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569B1 -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 Google Patents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569B1
KR100892569B1 KR1020070066867A KR20070066867A KR100892569B1 KR 100892569 B1 KR100892569 B1 KR 100892569B1 KR 1020070066867 A KR1020070066867 A KR 1020070066867A KR 20070066867 A KR20070066867 A KR 20070066867A KR 100892569 B1 KR100892569 B1 KR 10089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shear
shaped
slab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708A (ko
Inventor
정광량
최창식
유종수
백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5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주근 위에 설치되면서 자립적으로 안정되게 서있을 수 있는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함에 주된 목적이 있고, 자립과 동시에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겸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되게 배치된 철근의 형상을 S자형이 되게 구성하되 이를 S자형 단위유닛으로 하는 한편 2개의 슬래브 하부근의 직각철근이 간격d를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각각의 직각철근과 만나도록 한 구성이다.
플랫플레이트-기둥, 곡선형 전단 보강체, S자형 단위유닛, 격자상의 슬래브 하부근

Description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S-curve type stud with steel reinforcement for punching shear reinforcement of flat slab-column connection}
본 발명은 플랫플레이트 구조시스템에서 펀칭으로 인한 접합부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플랫플레이트(flat plate)-기둥 접합부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주근 위에 설치되면서 자립적으로 안정되게 서있을 수 있는 S자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최근 계획적, 시공적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는 플랫플레이트(flat plate) 구조시스템이 고층 주거건물의 구조형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플랫플레이트 슬래브(flat plate slab)구조를 이용하여 몇몇 주상복합 고층건물이 설계ㆍ시공되었다.
플랫플레이트 구조시스템의 장점으로는 구조시스템 및 시공이 간단하여 공사비가 절감되고, 또 철근콘크리트(RC) 공사의 50%정도를 차지하는 거푸집 공사가 간단하여 공기 및 공사비의 절감이 가능해지며, 고층건물의 층고를 낮출 수 있어 실 내 공간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설비배관에 의한 제약이 적어 평면계획의 유연성 및 가변성이 높아지고 슬래브두께의 증가로 인한 차음성능과 내화성능 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플랫플레이트 구조시스템은 구조안전성 측면에서 안전율이 크지 않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과 구조검토를 필요로 한다.
플랫플레이트 구조형식은 면(面)요소인 슬래브와 선(線) 요소인 기둥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접합부는 면과 선이 접합되는 곳이므로 접합부의 거동이 아주 복잡하다. 이에 대한 합리적인 구조계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접합부에서의 펀칭에 의한 취성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이다.
이와 같이 보를 설치하지 않고 기둥에 의해 슬래브가 직접 지지되는 플랫플레이트 구조에 있어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는 보-기둥 접합부와는 달리 기둥주변에 과도한 응력집중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슬래브에 전단파괴가 유발된다.
이러한 전단파괴는 다른 형태의 파괴양상과는 달리 매우 취성적이어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안전성에 치명적이다.
구조설계를 함에 있어 이 부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를 보강하여 전단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기존의 보강방식은 다음과 같다.
⒜ 전단헤드 방식
전단헤드 방식은 H형강을 종횡으로 접합하여 전단보강체를 십자형 또는 격자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기둥과 슬래브의 접합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전단에 대한 유효단면적을 증가시키고 강재의 전단성능으로 전단력에 대한 내력 분담분을 키울 수 있고 슬래브의 부 모멘트 저항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필요이상의 강재가 소요되고 건물의 자중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 스터럽 보강재
스터럽을 이용하는 방식은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상ㆍ하부 슬래브 주철근에 스터럽(띠철근)을 감아 전단내력을 보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철근자재를 사용하므로 다른 방식에 비하여 자재의 수급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터럽이 슬래브 주철근의 바깥을 둘러 감싸는 형태이므로 피복두께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슬래브 피복두께를 유지하려고 하면 상ㆍ하부 주근의 간격을 줄일 수밖에 없어 슬래브의 휨 저항력의 감소가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ACI 미국 설계기준 및 국내 설계 기준은 슬래브 두께가 250mm이하에서는 스터럽 보강재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 트러스 방식
트러스 방식은 철근 또는 철선을 기본 트러스 모양으로 결합하여 기둥 쪽으로 설치하는 전단 보강방식이다.
