수가 동반 분출됨으로 인한 매립가스 포집시설의 포집효율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매립가스 포집시설은 수직 포집방식과 수평 포집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통상적으로 수직 포집방식은 매립완료 후 안정적인 매립가스 포집 및 매립 중 간이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고, 수평 포집방식은 매립 중 적극적인 악취 저감을 위한 매립가스 포집을 위하여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수직 포집방식에 관한 것 으로, 이하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매립가스 추출을 위하여 매립지에 매립가스 포집시설을 매설하면 가스 추출관내에 침출수가 포집되므로, 침출수의 배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매립가스 포집시설에 단순히 침출수 배출장치를 연결하여 배출된 침출수를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이를 오수처리 시설로 보내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 경우 수분이 부족한 건조지역은 폐기물의 분해 반응에 반드시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는 침출수의 부족으로 매립가스 생성이 저하되어 매립가스 추출 경제성이 없어지게 되고, 따라서 포집공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현재 국내 폐기물 매립장은 정부 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함수율이 높은 폐기물 반입이 금지됨으로써 매립가스 생성에 핵심 성분인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매립가스 발생량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동시에 매립지 안정화를 지연시키는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국내 매립장들은 2001년 이전에 형성된 매립지는 침출수가 풍부한 수분지역(wet zone)이고 2001년 이후에 형성된 매립지는 건조지역(dry zone)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폐기물의 조성 및 매립 환경에 따라 같은 매립지 내에서도 건조지역과 수분지역이 동시에 공존하는 경우가 발생 되고 있다.
따라서 건조지역의 경우 폐기물의 분해반응시 반드시 필요한 수분역할을 하는 침출수가 부족하여 매립가스의 생성 반응이 활발하지 못하고 폐기물의 분해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매립가스의 생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와 침출수를 동시에 포집하면서 포집된 침출수를 수분이 부족한 건조 지역에 이송하여 공급하여 줌으로써 건조지역에서의 폐기물 분해반응을 향상시키고 매립가스의 생성량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150)는 태양광 집적판(151),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 침출수 이송 펌프(159), 침출수 이송관(104), 침출수 공급관(10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은 상기 침출수 이송장치(150)와; 배관장치(110), 무공관(113), 수중 펌프(115),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 유공관(119), 지지대(117), 침출수 포집관(121), 수위 측정기(129)등으로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에서 매립가스나 침출수 포집 시설 가동을 위한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 공급 시설을 매립지 내에 설치하거나 인근 타지역에서 전원을 인입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면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하여 태양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침출수를 추출 이송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150)는 태양 빛에너지를 집적하는 태양광 집적판(151)과; 태양광 집적판에서 집적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인버터(155), 인버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급하는 축전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침출수를 침출수 이송관(104)을 통해 침출수 공급관(106) 까지 압송하는 침출수 이송 펌프(159)와; 침출수 이송 펌프에 의해 침출수를 건조지역으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관(104)과; 침출수 이송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침출수 살포를 위한 공급홀(127)이 형성되어 있는 침출수 공급관(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100)은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101),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103),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105) 등이 부착된 침출수 배관(107) 및 매립가스 배 관(108), 매립가스 이송관(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110)와; 포집공(123)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113)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수중 펌프(115)에 공급하는 유공관(119)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107)으로 압송 하는 수중 펌프(115)와; 수중 펌프와 연결되어 수중 펌프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107)으로 포집 추출하는 침출수 포집관(121)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 침출수를 포집 추출하는 수중 펌프(1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129)와; 수중 펌프(115)와 유공관(119) 사이에 연결되어 수중 펌프를 지지하는 지지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중 펌프(115)는 와이어(111)가 연결되어 있어서 펌프의 수리 및 관리시 포집공(123)에 매설된 무공관(113)을 통해 수중 펌프를 지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은 상기 침출수 이송장치(150)와 상기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100)에서 포집된 매립가스는 매립가스 이송관(125)을 통하여 별도의 매립가스 처리 및 자원화 시설(미도시)로 이송되며, 동시에 포집된 침출수는 침출수 이송장치(150)에 의해 수분이 부족하여 폐기물의 분해반응이 더디고 매립가스의 생성이 활성화되지 못한 건 조 지역으로 이송되어 폐기물의 분해반응을 활성화시켜 매립가스의 생성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침출수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집공(123)에 매설된 무공관(113)내에 설치된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기(129)에서 일정 이상의 수위가 계측되면,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이 수중 펌프(115)를 작동시켜 침출수를 침출수 포집관(121)으로 추출하게 되고 이렇게 추출된 침출수는 침출수 배관(107)을 통해 침출수 이송관(104)으로 이송된다.
침출수 이송관(104)은 양단이 각각 침출수 배관(107), 침출수 공급관(106)과 연결되어 있고 침출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 부터 동력을 받는 침출수 이송 펌프(159)에 의해 건조 지역까지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침출수는 침출수 공급관(106)에 형성된 공급홀(127)을 통해 건조 지역에 살포되고, 이 침출수는 폐기물에 스며들어 폐기물의 분해반응을 활성화 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위 측정기(129)에서 계측된 신호를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로 보내고 신호를 받은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이 수중 펌프(115)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161) 없이 구성되어 수위 측정기(129)에서 바로 수중 펌프(115)로 계측된 신호를 보내 직접 수중 펌프(115)가 작동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은 침출수 이송장치(150); 및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101),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103),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105) 등이 부착된 침출수 배관(107) 및 매립가스 배관(108), 매립가스 이송관(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110)와; 포집공(123)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113)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추출 펌프(215)에 공급하는 유공관(119)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107)으로 압송 하는 추출 펌프(215)와;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 공기를 압축 저장하여 추출 펌프(215)를 구동하는 에어 콤프레서(201) 및 에어 저장탱크(203)와; 추출 펌프와 연결되어 추출 펌프(215)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107)으로 포집 추출하는 침출수 포집관(121)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에어 콤프레서(201)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129)와; 추출 펌프(215)와 유공관(119) 사이에 연결되어 추출 펌프를 지지하는 지지대(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수위 측정기(129)에서 일정 이상의 수위가 계측되면,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에어 콤프레서(201)에 의해 에어 저장 탱크(203)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으로 추출 펌프(215) 가 작동되어 포집공(123) 하부의 유공관(119)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포집관(121)으로 추출하게 되고, 이렇게 추출된 침출수는 침출수 배관(107)을 거쳐 침출수 이송장치(150)를 통해 수분이 부족한 건조지역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수위 측정기(129)에서 계측된 신호를 에어 콤프레서로 보내고 신호를 받은 에어 콤프레서가 작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 콤프레서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수위 측정기(129)에서 콘트롤부로 계측된 신호를 보내 콘트롤부가 에어 콤프레서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침출수 이송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은 침출수 이송장치(150) 및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101),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103),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105) 등이 부착된 침출수 배관(107) 및 매립가스 배관(108), 매립가스 이송관(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110)와; 포집공(123)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113)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제트 펌프(315)에 공급하는 유공관(119)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노즐(307)을 통해 침출수 흡입관(321)으로 압송 하는 제트 펌프(315)와;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부터 전기에 너지를 받아 침출수 배관(107)에서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순환관(323)으로 순환시키는 침출수 순환 펌프(305)와; 침출수 순환 펌프 및 제트 펌프와 연결되어 침출수를 제트 펌프(315)로 이송하는 침출수 순환관(323)과; 제트 펌프와 연결되어 제트 펌프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107)과 침출수 순환펌프(305)로 이송하는 침출수 흡입관(321)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침출수 순환 펌프(305)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1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수위 측정기(129)에서 일정 이상의 수위가 계측되면,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로부터 동력을 받는 침출수 순환 펌프(305)가 작동하여 침출수가 침출수 순환관(323)을 통해 제트 펌프(315)로 이송되어 노즐(307)을 통해 분출되고 이때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포집공(123) 하부의 유공관(119)으로 부터 침출수가 유입되어 침출수 흡입관(321)으로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송출된 침출수는 침출수 배관(107) 및 침출수 이송장치를 통해 결국 수분이 부족한 건조지역으로 최종 이송되어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수위 측정기(129)에서 계측된 신호를 침출수 순환 펌프(305)로 보내고 신호를 받은 침출수 순환 펌프가 작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침출수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수위 측정기(129)에서 콘트롤부로 계측된 신호를 보내 콘트롤부가 침출수 순환 펌프르 작동시킬 수도 있다.