이 방식은 트러스를 제작하는 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상ㆍ하부 주근사이에 설치되므로 정착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는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상ㆍ하부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수직철근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구조이다. 그 모양이 사다리형상이어서 그 이름을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라 명명하였다.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는 슬래브의 하부 주근에 배치된다. 구조가 단순하여 부재량이 많이 들지 않아 경제적이고 주근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피복두께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는 그 형상이 하부 주근위에 똑바로 자립적으로 서있을 수 없는 형상이므로 하부 주근과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고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시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론적으로는 슬래브 하부근에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를 수직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나 실제로는 수직되게 고정시킬 수 없다.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단순작업에 익숙한 작업자가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를 수직되게 고정시킨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보강체의 구조를 단순작업에 적합하도록 만들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를 수직되게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 결과 경사져있다.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가 경사지면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경사지게 되어 만큼 전단 보강이 비효율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수직된 상태에서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전단보강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함에 있고,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주근 위에 설치되어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항상 수직이 유지되면서 자립적으로 안정되게 직립이 가능하도록 한 곡선형 전단 보강체의 구조를 제공하고자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슬래브 상ㆍ하근에 대하여 스페이서로서 역할을 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선형 전단 보강체의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단 보강체는 곡선형이고(도2 참조), 종래의 사다리형상의 전단 보강재는 직선형이다. (도1 참조)
양자는 전단을 보강하는 형태적인 면에서 유사하다. 다만 구조적인 면에서 곡선형이냐 직선형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곡선형과 직선형의 구조적인 차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전단 보강체의 개요를 설명하기로 한다.
얼핏 보면 양자는 그 형태적인 면에서나 구조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아주 단순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 차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전단보강의 효율성이 크게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곡선형은 슬래브 하부근 위에서 자립이 가능구조이나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곡선형은 항상 전단관련 수직철근의 수직이 유지되는 자립구조인데 반하여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인데다 별도의 고정ㆍ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통상적으로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경사지게 된다.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수직상태를 항상 유지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곡선형이 직선형에 비하여 전단보강이 훨씬 효율적이다. 전단보강의 효율은 수직철근의 수직도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이다.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경사지게 되면 그만큼 전단보강이 비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곡선형은 자립구조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한 것인데 반하여 직선형은 자립구조가 아니므로 별도의 고정ㆍ작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
곡선형은 자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항상 전단관련 수직철근의 수직이 유지되는 자립구조이다.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항상 수직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전단보강이 효율적이다. 전단보강의 효율은 수직철근의 수직도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별도의 고정ㆍ작업이 반드시 필요할 뿐 아니라 수직으로의 고정ㆍ작업도 용이하지 않아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경사지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 결과 경사진 만큼 전단보강이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그 차이로 인하여 작업의 용이성과 전단보강의 효율성이 좌우된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곡선형은 슬래브 하부근 위에서 자립이 가능하나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하다. 곡선형은 자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항상 전단관련 수직철근의 수직이 유지되는 자립구조이다.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항상 수직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전단보강이 효율적이다. 전단보강의 효율은 수직철근의 수직도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별도의 고정ㆍ작업이 반드시 필요할 뿐 아니라 수직으로의 고정ㆍ작업도 용이하지 않아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경사지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 결과 경사진 만큼 전단보강이 비효율적이다.
또한 직선형은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슬래브의 하부근에 고정시켜야하고 또 이를 수직으로 슬래브의 하부근에 고정시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수직을 위한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로 인해 항상 수직이 유지되는 곡선형 자립구조에 비해 직선형은 그만큼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곡선형 전단 보강체의 구조적인 특징을 직선형과 관련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10)의 구조는 도1에 도시되어있다.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10)는 상ㆍ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되게 길이방향으로 상ㆍ하부 철근(12)(12)이 직선으로 배치되어있으면서 그 간격에 전단관련 수직 철근(14)이 설치되어있는 구조이다.