침출수 이송장치는 태양광 집적판(151)과, 축전지(153) 및 인버터(1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157)이 지지판(310)에 의해 지지되어 배관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107: 침출수 포집 배관
108: 매립가스 포집관 113: 무공관
115: 수중 펌프 117: 지지대
119: 유공관 121: 침출수 포집관
123: 포집공 125: 매립가스 이송관
127: 공급홀 129: 수위 측정기
151: 태양광 집적판 153: 축전지
155: 인버터 157: 태양광 콘트롤 판넬
161: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 201: 에어 콤프레서
205: 에어 저장탱크 215: 추출 펌프
305: 침출수 순환 펌프 315: 제트 펌프
321: 침출수 흡입관 323: 침출수 순환관

Claims (4)

  1. 삭제
  2. 태양 빛에너지를 집적하는 태양광 집적판과, 태양광 집적판에서 집적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침출수를 침출수 이송관을 통해 침출수 공급관 까지 압송하는 침출수 이송 펌프와, 침출수 이송 펌프에 의해 침출수를 건조지역으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관과, 침출수 이송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침출수 살포를 위한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는 침출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출수 이송장치; 및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가 부착된 침출수 배관 및 매립가스 배관, 매립가스 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와, 포집공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수중 펌프에 공급하는 유공관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으로 압송 하는 수중 펌프와, 수중 펌프와 연결되어 수중 펌프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으로 포집 추출하는 침출수 포집관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받아 침출수를 포집 추출하는 수중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중 펌프 콘트롤 판넬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와, 수중 펌프와 유공관 사이에 연결되어 수중 펌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이송장치가 구비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3. 태양 빛에너지를 집적하는 태양광 집적판과, 태양광 집적판에서 집적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침출수를 침출수 이송관을 통해 침출수 공급관 까지 압송하는 침출수 이송 펌프와, 침출수 이송 펌프에 의해 침출수를 건조지역으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관과, 침출수 이송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침출수 살포를 위한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는 침출수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출수 이송장치; 및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가 부착된 침출수 배관 및 매립가스 배관, 매립가스 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와, 포집공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추출 펌프에 공급하는 유공관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으로 압송 하는 추출 펌프와,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받아 공기를 압축 저장하여 추출 펌프를 구동하는 에어 콤프레서 및 에어 저장탱크와, 추출 펌프와 연결되어 추출 펌프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으로 포집 추출하는 침출수 포집관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에어 콤프레서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와, 추출 펌프와 유공관 사이에 연결되어 추출 펌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이송장치가 구비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4. 태양 빛에너지를 집적하는 태양광 집적판과, 태양광 집적판에서 집적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광 콘트롤 판넬과,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침출수를 침출수 이송관을 통해 침출수 공급관 까지 압송하는 침출수 이송 펌프와, 침출수 이송 펌프에 의해 침출수를 건조지역으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관, 및 침출수 이송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침출수 살포를 위한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는 침출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침출수 이송장치; 및
    침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침출수의 이송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과 세척을 위한 볼 밸브가 부착된 침출수 배관 및 매립가스 배관, 매립가스 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장치와, 포집공의 안쪽에 삽입되어 매립가스를 포집 추출하는 무공관과, 침출수와 공존하는 폐기물 성분을 걸러 침출수 성분만을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유공관과, 유공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를 노즐을 통해 침출수 흡입관으로 압송 하는 제트 펌프와, 태양광 콘트롤 판넬로 부터 전기 에너지를 받아 침출수 배관에서 유입된 침출수를 침출수 순환관으로 순환시키는 침출수 순환 펌프와, 침출수 순환 펌프 및 제트 펌프와 연결되어 침출수를 제트 펌프로 이송하는 침출수 순환관과, 제트 펌프와 연결되어 제트 펌프로 부터 압송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배관과 침출수 순환펌프로 이송하는 침출수 흡입관과, 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침출수 순환 펌프로 신호를 보내는 수위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이송장치가 구비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KR20070095801A 2007-09-20 2007-09-20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KR10089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5801A KR100893285B1 (ko) 2007-09-20 2007-09-20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5801A KR100893285B1 (ko) 2007-09-20 2007-09-20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71A KR20090030471A (ko) 2009-03-25
KR100893285B1 true KR100893285B1 (ko) 2009-04-17

Family

ID=4069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5801A KR100893285B1 (ko) 2007-09-20 2007-09-20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363B1 (ko) 2020-11-03 2021-12-30 (주)세원이엔이 침출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KR20220120933A (ko) 2021-02-24 2022-08-3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20220160245A (ko) 2021-05-27 2022-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1314A (zh) * 2018-07-23 2018-11-06 河北农业大学 一种用于垃圾渗沥液收集提升的气提装置
CN115288495A (zh) * 2022-05-30 2022-11-04 中国联合工程有限公司 将垃圾填埋场改造成光伏和水利发电相结合的治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562A (ko) * 1998-12-23 2000-07-1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매립가스 발생량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002011454A (ja) * 2000-04-27 2002-01-15 Matsushita Seiko Co Ltd 土壌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562A (ko) * 1998-12-23 2000-07-15 이금용 폐기물 매립지의 매립가스 발생량 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002011454A (ja) * 2000-04-27 2002-01-15 Matsushita Seiko Co Ltd 土壌浄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363B1 (ko) 2020-11-03 2021-12-30 (주)세원이엔이 침출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KR20220120933A (ko) 2021-02-24 2022-08-3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20220160245A (ko) 2021-05-27 2022-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지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71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285B1 (ko) 침출수 이송장치를 구비한 매립가스 포집 및 침출수 배제시설
CN201335372Y (zh) 一种蒸汽系统的冷凝水回收装置
CN202988031U (zh) 垃圾中转站的垃圾渗滤液收集装置
CN205046638U (zh) 餐厨垃圾处理装置
CN101704009B (zh) 一种生活垃圾卫生填埋场填埋气体导排系统排水井
KR102000140B1 (ko) 매립가스 이송관의 응축수 자동 배출 시스템
CN110314925A (zh) 一种垃圾填埋场原位好氧稳定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702591B1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667368B1 (ko) 소형쓰레기 매립지의 가스 재활용 구조
CN204312994U (zh) 一种天然气生产管道积液回收装置
KR102320228B1 (ko)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용 집수유닛 세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822092B (zh) 装配式自循环生态厕所
KR101044722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4003250U (zh) 一种家用水力发电装置
CN201574478U (zh) 垃圾渗滤液自动排水装置
KR101352491B1 (ko) 비점오염 무인유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
CN101942856A (zh) 一种车载移动环保厕所排污方法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CN203080679U (zh) 填埋气收集系统的冷凝液简易排放装置
KR100263133B1 (ko) 침출수 배출장치
CN205777667U (zh) 装配式自循环生态厕所
JP2007120453A (ja) 家庭用発電システム
CN201475650U (zh) 集气支管冷凝水排放井结构
CN201496776U (zh) 集气主管冷凝水排放井结构
CN208794058U (zh) 一种垃圾填埋气收集系统的冷凝水导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