슬래브 하부근위에 설치된 형태를 보면 긴 사다리가 종방향으로 누워있으면서 횡방향으로는 수직으로 서있는 형태이다. 전단관련 수직철근(14)을 수직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다.
그런데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10)는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철근과 만나는 접점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져있다. 일직선으로는 자립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이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곡선형 전단 보강체(100)는 자립구조이다.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철근과 만나는 접점이 3각형 형상이 되도록 한 자립구조이다. 자립을 위해 기하학적으로 안정된 3각형 형태가 되도록 한 곡선이다. S자형 곡선이 바람직하다. S자형 곡선은 자립이 안정적이고 제작이 아주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단 보강재(10)는 기둥면(300)과 직각으로 설치되면서 슬래브 하부 철근위에 설치된다. (도1참조)
슬래브(200) 하부 철근은 격자상으로 되어있다.
도4 및 도8에서와 같이 격자상의 2개의 철근을 기둥면(300)을 기준으로 해서 보면, 하나의 철근은 기둥면(300)과 직각을 이루고 있고 또 하나의 철근은 기둥 면(300)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기둥면(300)에 직각을 이루는 철근을 직각철근(212)이라 하고 기둥면(300)에 평행을 이루는 철근을 평행철근(214)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전단 보강재는 기둥면(300)과 직각으로 설치되므로 격자상의 직각철근(212)과 평행되게 설치된다.
예컨대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10)는 격자상의 직각철근(212)방향으로 설치된다. 직선형 보강재(10)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직각철근(212)은 직선형 보강재(10)를 지지하지 못하고 평행철근(214)에 의하여 전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직선형 보강재(10)의 지지는 평행철근(214)과 관계되어있다.
이에 대하여 S자형 곡선은 도4에서와 같이 직선형 보강재(10)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하더라도 피치(h)의 크기에 따라 평행철근(214)과 직각철근(212)모두에 접하게 된다. S자형 곡선은 접점이 기하학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S자형 곡선은 격자상의 직각철근(212) 및 평행철근(214)과의 접점이 안정적인 자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면서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항상 수직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 다음으로 곡선형 전단 보강체(100)의 수직유지와 안정적인 자립은 S자 형상의 곡선 구조와 격자상의 직각철근(212) 및 평행철근(214)과의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자를 단위 유닛(unit)(S)으로 한다. 단위 유닛(S)의 S자에는 정점이 좌우에 1개씩 있다. 좌측의 정점을 -p점, 우측에 정점을 +p점 이라하고, -p점과 +p점의 수직거리를 피치 h라고 정의한다. (도4 참조)
1) 직각철근과의 관계
도3에서와 같이 2개의 직각철근(212)이 간격d를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각각의 직각철근(212)과 만나야 한다. 예컨대 정점 -p점이 직각철근(212)과, +p점이 직각철근(212)과 만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어야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수직이 되면서 안정적으로 직립이 유지된다.
2) 평행철근과의 관계
위항 1)의 경우와는 달리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2개의 직각철근(212)(212)의 간격 d보다 작은 경우라 하더라도 평행철근(214)(214)에 의하여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수직이 되면서 안정적으로 직립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도4 참조) 그러나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직각철근(212)의 간격 d의 1/2이하가 되면 자립적인 직립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수직이 되면서 안정적으로 직립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ⅰ)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직각철근(212)(212)의 간격 d의 1/2이상이 되어야 한다.
ⅱ)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위에 위치 되어 있어야한다.
3) 직각철근 및 평행철근과의 관계
S자형 단위유닛(S)이 직각철근(212)(212)과 평행철근(214)(214)에 대하여 상기 1) 및 2)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직각철근(212)(212)과 평행철근(214)(214)에 의한 접점이 상승되어 S자형 단위유닛(S)의 자립이 더 안정될 뿐 아니라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의 수직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는 직립으로의 자립이 가능하므로 전단관련 수직철근이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어 전단에 대한 누수가 전혀 없는 확실한 전단보강구조이다. 직립으로의 자립이 S자 곡선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이로 인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자립적으로 직립이 가능하므로 슬래브 상부근의 배근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로서의 역할도 겸하게 되므로 별도의 스페이서가 필요하지 않다.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는 슬래브 상ㆍ하부근 사이에 설치되므로 슬래브 피복두께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공장 제작이므로 현장 적용시 시공속도가 빨라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전단 보강재로 스터럽을 설치하는 경우보다 시공이 빠르고 효율적이어서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100)는 S자형 단위유닛(S)으로 구성되어있다.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100)는 직각철근(212)(212)과 같은 방향으로 격자상의 슬래브 하부근위에 설치된다.
S자형 단위유닛(S)은 S자형 상부철근(130a)과 S자형 하부철근(130b)이 평행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그 사이에 고정ㆍ설치된 형상이다.
S자형 단위유닛(S)은 격자상의 하부근위에서 자립으로 서있으면서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한 구조이다.
S자형 단위유닛(S)의 자립과 수직유지는 S자형 단위유닛(S)정점 -p점 및 +p점과, 그리고 피치 h과 슬래브의 하부근격자상의 상부철근(130a)과 하부철근(130b)과의 관계에 의하여 주어지므로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S자 형상의 곡선 구조와 직각철근과의 구성
S자형 상부철근(130a)과 S자형 하부철근(130b)이 평행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되게 하면서 그 사이에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설치된 S자형 단위유닛(S)으로 구성하되 2개의 슬래브 하부근의 직각철근(212)(212)이 간격d를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각각의 직각철근(212)(212)과 만나도록 배치한 구성이다.
만약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직각철근(212)(212)과 만나지 못한다면 S자형 단위유닛(S)이 안정되게 자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수직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각각의 직각철근(212)(212)과 1번이상은 만나야 자립이 안정적이고 수직유지가 용이하다.
2) S자 형상의 곡선 구조와 평행철근과의 구성
S자형 상부철근(130a)과 S자형 하부철근(130b)이 평행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되게 하면서 그 사이에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설치된 S자형 단위유닛(S)으로 구성하는 한편 ⅰ)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직각철근(212)(212)의 간격 d의 1/2이상이 되어야 조건과, ⅱ)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위에 위치되어야하는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한 구성이다.
만약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직각철근(212)(212)의 간격 d의 1/2보다 작게 되면 3각형의 밑면이 좁게 되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된다.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면 슬래브 상부근의 설치 시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고 경사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S자형 단위유닛(S) 은 슬래브 상ㆍ하부근의 사이에서 스페이서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S자형 단위유닛(S)이 안정된 자립에서만 페이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위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은 접점으로 이루어진 3각형 형상이 기하학적으로 안정된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위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과 꼭 만나는 것은 물론이고 초과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접점으로 이루어진 3각형 형상이 안정된 구조를 취하는 한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 사이에 배치된 평행철 근(214)(214)의 개수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평행철근(214)(214)과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만난상태에서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 사이에는 배치된 평행철근(214)(214)이 없을 수도 있고 1개 이상일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하부 격자상의 주근 위에 설치되면서 자립적으로 안정되게 서있을 수 있는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함에 주된 목적이 있고, 자립과 동시에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겸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곡선형 전단 보강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충분하다.
도1 슬래브(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에 종래의 사다리형상의 직선형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 슬래브(플랫플레이트)-기둥 접합부에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 슬래브 하부철근의 수직철근위에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가 기둥면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 슬래브 하부철근의 평행철근위에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가 기둥면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 본 발명의 2개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가 수직으로 서있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6 본 발명의 단위유닛(S)을 정점-p와 +p로 나타낸 사시도
도7 도6의 평면도
도8 본 발명의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가 기둥면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Claims (2)

  1. S자형 상부철근(130a)과 S자형 하부철근(130b)이 평행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사이에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을 설치하여 S자형 단위유닛(S)으로 구성하되 슬래브 하부근의 2개의 직각철근(212)(212)이 간격 d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S자형의 정점 -p점과 +p점이 각각의 직각철근(212)(212)과 적어도 1번은 만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2. S자형 상부철근(130a)과 S자형 하부철근(130b)이 평행된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되게 하면서 그 사이에 전단관련 수직철근(120)이 설치된 S자형 단위유닛(S)으로 구성하는 한편 ⅰ) S자형 단위유닛(S)의 피치 h가 직각철근(212)(212)의 간격 d의 1/2이상이 되어야 조건과, ⅱ) S자형 단위유닛(S)의 정점 -p점과 +p점이 평행철근(214)(214)위에 위치되어야하는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KR1020070066867A 2007-07-04 2007-07-04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KR10089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67A KR100892569B1 (ko) 2007-07-04 2007-07-04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67A KR100892569B1 (ko) 2007-07-04 2007-07-04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08A KR20090002708A (ko) 2009-01-09
KR100892569B1 true KR100892569B1 (ko) 2009-04-09

Family

ID=4048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67A KR100892569B1 (ko) 2007-07-04 2007-07-04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57B1 (ko) 2008-11-06 2011-06-01 명성철강 주식회사 조립철근 절곡형 전단보강체 및 그 설치구조
CN104594563A (zh) * 2015-01-28 2015-05-06 清华大学 钢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7136C2 (ru) * 2010-10-04 2012-11-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Черкашин Армату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ставка дистанционная волновая"
CN113293855B (zh) * 2021-05-25 2022-10-18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板柱结构及建筑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11A (ko) * 2003-08-19 2005-03-07 송진규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20050049797A (ko) * 2003-11-24 2005-05-27 동부건설 주식회사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보강 구조
KR20050059663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윈스틸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38665A (ko) * 2004-11-01 2006-05-04 대한주택공사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11A (ko) * 2003-08-19 2005-03-07 송진규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20050049797A (ko) * 2003-11-24 2005-05-27 동부건설 주식회사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보강 구조
KR20050059663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윈스틸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38665A (ko) * 2004-11-01 2006-05-04 대한주택공사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57B1 (ko) 2008-11-06 2011-06-01 명성철강 주식회사 조립철근 절곡형 전단보강체 및 그 설치구조
CN104594563A (zh) * 2015-01-28 2015-05-06 清华大学 钢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08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TWI241374B (en) Constructing the large-span self-braced buildings of composite load-bearing wall-panels and floors
US6807790B2 (en) Ring beam/lintel system
EP082395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KR100892569B1 (ko) 곡선형 철근 조립형 전단 보강체
JP2011094335A (ja) 床スラブの構築方法
US20110247291A1 (en) Reinforcement Bar Support Device
KR20100036035A (ko) 경간의 거리연장과 천정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지지빔구조체
JP2023514035A (ja) モジュール型複合作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システム
CN113026950B (zh) 一种钢结构先行与核心筒混凝土分离施工方法
RU165803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KR101011263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101204767B1 (ko)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RU80487U1 (ru) Система сбор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домостроения (скд) и узел сопряжения корытообразных ребристы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я с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м ригелем, перекрытие, узел стыка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лонн, узел сопряжения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го ригеля со сбор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колонной и корытообразной ребристой плитой перекрытия
CN112681616B (zh) 以型钢取代部分钢筋来组立钢筋混凝土构造的加劲结构
KR100588193B1 (ko) 슬림형 바닥 시스템을 위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 복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77316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RU2197578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варианты)
AU2009200214A1 (en) Composite Beam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CN211873306U (zh) 一种组合楼盖构造及其组合结构住宅体系
JPS603844Y2 (ja) 補強コンクリ−ト構造
KR101188367B1 (ko) 무량판 슬래브 펀칭 전단보강체
US8205412B2 (en) Panel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26880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전단보강 입체그리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